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388A - 벽면설치용 수전 - Google Patents

벽면설치용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388A
KR20120117388A KR1020110035120A KR20110035120A KR20120117388A KR 20120117388 A KR20120117388 A KR 20120117388A KR 1020110035120 A KR1020110035120 A KR 1020110035120A KR 20110035120 A KR20110035120 A KR 20110035120A KR 20120117388 A KR20120117388 A KR 2012011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valve
hot water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95B1 (ko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102011003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설치용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벽면에 매설된 간격이 일정치 않거나 매설된 각도가 비뚤어진 냉/온수공급배관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면과 바닥면에 대한 비뚤어짐을 용이하게 교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벽면설치용 수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설치용 수전{WALL MOUNTING TYPE 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벽면설치용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벽면에 매설된 간격이 일정치 않거나 매설된 각도가 비뚤어진 냉/온수공급배관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면과 바닥면에 대한 비뚤어짐을 용이하게 교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벽면설치용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Water Supply Valve)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수전은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레버를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수전(1)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하우징(2)의 내부에 밸브카트리지(3)를 구비하고, 수도밸브하우징(2)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카트리지(3)를 개폐 동작시켜, 상기 배출구(5)로 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설계 변경에 따라서는 샤워기 호스가 배출구(5) 또는 수도밸브하우징(2)에 더 연결될 수도 있음.)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2)은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에 암수 나사(일측 단에 결합된 너트와 타측 단 외주면의 나사산)가 마련되고 내부가 연통된 연결구(6 ; 통상적으로 암(Arm)이라 함.)를 통해 외부의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경로(7, 8 ; 벽면 내측에 매설된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며, 이스커쳔(9 ; Escutcheon)으로 벽면의 천공 부위를 마무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1)은 벽면에 매설된 상기 냉/온수공급경로(7)(8)의 간격이 정확하게 시공되어있지 않을 경우, 상기 연결구(6)를 통한 수전(1)의 상기 냉/온수공급경로(7)(8)에 대한 연결 설치 시, 수도밸브하우징(2) 및 연결구(6)가 기울어져 설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에 매설된 상기 냉/온수공급경로(7)(8)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거나 벽면에 대해 비뚤어진 경우, 상기 연결구(6)를 통한 수전(1)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난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강제적으로 설치한다 하더라도 냉/온수를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에서 누수 발생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본 발명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벽면에 매설된 간격이 일정치 않거나 매설된 각도가 비뚤어진 냉/온수공급배관에 대해서 입체적인 각도(상/하/좌/우/전/후)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면과 바닥면에 대한 비뚤어짐을 용이하게 교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벽면설치용 수전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수도밸브카트리지(10);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0)(30); 및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를 통해 유도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40)가 마련된 수도밸브하우징(110)을 포함하는 벽면설치용 수전(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냉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면 일측에서 일직선으로 돌출되어, 벽면에 매설된 냉수공급배관(C)의 결합수단1(150)에 연결되는 냉수공급관(120);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온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폭조절수단(130); 일측 단은 상기 폭조절수단(130)에 인서트되어 좌우슬라이드 되고, 벽면에 매설된 온수공급배관(H)의 결합수단2(160) 측으로 절곡되는 타측 선단부에 입체적 회동점을 제공하는 회동부(141)가 마련된 온수공급관(140); 상기 회동부(141)의 외주면을 기밀상태로 감싸면서 회동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결합수단2(160)에 연결시키는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도밸브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된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냉/온수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 경로들을 각각 끼움 결합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즉, 폭이 설계 또는 규격에 맞지 않게 시공된 상태라도, 연결폭조절수단(130) 내측에 끼워진 온수공급관(140)을 슬라이드시키면서 냉수공급관(120)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냉/온수공급배관(C)(H)의 시공 폭 오차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비뚤어져 시공된 상태라도, 각도조절지지수단(170) 내에서 온수공급관(140)의 선단부인 회동부(141)가 회동하면서,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입체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면(W) 또는 바닥면에 대해 비뚤어진 수도밸브하우징(110)의 기울어짐 상태를 용이하게 교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의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비품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결합상태의 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 및 폭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수전(100)은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수도밸브카트리지(10);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0)(30); 및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를 통해 유도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40)가 마련된 수도밸브하우징(110)을 포함하는 벽면설치용 수전(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냉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면 일측에서 일직선으로 돌출되어, 벽면에 매설된 냉수공급배관(C)의 결합수단1(150)에 연결되는 냉수공급관(120);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온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폭조절수단(130); 일측 단은 상기 폭조절수단(130)에 인서트되어 좌우슬라이드 되고, 벽면에 매설된 온수공급배관(H)의 결합수단2(160) 측으로 절곡되는 타측 선단부에 입체적 회동점을 제공하는 회동부(141)가 마련된 온수공급관(140); 상기 회동부(141)의 외주면을 기밀상태로 감싸면서 회동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결합수단2(160)에 연결시키는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도밸브하우징(110) 상부면에는 비누와 같은 욕실용 비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비품대(180)가 더 안착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단부가 개방되고 개방 단부에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조절노브(20)(30)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상방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 단부에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조절노브(20)(30)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는 적층된 다수의 디스크가 좌우 회전하거나 전후 이동하면서 냉/온수유입경로를 개폐시켜,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디스크타입일 수도 있고, 그 밖의 개폐구조를 갖는 수도밸브카트리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노브(20)(30)는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조절레버(미도시)와연결되어져, 사용자의 조작력이 조절노브(20)(30)와 조절레버를 거쳐 수도밸브카트리지(10)로 전달되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적으로,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0)(30)를 각각 마련할 수도 있으나, 조절노브를 상하좌우 통합 조작식으로 하나만 마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냉수공급관(120)은 수도밸브하우징(1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벽면(W)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것으로, 상기 냉수공급배관(C)에 결합된 결합수단1(150)의 외경에 대응하여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이 내경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수단1(15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벽면으로부터의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공급관(120)과 결합수단1(150)은 소정의 위치에 세팅이 이루어지고 나면, 세트스크루(190)를 통해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냉수공급관(120)의 선단부 부분에 마련되는 나사공을 통해 세트스쿠루(190)가 관통되어, 결합수단1(150)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고정시키거나, 결합수단1(150)의 어느 한 부분에 원형의 나사홈 또는 결합수단1(15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링형의 나사홈에 끼워져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폭조절수단(130)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면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 즉, 벽면(W)에 시공된 온수공급배관(H) 방향으로 절곡된 연통 경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온수공급관(140)은 직각으로 절곡된 파이프로서, 일측 선단부 외경에 패킹이 마련되어, 상기 폭조절수단(130)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동부(141)는 온수공급관(140)과 동일체로 이루어진 구형상의 블럭체로서, 상기 각도조절지지수단(170)에 인서트 되는 부시(171 ; Bush) 또는 부시(171) 및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의 내부 만곡면과 면 밀착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가운데,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결합수단1(150)은 일측 단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니플이고, 결합수단2(160)는 외경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니플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의 일측 선단부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2(160)과 대응하여 결합되고, 타측 선단부는 상기 온수공급관(140)의 회동부(141)가 내측에 위치하고, 절곡된 파이프 부분만 외부로 돌출되어지게, 통공이 형성된 캡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W)에 시공되는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즉, 상호간의 설치 폭은 사전에 설계된 치수 또는 통상의 규격에 맞지 않게 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시공되어진 간격의 차이로 인해, 수전(100)을 벽면(W)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수전(100)을 구성하는 수도밸브하우징(110)이 기울어져 설치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며(종래 도면 도 1 내지 도 3 참조), 다수의 배관과 결합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공급관(140)의 일측이 수도밸브하우징(110)에 마련된 폭조절수단(130)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폭 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벽면(W)에 매설 시공된 온수공급배관(H) 측으로 연결되므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시공된 폭이 설계된 상태 또는 규격보다 좁거나 넓어도 이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설치가 가능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온수공급관(140)의 일측 단을 수도밸브하우징(110)에 마련된 폭조절수단(130)에 인서트 시키고, 타측 단은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W)에 매설 시공된 온수공급배관(H)의 결합수단2(160)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 중 폭조절수단(130)의 타측에 마련된 냉수공급관(120)을 벽면(W)에 매설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의 결합수단1(150)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폭에 맞게 온수공급관(140)을 폭조절수단(130)에 대해 슬라이드 조절하면서 폭을 임시적으로 맞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수공급관(120)과 온수공급관(140)의 선단부에 결합된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각각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에 사전 결합된 결합수단(150)(160)에 각각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즉, 폭이 설계 또는 규격에 맞지 않게 시공된 상태라도, 폭조절수단(130) 내측에 끼워진 온수공급관(140)을 슬라이드시키면서 냉수공급관(12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냉/온수공급배관(C)(H)의 시공 폭 오차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도밸브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된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냉/온수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 경로들을 각각 끼움 결합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공급배관(C)(H)이 평행하지 않고 서로 비뚤어져서 시공되었을 경우에도 비뚤어진 각도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배관(H)의 각도가 비뚤어진 경우를 예로 들자면, 먼저, 냉수공급배관(C)에 사전 결합된 결합수단1(150)에 냉수공급관(120)을 위치시키고, 비뚤어진 온수공급배관(H)에 사전 결합된 결합수단2(160)에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위치시킨다.
그리하면, 상기 온수공급배관(H)의 비뚤어진 각도만큼 각도조절지지수단(170) 역시 비뚤어진 상태로 결합이 유도되는데, 이와 함께 수도밸브하우징(110) 전체도 비뚤어진 상태(도 8에서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좌측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비뚤어짐)가 된다.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을 벽면과 평행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좌측 부분을 벽면(W)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지지수단(170) 내에서 회동부(141)가 비뚤어진 각도만큼 회동하면서 각도가 조절됨과 동시에, 폭 또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온수공급관(140)의 일측 단이 폭조절수단(130)으로 슬라이드 인입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좌측 부분을 벽면(W)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밀지않더라도,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결합수단2(16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회동부(141)가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의 내부에서 회동하면서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비뚤어진 각도에 대한 교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결합수단2(160)에 대해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견고히 조여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W)에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즉, 폭이 설계 또는 규격에 맞지 않게 시공된 상태라도, 연결폭조절수단(130) 내측에 끼워진 온수공급관(140)을 슬라이드 시키면서 냉수공급관(12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냉/온수공급배관(C)(H)의 시공 폭 오차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W)에 시공된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비뚤어져 시공된 상태라도, 각도조절지지수단(170) 내에서 온수공급관(140)의 선단부인 회동부(141)가 회동하면서,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입체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면(W) 또는 바닥면에 대해 비뚤어진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상태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수단(130)의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온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일 측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일 측면 방향이라 함은 수도밸브하우징(110) 중, 장축 방향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 방향이다.(조절노브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
이와 같이 되면, 벽면(W)과 수도밸브하우징(110) 사이에 폭조절수단(130)이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벽면(W)과 수도밸브하우징(110)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공급관(120)의 선단부를 결합수단1(150)의 외경에 결합시키지 않고, 결합수단1(150)의 선단부와 면접되어지게 한 후, 너트(121)를 통해 결합수단1(15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수공급관(12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환형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마련되어, 상기 너트(121)가 체결되어지면서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결합수단1(150)에 압착 고정되면서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관(120)의 결합수단1(150)과 대응되는 부분의 타측 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밸브하우징(110)의 냉수유입구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너트(121) 결합에 따른 구조적 내지는 기구적인 유격에 의해 비뚤어진 각도를 보상하여 수도밸브하우징(110)이 벽면 또는 바닥면에 대해 비뚤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교정할 수 있으며, 수전(100) 전체의 고정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은 끼움 결합식 구조 즉, 상기 냉수공급관(120)과 결합수단1(150)이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냉수공급배관(C)이 비뚤어진 상태로 시공되었을 경우, 냉수공급관(120)과 결합수단1(150)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이 압력차로 인해 어느 한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공급배관(C)이 비뚤어진 경우에는 너트(121) 결합 구조를 적용하고,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끼움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전 110 : 수도밸브하우징
10 : 수도밸브카트리지 20,30 : 조절노브
40 : 배수구 120 : 냉수공급관
130 : 폭조절수단 140 : 온수공급관
141 : 회동부 150,160 : 결합수단1,2
170 : 각도조절지지수단 180 : 비품대
190 : 세트스크루 W : 벽면
C,H : 냉/온수공급배관

Claims (4)

  1.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수도밸브카트리지(10);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수온과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0)(30); 및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를 통해 유도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40)가 마련된 수도밸브하우징(110)을 포함하는 벽면설치용 수전(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냉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면 일측에서 일직선으로 돌출되어, 벽면에 매설된 냉수공급배관(C)의 결합수단1(150)에 연결되는 냉수공급관(120);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온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폭조절수단(130); 일측 단은 상기 폭조절수단(130)에 인서트되어 좌우 슬라이드 되고, 타측 단은 벽면에 매설된 온수공급배관(H)의 결합수단2(160) 측으로 절곡되어, 입체적 회동점을 제공하는 회동부(141)가 선단부에 마련된 온수공급관(140); 일측 단은 상기 결합수단2(160)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회동부(141)의 외주면을 감싸서 밀폐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회동부위를 제공하는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용 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130)은 일측 단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10)의 온수유입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 부분은 수도밸브하우징(110)의 후면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연통 경로 또는 수도밸브하우징(110)의 일 측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통 경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용 수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140)은 직각으로 절곡된 파이프로서, 일측 선단부 외경에 패킹이 마련되고, 타측 선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지지수단(170)에 인서트 되는 부시(171) 또는 부시(171) 및 각도조절지지수단(170)의 내부 만곡면과 면밀착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가운데,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지는 구형상의 회동부(141)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용 수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관(120)의 선단부를 결합수단1(150)의 선단부와 면접되어지게 한 후, 너트(121)를 통해 결합수단1(150)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용 수전.
KR1020110035120A 2011-04-15 2011-04-15 벽면설치용 수전 KR10119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20A KR101195895B1 (ko) 2011-04-15 2011-04-15 벽면설치용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20A KR101195895B1 (ko) 2011-04-15 2011-04-15 벽면설치용 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88A true KR20120117388A (ko) 2012-10-24
KR101195895B1 KR101195895B1 (ko) 2012-10-30

Family

ID=4728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20A KR101195895B1 (ko) 2011-04-15 2011-04-15 벽면설치용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42B1 (ko) * 2017-11-21 2018-07-17 이덕규 수전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88Y1 (ko) 2019-02-21 2020-12-09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측면 레버형 수전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43A (ja) 2000-03-31 2001-10-10 Toto Ltd 棚付き水栓
JP2002115287A (ja) 2000-10-10 2002-04-19 Inax Corp 壁付混合水栓の施工構造
JP2005061530A (ja) 2003-08-12 2005-03-10 Kvk Corp 湯水混合水栓
JP4107308B2 (ja) 2005-04-28 2008-06-25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42B1 (ko) * 2017-11-21 2018-07-17 이덕규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895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4175B2 (en) Shower bar system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US11118331B2 (en) In-wall valve body for shower or bathtub
KR101090519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US10767351B2 (en) Plumbing fixtures
US20220186473A1 (en) Fluid distribution unit for sanitary changeover fittings
JP2010107024A (ja) 管接続具
KR20120095077A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140000140A (ko) 벽붙이 수전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KR200442311Y1 (ko)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KR20130125564A (ko) 수도꼭지
EP3390732A1 (en) Plumbing fixtures
JP7237599B2 (ja) 水栓の接続構造
KR100817878B1 (ko) 밸브기능을 갖는 엘보우
US10921832B2 (en) Hot water valve with integral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JP7457451B2 (ja) 管部材
KR101496284B1 (ko) 벽붙이 수전
JP4053816B2 (ja) 給水装置
KR200359678Y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냉,온수 겸용 수도꼭지
JP3174766B2 (ja) ガス栓一体型水栓
KR20210076578A (ko) 수전과 급수관 연결용 자유회전 구조를 갖춘 앵글밸브
JP2001182108A (ja) 水栓用配管の連結構造
KR200311723Y1 (ko) 호스 교체가 쉬운 수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