KR20120117893A -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893A
KR20120117893A KR1020127021996A KR20127021996A KR20120117893A KR 20120117893 A KR20120117893 A KR 20120117893A KR 1020127021996 A KR1020127021996 A KR 1020127021996A KR 20127021996 A KR20127021996 A KR 20127021996A KR 20120117893 A KR20120117893 A KR 2012011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jawbone
screw
patient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씨. 그랜트
Original Assignee
그랜트 덴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694,911 external-priority patent/US8287278B2/en
Application filed by 그랜트 덴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그랜트 덴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Multiple implanting technique, i.e. multiple component implants introduced in the jaw from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을 규정하고 있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바닥부 및 중앙 개구를 갖는다. 정렬 핀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나사형 단부는 환자의 턱뼈 속으로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형 단부가 환자의 턱뼈 속으로 나합된 후, 상기 헤드는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헤드에 나사형 개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DENTAL PLATFORM ASSEMBLY AND METHODS}
본 PCT 출원은 2008년 3월 4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중의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2/074,524호의 부분계속출원인 2008년 10월 1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중의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2/243,676호의 부분계속출원인 2010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중의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2/694,911호의 부분계속출원인 2011년 1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3/014,526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이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임플란트는 소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인기있는 수단이다. 이들의 비교적 저렴한 유지비와 내구성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흔히 브릿지보다 임플란트를 선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선의 치과 의사들은 그들의 환자들로부터 임플란트와 관련하여 대부분 문서화되지 않은 불만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불만들은 임플란트와 인접 치아 사이의 확대된 치주 간격에서 임플란트의 크라운 부분 주위와 아래에 음식물이 끼거나 축적된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들과 아울러, 그러한 시스템들을 환자의 턱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러한 방법은 환자의 턱뼈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치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의 일부가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된다. 바람직하게, 이 리세스는 당해 리세스 속으로 후속하여 위치될 베이스 부재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이 베이스 부재는 테이퍼형 중앙 개구와 외주연에 의해 규정된 대체로 평탄한 상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며, 통상적으로 상기 상부가 턱뼈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드릴 비트가 위치되며, 턱뼈에 홀이 천공된다.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스크류가 삽입된다. 이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턱뼈의 홀 내부에 나사형 단부를 고정하고, 베이스 부재의 테이퍼형 개구 내부에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를 안착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턱뼈의 홀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크기가 증가하는 드릴 비트들이 중앙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턱뼈의 리세스와 같이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가 고정되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교대(abutment)가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교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된 위치결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상기 교대를 위치시킬 때, 상기 위치결정 핀은 상기 교대의 대응하는 리세스 속에 삽입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나사형 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에 교대를 고정하기 위해, 캡쳐 스크류가 교대의 중앙 개구를 통해 나사형 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약 35 Ncm의 힘을 사용하는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가 턱뼈 속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교대는 당해 교대의 중앙 개구로부터 연장하는 위치결정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 슬리브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교대의 위치결정을 돕기 위해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속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교대를 위치시키기 전에, 베이스 부재 상에 치유 커버(healing cover)가 위치될 수 있으며, 치유 커버 위에서 환자의 치은이 봉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의 상기 치유 커버는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까지 연장한다. 부위가 치유된 후, 치유 커버에 접근하여 이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거한다. 그 다음, 임플란트 스크류 속으로 연장하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 상에 조직 윤곽형성 캡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수술 부위 영역의 형성에 도움이 되며, 이 영역이 크라운을 수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한다. 조직이 적절하게 형성된 후, 치유 커버가 제거되고, 교대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스크류 속으로 연장하는 캡쳐 스크류를 이용하여 베이스에 교대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교대에 크라운이 부착된다.
하나의 특수한 양태에서,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를 갖고, 중앙 개구는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부면의 표면적이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외주연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의 외주연은 조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을 규정하고 있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바닥부 및 중앙 개구를 갖는다. 정렬 핀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나사형 단부는 환자의 턱뼈 속으로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형 단부가 환자의 턱뼈 속으로 나합된 후, 상기 헤드는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헤드에 나사형 개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크라운이 교대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교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대는 베이스 부재의 상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평탄한 바닥면을 포함한다. 상기 교대의 바닥면은 베이스의 외주연과 대체로 일치하는 외주연을 갖는다. 상기 바닥면은, 교대가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될 때, 베이스 부재의 리세스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규정한다. 상기 교대는 크라운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상부면과, 교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홀을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서, 상기 교대의 관통 홀로부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 속으로 위치결정 슬리브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교대와 베이스 부재의 리세스 내부에 정렬 핀이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교대의 관통 홀을 통과하고 상기 위치결정 슬리브를 통과하여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의 나사형 개구 속으로 캡쳐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교대와 베이스 부재는 제 2 리세스 세트를 각각 포함한다. 이 리세스들은, 교대가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될 때, 서로 정렬된다. 상기 제 2 리세스 세트 내부에 다른 정렬 핀이 위치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슬리브는 기하학적 구조가 원통형이며, 캡쳐 스크류는 슬리브 내부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매끄러운 외면을 구비한 상단부를 갖는다.
하나의 특수한 양태에서, 상기 중앙 개구는 테이퍼져 있고,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형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하기 위해 테이퍼형 헤드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상부면의 표면적이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조면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크라운을 고정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 외주연, 및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임플란트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앙 개구를 갖는다. 상기 상부는 베이스 부재와 교대의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교대의 대응하는 리세스들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정렬 핀들을 수용하도록 된 한 쌍의 리세스들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임플란트(또는 임플란트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턱뼈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하도록 환자의 치은의 일부가 제거된다. 이는 환자의 치아 또는 다른 치과 치료물이 제거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턱뼈의 일부가 제거된다. 제거되는 뼈의 깊이는 약 1㎜ 내지 약 4㎜ 범위일 수 있다. 뼈가 제거된 환자의 턱뼈 내부에 매립되도록 베이스 부재가 처치 부위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에 의해 규정된 대체로 평탄한 상부, 테이퍼형 중앙 개구, 및 상기 중앙 개구와 외주연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을 가질 수 있다. 소형 고정 스크류가 상기 스크류 홀을 통해 위치되어 환자의 턱뼈 속에 나합될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고정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와 적어도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환자의 턱뼈 내부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베이스 부재는 이후 보철을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스크류가 위치된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턱뼈 내부에 나사형 단부를 고정하고, 베이스 부재의 테이퍼형 개구 내부에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를 안착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된다. 임플란트 스크류가 턱뼈에 고정되고 적절한 치유가 이루어지면, 크라운과 같은 보철이 임플란트 스크류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과 중앙 개구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스크류 홀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스크류 홀은 베이스 부재의 코너에 위치된다. 이는 환자의 턱뼈에 베이스 부재를 더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가 직사각형인 경우, 외과의사는 베이스 부재가 턱뼈에 형성된 함몰부 내에 피팅되도록 턱뼈의 직사각형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환자의 턱뼈의 상부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턱뼈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상부는 베이스 부재와 크라운의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크라운 상의 대응하는 피쳐와 교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합성 피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나사형 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은 상기 나사형 홀 속으로 나합될 수 있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중앙 개구는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부면의 표면적이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외주연을 가질 수 있다.
몇몇 경우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당해 베이스 부재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조면화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베이스 부재로 뼈의 성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을 규정하고 있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바닥부, 중앙 개구, 및 상기 중앙 개구와 외주연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을 갖는다. 상기 시스템은, 헤드와 환자의 턱뼈 속으로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를 관통하도록 된 나사형 단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나사형 단부가 환자의 턱뼈 속으로 나합된 후,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임플란트 스크류보다 크기가 더 작고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가진 고정 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스크류의 나사형 단부는 환자의 턱뼈 속으로 베이스 부재의 스크류 홀을 관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고정 스크류는 환자의 턱뼈에 베이스 부재를 더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이는 임플란트 스크류와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에 커플링될 보철을 안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중앙 개구는 테이퍼져 있고, 경사 에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형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하기 위해 테이퍼형 헤드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특수한 구조는 베이스 부재와 임플란트 스크류 사이의 미세누설을 방지하는데 또한 유용하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에 고정 홀이 위치된다. 하나의 특히 유용한 배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2개의 고정 스크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2개의 고정 홀을 갖는다. 상기 고정 홀들은 베이스 부재의 대향하는 코너들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홀은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스크류의 헤드는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 스크류는 각각 첨단과 약 1.5㎜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외주연에 위치된 복수의 유지 그루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상부면의 표면적이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유지 그루브 아래에서 테이퍼가 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뼈의 성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면화된다.
상기 시스템은 다양한 보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에 크라운이 장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교합성 피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해 당해 크라운을 비회전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의 피쳐와 교합하는 대응하는 교합성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나사형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은 상기 나사형 홀 속으로 나합될 수 있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크라운을 고정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 외주연, 중앙 개구, 및 상기 중앙 개구와 외주연 사이에 위치된 스크류 홀을 갖는다. 상기 중앙 개구는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임플란트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는 베이스 부재와 크라운의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크라운 상의 대응하는 피쳐와 교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합성 피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외주연은 복수의 유지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주연은, 상부면의 표면적이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유지 그루브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에 고정 홀이 위치된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홀과 고정 스크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턱에 직접 안착되는 확대된 베이스를 가진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임플란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크라운 지지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치아 임플란트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또는 베이스의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베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해 천공된 환자의 턱뼈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직사각형부가 외과적으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턱뼈에 삽입된 임플란트와 대응하는 베이스 및 교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교대를 부착하기 전, 도 11의 베이스와 임플란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할 때 채용될 수 있는 형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형판을 사용하여 환자의 턱뼈 내부에 형성된 외과적 리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4의 수술 부위에 복원된 크라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18-18선을 따라 취한 도 19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19-19선을 따라 취한 도 16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치아가 제거된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턱뼈의 일부가 제거된 도 20의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베이스 부재 또는 플랫폼이 리세스에 삽입된 도 21의 턱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환자의 턱뼈에 홀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를 관통한 드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도 23의 홀 속에 삽입된 임플란트 스크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임플란트 스크류가 삽입된 후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된 치유 캡을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치유 캡이 제거된 후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된 조직 윤곽형성 캡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베이스 부재에 대한 교대의 부착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은 도 27의 교대에 대한 크라운의 부착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논의하고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 및/또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논의와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과도하게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및 제 2 어금니와 소구치가 소실되어 치아가 없는 공간을 복원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치아들이 기하학적 구조가 통상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치과 치료절차는 둥근 치과용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이 공간을 복원한다. 임플란트 상에 크라운이 위치될 때, 크라운과 인접 치아 사이에 과다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이 음식물 덫 역할을 하게 되고, 결국 인접 치아의 충치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가 둥글기 때문에 발생하지만,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공간을 충진하려는 노력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크라운이 임플란트 상에 위치되고 크라운과 인접 치아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이 치아가 없는 공간을 포괄적으로 충진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크라운을 부착하기에 편리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중심으로 하여 위치된다. 몇몇 예에서, 상기 플랫폼이 환자의 턱뼈 내부에 납작하게 될 수 있도록, 환자의 턱뼈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운이 플랫폼 상에 위치될 때, 인접 치아와 대체로 정렬될 뿐만 아니라, 턱뼈가 플랫폼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크라운을 지지하는 안정적인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다양한 플랫폼들이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임플란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랫폼의 외주연은 대체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임플란트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중앙 개구를 가질 것이다. 플랫폼의 상부면은 통상적으로 평탄한 기하학적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당해 플랫폼에 대한 크라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크라운 및/또는 교대 상의 대응하는 피쳐와 교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텐트 또는 다른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당해 플랫폼이 환자의 턱뼈에 더 고정될 수 있도록, 소형 외과용 스크류가 턱뼈 속으로 당해 플랫폼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이 홀들은, 외과용 스크류가 플랫폼의 상부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납작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의 외면 및 바닥면들은 뼈의 치유와 플랫폼에 대한 뼈의 성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그루브들 또는 조면화된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플랫폼이 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면, 크라운의 외형과 일치하도록, 둥근 임플란트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임플란트로 필히 변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플란트와 크라운의 배치에 기인할 수 있는 충치와 치아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 치아들 사이의 공동 또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도 1은 턱(16)에 안착되는 베이스(24)를 가진 개선된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20)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20)는 베이스 플레이트(24), 베이스 부착 패스너(28)(임플란트 스크류 또는 간단히 임플란트라고도 함), 크라운 부착 패스너(34),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도 2 참조), 및 치아 크라운(38)을 포함한다.
대체로, 상기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20)는, ⅰ) 안착과 연결을 위한 하부(23)를 가진 크라운부(22), ⅱ) 상기 크라운부(22)를 교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된 상부와, 턱(16)들 중 하나의 뼈(14) 상에 직접 안착하도록 된(또는 그 내부에 매립되는) 하부를 갖고, 직립 또는 중앙 개구(26)가 관통하여 형성된 베이스(24), 및 ⅲ) 상기 직립 개구(26) 상에 그리고 그 주위에 안착되도록 된 헤드(29)와, 상기 턱(16)에 나합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위에 베이스(2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형 단부 또는 샤프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20)의 베이스(24)는 턱(16)에 부하를 더 잘 분배하기 위해 확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크라운부(22)가 더 직립된 주변 측벽(31)들을 갖도록 추가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크라운부의 바닥부와 인접 치아(10)(도 3 내지 도 7 참조) 사이의 공간 또는 치주 갭(12)(도 3 내지 도 7 참조)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며, 그 내부에 음식물이 끼고 축적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24)는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비회전성이다.
베이스 부착 패스너(28)는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중앙 개구(26)에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착 패스너(28)는 뼈 스크류이다.
베이스 부착 패스너(28)의 헤드(29)는 패스너(28)의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앙 보어(32)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착 패스너(28)의 중앙 보어(32)는 나사형 샤프트(30) 속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착 패스너(28)의 헤드(29)는 납작한 중앙 개구(26)에 피팅하도록 된 납작한 헤드이다.
본 명세서 내에서, "턱(16)"은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 내에서, "뼈(14)"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규정된다.
베이스(24)가 제거된 치아(미도시)의 바닥부와 대체로 유사한 크기이면, 임플란트된 크라운부(22)의 대향 측면들 상의 치주 갭(12)은 확대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24)는 임플란트(20)와 인접 치아(10) 사이의 치주 갭(12)을 최대로 최소화하기 위해 더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24)는 경사진 주변 측벽(25)을 갖고, 바닥부의 면적은 상부보다 더 작다. 상기 베이스(24)의 바닥부는 턱(16)의 뼈(14)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이는 턱뼈에 베이스(24)를 부착하기 전에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뼈(14)의 강도가 문제라면, 베이스(24)의 바닥부가 턱(16)의 뼈(14)의 수직 곡률에 대체로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24)의 주변 측벽(25)은 치은(8)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팅되거나 조면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상부는 크라운 부착 볼트(3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나사형 홀 또는 중앙 보어(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4) 상에서 크라운부(22)의 적절하고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4)의 상부와 상기 크라운(22)의 바닥부가 교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도 2는 임플란트(20)의 베이스 플레이트(24)와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의 상세도이다. 치아 크라운(38)은 크라운 지지 수단(36)에 의해 지지되어 그에 부착된다. 치아 크라운(38)과 함께,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과 크라운 부착 스크류(34)가 크라운부(22)를 구체화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4)는 중앙 개구(26)와 관상면(27)을 갖는다. 용어 "관상(coronal)"과 "선단(apical)"은 각각 치아의 크라운 정점(뿌리)에 가장 가까운 구조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중앙 개구(26)는 납작하다. 중앙 개구(26)는 임의의 각도로 심지어 요각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또는 경사 없이 직선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상면(27)은 평탄한 표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4)의 관상면(27)은 복수의 직립형 스터드(44)와 같은 치아 결합 수단(44)을 포함한다.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은 크라운 부착 패스너(34)를 갖는다.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은 베이스 플레이트(24)의 관상면(27)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은 관상면(27)의 디텐트(44)(직립형 스터드라고도 함)에 결합하기 위한 홈부(46)를 포함한다. 물론, 홈부와 디텐드가 반대 부분에 있거나 두 부분들 사이에 혼합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크라운 지지 메커니즘(36)은 칼라(40)(교대 칼라라고도 함)와 원통형 인서트(42)를 포함한다. 칼라(40)는 도 2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도시되어 있다. 칼라(40)는 관상 에지(50)와 선단 에지(52)를 구비한 길이방향 개구(48)를 포함한다. 칼라(40)는 베이스 플레이트(24)의 관상면(27) 상에 배치된다.
원통형 인서트(42)는 칼라(40) 내부에 배치되며, 칼라(40)의 관상 에지(50)에 의해 지지된다. 원통형 인서트(42)는 크라운 부착 패스너(34)를 지지하기 위한 그 내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채널(58)을 갖는다.
크라운 부착 패스너(34)는 베이스 부착 패스너(28)의 중앙 보어(32)와 나합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라운 부착 패스너(34)는 중앙 보어(32)와 나합되도록 된 나사형 샤프트(56)를 갖는다.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보철들 중 임의의 것들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임플란트(30)에 커플링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크라운 부착 패스너, 칼라 교대 또는 보철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대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뼈에 고정된 안정된 베이스 또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스크류와 보철을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뼈(16)에 치아 임플란트 또는 보철(20)을 임플란트하는 방법은 반드시 순서에 따라 진행할 필요는 없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은 치아 임플란트(20)를 사용한다. 파일럿 홀(6)이 턱뼈에 천공되며, 이는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내경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홀(6)은 치아(미도시)가 제거되고 남은 개방된 공간에서 인접 치아(10) 사이의 턱(16)에 측방향으로 센터링된다. 베이스(24)가 턱(16)의 뼈(14) 상에 직접 안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치은(8)이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24)가 턱뼈 내부에 안착되어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턱뼈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처치 부위가 수술적으로 준비되면,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나사형 단부(30)가 베이스(24)의 직립 개구(26)를 관통하여 위치되며, 스크류(28)가 턱(16)의 뼈(14) 속으로 나합됨으로써, 베이스(24)를 턱(16)에 부착시킨다. 하기된 바와 같이, 턱뼈 속으로 베이스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형 스크류를 이용함으로써, 베이스(24)가 환자의 턱뼈에 먼저 고정될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베이스(24)의 중앙 개구와 그 외주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24)가 고정되고 스크류(28)가 제 위치에 놓이면, 외과 의사는 이제 턱(16)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24) 주위에 상기 제거된 치은(8)을 위치시키고 피팅하며 유지할 수 있다. 크라운부(22)가 성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베이스(24)에 피팅되는 크기의 바닥부와 인접 치아(1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충진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상부를 가질 수 있다. 성형된 크라운부(22)는 턱(16)에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24)에 부착될 수 있다. 임플란트(20)의 베이스(24)는 턱(16)에 부하를 더 잘 분배하기 위해 확대되며, 이에 따라, 크라운부(22)의 바닥부와 인접 치아(10) 사이의 치주 갭(12)이 감소되며, 그 내부에 음식물이 끼고 축적되는 것이 모두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가장 포괄적인 방법은 치아 임플란트(20)의 가장 포괄적인 설명하에서 위에서 특정한 장치의 한계와 함께 상세히 열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뼈(15)와 치은(8)을 가진 턱(16)에 치아 임플란트를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나타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 순서를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단계들 사이에 추가적인 단계들이 실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턱(16)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측면도들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의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턱(16)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24)를 고정시키는 단계는 파일럿 홀(6)을 천공하는 단계, 턱(16)으로부터 치은(8) 및/또는 뼈(14)를 제거하는 단계, 및 중앙 개구(26)를 통해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나사형 샤프트(3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상부면이 뼈(14)의 상부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충분한 뼈가 제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 플레이트(2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형 외과용 스크류가 뼈(4)에 베이스 플레이트(24)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부착 스크류(28)를 삽입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파일럿 홀(6)은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내경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홀(6)은 턱(16)에 측방향으로 센터링된다. 또한, (뼈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서) 임플란트(20)의 베이스(24)가 턱(16)의 뼈(14) 상에 직접 안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치은(8)이 턱(16)으로부터 제거된다. 베이스 부착 스크류(28)의 나사형 샤프트(30)가 임플란트(20)의 베이스(24)의 중앙 개구(26)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스크류(28)가 턱(16)의 뼈(14) 속으로 나합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4)를 턱(16)에 부착시킨다.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24)에 부착되어 있는 칼라(4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길이방향 개구(48)는 칼라(40) 내에 제공된다. 칼라(40)는 베이스 플레이트(24)의 관상면(27) 상에 배치된다. 상기 칼라(40)를 통해 크라운 부착 패스너(34)가 삽입된다. 상기 칼라(40) 내부에 원통형 인서트(42)가 배치된다. 도 7은 칼라(40)에 부착되어 있는 치아 크라운(38)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110)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폴리싱된 티타늄,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과 같이 안정적인 물질로 제조된다. 베이스(110)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면(112)과 바닥면(114)을 갖는다. 베이스(110)는 4개의 외측 에지 또는 측부(116,118,120,122)를 또한 갖는다. 베이스(110)의 중앙에는 임플란트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중앙 개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개구(124)는 임플란트의 헤드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경사지거나 테이퍼져 있다. 이러한 테이퍼링은 베이스(110)와 임플란트 사이의 미세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베이스(110)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정사각형이거나 직사각형이며, 둥근 코너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측부(116,120)의 길이는 약 7㎜ 내지 약 12㎜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8㎜ 내지 약 12㎜일 것이다. 대향하는 측부(118,122)의 길이는 약 5㎜ 내지 약 10㎜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6㎜ 내지 약 9㎜일 것이다. 상부(112)와 바닥(114) 사이의 베이스(110)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4㎜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2㎜ 내지 약 3㎜일 것이다. 또한, 측면(116,118,120,122)들은 상부(112)로부터 바닥(114)으로 꺽일 수 있다. 이러한 측부들의 꺽임은 플랫폼과 뼈 속으로 저작력을 배향하고 부하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이를 중앙 임플란트로 전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또한, 측부와 바닥(114)은 뼈의 유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면화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블라스트 알루미늄 산화물 미세 에칭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프로세스들은 산 에칭 또는 측부와 바닥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른 기술들을 포함한다. 또한,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뼈의 유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루브(130)가 베이스(110)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를 통해 한 쌍의 스크류 홀(132,134)이 연장된다. 이 스크류 홀들도, 소형 외과용 스크류들이 이 홀들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부면(112)과 동일 평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테이퍼져 있다. 이 소형 스크류들은 환자의 턱뼈 속으로 연장하여 환자의 턱뼈에 베이스(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당해 베이스의 대향하는 코너에 위치된 2개의 스크류 홀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개수의 스크류 홀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베이스(110)는 단지 1개의 스크류 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는 코너에 인접하여 있고, 1개는 반대측에 있도록, 3개의 스크류 홀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4개의 홀이 각각의 코너에 있도록, 4개의 스크류 홀이 채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베이스(110)는 그와 같은 어떠한 스크류 홀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환자의 턱뼈 내부에 베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해 골 유착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상부면(112)에 2개의 디텐트 또는 홈부(138,140)를 포함한다. 이 홈부들은, 임플란트에 교대가 고정되었을 때, 베이스(110)에 대한 교대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대 상의 교합 피쳐들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홈부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유형의 비회전성 피쳐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교대 상의 디텐트 또는 홈부들과 교합하기 위해, 상부면(112) 상에 범프 또는 릿지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개수의 그러한 비회전성 피쳐들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0은 베이스(110) 또는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전 환자의 턱뼈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환자의 턱뼈는 참조번호 142로 표시되어 있고, 환자의 턱뼝 위의 조직 또는 치은 선이 참조번호 144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치아(146) 사이에 공간 또는 공동을 남기고 1개의 치아가 제거되었다. 임플란트 또는 베이스를 위치시키기 전에, 적당한 홀(148)이 천공되며,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리세스(150)가 환자의 턱뼈에 절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가 리세스(150)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114)이 턱뼈의 제거된 부분 상에 안착되어 있을 때, 측부(116,118,120,122)들은 리세스(150)의 외측부 또는 벽부와 대체로 일치한다. 베이스(110)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턱뼈 속으로 스크류 홀(132,134)을 관통하여 스크류(151)가 삽입되었다(도 8 참조). 스크류(151)는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약 11㎜ 범위의 길이를 가질 것이며, 더 특별하게, 약 7㎜ 내지 약 9㎜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110)는 환자의 턱뼈(142)에 고정된다. 상부면(112)은, 본질적으로 환자의 턱뼈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환자의 턱뼈의 상부와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환자의 턱뼈에 베이스(110)를 고정하는 스크류(151)의 보다 구체적인 도면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10)가 제 위치에 고정되면, 임플란트의 헤드가 중앙 개구(124) 내부에 안착될 때까지, 임플란트(152)가 개구(148) 속으로 나합된다. 이 시점에서, 스크류 또는 치유 캡이 임플란트(152)의 상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뼈가 적당히 치유되어 베이스(110)에 유착할 때까지 수 주일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 베이스(110)에 교대(154)(도 11 참조)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치유 캡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헥스(hex)(156)가 임플란트(152) 속으로 교대(154)의 중앙 개구를 관통하여 나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에 대한 교대(154)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플란트(154)의 하부면 상의 범프(160)가 베이스(110) 상의 디텐트(138,140)와 결합한다. 교대(154)가 제 위치에 결합되면, 크라운과 같은 보철이 교대(154)에 고정된다. 교대(154)의 외형은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따라서, 베이스(110)의 외형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대(154) 상에 위치된 크라운과 인접 치아(146) 사이의 공극 또는 갭이 최소화된다. 전형적으로, 교대(154)의 외측 에지가 측벽(116,118,120,122)의 약 1㎜ 내지 약 4㎜ 이내에 있게 된다. 이는 교대(154)의 상부에 위치될 최종 크라운을 위해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13은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와 베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위를 외과적으로 형성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형판(200)의 사시도이다. 형판(200)은 환자의 치아 위에 피팅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형판(200)은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를 제거할 때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2개의 관통 홀(202,204)을 갖는다. 2개의 관통 홀이 도시되어 있으나, 임플란트 부위의 개수에 따라 임의의 개수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관통 홀(202,204)은 환자의 제거된 치아가 이전에 위치되어 있던 위치와 특별히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용 라우터와 같은 외과용 장치가 관통 홀(202,204)을 통해 배향되었을 때, 이는 환자의 턱뼈에 직사각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도 14는 도 13의 형판(200)을 사용할 때 환자의 턱뼈 내부에 형성되는 리세스(206,208)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해 천공된 2개의 홀(210,212)이 도시되어 있다. 홀(210,212) 위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또는 플랫폼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직사각형 리세스(206,2080)가 턱뼈에 위치되어 있다.
도 15는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임플란트(152), 베이스(110) 및 외과용 스크류(151)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베이스의 상부에 크라운(214,216)이 위치되어 있다. 크라운과 베이스 사이에 안착된 교대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가상선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크라운 및/또는 인접 치아 사이의 공간은 직사각형 베이스의 특성으로 인해 최소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인접 치아 및/또는 크라운 사이에 잠재적으로 낄 수 있는 음식 또는 다른 물질의 양이 최소화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300)은 플랫폼으로도 불리우는 베이스 부재(302)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302)는 평탄한 상부(304), 바닥부(306) 및 외주연(308)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외주연(308)은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둥근 코너를 갖는다. 상기 외주연은 베이스 부재(302) 상에 위치될 크라운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컨대, 이하에 개시된 예에서, 베이스 부재(302)는 약 7㎜ 내지 약 12㎜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9㎜인 (턱뼈와 정렬된 방향으로) 길이와, 약 5㎜ 내지 약 10㎜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7㎜인 (턱뼈의 길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부(304)로부터 바닥부(306)까지 측정된 베이스 부재(302)의 깊이는 약 1㎜ 내지 약 4㎜ 범위이며, 더 특별하게, 약 2.5㎜일 수 있다. 특히, 교체하고자 하는 치아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과 크기도 가능하다. 단지 예로서, 베이스 부재(302)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팔각형, 육각형, 또는 심지어 치아의 형상에 맞춘 형상일 수 있다. 상부(304)의 표면적이 바닥부(306)보다 더 크도록, 베이스 부재(302)의 측부들 중 단지 일부 또는 전부가 테이퍼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 부재(302)의 상위 삼분의 일이 상부(304)에 수직한 측부를 갖는다. 측벽의 하위 삼분의 이는 소정 각도로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측벽을 테이퍼링하는 이유는 환자의 턱뼈의 리세스 영역 속으로 베이스 부재(302)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측벽을 테이퍼링함으로써, 시술자는 상대적으로 긴밀한 피팅을 가질 수 있는 리세스 속으로 베이스 부재(302)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은 티타늄,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베이스 부재(302)의 벽부와 바닥부(306)는 뼈의 성장 또는 골융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조면화, 코팅 또는 표면 처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2)는 당해 베이스 부재(302)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하는 중앙 개구(312)를 더 포함한다. 중앙 개구(312)는 하기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스크류(314) 사이에 냉간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부(304)로부터 바닥부(306)까지 테이퍼져 있다. 베이스 부재(302)는 한 쌍의 리세스(316,318)를 더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316,318)는 상부(304)의 대각선 상에 위치되며, 기하학적 구조가 원통형이다. 리세스(316,318)는 정렬 핀(320)을 수용하도록 각각 설계된다. 이 정렬 핀들은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304) 상에 교대(322)를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핀(320)들은 교대(322)가 베이스 부재(30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핀(320)들은 통상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리세스(316,318) 속에 억지 끼워맞춤된다. 핀(320)들은 기하학적 구조가 원통형이며, 베이스 부재(302)를 위해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핀(320)들의 바닥 단부(322)는 리세스(316,318) 속으로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면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덴트 또는 다른 인터로킹 요소를 포함하여, 다른 정렬 또는 회전 방지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2개의 리세스와 정렬 핀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 핀 도는 2개 초과의 핀과 같은 다른 개수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리세스와 핀들은 베이스 부재(302) 상에서 다른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핀들이 정사각형이고 베이스 부재(302)의 2개의 대향하는 측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 스크류(314)는 나사형 단부(326), 헤드(328) 및 테이퍼형 헤드부(330)를 포함한다. 나사형 개구(332)가 헤드(328)를 관통하여 연장한다(도 18 참조). 나사형 단부(326)는 베이스 부재(302)의 중앙 개구(321)를 관통한 후 환자의 턱뼈 속으로 나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임플란트 스크류(314)는 뼈 속에 완전히 임플란트되도록 베이스 부재(302) 아래로 충분히 연장하는 길이를 가질 것이다. 임플란트 스크류(314)는 티타늄과 같이 생체에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테이퍼부(330)는 중앙 개구(312)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매끄러운 외면을 갖는다. 임플란트 스크류(314)에 토크가 인가될 때, 박테리아가 턱뼈 속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테이퍼부(330)와 베이스 부재(302) 사이에 냉간 용접부가 형성된다.
나사형 개구(332)는 베이스 부재(302)에 대해 교대(322)를 고정하는 캡쳐 스크류(3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쳐 스크류(340)는 헤드(343)를 구비한 상단(342)과 나사형 하단(344)을 갖는다. 또한, 상단(342)은 매끄러운 생크(346)를 포함한다.
교대(322)는 하부면(350)과 상부면(352)을 포함한다. 관통 홀(354)이 교대(322)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304)에 대해 임플란트(352)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캡쳐 스크류(340)의 헤드(343)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쇼울더(356)(도 18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정렬 핀(320)을 수용하기 위해 리세스(323,325)가 사용된다.
관통 홀(354)의 하부는 원통형 위치결정 슬리브(3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슬리브(360)의 내면은 생크(346)를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상단(362)과 면취된 바닥단(364)을 포함한다.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바람직하게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임플란트 스크류(314)의 헤드(328) 속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헤드(328)는 나사형 개구(332) 위에 위치된 공간(366)을 포함한다.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베이스 부재(302)와 교대(322)의 정렬을 도울 뿐만 아니라, 이 2개의 부분들을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몇몇 경우에서, 위치결정 슬리브(360)가 선택사항으로 만들어져 생략될 수 있다. 공간(366)은 임플란트 스크류(214)를 조일 때 알렌 렌치와 같은 토크 장비를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하학적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공간(366)은 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베이스 부재(302) 상에서의 교대(322)의 배치와 나사형 개구(332) 속으로의 캡쳐 스크류(34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시,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그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바닥단(364)의 면취부에 의해 임플란트 스크류(314)의 공간(366) 속으로 중앙 개구(312)를 관통하여 가압된다.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쇼울더(370) 상에 안착할 때까지 공간(366) 속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교대(322)가 베이스 부재(302) 상에 위치되고,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바람직하게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관통 홀(354) 속으로 연장한다. 그 다음, 캡쳐 스크류(340)가 관통 홀(354)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개구(332) 속으로 위치결정 슬리브(360)를 관통한다.
또한, 캡쳐 스크류(340)는 렌치가 당해 캡쳐 스크류(340)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육각형 개구(380)를 헤드(343)에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스크류(314) 속으로 캡쳐 스크류(340)를 회전시킴으로써, 임플란트(322)의 바닥면(350)이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304)에 대해 가압된다. 스크류(340)가 조여졌을 때 그들 사이에 약 20μ 미만의 공간이 있도록, 상부(304)와 바닥면(350) 모두가 충분히 매끄럽게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대(322)와 베이스 부재(302) 사이에 긴밀한 시일이 제공된다.
이제, 도 20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도 16 내지 도 19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치아(402,404) 사이에 공간을 남기고 치아가 제거된 환자의 턱뼈(400)의 단면도이다. 먼저, 수술 부위(408)에서 뼈(400)를 노출시키기 위해 일부 조직을 개방함으로써 조직(406)이 절개되어 있다.
도 21에서, 리세스(410)를 형성하기 위해 뼈(400)의 일부가 제거된다. 뼈(400)는 라우터, 드릴 등의 사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뼈(400)에 베이스 부재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해 최소한의 뼈 성장이 요구되도록, 바람직하게, 리세스(410)는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크기, 형상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 다음, 상부(304)가 치은 선 바로 아래에서 뼈(400)의 상부와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베이스 부재(302)가 리세스(41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302)가 뼈(400) 내부에 유착될 때, 수술전 뼈와 전체적인 형상이 동일하게 된다. 적당한 골 유착에 의해, 리세스(410) 내에 베이스 부재(302)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정 스크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대(322)의 바닥면(350)과 상부(304) 사이에 더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2)가 제 위치에 놓인 후, 베이스 부재(302)의 중앙 개구(312)를 관통하는 드릴 비트(420)를 사용하여 홀이 뼈(400)에 천공된다. 뼈(400)의 개구가 임플란트 스크류를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클 때까지, 직경이 증가한 점진적으로 더 큰 드릴 비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뼈(400)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점진적으로 더 큰 드릴 비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임플란트 스크류(314)가 뼈(400)의 개구 속으로 중앙 개구(312)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테이퍼형 헤드부(330)가 중앙 개구(312)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까지 임플란트 스크류(314)가 조여진다. 임플란트 스크류(314)를 완전히 안착시키고 액체 또는 박테리아가 중앙 개구(312)를 통해 침투하지 않도록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약 35 Ncm의 힘이 토크 렌치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유 커버(430)가 임플란트 스크류(314)의 개구(332) 속으로 나합된다. 치유 커버(430)는 상부(304)의 외주연까지 연장하는 약 2㎜의 최대 높이를 가진 낮은 프로파일 커버이다. 커버(430) 위에서 조직(406)이 봉합되며, 수술 부위가 치유되는 약 3달 동안 제 위치에 방치된다. 치유가 완료되었을 때, 베이스 부재(302)와의 골 유착이 발생하였으며, 커버(430)를 노출시키기 위해 조직(406)이 제거되며, 그 후 상기 커버가 베이스 부재(302)로부터 제거된다.
교대를 수용할 준비가 되도록 수술 부위에 조직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302)와 임플란트 스크류(314)에 조직 윤곽형성 캡(432)(도 26 참조)이 고정된다. 조직 윤곽형성 캡(432)은 약 2 주일동안 제 위치에 남을 수 있으며, 그 후 제거된다.
조직 윤곽형성 캡(432)을 제거한 후,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322)가 베이스 부재(302) 상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위치결정 슬리브(360)가 공간(366)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정렬 핀들이 베이스 부재(302)의 리세스(316,318) 속에 위치될 수 있다. 교대는 상부(30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위치결정 슬리브(360)는 관통 홀(354) 속으로 연장하고, 핀(320)은 리세스(323,325) 속으로 연장한다. 캡쳐 스크류(340)는 임플란트 스크류(314)의 개구(332) 속으로 관통 홀(340)을 통해 삽입된다. 전형적으로, 베이스 부재(302)와 교대(322) 사이에 긴밀한 시일을 형성하도록 약 25 Ncm의 힘을 가진 토크 렌치가 캡쳐 스크류(340)를 조이기 위해 사용된다.
임플란트(322)가 제 위치에 놓이면, 크라운의 식재가 이루어진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450)은 교대(322) 상에 시멘팅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할 뿐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배제하고자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대체와 변경이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해 안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대체,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9)

  1.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환자의 턱뼈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치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베이스 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처치 부위에 베이스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에 의해 규정된 대체로 평탄한 상부와 테이퍼형 중앙 개구를 가진, 베이스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드릴 비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턱뼈에 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스크류를 삽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삽입 단계; 및
    상기 턱뼈의 홀 내부에 상기 나사형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테이퍼형 개구 내부에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뼈의 홀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해, 크기가 증가하는 드릴 비트들을 상기 중앙 개구 속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상기 턱뼈의 리세스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환자의 턱뼈와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면 상에 교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에 위치결정 핀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교대의 비회전식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상기 교대를 위치시킬 때, 상기 위치결정 핀을 상기 교대 상의 대응하는 리세스 속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나사형 홀을 포함하고, 캡쳐 스크류와, 상기 나사형 홀 속으로 상기 교대의 중앙 개구를 통해 상기 캡쳐 스크류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를 적어도 약 35 Ncm의 힘을 사용하는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턱뼈 속으로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는 당해 교대의 중앙 개구로부터 연장하는 위치결정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슬리브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속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치유 커버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치유 커버 위에서 환자의 치은을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치유 커버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까지 연장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유 커버에 접근하는 단계, 상기 치유 커버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 속으로 연장하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조직 윤곽형성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치유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교대를 관통하여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 속으로 연장하는 캡쳐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에 교대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 크라운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중앙 개구는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상부면의 표면적이 상기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외주연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된 환자의 턱뼈의 일부는 환자의 턱뼈에 직사각형의 공동을 형성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부위는 치아가 이전에 존재하였던 위치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제거된 치아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골 유착을 촉진하도록 당해 외주연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코팅 또는 표면 처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고정 방법.
  17.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으로서,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을 규정하고 있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바닥부 및 중앙 개구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환자의 턱뼈의 리세스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부재;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스크류이며, 상기 나사형 단부는 환자의 턱뼈 속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형 단부가 환자의 턱뼈 속으로 나합된 후,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상기 헤드에 나사형 개구를 규정하는, 임플란트 스크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교대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평탄한 바닥면이며, 상기 교대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과 대체로 일치하는 외주연을 가진, 바닥면;
    크라운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상부면; 및
    상기 교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교대;
    상기 교대의 관통 홀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 속으로 연장하도록 된 위치결정 슬리브;
    상기 교대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메커니즘; 및
    상기 교대의 관통 홀을 통과하고, 상기 위치결정 슬리브를 통과하여,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의 나사형 개구 속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캡쳐 스크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규정하고, 상기 교대의 바닥면은, 상기 교대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의 리세스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규정하며, 상기 정렬 메커니즘은 상기 교대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리세스 내부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교대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교대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될 때, 서로 정렬되는 다른 리세스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 내부에 피팅되도록 된 다른 정렬 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기하학적 구조가 원통형이며, 상기 캡쳐 스크류는 상기 슬리브 내부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매끄러운 외면을 구비한 상단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는 테이퍼져 있고,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상기 테이퍼형 중앙 개구 내부에 안착하기 위해 테이퍼형 헤드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상기 상부면의 표면적이 상기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골 유착을 촉진하도록 당해 외주연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코팅 또는 표면 처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 장착되도록 된 크라운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5.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크라운을 고정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매립되도록 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상부,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 외주연, 및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임플란트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앙 개구를 갖고, 상기 상부는 베이스 부재와 교대의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교대의 대응하는 리세스들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정렬 핀들을 수용하도록 된 한 쌍의 리세스들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은, 상기 상부면의 표면적이 상기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플랫폼.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상기 리세스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대향하는 코너들에 위치된,
    플랫폼.
  28. 치과용 형판으로서,
    환자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형판 본체; 및
    치아가 이미 제거된 수술 부위 바로 위의 위치에서 상기 형판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 홀은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외과용 장치가 사용될 때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치과용 형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인,
    치과용 형판.
  30. 환자의 턱뼈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환자의 턱뼈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치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처치 부위에서 환자의 턱뼈 내에 베이스 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처치 부위에 베이스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주연에 의해 규정된 대체로 평탄한 상부와 테이퍼형 중앙 개구를 가진, 베이스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스크류를 삽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헤드와 나사형 단부를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삽입 단계; 및
    상기 턱뼈 내부에 상기 나사형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테이퍼형 개구 내부에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의 헤드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외주연과 상기 중앙 개구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스크류 홀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크류 홀을 통해 고정 스크류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하학적 구조가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상기 스크류 홀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에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는 환자의 턱뼈와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크라운의 비회전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크라운 상의 대응하는 피쳐와 교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합성 피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에 상기 크라운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당해 크라운을 비회전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의 피쳐와 교합하는 대응하는 교합성 피쳐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스크류는 나사형 홀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은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상기 나사형 홀 속으로 나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중앙 개구는 일정한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상부면의 표면적이 상기 바닥면보다 더 크도록, 직선형 테이퍼로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내측으로 테이퍼진 외주연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된 환자의 턱뼈의 일부는 환자의 턱뼈에 직사각형의 공동을 형성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부위는 치아가 이전에 존재하였던 위치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제거된 치아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주연은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골 유착을 촉진하기 위해 코팅되거나 표면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 방법.
KR1020127021996A 2010-01-27 2011-01-27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KR20120117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94,911 2010-01-27
US12/694,911 US8287278B2 (en) 2008-03-04 2010-01-27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US13/014,526 2011-01-26
US13/014,526 US8562344B2 (en) 2008-03-04 2011-01-26 Dental platform assembly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893A true KR20120117893A (ko) 2012-10-24

Family

ID=4435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996A KR20120117893A (ko) 2010-01-27 2011-01-27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62344B2 (ko)
EP (1) EP2528535A4 (ko)
JP (1) JP2013517905A (ko)
KR (1) KR20120117893A (ko)
CN (1) CN102905644A (ko)
AU (1) AU2011210815A1 (ko)
BR (1) BR112012018684A2 (ko)
CA (1) CA2786158A1 (ko)
MX (1) MX2012008604A (ko)
WO (1) WO20110944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951A (ko) * 2017-05-29 2020-02-05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아 연결 시스템
KR102321570B1 (ko) * 2021-02-26 2021-11-04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
WO2023048315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디오 시멘트가 필요 없는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5283B2 (en) * 2006-11-22 2013-06-18 Ch Scientific, Llc Dental implant
US8231388B2 (en) * 2008-03-04 2012-07-31 Grant Dental Technology Corporation Dental implant
US8740616B2 (en) * 2008-03-04 2014-06-03 Grant Dental Technology Angled dental platform assembly and methods
US8287278B2 (en) * 2008-03-04 2012-10-16 Grant Dental Technology Corporatio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IT1391016B1 (it) * 2008-07-11 2011-10-27 Luigi Canullo Sistema implantare perfezionato.
CA2751115C (en) 2009-02-04 2015-12-29 Mid Corp. 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ES2457224T3 (es) * 2010-10-20 2014-04-25 Dentsply Ih Ab Método de realización de un dispositivo de acoplamiento de fijación dental específico para un paciente
BR112013019637A2 (pt) 2011-02-02 2018-07-17 Mid Corp sistemas, aparelho e métodos para implantação de implantes
SE537550C2 (sv) * 2011-12-21 2015-06-09 Svea Tandvård Ab Mutter för dentalimplantat samt infästningsverktyg för en sådan mutter
CN104812330A (zh) * 2012-06-29 2015-07-29 大恩土主 牙科用种植体
US9295488B2 (en) 2012-08-09 2016-03-29 Wilson T. Asfora Joint fusion
US20150313659A1 (en) * 2012-12-07 2015-11-05 Kagoshima University Fastening force auxiliary device for screw and screw with fastening force auxiliary device
US20140272793A1 (en) * 2013-03-15 2014-09-18 Grant Dental Technology Corporation Dental implant instrumentation and methods
JP5706976B1 (ja) * 2014-01-30 2015-04-22 敏弘 中塚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US10016256B2 (en) 2014-03-07 2018-07-10 Earl Wayne Simmons, Jr.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dental implant site
US10639132B2 (en) * 2014-09-12 2020-05-05 Italo Lozada Dental prosthesis
TWI613992B (zh) 2016-12-28 2018-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骨植入物
CN107126274B (zh) * 2017-06-21 2018-06-29 宋光保 一种可调人工牙冠、种植牙
EP3524205A1 (de) * 2018-02-07 2019-08-14 Straumann Holding AG Verbesserte fixierstifthalterung für zahnprothes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P3843656B1 (en) * 2018-08-29 2022-09-07 Universidade do Porto Dental prosthesis system, for the use with at least two dental implants
WO2020053641A1 (en) * 2018-09-15 2020-03-19 Vivek Kumar Multiple platform dental implant (mpdi)
CN109528328B (zh) * 2018-09-29 2020-09-22 诺一迈尔(苏州)医学科技有限公司 引导骨成形装置
CN109875705B (zh) * 2019-03-07 2020-06-23 珠海新茂义齿科技有限公司 一种全口无牙种植修复系统
TWI715262B (zh) 2019-10-23 2021-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口顎重建彌補物
BR202020017123U2 (pt) * 2020-08-21 2022-03-03 Carlos Aurélio Andreucci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parafuso para implante ósseo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5116A1 (de) 1975-04-07 1976-10-28 Kyoto Ceramic Implantierbare vorrichtung
CA1248371A (en) * 1985-05-17 1989-01-10 Robin D. Listrom Fixture for attaching prosthesis to bone
US5018970A (en) * 1987-12-17 1991-05-28 Stordahl Finn R Implant teeth--permanent bases with replaceable caps
US5591029A (en) 1989-11-14 1997-01-07 Zest Anchors, Inc. Dental implant system
US5040982A (en) 1990-06-28 1991-08-20 Stefan Dogar Sorin Dental implant and conversion assembly
DE4235801C2 (de) * 1992-10-23 1997-03-06 Friatec Keramik Kunststoff Dentalimplantat
US5297963A (en) 1993-05-17 1994-03-29 Fereidoun Dafatry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elliptical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302127A (en) 1993-06-01 1994-04-12 Crisio Jr Raymond A Dental implant stress stabilizer
US6454569B1 (en) 1993-11-02 2002-09-24 Biolok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 having a dual bio-affinity collar
US5492471A (en) * 1994-03-23 1996-02-20 Gary Singer Healing cap system
US6068479A (en) 1995-02-21 2000-05-30 Kwan; Norman Ho-Kwong Dental implant system
IL112989A (en) 1995-03-14 1998-06-15 Avi Shampanier Implant for an artificial tooth
TW332775B (en) 1995-12-04 1998-06-01 Straumann Inst Ag Healing cap for dental implants
US5810592A (en) 1996-05-06 1998-09-22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healing abutment member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DE19644333A1 (de) * 1996-10-25 1998-04-30 Wolfgang Doerken Zahnmedizinisches Implantat
US6168436B1 (en) 1997-06-18 2001-01-02 O'brien Gary Universal dental implant abutment system
US6497573B2 (en) 1998-07-30 2002-12-24 Centerpulse Dental Inc. Composite dental abutment
US6250922B1 (en) 1998-07-30 2001-06-26 Sulzer Dental Inc. Two-piece dental abutment with removable cuff
US6287117B1 (en) 1999-04-22 2001-09-11 Sulzer Dental Inc.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cluding a healing screw and an optional implant extender
US6436103B1 (en) * 2000-12-21 2002-08-20 Loubert Suddaby Drill guide and plate attachment mechanism for orthopedic plating
US6863529B2 (en) 2001-05-18 2005-03-08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30013068A1 (en) * 2001-07-16 2003-01-16 Gittleman Neal B. Trans-tissue extension apparatus
US6537069B1 (en) 2001-10-01 2003-03-25 Earl Wayne Simmons, Jr.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implants
US6648643B2 (en) * 2001-12-19 2003-11-18 Biolock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abutment interface and system having prong and channel interconnections
US6843653B2 (en) 2002-06-04 2005-01-18 Joseph Carlton Dental implant
US7101177B2 (en) 2002-08-05 2006-09-05 Cheng-Yi Li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7341453B2 (en) 2002-11-01 2008-03-11 Coatoam Gary W Dental implant method and apparatus
JP4664274B2 (ja) * 2003-02-28 2011-04-06 マテリアライズ・デンタル・ナ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歯科上部構造を配置および製造するための方法、インプラント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れが用いる付属物
US7097451B2 (en) 2003-11-14 2006-08-29 Brian Tang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 osteotomies and method thereof
US7300282B2 (en) 2004-07-16 2007-11-27 Sapian Schubert L Biofunctional dental implant
ITFI20050020A1 (it) * 2005-02-04 2006-08-05 Mario Cito Impianto dentale endo-osseo a radice multipla
US8403667B2 (en) 2006-11-22 2013-03-26 Ch Scientific, Llc Dental implant
US20080118892A1 (en) 2006-11-22 2008-05-22 Curtis Adams Dental implant
KR100875069B1 (ko) 2007-04-17 2008-12-18 권오달 치과 임플란트용 메쉬 플레이트
US7806685B1 (en) 2008-03-04 2010-10-05 Grant James C Dental implant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a base directly attached to the bone in a jaw
US8287278B2 (en) 2008-03-04 2012-10-16 Grant Dental Technology Corporatio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US8231388B2 (en) 2008-03-04 2012-07-31 Grant Dental Technology Corporation Dental implant
US8740616B2 (en) 2008-03-04 2014-06-03 Grant Dental Technology Angled dental platform assembly and methods
US8702424B2 (en) 2009-04-21 2014-04-22 Christopher W. Ford Dental implant assembly
WO2010132252A1 (en) 2009-05-12 2010-11-18 Synthes Usa, Llc Readjustable locking plate hole
US8296951B2 (en) 2009-06-25 2012-10-30 Young Keun Hyu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951A (ko) * 2017-05-29 2020-02-05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아 연결 시스템
KR102321570B1 (ko) * 2021-02-26 2021-11-04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
WO2022182069A1 (ko) * 2021-02-26 2022-09-01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
WO2023048315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디오 시멘트가 필요 없는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10815A1 (en) 2012-07-26
WO2011094420A1 (en) 2011-08-04
JP2013517905A (ja) 2013-05-20
CA2786158A1 (en) 2011-08-04
MX2012008604A (es) 2012-11-30
US8562344B2 (en) 2013-10-22
US20110151408A1 (en) 2011-06-23
CN102905644A (zh) 2013-01-30
EP2528535A1 (en) 2012-12-05
BR112012018684A2 (pt) 2016-05-03
EP2528535A4 (en)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893A (ko)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US8287278B2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US8740616B2 (en) Angled dental platform assembly and methods
US10441387B2 (en) Abutment system and dental methods
US8734155B2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CA2123666C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362235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angled abutment assembly
US5989028A (en) Non-submergible, one-part, root-form endosseous dental implants
US7303396B2 (en) Split implant for dental reconstruction
CA2813625C (en) Dental implant
US8231388B2 (en) Dental implant
JP5175291B2 (ja) 歯科アタッチメントアセンブリ
EP0288702A2 (en) Improved submergible screw-typ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tilization
US20050019730A1 (en) Dental minipin with interchangeable abutments
US20100119993A1 (en) Dental implant
US20140248583A1 (en) Support mechanism
KR101329597B1 (ko) 치과교정용 고정원
US11660168B2 (en) Dental implant
US20120141956A1 (en) Method for fixed crown and bridge restorative cases using endo-post dental implant system (i-loc) with screwless abutment fastening within implant and with multiple implants with try-in heads
KR20190122285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90104038A (ko) 치과 임플란트
AU2013289610B2 (en) Abutment system and dent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