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17A -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17A
KR20120117217A KR1020110034835A KR20110034835A KR20120117217A KR 20120117217 A KR20120117217 A KR 20120117217A KR 1020110034835 A KR1020110034835 A KR 1020110034835A KR 20110034835 A KR20110034835 A KR 20110034835A KR 20120117217 A KR20120117217 A KR 2012011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tation
guide portion
dustpa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090B1 (ko
Inventor
심우석
Original Assignee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크린마스터(주) filed Critical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to KR102011003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0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연결구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손잡이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가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부를 가지는 쓰레받기 본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 후방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길이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에 상기 손잡이를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구를 포함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 본체는 상기 회전연결구를 회전가능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전방 측이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 양측에 상기 회전연결구가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회전가이드공을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 일측에 상기 회전연결구를 수직상태로 안착 고정하는 수직고정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연결홈에 회전가능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는 결합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홈의 하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회전가이드공에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걸림 캠을 가지는 회전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홈의 외주 면 상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수직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DUSTPAN HAVING FOLDABLE TYPE HANDLE}
본 발명은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연결구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손잡이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가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방이나 거실 등의 먼지를 빗자루로 쓸어서 담아 버리는 수단으로 여러 가지 형상으로 쓰레받기가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통상 빗자루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이 심어진 몸체로 이루어져 이러한 빗자루로 쓸어 모은 쓰레기를 쓰레받기를 이용하여 담아서 쓰레기통 등에 버리게 된다.
이때, 쓰레받기는 통상 빗자루를 이용하여 모으거나 방, 실내 등에 존재하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소정공간을 갖는 쓰레받기 본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쓰레받기 본체를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쓰레받기는 손잡이가 쓰레받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방이나 거실 등에 잔재하는 먼지를 쓸어모아 쓰레받기 본체에 담아서 쓰레기통에 버리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쓰레받기는 손잡이가 쓰레받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요구되어 방이나 실내의 벽, 모서리 등에 쓸어 모은 쓰레기를 쓰레받기 본체에 수용시키는 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잡이를 파지한 손이 벽, 모서리 등에 간섭되어 사용자의 손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빗자루에 의해 모여진 쓰레기 및 먼지 등을 사용자가 쓰레받기의 손잡이를 잡고 담는데, 이때 사용자가 몸을 구부려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됨과 함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연결구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손잡이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이나 실내의 벽, 모서리 등에 잔재하는 쓰레기를 담을 때에도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일이 없이 편리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사용가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청소 도중에 쓰레받기를 바닥에 거치시켜 놓거나 청소 후에 쓰레받기의 보관하는 등의 거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부를 가지는 쓰레받기 본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 후방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길이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에 상기 손잡이를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구를 포함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 본체는 상기 회전연결구를 회전가능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전방 측이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 양측에 상기 회전연결구가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회전가이드공을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 일측에 상기 회전연결구를 수직상태로 안착 고정하는 수직고정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연결홈에 회전가능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는 결합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홈의 하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회전가이드공에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걸림 캠을 가지는 회전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홈의 외주 면 상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수직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걸림돌기는 상기 걸림 캠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 캠과 대향되는 하측에 중앙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안내부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구가 상기 결합홈에 안내되어 상기 회전가이드공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공은 상기 결합홈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가 절첩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걸림 캠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전연결구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여 고정하는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걸림 캠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상기 걸림 캠을 포함하는 폭과 대응되어 확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안내부는 상기 회전걸림돌기가 상기 회전안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회전안내부의 일측 단은 상기 걸림 캠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어 상기 수직안내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부 일측 상단과 유연하게 라운드지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연결구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손잡이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이나 실내의 벽, 모서리 등에 잔재하는 쓰레기를 담을 때에도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일이 없이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둘째,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사용가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쓰레받기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 하부 양측에 걸림 캠 및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청소 도중에 쓰레받기를 바닥에 거치시켜 놓거나 청소 후에 쓰레받기의 보관하는 등의 거치 및 보관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손잡이가 직립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손잡이가 절첩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요부 결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a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회전가이드공과 회전걸림돌기의 세부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회전가이드공과 회전걸림돌기의 세부 결합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쓰레받기 본체에 과대 하중이 걸린 경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평으로 절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손잡이가 직립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손잡이가 절첩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의 요부 결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회전가이드공과 회전걸림돌기의 세부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회전가이드공과 회전걸림돌기의 세부 결합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쓰레받기 본체에 과대 하중이 걸린 경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서 손잡이가 수평으로 절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100)는 방, 실내 및 실외의 바닥에 산재하는 쓰레기를 빗자루 등으로 쓸어 담을 수 있는 수거부(110a)를 가지는 쓰레받기 본체(110),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 후방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길이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130) 및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홈(111)에 상기 손잡이(130)를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토록 연결하는 회전연결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30)는 몸을 구부리지 않고도 사용자가 쓰레기를 쓸어담을 수 있도록 일정길이 길게 연장형성되며, 상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30)는 상기 회전연결구(150)의 결합고정홈(151)에 하단이 결합고정되며, 상기 회전연결구(1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에 선택적으로 절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구(150)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홈(111)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연결홈(111)은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수거부(110a) 후단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는 상기 회전연결구(150)를 회전가능케 연결할 수 있도록 수거부(110a) 후방에 전방 측이 개방된 연결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11) 양측에는 상기 회전연결구(150)가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걸림 고정 가능하게 안내되는 회전가이드공(114)을 갖는 결합홈(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113)은 상기 연결홈(111)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측에 상기 회전연결구(150)를 수직상태로 안착 고정하는 수직고정홈(11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고정홈(119)은 상기 결합홈(113)의 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150)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연결홈(111)에 회전가능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손잡이(130)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는 결합고정홈(1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고정홈(151)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회전가이드공(114)에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걸림 캠(155)을 가지는 회전걸림돌기(15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걸림돌기(153)는 상기 걸림 캠(155)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 캠(155)과 대향되는 하측에 중앙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안내부(15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안내부(154)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구(150)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결합홈(113)에 안내되어 상기 회전가이드공(114)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연결구(150)는 상기 회전걸림돌기(153) 하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안내부(154)를 통하여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회전가이드공(114)에 회전 및 고정가능토록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결구(150)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결합되는 상기 회전가이드공(114)은 상기 결합홈(113)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회전안내부(114a) 및 수직안내부(1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부(114a)는 상기 걸림 캠(155)이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돌기(153)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부(114b)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회전안내부(114a)는 상기 회전연결구(150)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130)가 절첩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의 회전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안내부(114a)는 상기 걸림 캠(155)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을 포함하는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안내부(114a)는 타측으로부터 상단부에 이르기까지에 대하여서도 상기 수직안내부(114b) 폭보다 일정 폭만큼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안내부(114a)는 상기 걸림 캠(155)을 가지는 회전걸림돌기(153)의 회전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 부분이 상기 수직안내부(114b) 폭보다 일정 폭만큼 확장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일측에 이르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일측 및 타측 부분 보다 일정 폭 만큼 더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안내부(114a)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부분도 상기 수직안내부(114b)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확장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회전안내부(114a)의 일측 및 타측을 잇는 폭은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을 포함하는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4b는 회전안내부(114a, 114a')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b에서의 회전안내부(114a')는 수직안내부(114b')의 상부에 일측, 상측 및 타측이 고르게 확장되어 상기 수직안내부(114b')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안내부(114a')에서 회전걸림돌기(153)는 중심점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회전되고, 도 4a의 회전안내부(114a)에서도 회전걸림돌기(153)의 중심점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변경되면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상기 회전안내부(114a, 114a')에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걸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전안내부(114a, 1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114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직안내부(114b)는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상기 회전안내부(114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더욱이, 상술한 회전안내부(114a)의 일측 단은 상기 걸림 캠(155)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어 상기 수직안내부(114b)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부(114b)의 일측 상단과 유연하게 라운드지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안내부(114a)와 수직안내부(114b)가 연결되는 일측 연결부분이 유연하게 라운드지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이 회전하여 안내부(114a)와 수직안내부(114b)가 연결되는 지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이 걸림감이 있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연결구(150)에 결합고정된 손잡이(130)가 절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안내부(114a)와 수직안내부(114b)로 이루어진 회전가이드공(114)과 상기 걸림 캠(155)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돌기(153)의 회전에 의한 걸림 고정되는 상관관계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걸림 캠(155)을 제외한 폭(d1)은 상기 회전가이드공(114)의 수직안내부(114b)의 폭(d2)보다 일정크기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상기 걸림 캠(155)이 상측을 향한 채로 하향하여 상기 수직안내부(114b)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캠(155)을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153)의 폭은 도 4a의 "L"에 해당하는 폭에 대하여 일정크기 크거나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상기 걸림 캠(155)이 수평보다 일정각도 더 회전될 경우 상기 수직안내부(114b)와 상기 회전안내부(114a)가 유연하게 라운드져 연결되는 부분 또는 라운드져 연결되는 부분을 넘어서게 되는 수직안내부(114b) 상단에서 걸림감이 있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100)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회전연결구(150)가 직립되어 상기 회전연결구(150)에 하단이 연결된 손잡이(130)가 직립상태로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회전연결구(150)의 외주 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수직고정돌기(159)는 쓰레받기 본체(110)의 연결홈(111) 외주 면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113)의 상측 후방에 형성된 수직고정홈(119)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구(150)의 하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돌기(153)는 걸림 캠(155)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향하여 상기 결합홈(113)의 하단부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공(114)의 회전안내부(114a)로부터 수직안내부(114b)로 안내되면서 상기 수직안내부(114b)에 걸림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수거부(110a)에 수거되는 쓰레기의 양이 많아져 일정 하중을 넘어서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걸림돌기(153)가 상기 수직안내부(114b)로부터 이탈하여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향 이동되는 상기 회전걸림돌기(153)는 걸림 캠(155)이 상기 회전안내부(114a)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130)의 직립상태를 일측으로 소폭 회전된 상태에서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100)의 사용 후에 상기 손잡이(130)를 절첩 고정하는 상태는 상기 손잡이(130)를 쓰레받기 본체(110)의 수거부(110a) 측으로 당김으로써 절첩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130)를 쓰레받기 본체(110)의 수거부(110a) 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캠(155)이 상기 회전안내부(114a)의 상측으로부터 일측으로 확장형성된 부분에 가이드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걸림캠(155)은 상기 회전걸림돌기(153)이 수평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회전이 진행되면, 상기 걸림 캠(155)의 첨단부가 상기 회전안내부(114a)와 수직안내부(114b)가 유연하게 라운드져 연결되는 부분에 이르게 되어 상기 회전걸림돌기(153)가 걸림감 있게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130)를 상기 쓰레받기 본체(110)의 수거부(110a) 측으로 당겨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130)를 절첩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100)는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130)와 쓰레받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150) 하부 양측에 걸림 캠(155) 및 경사안내부(154)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153)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연결구(153)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손잡이(130)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이나 실내의 벽, 모서리 등에 잔재하는 쓰레기를 담을 때에도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일이 없이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또한,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130)와 쓰레받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150) 하부 양측에 걸림 캠(155) 및 경사안내부(154)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153)가 구비됨으로써 사용가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130)와 쓰레받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회전연결구(150) 하부 양측에 걸림 캠(155) 및 경사안내부(154)를 포함하는 회전걸림돌기(153)가 구비됨으로써 청소 도중에 쓰레받기를 바닥에 거치시켜 놓거나 청소 후에 쓰레받기의 보관하는 등의 거치 및 보관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110: 쓰레받기 본체
111: 연결홈 113: 결합홈
114: 회전가이드공 114a: 회전안내부
114b: 수직안내부 119: 수직고정홈
130: 손잡이 131: 그립부
150: 회전연결구 151: 결합고정홈
153: 회전걸림돌기 154: 경사안내부
155: 걸림 캠 159: 수직고정돌기

Claims (5)

  1.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부를 가지는 쓰레받기 본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 후방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길이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쓰레받기 본체에 상기 손잡이를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구를 포함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 본체는 상기 회전연결구를 회전가능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전방 측이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 양측에 상기 회전연결구가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회전가이드공을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 일측에 상기 회전연결구를 수직상태로 안착 고정하는 수직고정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는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연결홈에 회전가능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는 결합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홈의 하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회전가이드공에 선택적으로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안내되는 걸림 캠을 가지는 회전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홈의 외주 면 상부 양측에 상기 쓰레받기 본체의 수직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돌기는 상기 걸림 캠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 캠과 대향되는 하측에 중앙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안내부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구가 상기 결합홈에 안내되어 상기 회전가이드공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공은 상기 결합홈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가 절첩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걸림 캠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전연결구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여 고정하는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걸림 캠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상기 걸림 캠을 포함하는 폭과 대응되어 확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안내부는 상기 회전걸림돌기가 상기 회전안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걸림돌기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의 일측 단은 상기 걸림 캠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어 상기 수직안내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부 일측 상단과 유연하게 라운드지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1020110034835A 2011-04-14 2011-04-14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10122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35A KR101221090B1 (ko) 2011-04-14 2011-04-14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35A KR101221090B1 (ko) 2011-04-14 2011-04-14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17A true KR20120117217A (ko) 2012-10-24
KR101221090B1 KR101221090B1 (ko) 2013-02-05

Family

ID=4728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35A KR101221090B1 (ko) 2011-04-14 2011-04-14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53B1 (ko) 2020-08-10 2021-12-13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102528261B1 (ko) * 2021-12-27 2023-05-04 (주)큐어라이프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KR102423185B1 (ko) * 2021-12-27 2022-07-21 (주)큐어라이프 개량 힌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759U (ja) * 1992-12-24 1994-07-19 谷郷金属工業株式会社 塵取り
KR20040017108A (ko) * 2002-08-20 2004-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캡 틸팅 스테이장치
JP3143173U (ja) * 2008-04-30 2008-07-10 龍海森茂塑膠有限公司 ほうきと塵取りの組み合わせ構造
KR200453722Y1 (ko) * 2009-03-06 2011-05-23 강상규 쓰레받기를 갖춘 빗자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090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69686U (zh) 具有可折叠杆以提供存储构造的真空清洁装置
US5839158A (en) Sweeping brooms
CN108392135B (zh) 一种基于杆体挂靠式手持吸尘器的三合一吸尘器
KR101221090B1 (ko)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CN207804196U (zh) 一种高效滚筒拖把
TW200538079A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JP4325282B2 (ja) 電気掃除機
CN207640330U (zh) 一种智能扫地机器人
CN211796189U (zh) 一种地毯刷及吸尘器
KR200459818Y1 (ko) 바닥용 청소 도구
CN208892416U (zh) 一种手持式吸尘器
JP2014523308A (ja) 折畳み式清掃装置
CN205458437U (zh) 地刷和吸尘器
CN205306919U (zh) 一种多功能扫把
CN210961823U (zh) 一种便于收纳的簸箕和套扫工具
KR102338353B1 (ko)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200462866Y1 (ko) 밀어 담는 청소기
KR101387964B1 (ko)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KR200287028Y1 (ko)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CN210871331U (zh) 一种推拉式养猪房地面清洁装置
CN219089112U (zh) 布艺清洁机的手柄组件和布艺清洁机
MX2007003604A (es) Pala con mango abatible para recoger basura.
CN216535204U (zh) 一种可折叠垃圾铲
CN202751360U (zh) 多功能簸箕
JP4899940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