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038A - 치과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038A
KR20190104038A KR1020197020762A KR20197020762A KR20190104038A KR 20190104038 A KR20190104038 A KR 20190104038A KR 1020197020762 A KR1020197020762 A KR 1020197020762A KR 20197020762 A KR20197020762 A KR 20197020762A KR 20190104038 A KR20190104038 A KR 2019010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conical
dent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키타 세르게에비치 셰르노볼
Original Assignee
니키타 세르게에비치 셰르노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키타 세르게에비치 셰르노볼 filed Critical 니키타 세르게에비치 셰르노볼
Publication of KR2019010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61C8/0071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with a self-locking taper, e.g. morse t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의학 및 치과 보철학, 특히 임플란트학, 즉 치아가 빠진 위치에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더 정확히 말하자면 치과 (치아) 임플란트에 해당된다. 기초 부분, 지대치 및 연결 나사로 된 임플란트가 권장된다. 이 임플란트에 지대치는 전체 각도가 7°-9°의 원추 표면을 포함하고 원추 표면이 치은 안쪽에 있고 나사는 0.2 ± 0.05 mm 피치의 나사산을 갖는다. 특히 좁은 보철물의 형태로 임플란트는 강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본 발명은 치과 의학 및 치과 보철학, 특히 임플란트학, 즉 치아가 빠진 위치에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더 정확히 말하자면 치과 (치아) 임플란트에 해당된다.
치과 임플란트를 직접 치조내에 식립하거나 치조가 원상회복된 이후 식립한다(지연 임플란트 식립). 첫 번째 경우 유착시키는 단계에서 임플란트의 일부 부분은 연조직에 있을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를 설치한 후에 치과 임플란트의 표면은 악골 안쪽에 골 유착되어야 한다. 임플란트를 설치한 후 1 차 안정성이 불충분하거나 당뇨병, 흡연 등과 같은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 폐쇄된 치유를 포함한 2 단계 방법을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설치하고 골 유착된 후 보철 치료를 하는 것이 더 좋다.
임플란트는 한 조각 주조 의치 또는 두 조각 주조 의치 또는 두 조각 이상의 의치 구성의 임플란트가 될 수 있다. 지연 임플란트 식립의 경우 일반적으로 치유에 필요한 시간 동안 임플란트 위로 연조직을 덮을 수 있는 2성분 임플란트가 사용된다.
대부분 임플란트의 외부 디자인은 나사와 유사하다. 임플란트용 뼈구멍을 형성 준비한 후 이 나사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조인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는 턱의 뼈 조직에 설치된 기초 부분, 치관이 장착된 지대치(abutment), 지대치와 기초 부분을 연결하는 고정 나사로 구성된다.
기초 부분과 임플란트의 지대치는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세라믹, 특히 티타늄, 지르코늄, 티타늄 합금, 지르코늄 합금, 티타늄을 함유한 합금, 지르코늄을 함유한 합금, 산화 지르코늄 및 산화 알루미늄으로 된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 이외에 규소 또는 산화 규소를 기반으로 하고 예를 들어 질소, 수소, 탄소 또는 텅스텐을 함유하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치과 임플란트의 구조와 이들의 구성 요소들의 특성은 여러국가의 수백가지 특허에 기재되어있다(RU 2602678, 2016; RU 2567596, 2014; RU 2485910, 2012; US 2005/0287497, 2005; WO 03020154, 2003; DE 10315399, 2004; EP 1728486, 2006; WO 97/20518,1997; WO 96/29020,1996 등).
특히, 수백 개의 특허에 명시된 정보에 따라 기초 부분은 보통 골내 및 골외 부분으로 구성되고 적절하게 골성형된 금속 몸체의 형태로 수행되고 치관의 말단 부위에 수용 구멍을 갖는다. 이 수용 구멍에 지대치가 삽입된다. (이 경우,그리고 이하 "치관측(coronal)"이라는 용어는 치관(crown)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치경부(cervical)"는 치근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치경부 말단 부위의 외면에서 기초 부분은 악골의 적절하게 준비된 뼈구멍(bed)에서 임플란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산이 결합된다. 나사산의 경우 셀프 테이핑 나사산 및 셀프 테이핑 아닌 종류의 나사산이 있다. 이와 동시에 기초 부분의 외부 영역에 설치될 예정인 나사산의 구조물은 시스템의 높은 1차 안정성과 씹을 때의 아랫니와 윗니의 접촉 상태에서 생기는 힘을 치과 임플란트에, 악골에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설계되지만 나사산의 구조는 이 문제를 항상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초 부분이 약 0.6mm의 나사 피치를 갖는 외부 나사가 있는 임플란트가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 5,588,838 호, 1996년). 이러한 구조물는 해면골에서 임플란트의 안정적인(reliable) 고정을 보장할 수 없게 되며 기초 부분의 낮은 프로파일 및 작은 피치로 인해 조기 씹는 하중을 견딜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을 설치한 후 3-6 개월만에 보철 치료를 할수 밖에 없어 치료 시간이 지연된다.
기초 부분의 수용 구멍에 설치 가능성이 있는 지대치는 보철 수복물 (예를 들어, 치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표면을 갖고 및 임플란트의 상기 수용 구멍에 일반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임플란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위를 갖는다. 지대치의 연결 부위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추형 부분을 가지며 이 연결 부위에 치경부로 향하는 일정한 인덱스 길이를 갖는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인덱스) 영역이 인접한다.
지대치 연결 영역 및 임플란트의 기저부의 대응 인터페이스 된 내부 표면의 구현은 구성 요소들의 개선된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고 유체 또는 박테리아가 축적될 수 있는 갭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 밀폐된 밀봉의 형성에 기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원추형 구조물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특히, 향후에 임플란트의 성형 경우 원추의 각도와 직경의 공차로 인해 높이의 변화가 발생할 수있다.
일반적으로 지대치 표면에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이 있다.이 영역의 목적은 임플란트 조립 과정에서 지대치와 임플란트 기초 부분의 안정한 회전이나 위치 결정을 보장하고 이와 동시에 그립 도구의 접근 표면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타원형 (RU 2273464, 2006;RU 2485910, 2013) 등고선, 또는 홈 및 이음부(cams)를 사용하여 주변에 기하학적 폐쇄 연결을 형성한다.
임플란트 기초 부분의 비교적 얇은 벽들의 경우 벽들의 증가되고 있는 기밀성 부족 발생 가능성 조건에서 첫번째 방식은 불규칙한 형태의 기초 부분과 지대치 제작 당시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그리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이음부와 홈으로 된 시스템이 더 널리 보급되었다.
보철 수복물에서 임플란트의 골 결합 기저부로 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에 충분히 강해야하는 기초 부분-지대치 방식의 연결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결은 보철 수복물에서 임플란트의 골 유착된 기초 부분으로 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 연결은 임플란트 구조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고 치과 용 임플란트 수복물의 모든 개별 구성 요소의 골절 또는 약화를 방지 할 수 있다.
이전에는 이러한 연결들의 경우 임플란트 기초 부분 위로 돌출된 연결 핀이 사용되었으며 지대치의 연결부는 연결 핀에 꽉 고정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동시에 이 부분들의 연결은 나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결의 단점은 핀을 깨뜨릴 가능성으로 인한 구조물의 불충분한 강도 부족과 이를 대체해야 할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이었다. 따라서 현대 재료들의 경우 연결 핀들이 지대치로 옮겨졌고 연결 영역은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 내부에 옮겨졌다. 이와 동시에 이 구조물들의 경우 연결은 주로 임플란트의 안에 있고 지대치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들이 있고 지대치의 연결 표면이 임플란트의 안쪽으로 향한다. 치경부를 향한 지대치는 치경부 말단에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과 인접하여 구멍이 있는 측면을 갖는다. 이 구멍을 통해 지대치는 특별히 선택된 연결 (고정) 나사를 사용하여 기초 부분과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지대치의 구멍을 통해 고정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이어서 기초 부분의 해당 내부 나사산 안으로 틀어 박힌다. 결과적으로 나사 머리는 지대치를 기초 부분에 꽉 고정시킨다. 치경부 말단 부위 이음부의 측면이 임플란트의 헤드에 설치되기 전에 지대치의 나사가 임플란트내 나사부에 연결될 수 없도록 나사의 길이 및, 특히 나사산 위치를 선정한다. 이로써, 지대치 나사를 조여서 지대치가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기전에 임플란트내에 잘못 고정될 것이라는 문제가 방지된다.
기술적인 본질에 따라, 제시된 솔류션에 가장 가까운 것은 치과 임플란트(RU 2567596, 2015)이다. 이 치과 임플란트는 치관 말단 부위에 지대치용 수용 구멍이 있는 기초 부분을 포함한다. 더군다나 치관 말단 부위에서의 방향으로 수용 구멍 경우 전체 각도가 6 °부터 20 °까지, 주로 15°의 원추형 간격이 있고 설치된 지대치용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이 있다. 기초 부분의 원통형 부위에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있고 지대치의 원통형 부위에는 동일한 수의 이음부가 있다. 더군다나 홈들이 지대치의 해당 이음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해당 이음부는 원추형 부분의 최소 직경보다 작거나 혹은 최소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기초 부분의 치경부 방향으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에 고정 나사를 식립하기 위한 나사산부분이 직접 인접한다.
구조물의 단점은 기초 부분 및 표면 형상이 변형되는 지대치 제작의 기술적인 어려움, 또한 인덱스 영역 시작점의 부위에 있는 지대치의 불충분한 강도이다. 이외에 전체 각도가 큰 원추형 표면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임플란트의 치은 안쪽 영역에 이음부들을 포함한 지대치 경우 좁은 임플란트의 제작 과정에서 기초 부분 구조의 벽들을 가늘게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발명가가 해결하는 문제는 좁은 임플란트를 제작하고 사용할 때 더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었다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과 지대치 사이의 연결 수정은 승인 요청된 발명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이 영역의 중요성은 임플란트-지대치 연결은 치과 기공소에서 제작된 보철 수복물 (예를 들어, 치관)이 지대치에 설치될 때까지 환자의 구강내에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는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환자의 악골안에 임플란트를 설치할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에서 임플란트로 토크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이 영역은 가이드와 연결 나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지대치와 기초 부분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나사는 회전당 0.2~ 0.5 mm의 나사 피치를 갖는다. 일정한 수의 작용 나사산 피치로 지대치에 대한 충분히 안정한 부착이 이루어진다. 더군다나 나사산은 성공적인 비틀림(<90°) 경우에만 잘 된다. 이때 지대치와 기초 부분사이에서 조일 때 연결 나사로 인해 발생하는 압박력으로 인해 자체-센터링(self-centering)이 작용한다. 나사산의 3-4 횟수 작용 토크가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면 기초 부분의 지대치 토크의 높이가 0.6mm, 혹은 0.6mm보다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치은 안쪽의 부위에서 상기 연결을 밀어내고 보철물의 골절 확률을 높이고/거나 지대치의 치경부 말단을 원추에 비하여 더 얇게 만들 수 밖에 없게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는 연결 스크류의 나사산 피치를 0.2 ± 0.05 mm로 줄이고 연결이 악골의 치은 영역에 있도록 지대치의 원추형 표면에서 이음부들을 만들 것을 제시한다. 이 경우 원추 표면의 전체 각도는 5 ° ~ 9 °, 최적으로 7 °이다.
지대치는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에서 원추 표면을 갖는다. 원추 표면의 이음부가 바깥쪽으로 향하고 이음부는 임플란트의 해당 홈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지대치는 임플란트에 식립될 때 임플란트에 대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의 표면을 위해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임플란트는 최적으로 3 개의 이음부를 갖추고 있고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은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 원추 내에 3 개의 가이드를 가지고 있다. 최상의 결과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달성된다.
이음부 중 하나 및 해당 가이드는 다른 것보다 치수로 크다. 이 경우 기초 부분에 대한 지대치의 미리 결정된 명확한 위치가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간단하고 기계적으로 안정한 방식으로 기초 부분에 설치될 때 치과 보철물(denture)과 같이 적절하게 준비된 지대치의 안정성이 있는 배치가 달성된다. 따라서, 구강내에 지대치를 설치할 때 환자의 치료 기간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더군다나 품질이 우수한 치과 보철물의 위치 결정이 보장된다.
임플란트에 지대치가 식립된 경우 원추형 부분들은 적어도 서로 접촉되어 있고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들은 서로 연결되도록 임플란트 및 지대치에 대한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 영역, 또한 임플란트 및 지대치의 원추 간격들은 설계되어 있고 형성되었다. 치관 끝 영역에서 원추형 영역 사이의 접촉으로 임플란트에 특히 안정된 지대치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으로는 상부 치관 끝에 어느 정도 까지 2-위치 고정이 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홈 또는 이음부들의 사이의 가이드 표면들의 영역에서 2-위치 고정이 되어 있다.
유사품과 비교하여 제시된 발명의 경우의 특성은 특히 좁은 임플란트들을 형성하는 지대치-기초 부분의 연결을 수행한다. 크지 않은 뼈 솔류션이 있는 단일 결함을 없애기 위한 임플라트들의 사용 과정에서 확대술을 진행하고 보다 강한 임플란트를 설치하거나 확대술 진행 없이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좁은 임플란트들의 중요성이 결정된다. 환자의 경우 확대술 없이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가 더 선호된다. 그러나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능적 부담이 가해진 후 얼마 되지 않아 임플란트 구성 요소 골절의 위험이 증가된다.
임플란트 구성 요소들의 골절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경우 3.4mm 내지 3.8m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좁아도 매우 강한 임플란트를 적용하는 솔루션이 사용된다.
강도를 높이는 유사품 중에 잘 알려진 좁은 임플란트들은 두꺼운 임플란트 벽이나 지대치의 두꺼운 벽으로 제작된다. 좁은 임플란트 중 일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연결 또는 원추형 연결을 갖는다. 원추형 부분은 밀봉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원추 연결 부위내에 가이드들은 주로 원추 밑에 위치한다. 이것은 좁은 임플란트 내에서 원추의 길이가 제한되고 대부분의 경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안은 긴 원추 및 좁은 가이드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이드들이 좁으면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토크가 제한되고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의 회전 허용 오차가 커지게 된다. 이 두 가지 경우에 임플란트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연결 강도를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는 설치 후 연결 나사와 초기 하중이다. 초기 하중이 높을수록 연결이 더 강력해진다. 그러나 초기 하중이 너무 높으면 골절의 위험 발생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나사를 최대한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스크류 코어의 직경이 가능한 한 높아야 한다. 그런데 나사 직경이 너무 크면 지대치 벽의 두께 및 임플란트의 벽 두께를 줄여야 하고 이는 임플란트에 하중이 가해질 때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틀안에서 나사 코어의 직경을 변화시키지 않고 동시에 나사 피치의 상당한 감소로 나사의 외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제시된다.
보통 좁은 임플란트들의 경우 0.35 mm 피치의 M1.6 나사가 사용된다. 임플란트를 더 크게 하기 위해서 나사 코어의 직경을 유지하고 나사의 공칭 직경을 줄일 목적으로 나사 피치를 0.2 ± 0.025 mm 로 줄여야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직경 1.6mm, 나사 피치 0.35mm의 나사와 동일한 코어 지름으로 1.4mm의 외경을 얻을 수 있게 할 것이다. 외경이 3.5mm에서 3.8mm까지인 임플란트의 경우 지대치가 임플란트에서 나오는 임플란트 어깨 (도 2) 영역에서 지대치의 외경이 2.8mm 인 솔류션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고 밝혀졌다. 이는 가운데에서 가이드가 달린 긴 원추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지대치에서 임플란트로 하중을 완벽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내부의 지대치는 가이드의 영역 아래에 있는 상부 원추형 영역과 하부 원추형 영역을 포함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대치에 추가 축 방향 하중의 영향으로 하중이 가해질때 임플란트 내부의 가이드 위와 아래에서 안정화될 것이다. 이는 크지 않은 가이드를 적용하는 것과 동시에 긴 원추형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좁은 임플란트의 강도를 위한 조건을 마련할 것이다. 임플란트-지대치 연결의 내부에 5 ° 에서 9 °까지인 사용될 원추의 각도들은 진행된 연구의 결과에 따라 이 조건에서 가장 높은 연결 강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 사례 및 도면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치과 임플란트(1)의 전형적인 디자인, 또한 조립된 형태의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2) 및 지대치(3)를 보여준다.
도 2는 연결(고정)나사(4)를 또한 갖는, 도 1에 보여준 치과용 임플란트의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외부 나사산(22) 및 내부 고정(5)을 갖는 임플란트(2)를 보여준다. 내부 고정(5)은 원추형 부분(55), 가이드(555) 및 내부 나사산(5555)이 있는 영역을 보여준다. 원추형 영역(55)은 가이드 영역(555) 및 나사산 (5555)이 있는 영역 위에 있다.
도 4는 원추형 접촉 핀 (33)과 가이드 영역 (333)을 갖는 지대치(3)를 보여준다. 임플란트내 고정용 고정 나사를 설치하기 위한 안쪽 구멍 (3333)이 있다.
상부 접촉 핀(33333)위에 치과용 보철물(예 : 치관 또는 브리지)이 설치된다.
도 5는 원추형 접촉 핀 (33) 및 가이드 영역 (333)을 갖는 상이한 크기의 가이드 홈에 대한 지대치의 구조를 보여준다. 임플란트내 고정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안쪽 구멍(3333), 지대치(3)는 안쪽에 상부 원추 영역 (33a)과 가이드 영역(333) 아래 위치할 하부 원추 영역 (33b)을 포함한다.
도 6은 이 두 가지 나사산 방식들의 비교를 보여준다. 나사 (4a)는 나사산 444a M1.6, 코어 직경 44a 및 나사 피치 0.35를 갖는 표준 나사이다. 나사 (4b)는 코어 직경(44a)을 갖는 나사(4a)와 동일한 코어 직경(44b)을 갖는다.
도 7 - 위에서 본 임플란트 (2)의 기초 부분의 도면이다. 3 개의 가이드가 원추 내부에 보인다. 도 7a는 같은 크기의 가이드 (7)와 가이드 (77)를 보여준다. 도 7b는 같은 크기의 2가지의 가이드(7) 및 1 가지의 큰 크기의 가이드(77)를 보여준다.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치과 임플란트(1)를 환자의 구강내에 설치하기 위해 처음에 치료의 첫 단계에서 악골에 기초 부분(2)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초 부분(2)은 바깥면에서 샐프 테이핑 나사산으로 만들어진 나사산 (22)을 가진다.따라서 악골내의 설치는 나사를 조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나사산(22) 피치는 균일하거나 가변적일 수 있고 매개 변수의 적절한 선정에 기인하여 가능한 다양한 생물학적 인자 등 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임플란트의 식립이 고려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나사산(22)의 구조 및 매개 변수는 특히 바람직한 높은 1차 안정성 및 치과 임플란트의 씹는 하중에 의한 힘의 악골에 균일한 전달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적절하게 형성된 원추와 결합하여 지대치가 임플란트내에 삽입될 때의 자체 제동 연결이 밝혀진다. 이로써 연결부의 추가적인 안정성이 달성된다.
악골에 기초 부분(2)을 삽입한 후 4개월부터 6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식립 단계가 고려된다. 이 기간 동안 기초 부분이 조직 및 악골에 완전히 식립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치료의 두 번째 단계에서 치과 보철물의 요소가 설치된 지대치(3)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양호한 뼈 거동 및 물론 높은 1 차 안정성으로 지대치(3) 및 기타 보철물 구성 요소들은 기초 부분 또는 임플란트의 설치 직후에도 설치될 수 있다. 기초 부분 (2)과 지대치 (3)사이에 간단한 방법으로 기계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연결을 하기 위해 지대치(3)에 접촉 핀(33)이 있다. 기초 부분은 지대치와 조립될 때 접촉 핀이 기초 부분(2)의 홈에 설치되어 고정나사(4)용 수용 채널을 형성한다. 기초 부분(2)과 지대치(3)와의 기계적 연결은 적절한 연결 나사(4)에 의해 수행되고, 연결 나사의 외부 나사산 (444)은 기초 부분 (2)의 내부 나사산(5555)에 조인다. 동시에 연결 나사(4)의 머리는 지대치(3)를 기초 부분(2)에 압박한다.

Claims (4)

  1. 악골에 설치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로서, 기초 부분, 지대치 및 연결 나사를 포함하고,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의 치관측 말단에 위치한 지대치 수용 구멍을 가지며, 치관측 말단으로부터 향하여 원추형 인덱스 부분을 가지며, 지대치용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고, 가이드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이 방사상 외축으로 연장 및 배치되고, 지대치 이음부와 결합하도록 설계되고, 치경부 방향으로 나사산 부분이 연결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인덱스 부분에 바로 인접하고; 지대치는 치경부 방향으로 인덱스 부분에 의해 인접한 원추형 부분을 갖는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과 연결을 위한 연결 영역을 함유하여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삽입될 때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의 인덱스 부분의 표면을 위한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음부가 방사상으로 움직여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의 해당하는 홈과 결합하도록 설계되고, 치경부 말단은 연결나사의 나사산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말단 표면을 가지며; 동시에 임플란트와 지대치의 기초 부분의 인덱스 부분 및 원추형 부분들은 지대치가 설치되어 있을때 원추형 영역들이 적어도 서로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구강의 위생 상태가 평가된(인덱스) 영역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더군다나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과 해당하는 지대치로 구성된 각 쌍 경우 원추형 간격들의 사이에 접촉이 있고, 지대치에 대한 중간 위치에 있는 이음부의 말단표면이 임플란트 기초 부분의 헤드의 표면에 위치하면 연결 나사는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의 나사산 부분과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연결 나사의 나사산의 피치는 0.2±0.05 mm이고, 이음부들의 경우 악골의 치은내 영역에 연결부가 있도록 지대치의 원추 표면에 위치하는, 치과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기초 부분의 원추형 부분 내에 3가지 가이드가 있고, 그 중에 하나는 나머지 두 가이드보다 더 큰, 치과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원추 표면은 5 °부터 9 °까지의 전체 각도를 갖는, 치과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원추 표면의 전체 각도는 7 °인, 치과 임플란트.
KR1020197020762A 2017-01-27 2017-04-06 치과 임플란트 KR20190104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7102870 2017-01-27
RU2017102870A RU2017102870A (ru) 2017-01-27 2017-01-27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PCT/RU2017/000207 WO2018139950A1 (ru) 2017-01-27 2017-04-06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38A true KR20190104038A (ko) 2019-09-05

Family

ID=6297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762A KR20190104038A (ko) 2017-01-27 2017-04-06 치과 임플란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336250A1 (ko)
EP (1) EP3574866A4 (ko)
JP (2) JP2020522286A (ko)
KR (1) KR20190104038A (ko)
CN (1) CN110225724A (ko)
BR (1) BR112019015207B1 (ko)
IL (1) IL267859A (ko)
RU (1) RU2017102870A (ko)
WO (1) WO2018139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6624A1 (zh) * 2022-08-01 2024-02-08 林辅谊 改良型赝复配件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3184D0 (sv) 1992-10-28 1992-10-28 Astra Ab Dental implant
EP0784455B1 (de) * 1994-10-06 1998-11-25 Metaux Precieux Sa Metalo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zahnimplantate
WO1996029020A1 (de) 1995-03-20 1996-09-26 Institut Straumann Ag Verbindungsanordnung eines dentalimplantats mit einem konus-sekundärteil
ATE182769T1 (de) 1995-12-04 1999-08-15 Straumann Inst Ag Einheilkappe für ein dentalimplantat
US6733291B1 (en) * 1999-09-27 2004-05-11 Nobel Biocare Usa, Inc.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SE520043C2 (sv) 2001-09-06 2003-05-13 Nobel Biocare Ab Implantat och fastdragnings- och distansorgan för sådant implantat
RU2204356C1 (ru) * 2001-12-24 2003-05-20 Абдуллаев Фикрет Мавлудинович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DE10315399A1 (de) 2003-02-21 2004-09-02 Schröder, Ralf, Dr. Zahnimplantat mit Grundkörper und Implantatpfosten sowie Grundkörper und Implantatpfosten für ein Zahnimplantat
RU2273464C2 (ru) 2003-06-11 2006-04-10 Фикрет Мавлудинович Абдуллаев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внутрикост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US7249949B2 (en) 2004-06-29 2007-07-31 Lifecore Biomedical, Inc. Internal connection dental implant
ES2307352B1 (es) * 2005-04-12 2009-09-18 Bti, I+D, S.L. Implante dental y piezas destinadas a ser conectadas a un implante dental, y la conexion interna entre el implante dental y cada pieza.
EP1728486A1 (en) 2005-06-03 2006-12-06 Straumann Holding AG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RU57108U1 (ru) * 2005-10-31 2006-10-10 Михаил Яковлевич Гурджи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винтовой имплантат
DE102008054138B4 (de) 2008-10-31 2018-01-11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
EP2347729A1 (de) * 2010-01-21 2011-07-27 Camlog Biotechnologies AG Zahnimplantat, Abutment für ein Zahnimplantat und Kombination davon sowie ein Implantations-Set
ES2457224T3 (es) * 2010-10-20 2014-04-25 Dentsply Ih Ab Método de realización de un dispositivo de acoplamiento de fijación dental específico para un paciente
EP2570097A1 (en) *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DE202012103424U1 (de) * 2011-12-09 2013-03-11 Epiphanostics GmbH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EP2653131B1 (en) * 2012-04-19 2018-02-28 Dentsply IH AB A dental implant set
WO2013188935A1 (en) 2012-06-18 2013-12-27 Dentscare Ltda Bendable prosthetic abutment applied to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CN204765989U (zh) * 2015-06-11 2015-11-18 大连大学 一种用于牙种植体的基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67859A (en) 2019-10-31
CN110225724A (zh) 2019-09-10
JP2020522286A (ja) 2020-07-30
US20190336250A1 (en) 2019-11-07
RU2017102870A3 (ko) 2018-07-27
RU2017102870A (ru) 2018-07-27
BR112019015207A2 (pt) 2020-03-24
BR112019015207B1 (pt) 2022-08-16
EP3574866A1 (en) 2019-12-04
EP3574866A4 (en) 2020-02-12
WO2018139950A1 (ru) 2018-08-02
JP2022180611A (ja)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793B2 (en) Dental implant
US11877909B2 (en) Dental implant set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EP2306921B1 (en) Dental implant for a jaw with reduced bone volume and improved osseointegration features
EP2869782B1 (en) Abutment system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20080227057A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KR101240116B1 (ko) 덴탈 임플란트
KR20120117893A (ko) 치과용 플랫폼 조립체 및 방법들
JP2001508342A (ja) 骨錨止素子
CN107252359B (zh) 植入部件
EP3593752B1 (en) Dental implant
JP2022180611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11446119B1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ation
RU195904U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RU2720486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включающи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протезные компонент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фиксации одиночного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в верхней и нижней челюстях пациента
RU197545U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101296740B1 (ko) 넌-서브머지드 타입 임플란트용 지대주
KR20190102799A (ko) 교정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