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550B1 - 빗자루 - Google Patents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550B1
KR101197550B1 KR1020100116242A KR20100116242A KR101197550B1 KR 101197550 B1 KR101197550 B1 KR 101197550B1 KR 1020100116242 A KR1020100116242 A KR 1020100116242A KR 20100116242 A KR20100116242 A KR 20100116242A KR 101197550 B1 KR101197550 B1 KR 10119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room
cleaned
comb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877A (ko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김동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완 filed Critical 김동완
Priority to KR102010011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5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빗자루는 피청소물을 이동시키는 빗살부, 일단에 상기 빗살부가 결합되고, 파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자루 및 상기 자루의 타단에 마련되고,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물을 퍼낼 수 있는 삽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빗자루{A BROOMSTICK}
본 발명은 빗자루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삽날부가 마련되는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자루는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 내는 기구로서, 그 쓰임에 따라 마당비, 방비 따위가 있는데, 상기 빗자루는 짚?띠?싸리와 짐승의 털 등으로 이루어진 빗살을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의 단부에 묶음으로써 제작된다. 따라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자루를 파지하고 상기 빗살을 피청소면에 접촉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빗자루가 피청소면의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내는 작동 과정은 첫째로 상기 빗살이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나 쓰레기를 긁어내어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두 번째로 피청소면에서 분리된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빗살 사이의 공간에 가두어 이동시키거나, 상기 빗살면을 이용하여 먼지나 쓰레기를 몰아감으로써,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나 쓰레기를 원하는 장소, 예를 들어 쓰레받기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빗자루는 한 곳으로 이동된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나 쓰레기를 쓰레기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를 받아주는 별도의 쓰레받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쓰레받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한 곳으로 모아진 먼지나 쓰레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이를 여러번에 나누어 쓰레받기에 담아야 함으로써 청소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자루의 일단부에 삽날부를 마련함으로써 청소의 효율성이 향상된 빗자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자루는, 피청소물을 이동시키는 빗살부; 일단에 상기 빗살부가 결합되고, 파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자루; 및 상기 자루의 타단에 마련되고,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물을 퍼낼 수 있는 삽날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빗자루의 일단부에 피청소면에 모여진 피청소물을 퍼 담을 수 있는 삽날부가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쓰레받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피청소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삽날부는 상기 빗자루의 일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므로 피청소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손쉽게 퍼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자루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의 삽날부가 자루에 착탈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자루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빗자루의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빗자루는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나 쓰레기, 즉 피청소물을 이동시키는 빗살부(100),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200) 및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물을 퍼낼 수 있는 삽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빗살부(100)는 짚?띠?싸리와 짐승의 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루(200)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빗살부(100)는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피청소물을 긁어내어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피청소면에서 분리된 피청소물을 상기 빗살부(100) 사이의 공간에 가두어 이동시키거나, 상기 빗살부(100)의 일면을 이용하여 몰아감으로써,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을 원하는 장소, 예를 들어 쓰레받기로 이동시시킨다.
상기 자루(200)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사용자는 상기 자루(200)의 외주면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빗자루를 이동시킨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자루(200)는 그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자루(200)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삽날부(300)는 상기 자루(200)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한 곳으로 모아진 피청소물을 퍼 담을 수 있도록 대략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삽날부(300)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삽날부(300)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인 빗자루의 일단부에 피청소면에 모여진 피청소물을 퍼 담을 수 있는 삽날부(300)가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쓰레받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피청소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삽날부(300)는 상기 빗자루의 일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므로 피청소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손쉽게 퍼 담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빗살부(100)와 상기 자루(200) 사이에는 빗살 고정부(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빗살 고정부(400)는 상기 빗살부(100)의 일단을 상기 자루(200)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날부(300)는 상기 자루(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날부(300) 하측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삽날부(300)의 하측에 상기 자루(2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200)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홈(310)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21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자루(200)에 상기 삽날부(300)가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의 삽날부(300)가 자루(200)에 착탈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삽날부(300)가 상기 자루(200)에 착탈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날부(30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200)의 타단에 마련되는 고정 돌기(210)는 상기 고정 홈(3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삽날부(300)는 상기 자루(200)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인 빗자루를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삽날부(300)를 상기 자루(2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고정 돌기(21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삽날부(300)를 상기 자루(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 돌기(2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고정 돌기(210)는 상기 자루(200)에 형성된 수용홈(212)으로 인입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삽날부(300)를 상기 자루(200)로부터 빼내어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212)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14)가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고정 돌기(21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212)에 인입된 상기 고정 돌기(210)는 상기 탄성 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루(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삽날부(300)를 다시 상기 자루(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빗살부 200: 자루
300: 삽날부 400: 빗살 고정부

Claims (5)

  1. 피청소물을 이동시키는 빗살부;
    일단에 상기 빗살부가 결합되고, 파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자루; 및
    상기 자루의 타단에 마련되고,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청소물을 퍼낼 수 있는 삽날부; 를 포함하는 빗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빗살부와 상기 자루 사이에 마련되는 빗살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빗자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부는 상기 자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부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내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KR1020100116242A 2010-11-22 2010-11-22 빗자루 KR10119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42A KR101197550B1 (ko) 2010-11-22 2010-11-22 빗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42A KR101197550B1 (ko) 2010-11-22 2010-11-22 빗자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77A KR20120054877A (ko) 2012-05-31
KR101197550B1 true KR101197550B1 (ko) 2012-11-09

Family

ID=4627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242A KR101197550B1 (ko) 2010-11-22 2010-11-22 빗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5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829A (en) 1995-06-12 1998-03-17 Bellichak; Deval Combined shovel and broom
KR200287028Y1 (ko) 2002-05-13 2002-08-29 임병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829A (en) 1995-06-12 1998-03-17 Bellichak; Deval Combined shovel and broom
KR200287028Y1 (ko) 2002-05-13 2002-08-29 임병규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되는 청소용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617158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77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097B2 (ja) 布地手入れ用具
JP3193572U (ja) 塵取り具
KR101197550B1 (ko) 빗자루
KR101085787B1 (ko) 다기능 쓰레받기
KR101818533B1 (ko) 쓰레받기
CN216652219U (zh) 簸箕及清扫组件
KR101382640B1 (ko) 스크레퍼가 일체로 형성된 쓰레받기
KR20180001802U (ko) 머리카락 거르개와 작은 솔이 부착된 쓰레받기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KR101035060B1 (ko) 빗자루
KR20100004401U (ko)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
KR200352762Y1 (ko) 쓰레받기의 구조
KR101242202B1 (ko) 쓰레받기
JP3190357U (ja) 落ち葉清掃具
JP4341038B2 (ja) 容器つきペットブラシ。
KR20100001216U (ko) 쓰레받기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CN217262298U (zh) 一种垃圾桶
JP6837169B1 (ja) ブラシクリーナー
KR20120079517A (ko) 탈, 부착할 수 있는 빗자루 먼지 청소 장치
KR101245387B1 (ko) 빗자루보조손잡이
CA2379736C (en)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 brush portion
CN202068882U (zh) 一种鱼鳞清除器
CN201977722U (zh) 便捷清洁用具
KR20110004964U (ko) 한 손 청소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