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261B1 -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 Google Patents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261B1
KR102528261B1 KR1020210188397A KR20210188397A KR102528261B1 KR 102528261 B1 KR102528261 B1 KR 102528261B1 KR 1020210188397 A KR1020210188397 A KR 1020210188397A KR 20210188397 A KR20210188397 A KR 20210188397A KR 102528261 B1 KR102528261 B1 KR 10252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ocking
garbage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두영
양혜정
Original Assignee
(주)큐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어라이프 filed Critical (주)큐어라이프
Priority to KR102021018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접철체가 힌지회전체 및 힌지지지체로 구비되고 이들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힌지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힌지회전됨이 가능함에 따라 쓰레받이와 덮개를 입식형손잡이측으로 접어주고 펼쳐줌이 용이하여 쓰레받이에 대한 보관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성은 물론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볼의 이동에 의해 록킹구가 좌우 양방향으로 시소운동되어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쓰레받이를 펼쳐 사용할 때 접어짐을 방지하고, 접어 보관할 때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탄성복귀체에 의해 힌지접철체가 힌지회전되어 접어진 후 빠르게 원래 위치로 펼쳐짐이 가능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Dustpan in which folding-jointed facilitates}
본 발명은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식형 손잡이측으로 쓰레받이가 접어지고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하여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은 물론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이는, 쓰레기를 모아 담기 위한 것으로, 대개 쓰레기가 담겨지는 쓰레기수납부와 쓰레기수납부의 상단에 연결된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쓰레기수납부와 손잡이가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 쓰레받이는,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입식으로 사용하는 쓰레받이의 경우 자루손잡이가 쓰레기수납부의 몸체로부터 상부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루어져 있다.
즉, 청소작업을 할 때, 사용자가 서서 수직된 자루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쓰레기수납부를 바닥에 놓은 후, 쓰레기를 받아내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손쉽게 쓰레기를 모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쓰레받이는 자루손잡이와 쓰레기수납부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이 있는 반면 보관할 때 쓰레기수납부의 면적만큼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세워 보관할 수 밖에 없는 입식 쓰레받이를 보관할 때 쓰레기수납부가 간섭받지 않을 만큼의 넓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보관이 불편하고 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쓰레받이는 많은 양의 쓰레기를 쓸어모으다 보면 좌우 및 후측의 측벽을 넘어 쓰레기가 이탈하게 되고,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이동할 때 쓰레기수납부에 담겨진 쓰레기가 쓰레기수납부로부터 이탈되어 다시 쓸어모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쓰레받이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2062723호인 박스형 쓰레받기 손잡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쓰레받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자루의 상부에 손잡이의 파지부가, 자루삽입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횡간의 양단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한 쌍의 연결부를 쓰레받기의 개구부 외측을 향해 형성하여 상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한 쌍의 연결부에 의해 개구부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쓰레기를 담아낼 때 쓰레받기를 수평상태로 바닥에 위치하고, 쓰레기를 담아내어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손잡이를 들어주면 수평상태로 놓인 쓰레받기가 세워지도록 하여 이동 중 담아진 쓰레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손잡이를 잡아 당겨 들어올려 주어야만 쓰레받기가 세워지면서 덮개가 닫아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비교적 완력이 적은 어린아이나 여성, 노인들의 경우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에서 손잡이를 들어올려주는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2193990호인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수거부를 갖는 본체의 후단에 상부까지 연장되어 폐쇄공간이 형성되게 상부면을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의 개구부 선단 중심부에는 자루가 고정된 회동편을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함과 함께 본체에는 회동편의 직경보다 작은 폭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탄성지지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회동편에는 자루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탄성지지편의 상면에 접속되는 한 쌍의 누름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쓰레받기 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본체에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에서 본체로부터 자루를 접은 다음 쓰레받기를 세워도 본체에 담겨진 폐쇄공간에 담겨진 쓰레기가 쏟 아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 및 생산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62723호(2019.12.3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93990호(2020.12.16. 등록)
본 발명은 쓰레기수납부와 덮개 및 손잡이로 이루어진 쓰레받이에 접철체를 구비하고 접철체에 의해 쓰레기수납부와 덮개 및 손잡이가 연결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과 조립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철체의 꺾임 동작에 의해 쓰레기수납부와 덮개가 손잡이측으로 접어져 보관성 향상 및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는, 쓰레기를 담아 수용하는 쓰레기받이와, 상기 쓰레기받이의 상부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입식형손잡이와, 상기 쓰레기받이와 연결되는 힌지회전체와 상기 덮개 및 입식형손잡이와 연결되는 힌지지지체로 구비되는 힌지접철체를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받이는, 상기 힌지회전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힌지수용부와, 상기 힌지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수용부에 수용된 힌지회전체와 볼트체결되는 볼트체결구와, 쓰레기를 받아 수용하는 쓰레기수용부와, 상기 쓰레기수용부의 일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쓰레기수용부에 받아진 쓰레기를 버릴 때 쓰레기받이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받아진 쓰레기가 모아지면서 버려지도록 하는 쓰레기이탈 방지벽이 구비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와 쓰레받이가 수직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입식형손잡이를 쓰레받이에 대해 뒤로 젖혀주면,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쓰레받이가 입식형손잡이에 대해 수평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덮개가 개방된 후, 상기 힌지접철체의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의 록킹에 의해 수평상으로 펼쳐진 쓰레받이가 고정되며, 상기 덮개가 개방된 쓰레받이가 수평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쓰레받이에 대해 뒤로 더 젖혀주면,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더 힌지회전되면서 힌지접철체의 록킹이 해제되어 개방된 덮개가 닫혀지면서, 수평상으로 펼쳐진 쓰레받이가 입식형손잡이에 대해 수직상태로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힌지지지체가 연결되는 가이드구멍과,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덮개가 쓰레기받이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덮개가 쓰레기받이 상부를 덮어주도록 덮개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에는, 상기 힌지지지체와 나선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접철체의 힌지회전체는, 상기 쓰레기받이와 연결되어 쓰레기받이의 힌지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볼트체결구와 볼트연결되는 볼트연결부가 하단에 구비된 쓰레기받이연결부와; 상기 쓰레기받이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측 중앙에 힌지축공이 구비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양단에 지지홈을 갖는 록킹구수용부와; 상기 록킹구수용부에 수용되되 상기 지지홈에 안착되는 록킹구축이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축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록킹구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접철체의 힌지지지체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힌지지지구와 제2힌지지지구로 구비되되, 상기 제1힌지지지구는, 상기 힌지회전체의 힌지부 일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의 일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회전지지공을 갖는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가이드구멍에 끼움 연결되는 제1후크와; 상기 제1힌지지지구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형손잡이의 나선결합홈부에 나선결합되는 제1반나선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홈으로 이루어진 록킹볼수용가이드와; 상기 록킹볼수용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록킹구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의 일측을 눌러주어 록킹구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회전체를 힌지지지체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구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들어올려진 록킹구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볼과; 상기 록킹볼에 의해 일측이 눌러지면서 록킹구의 타측이 들어올려졌을 때 들어올려진 록킹구의 타측이 걸어지는 걸림턱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지지구는, 상기 힌지회전체의 힌지부 타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의 타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회전지지공을 갖는 제2회전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지지구의 제1후크와 밀착되어 상기 덮개의 가이드구멍에 끼움 연결되는 제2후크와; 상기 제2힌지지지구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반나선부와 밀착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의 나선결합홈부에 나선결합되는 제2반나선부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회전체의 힌지축공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의 제1회전지지공 및 제2힌지지지구의 제2회전지지공을 연결하고, 상기 제1힌지지지구와 제2힌지지지구를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은 힌지접철체가 힌지회전체 및 힌지지지체로 구비되고 이들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힌지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힌지회전됨이 가능함에 따라 쓰레받이와 덮개를 입식형손잡이측으로 접어주고 펼쳐줌이 용이하여 쓰레받이에 대한 보관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성은 물론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볼의 이동에 의해 록킹구가 좌우 양방향으로 시소운동되어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쓰레받이를 펼쳐 사용할 때 접어짐을 방지하고, 접어 보관할 때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탄성복귀체에 의해 힌지접철체가 힌지회전되어 접어진 후 빠르게 원래 위치로 펼쳐짐이 가능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가 접어져 보관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요부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힌지접철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힌지접철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제1힌지회전구와 힌지회전체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제2힌지회전구와 힌지회전체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힌지접철체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힌지접철체가 접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의 힌지접철체가 더 접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아 수용하는 쓰레기받이(10)와 상기 쓰레기받이(10)의 상부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2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입식형손잡이(30)와 상기 쓰레기받이(10)와 연결되는 힌지회전체(110)와 상기 덮개(20) 및 입식형손잡이(30)와 연결되는 힌지지지체(120)로 구비되는 힌지접철체(100)를 포함하는 쓰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가 펼쳐지거나 접어짐이 가능하여 사용성과 보관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를 입식형손잡이(30)측으로 접어줌에 따라 보관할 때 공간을 크게 차지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할 때 쓰레기받이(10)에 담겨진 쓰레기가 흘러 빠져나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를 입식형손잡이(30)측으로 펼쳐줌에 따라 입식형손잡이(30)와 쓰레기받이(10)를 직각상태로 유지하여 쓰레기받이(10)를 바닥면에 수평상으로 위치할 수 있어 쓰레기를 담기에 용이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쓰레기받이(10)에는,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끼워져 수용되는 힌지수용부(11)와, 상기 힌지수용부(11)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수용부(11)에 수용된 힌지회전체(110)와 볼트체결되는 볼트체결구(12)와, 쓰레기를 받아 수용하는 쓰레기수용부(13)와, 상기 쓰레기수용부(13)의 일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쓰레기수용부(13)에 받아진 쓰레기를 버릴 때 쓰레기받이(10)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받아진 쓰레기가 모아지면서 버려지도록 하는 쓰레기이탈방지벽(14)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힌지지지체(120)가 연결되는 가이드구멍(2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덮어주도록 덮개힌지부(22)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식형손잡이(30)에는, 상기 힌지지지체(120)와 나선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조립 및 분리됨이 가능하며, 쉽고 간단한 조립에 의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지는 동작에 의해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주고, 일측이 눌러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쓰레기받이(10)를 입식형손잡이(30)측으로 접어 쓰레기를 담는 과정에서 접어진 쓰레기받이(10)가 펼쳐지면서 쓰레기가 제대로 담아지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눌러지면서 록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쓰레기받이(10)에 쓰레기를 다 담은 후 버리기 위해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쓰레기받이(10)를 입식형손잡이(30)측으로 세워줄 수 있어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 향상은 물론, 이동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에 의해 쓰레기받이(10)의 상부가 덮어짐에 따라 담아진 쓰레기가 쓰레기받이(10)로부터 벗어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힌지회전체(110)는, 상기 쓰레기받이(10)와 연결되어 쓰레기받이(10)의 힌지수용부(11)에 수용되고 상기 볼트체결구(12)와 볼트연결되는 볼트연결부(111)가 하단에 구비된 쓰레기받이연결부(112)와, 상기 쓰레기받이연결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측 중앙에 힌지축공(113)이 구비된 힌지부(114)와, 상기 힌지부(114)의 일면에 구비되고 양단에 지지홈(115)을 갖는 록킹구 수용부(116)와,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에 수용되되 상기 지지홈(115)에 안착되는 록킹구축(117)이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축(117)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록킹구(118)로 구비된다.
상기 록킹구(118)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수용부(116)의 내부에서 양측방향 즉,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시소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118)의 일측이 눌러질 때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118)의 타측이 눌러질 때 록킹구(118)의 일측이 들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록킹구(118)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록킹구축(117)이 상기 록킹구수용부(116) 양단에 각각 구비된 지지홈(115)에 끼워져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록킹구(118)가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옴에 따라 가능하다.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은, 본 발명인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회전됨에 따라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힌지지지체(120)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로 구비된다.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부(114) 일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일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회전지지공(121a)을 갖는 제1회전지지부(121)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워지는 제1후크(122)와,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형손잡이(30)의 나선결합홈부(31)에 나선결합되는 제1반나선부(123)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홈으로 이루어진 록킹볼수용가이드(124)와, 상기 록킹볼수용가이드(124)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주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볼(125)과, 상기 록킹볼(125)에 의해 일측이 눌러지면서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졌을 때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걸어지는 걸림턱(126)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타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회전지지공(127a)을 갖는 제2회전지지부(127)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127)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후크(122)와 밀착되고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워지는 제2후크(128)와,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반나선부(123)와 밀착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30)의 나선결합홈부(31)에 나선결합되는 제2반나선부(129)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지지체(120)의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는, 서로에 대해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부(121)가 힌지회전체(110)의 회전부(114)의 일면에 밀착되고 제2힌지지지구(120b)의 제2회전지지부(127)가 힌지회전체(110)의 회전부(114) 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에 의해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회전체(110)에 대해 힌지지지체(120)가 펼쳐졌을 때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로부터 벗어나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록킹볼(125)이 록킹구(118)를 벗어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밀어주면 힌지회전체(110)가 상기 힌지축공(113)을 축으로 힌지 회전되어 힌지지지체(120)측으로 접어지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부(121)가 회전되는 힌지회전체(110)의 반대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고, 제1회전지지부(12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일측 즉, 도면상 록킹구(118)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이 록킹볼(125)의 하중에 의해 눌러진다.
또한, 록킹볼(125)의 이동에 의해 록킹볼(125)의 하중이 전달됨에 따라 록킹구(118)의 일측이 눌러지면 록킹구(118)의 타측이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걸림턱(12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구(118)의 타측이 걸림턱(126)에 걸릴 때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 때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다.
또한,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눕혀질 때,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워진 제1힌지지지구(120a) 및 제2힌지지지구(120b)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을 상부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의 상부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를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덮개(20)를 개방하여 쓰레기받이(10)에 쓰레기를 담아내면 된다.
또한, 쓰레기받이(10)에 쓰레기를 다 담은 후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식형손잡이(10)에 대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주면 되는 것으로, 이 때 록킹구(118)에 의해 록킹된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의 록킹을 해제하여 접어진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주면 된다.
상기 록킹구(118)의 록킹을 해제하는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125)을 록킹구(118)의 타측 즉, 도면상 록킹구(118)의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우측을 내려주면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118)의 일측에 록킹볼(125)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타측 즉, 도면상 록킹구(118)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록킹볼(125)의 하중에 의해 상기 걸림턱(126)에 걸어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이동된 록킹볼(125)의 하중에 의해 눌러지면서 걸림턱(126)과의 걸림이 해제되는 바, 이 때 록킹구(118)의 타측과 걸림턱(126)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로부터 당겨 펼쳐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다.
이 때, 상기 록킹볼(125)이 수용되는 록킹볼수용가이드(12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록킹볼(125)이 록킹볼수용가이드(124)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록킹볼(125)의 하중에 의해 눌러지면서 걸림턱(126)과의 걸림이 해제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록킹이 해제되어 펼쳐짐에 따라, 입식형손잡이(10)에 대해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어 쓰레기받이(10)에 쓰레기를 담아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입식형손잡이(10)에 대해 쓰레기받이(10)를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받이(10)와 덮개(2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눕혀졌을 때 쓰레기받이(10)의 상부를 개방한 덮개(20)는,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펼쳐짐에 따라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워진 제1힌지지지구(120a) 및 제2힌지지지구(120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을 하부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의 상부에 덮어진다.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에는,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구비된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록킹구(118)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시소가이드면(119)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시소가이드면(119)이 록킹구(118)의 하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시소가이드면(119)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 중앙이 록킹구수용부(116)의 바닥면에 닿은 상태로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시소가이드면(119)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승강되면서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구(118)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됨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이동가이드면(119a)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가이드면(119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기 때문에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일측으로 이동할 때 록킹구(118)의 일측 끝단에 록킹볼(125)이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록킹구(118)의 일측으로 록킹볼(125)이 이동하여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줌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지지체(120)에는 일측은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지지체(120)와 연결되는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복귀체(150)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접어지면서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쓰레기받이(10)가 수평상을 펼쳐진 후, 다시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지면서 수평상의 쓰레기받이(1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직상으로 접어질 때,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서로에 대해 펼쳐지는 동작을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스프링 등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회전되어 접어졌을 때 탄성복귀체(150)가 압축되었다가,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압축된 탄성복귀체(15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펼쳐지는 힌지회전체(110)의 펼쳐짐 동작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록킹구(118)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된 록킹볼(125)이 빠르게 록킹구(118)의 일측방향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빠르게 펼쳐질 수 있어 록킹이 빠르게 해제됨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쓰레기받이 11 : 힌지수용부
12 : 볼트체결구 13 : 쓰레기수용부
14 : 쓰레기이탈방지벽 20 : 덮개
21 : 가이드구멍 22 : 덮개힌지부
30 : 입식형손잡이 31 : 나선결합홈부
100 : 힌지접철체
110 : 힌지회전체 111 : 볼트연결부
112 : 쓰레기받이연결부 113 : 힌지축공
114 : 힌지부 115 : 지지홈
116 : 록킹구수용부 117 : 록킹구축
118 : 록킹구 119 : 시소가이드면
119a : 이동가이드면
120 : 힌지지지체 120a : 제1힌지지지구
120b : 제2힌지지지구 121 : 제1회전지지부
121a : 제1회전지지공 122 : 제1후크
123 : 제1반나선부 124 : 록킹볼수용가이드
125 : 록킹볼 126 : 걸림턱
127 : 제2회전지지부 127a : 제2회전지지공
128 : 제2후크 129 : 제2반나선부
150 : 탄성복귀체 151 : 복귀체수용부
152 : 복귀체끼움홈 153 : 복귀체지지돌기
154 : 복귀체결림홈

Claims (5)

  1. 쓰레기를 담아 수용하는 쓰레기받이(10)와, 상기 쓰레기받이(10)의 상부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2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입식형손잡이(30)와, 상기 쓰레기받이(10)와 연결되는 힌지회전체(110)와 상기 덮개(20) 및 입식형손잡이(30)와 연결되는 힌지지지체(120)로 구비되는 힌지접철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받이(10)는,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끼워져 수용되는 힌지수용부(11)와, 상기 힌지수용부(11)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수용부(11)에 수용된 힌지회전체(110)와 볼트체결되는 볼트체결구(12)와, 쓰레기를 받아 수용하는 쓰레기수용부(13)와, 상기 쓰레기수용부(13)의 일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쓰레기수용부(13)에 받아진 쓰레기를 버릴 때 쓰레기받이(10)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받아진 쓰레기가 모아지면서 버려지도록 하는 쓰레기이탈방지벽(14)이 구비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30)와 쓰레받이(10)가 수직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입식형손잡이(30)를 쓰레받이(10)에 대해 뒤로 젖혀주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쓰레받이(1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평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덮개(20)가 개방된 후, 상기 힌지접철체(100)의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의 록킹에 의해 수평상으로 펼쳐진 쓰레받이(10)가 고정되며, 상기 덮개(20)가 개방된 쓰레받이(10)가 수평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20)를 쓰레받이(10)에 대해 뒤로 더 젖혀주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힌지회전되면서 힌지접철체(100)의 록킹이 해제되어 개방된 덮개(20)가 닫혀지면서, 수평상으로 펼쳐진 쓰레받이(10)가 입식형손잡이(30)에 대해 수직상태로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힌지지지체(120)가 연결되는 가이드구멍(21)과,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덮개(20)가 쓰레기받이(10) 상부를 덮어주도록 덮개힌지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30)에는, 상기 힌지지지체(120)와 나선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1)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접철체(100)의 힌지회전체(110)는,
    상기 쓰레기받이(10)와 연결되어 쓰레기받이(10)의 힌지수용부(11)에 수용되고 상기 볼트체결구(12)와 볼트연결되는 볼트연결부(111)가 하단에 구비된 쓰레기받이연결부(112)와; 상기 쓰레기받이연결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측 중앙에 힌지축공(113)이 구비된 힌지부(114)와; 상기 힌지부(114)의 일면에 구비되고 양단에 지지홈(115)을 갖는 록킹구수용부(116)와;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에 수용되되 상기 지지홈(115)에 안착되는 록킹구축(117)이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축(117)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록킹구(118)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접철체(100)의 힌지지지체(120)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로 구비되되,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부(114) 일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일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회전지지공(121a)을 갖는 제1회전지지부(121)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움 연결되는 제1후크(122)와;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형손잡이(30)의 나선결합홈부(31)에 나선결합되는 제1반나선부(123)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홈으로 이루어진 록킹볼수용가이드(124)와; 상기 록킹볼수용가이드(124)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주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볼(125)과; 상기 록킹볼(125)에 의해 일측이 눌러지면서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졌을때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걸어지는 걸림턱(126)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타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회전지지공(127a)을 갖는 제2회전지지부(127)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127)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후크(122)와 밀착되어 상기 덮개(20)의 가이드구멍(21)에 끼움 연결되는 제2후크(128)와;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반나선부(123)와 밀착되고 상기 입식형손잡이(30)의 나선결합홈부(31)에 나선결합되는 제2반나선부(129)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축공(113)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공(121a) 및 제2힌지지지구(120b)의 제2회전지지공(127a)을 연결하고,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를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에는,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구비된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록킹구(118)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시소가이드면(119)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118)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됨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이동가이드면(119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지지체(120)에는,
    일측은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지지체(120)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회전되어 접어졌을 때 압축되었다가,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펼쳐지는 힌지회전체(110)의 펼쳐짐 동작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KR1020210188397A 2021-12-27 2021-12-27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KR10252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97A KR102528261B1 (ko) 2021-12-27 2021-12-27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97A KR102528261B1 (ko) 2021-12-27 2021-12-27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261B1 true KR102528261B1 (ko) 2023-05-04

Family

ID=8637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97A KR102528261B1 (ko) 2021-12-27 2021-12-27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033A (ja) * 2010-04-15 2011-11-10 Hokuto Seigyo Kk 可動式汎用塵取り
KR101221090B1 (ko) * 2011-04-14 2013-02-05 삼정크린마스터(주)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101255988B1 (ko) * 2011-11-08 2013-04-19 신재율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KR20140035188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KR102062723B1 (ko) 2018-04-17 2020-01-07 플라텍 주식회사 박스형 쓰레받기 손잡이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033A (ja) * 2010-04-15 2011-11-10 Hokuto Seigyo Kk 可動式汎用塵取り
KR101221090B1 (ko) * 2011-04-14 2013-02-05 삼정크린마스터(주)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101255988B1 (ko) * 2011-11-08 2013-04-19 신재율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KR20140035188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KR102062723B1 (ko) 2018-04-17 2020-01-07 플라텍 주식회사 박스형 쓰레받기 손잡이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102193990B1 (ko) 2019-06-03 2020-12-22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143B1 (en) Disposable standing trash bag
US20190290956A1 (en) Treadmill folding device having locking func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418907B2 (en) Multi-shelf collapsible table
US5367737A (en) Locking hinged dust pan
JP5792345B2 (ja) 容器の内容物を圧縮するための蓋構造
CA2394252C (en) A lid for a refuse container
KR102528261B1 (ko) 접철이 용이한 쓰레받이
US6889604B2 (en) Lid for a refuse container
CN207919176U (zh) 立式晾衣架
KR20220018378A (ko)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US3562840A (en) Collapsible dust pan
CN208491063U (zh) 太阳伞锁紧装置
CN105078362B (zh) 扫地机器人及其尘盒组件
KR20140035188A (ko)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CN108175221A (zh) 一种可全折叠的结构
CN219166332U (zh) 一种可折叠收纳的可变式畚斗
CN207496751U (zh) 一种联动收合手推车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CN216221375U (zh) 一种便于收纳的地面垃圾收集装置
CN104302219B (zh) 具有可移除的灰尘容器的机器人真空吸尘器
KR20160018237A (ko) 종량봉투 압축 쓰레기통
CN215776029U (zh) 一种反向折叠伞
CN214138471U (zh) 多功能洗车台
CN210555066U (zh) 一种溜娃车
KR102358947B1 (ko) 접이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