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028Y1 -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028Y1
KR200287028Y1 KR2020020014519U KR20020014519U KR200287028Y1 KR 200287028 Y1 KR200287028 Y1 KR 200287028Y1 KR 2020020014519 U KR2020020014519 U KR 2020020014519U KR 20020014519 U KR20020014519 U KR 20020014519U KR 200287028 Y1 KR200287028 Y1 KR 20028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oom
dustpan
hand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규
Original Assignee
임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규 filed Critical 임병규
Priority to KR2020020014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02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12)이 심어진 몸체가 지지봉(13)에 의해 손잡이(11)와 연결되도록 한 빗자루(10)와;
몸체에는 쓰레기가 수납되도록 소정크기의 수거부(21)를 갖고, 측부로는 돌출되어 상부는 개방된 고정대(22) 양측부로 톱니모양의 제 1결속홈(23)이 형성된 본체부(20)와;
소정길이을 갖고 상기 빗자루(10)의 지지봉(13)이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납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저부는 절곡되어 한쌍의 지지편(32)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32)의 중심부로 톱니모양의 제 2결속홈(33)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소정크기의 연결돌기(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34) 상, 하부 소정위치로 끼움홈(35)이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본체부(20)의 제 1결속홈(23)과, 지지대(30)의 제 2결속홈(33)에 삽입고정되도록 톱니모양의 결속돌기(41,42)가 전,후 및 좌, 우로 형성된 연결부재(40)와;
지지대(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몸체 저부로는 연결돌기(34)가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홈(51)이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상기 끼움홈(35)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턱(52)이 구비된 손잡이부(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빗자루가 쓰레받기의 몸체 내부로 수납됨으로써, 상기 결합된 쓰레받기의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쓰레받기가 본체부 및 지지대와 손잡이부로 나누어져 각각 임의의 각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공간 및 사용자가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Cleaning Equipment Coupled A Broom with A Bustpan}
본 고안은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나 휴지조각등 바닥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를 쓸어모으는 빗자루와, 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는 수단인 쓰레받기가 상호 착탈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상기 쓰레받기의 상부와 하부가 임의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이나 거실등의 먼지를 쓸어서 담아 버리는 수단으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여러가지 형상으로 실용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일반적인 빗자루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이 심어진 몸체로 이루어지며, 쓰레받기는 일측부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내부에 쓰레기가 담겨질 수 있도록 소정공간을 갖는 받기부로 나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빗자루와 쓰레받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방이나 거실등에 잔재하는 먼지를 쓸어모아 담아서 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쓰레받기는 손잡이부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고 움직일 수 있는 소정공간이 필요하였다.
또, 빗자루에 의해 모여진 쓰레기 및 먼지등을 사용자가 쓰레받기의 손잡이를 잡고 담게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몸을 구부리게되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빗자루와 쓰레받기는 청소를 다 마친 후 또는 청소하지 않을때에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각각 보관해야 하였다.
따라서 사용중 빗자루와 쓰레받기 중 어느하나를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발생되었다.
또, 상기와 같이 빗자루 또는 쓰레받기를 분실하지 않기 위해 빗자루와 쓰레받기의 손잡이를 끈이나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하여 보관하기도 하는데 이경우 미관상 좋지 않고 풀었다가 묶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쓰레받기와 빗자루가 결합된 청소용구들이 여러가지 안출되고는 있으나, 그 구성이 조잡하고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무리하게 결합함에 따라 결합부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받기의 몸체 내부로 빗자루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쓰레받기가 받기부 및 지지대와 손잡이부등을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각각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빗자루와 쓰레받기의 보관시에 서로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연결부재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상부 손잡이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빗자루 20 - 본체부
21 - 수거부 22 - 고정대
23 - 제 1결속홈 30 - 지지대
31 - 수납부 32 - 지지편
33 - 제 2결속홈 34 - 연결돌기
35 - 끼움홈 40 - 연결부재
41 - 제 1결속돌기 42 - 제 2결속돌기
43 - 절개홈 50 - 손잡이부
51 - 연결홈 52 - 끼움턱
53 - 걸이홈 60 - 쓰레받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12)이 심어진 몸체가 지지봉(13)에 의해 손잡이(11)와 연결되도록 한 빗자루(10)와;
몸체에는 쓰레기가 수납되도록 소정크기의 수거부(21)를 갖고, 측부로는 돌출되어 상부는 개방된 고정대(22) 양측부로 톱니모양의 제 1결속홈(23)이 형성된 본체부(20)와;
소정길이을 갖고 상기 빗자루(10)의 지지봉(13)이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납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저부는 절곡되어 한쌍의 지지편(32)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32)의 중심부로 톱니모양의 제 2결속홈(33)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소정크기의 연결돌기(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34) 상, 하부 소정위치로 끼움홈(35)이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본체부(20)의 제 1결속홈(23)과, 지지대(30)의 제 2결속홈(33)에 삽입고정되도록 톱니모양의 결속돌기(41,42)가 전,후 및 좌, 우로 형성된 연결부재(40)와;
지지대(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몸체 저부로는 연결돌기(34)가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홈(51)이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상기 끼움홈(35)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턱(52)이 구비된 손잡이부(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가 결합되어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지지대와 본체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의 상부 손잡이부의 작동상태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쓰레받기(60)는 본체부(20)와, 지지대(30) 및 손잡이부(50)로 구성된다.
또, 빗자루(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상측부에 형성되며,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12)이 심어진 몸체가 지지봉(13)에 의해 손잡이(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빗자루(10)의 손잡이(11) 상부로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벽면의 돌출부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쓰레받기(60)의 본체부(20)는 쓰레기가 수납되도록 소정공간을 갖는 수거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돌출되어 상부는 개방된 고정대(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대(22)의 양측으로는 톱니모양의 제 1결속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결속홈(23)으로 연결부재(40)의 제 1결속돌기(41)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30)는 몸체 내부로 수납부(31)가 폐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저부는 절곡되어 한쌍의 지지편(32)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편(32)의 중심부로는 톱니모양의 제 2결속홈(33)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재(40)의 제 1결속돌기(41)가 끼워지도록 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20)와 지지대(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제 1결속돌기(41)와 제2결속돌기(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결속돌기(41)는 본체부(20)의 제 1결속홈(23)에 축지되며, 제 2결속돌기(42)는 지지대(30)의 지지편(32)에 형성된 제 2결속홈(33)에 축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의 고정대(22)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부재(40)에 의해 결합된 지지대(30)는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록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의 결속돌기(41,42)내부는 통공처리하고, 일정부분마다 절개홈(43)을 형성시켜, 본체부(20)와 지지대(30)의 회동시 결속돌기(41,42)가 내측으로 약간 휘어지게되므로써, 본체부(20)와 지지대(30)의 회동이 원할히 될 수 있게된다.
따라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아동일 경우에도 쉽게 쓰레받기(60)를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켜 사용 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지지대(30)의 상부로는 소정크기의 연결돌기(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34) 상, 하부의 소정위치로 끼움홈(3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의 상부로는 손잡이부(50)가 위치되며, 지지대(30)의 측부에 형성된 연결돌기(34)와 대응되는 연결홈(51)이 손잡이부(50)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돌기(34)는 손잡이부(50)의 저부에 형성된 연결홈(51)과 끼워져 지지대(30)와 손잡이부(50)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50)는 몸체 저부로 양측부가 소정길이로 절개되어 절개면이 상기 지지대(30)의 끼움홈(35)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턱(52)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 상기 손잡이부(50)의 중심으로는 장공의 걸이홈(53)이 형성되어 있어 벽면에 부착 및 설치된 걸이구에 끼워져 있게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30)와 결합된 손잡이부(50)는 지지대(30)내측의 수납부(31)으로 빗자루(10)가 끼워져 고정될 때, 상부로 회전시켜 외부에서 빗자루(10)가 보이지 않도록 하며, 빗자루(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빗자루(10)을 꺼내 사용하게 될때에는 손잡이부(50)를 연결돌기(34)를 중심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부(50)의 저부에 형성된 끼움턱(52)이 지지대(30)의 끼움홈(35)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빗자루(10)와 쓰레받기(6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로 상기 손잡이부(50)에 형성된 걸이홈(53)을 이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빗자루(10)와 쓰레받기(60)가 결합되어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빗자루가 쓰레받기의 몸체 내부로 수납됨으로써, 상기 결합된 쓰레받기의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쓰레받기가 본체부 및 지지대와 손잡이부로 나누어져 각각 임의의 각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공간 및 사용자가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다수개의 솔(12)이 심어진 몸체가 지지봉(13)에 의해 손잡이(11)와 연결되도록 한 빗자루(10)와;
    몸체에는 쓰레기가 수납되도록 소정크기의 수거부(21)를 갖고, 측부로는 돌출되어 상부는 개방된 고정대(22) 양측부로 톱니모양의 제 1결속홈(23)이 형성된 본체부(20)와;
    소정길이을 갖고 상기 빗자루(10)의 지지봉(13)이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납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저부는 절곡되어 한쌍의 지지편(32)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32)의 중심부로 톱니모양의 제 2결속홈(33)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소정크기의 연결돌기(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34) 상, 하부 소정위치로 끼움홈(35)이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본체부(20)의 제 1결속홈(23)과, 지지대(30)의 제 2결속홈(33)에 삽입고정되도록 톱니모양의 결속돌기(41,42)가 전,후 및 좌, 우로 형성된 연결부재(40)와;
    지지대(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몸체 저부로는 연결돌기(34)가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홈(51)이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상기 끼움홈(35)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턱(52)이 구비된 손잡이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내부를 통공처리하고, 일정부분마다 절개홈(43)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KR2020020014519U 2002-05-13 2002-05-13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KR20028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19U KR200287028Y1 (ko) 2002-05-13 2002-05-13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19U KR200287028Y1 (ko) 2002-05-13 2002-05-13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028Y1 true KR200287028Y1 (ko) 2002-08-29

Family

ID=7307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519U KR200287028Y1 (ko) 2002-05-13 2002-05-13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0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50B1 (ko) 2010-11-22 2012-11-09 김동완 빗자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50B1 (ko) 2010-11-22 2012-11-09 김동완 빗자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9962B2 (en) Sweeping brooms
US7640617B2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a pivot joint
US6902060B2 (en) Broom and dustpan kit
US20050071943A1 (en) Dustpan having device for removing dust
JP2005514977A (ja) 固定ハンドルおよび関連ほうきを備えたちり取り
TW200538079A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EP1234537A3 (en) A mop wringer in combination with a mophead
US5799360A (en) Combined broom and dustpan
US20060070197A1 (en) Hand held cleaning utensil
US5412835A (en) Locking hinged dust pan
KR200287028Y1 (ko)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KR101221090B1 (ko)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200455515Y1 (ko)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KR102338353B1 (ko)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200261910Y1 (ko)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된 청소용구
JP2022123768A (ja) ちり取り
KR200365696Y1 (ko) 일체형 청소도구
JP7405323B2 (ja) ちりとり
CN211212984U (zh) 一种多功能拖把
KR102457779B1 (ko)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MX2007003604A (es) Pala con mango abatible para recoger basura.
KR102028350B1 (ko) 쓰레받기
KR200357760Y1 (ko)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된 청소용구
KR200279338Y1 (ko) 청소도구 일체형 쓰레기통
JP2020195761A (ja) 柄折りたたみ式のちり取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