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980B1 - 조립식 빗자루 - Google Patents

조립식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80B1
KR101608980B1 KR1020140138496A KR20140138496A KR101608980B1 KR 101608980 B1 KR101608980 B1 KR 101608980B1 KR 1020140138496 A KR1020140138496 A KR 1020140138496A KR 20140138496 A KR20140138496 A KR 20140138496A KR 101608980 B1 KR101608980 B1 KR 10160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comb
bag
suppor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808A (ko
Inventor
임홍길
Original Assignee
임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길 filed Critical 임홍길
Priority to KR102014013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살과 자루를 서로 연결조립하되 합성수지재의 빗살을 일정한 범위로 확산시키도록 지지하여 바닥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쓸어낼 수 있음은 물론 자루로부터 빗살을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함을 제공하도록,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빗자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빗자루 {Assembly Cleaning Broom}
본 발명은 조립식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살과 자루를 서로 연결조립하되 합성수지재의 빗살을 일정한 범위로 확산시키도록 지지하여 바닥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쓸어낼 수 있음은 물론 자루로부터 빗살을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옥내는 물론 마당이나 도로, 골목길 등과 같은 옥외에서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쓸어내는데 쓰이는 도구로서, 해당 장소 및 용도별로 구분하여 사용될 수 있게 다양한 형태의 빗자루를 비치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빗자루는 막대형태의 긴 나무로 이루어져 사람이 손으로 파지한 채 빗질을 할 수 있는 구조의 자루와 함께 자루의 하단에 고정되되 빗살이 달린 몸체로 구분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빗자루를 사용하여 빗질을 하는 경우 빗살이 바닥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이물질을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바닥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빗살 사이사이의 공간에 가둬 이동시키거나 빗살들의 빗살면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몰아감에 따라 이물질을 쓸어내도록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대비나 싸리비 등과 같은 옥외용 빗자루는 대나무 가지 또는 싸리나무 가지 등이 바닥면과의 마찰로 쉽게 훼손되거나 가지가 이탈되면서 빗자루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사용 자체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빗살로서 나무의 가지들을 대체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빗살을 자루에 연결하므로 빗살자체에 소정의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된 빗자루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들이 모두 동일한 길이를 이루기 때문에 바닥의 이물질과 맞닿는 부분의 표면적이 좁아 빗질에 가해지는 힘에 비해 이물질을 긁어내는 힘이 약하며,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인 빗질을 요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청소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78668호(2005.03.04.)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 개의 빗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빗살들은 전체적으로 일정 직경의 원주 상에 놓여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빗살들의 끝단은 동일한 수직면 상에 놓여지지 않도록 결합되는 빗살묶음부와, 상기 빗살묶음부의 일단을 고정시켜 상기 빗살들의 집합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집체부 및 상기 집체부와 연결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이물질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긁어낼 수 있는 빗자루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빗자루의 경우에는 빗살몸체(빗살묶음부)와 자루(손잡이부)가 상호 일체로 고정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잦은 빗질로 인해 빗살부분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훼손되지만 빗살몸체만을 교체할 수 없어 빗자루 자체를 새로 구입함에 따른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빗자루는 자루 상에 빗살이 길게 연장하여 단순히 연결결합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빗살을 잡아줄 수 있는 별도의 지지체가 부재하여 빗질로 인한 힘 전달이 미약하고, 빗살이 퍼져 확산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공보 제2787호(1991.05.02.)에는 상부에 캡가 결합되어지고 상하 분포망 등이 구비된 빗살 몸체와 자루와의 관련 구성으로 된 것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상 보강날개를 외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지지파이프로 된 빗살안내보강부와, 이 빗살 안내보강부의 하측에는 이의 하측이 이루는 평면상에 일측으로 돌설되어지고 그 중앙에 상향융기면 및 빗살안내홈을 가진 빗살분산날개부가 일체로 연설되어진 빗몸유니트와, 이 빗몸유니트 측의 보강날개에 구비시킨 끼움고정홈과 빗살안내보강부, 빗살분산날개부의 저변에 구비시킨 끼움턱과 형합되는 복수의 결합날개를 가진 보조 분산구가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빗살의 쏠리는 힘을 좋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빗자루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2787호의 경우에는 빗살안내홈이 단순히 수직으로 관통된 상태로 빗살을 지지하기 때문에 빗살을 확산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빗살의 확산영역이 협소하고, 빗살의 끝 부분이 대부분 수직방향으로 접하여 빗질에 따라 이물질이 쓸리는 청소효율이 낮음은 물론 바닥에 접하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작업자가 빗자루를 기울인 상태로 작업해야만 하여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8668호 (실용신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0-1991-00027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루로부터 빗살이 일방(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지지하여 일괄적인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빗살을 정형화하므로 바닥면과 맞닿는 빗살의 표면적과 빗살의 확산영역을 넓히고, 빗질이 보다 간편함은 물론 원활한 빗질작업을 도모하여 청소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빗살과 자루를 원터치 구조로 상호 연결결속시키는 수단을 구성하여 서로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빗살만을 자유롭게 교체적용할 수 있는 조립식 빗자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립식 빗자루는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루 상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단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커버 상에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커버에는 상기 수용공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빗살확산부의 지지목부 상단을 지지하되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단이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턱을 형성한다.
상기 빗살확산부에는 상기 지지목부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자루에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복수 개의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지지목부의 내주연 상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루의 외주연 상의 사방에서 면 접촉하여 압착고정하는 압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돌기는 상단에서부터 하향할수록 내측으로 점점 돌출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면에 상기 지지목부를 구비하되 상기 빗살을 상기 지지목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수직연장선상으로 연장토록 지지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빗살을 전방을 향해 확산가능토록 지지하는 제2지지판으로 구성한다.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기 제1지지판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진 상기 제2지지판과의 경사각이 40~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산공에는 한쪽에 상기 빗살을 지지토록 경사형성되는 경사지지면과, 상기 경사지지면의 반대편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각도를 설정토록 지지하는 확산지지면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확산지지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20~35°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확산지지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15~40°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기 확산공에서 상기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확산지지판의 영역별로 각각 다른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확산공에서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지지목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구성하여 상기 빗살이 바깥쪽을 향해 확산된 빗살확산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확산공에서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지지목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커지게 구성하여 상기 빗살이 안쪽으로 모이는 빗살집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에 의하면 빗살을 한쪽 경사방향으로 기울여 확산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빗살의 형상을 계속해서 유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빗질작업시 바닥과 맞닿는 빗살의 표면적 및 빗살의 확산영역이 넓어 작업자의 빗질에 따른 청소가 매우 편리하며, 청소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청소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는 빗살과 자루를 서로 간단하게 연결하여 결속고정하도록 구성하므로, 상호 분리 및 조립 작업이 자유로워 보관이 용이하고 빗살만을 교체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는 자루의 사방에서 면 접촉하여 압착고정하되 하향할수록 내측으로 점점 돌출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테이퍼형상의 압착돌기를 구성하므로, 자루의 고정 결속력을 높여 빗질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하고 작업자의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작업이 보다 편리하며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는 빗살을 수용지지하는 경사지지면과 함께 빗살의 확산각도를 설정하는 확산지지면을 구성하므로, 빗살을 일정한 경사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빗살을 일괄적인 각도로 확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커버와 결속수단과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지지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지지판의 다른 실시예 중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지지판의 다른 실시예 중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빗자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10)와, 연결커버(20)와, 빗살(30)과, 지지목부(41) 및 확산지지판(45)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루(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으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막대형태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연결커버(20)를 비롯한 상기 빗살(30) 및 빗살확산부(40)의 구성이 연결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자루(10)로 사용가능한 재질로는 목재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되 강성이 보다 우수한 목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커버(20)는 상기 자루(1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게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21)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수용공(21)은 상하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수용공(21)의 상부는 상기 자루(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고, 상기 수용공(21)의 하부는 상부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상기 빗살확산부(40)와 상기 빗살(3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커버(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루(10)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상기 자루(1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커버(20) 상에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15)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커버(20)에는 상기 수용공(21)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수단(15)이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턱(25)을 구비한다.
상기 결속수단(15)은 상기 자루(10) 상에 나사나 피스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단(16)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자루(10) 상에 구비된 상기 결속수단(15)에서 상기 결속단(16)이 상기 연결커버(20) 상에 형성된 지지턱(25)에 체결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속단은 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삼각형 단면의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커버에 수용 및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턱(25)은 상기 결속수단(15)의 결속단(16)이 체결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빗살확산부(40)의 지지목부(41) 상단을 접촉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빗살(30)은 상기 자루(10)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20)로부터 하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향연장하여 바닥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빗살(3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커버(20)의 수용공(21)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된다. 즉 상기 빗살(30)은 상기 연결커버(20)의 수용공(21)에서 동띠를 사용하여 묶음처리되되 상기 빗살확산부(40)의 지지목부(41) 외주연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빗살(30)은 영역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빗살(30)은 한쪽에 가장 짧은 길이의 빗살(30)을 갖는 영역을 이루고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점 길이가 길어지는 빗살(30)을 갖는 영역을 이루어 상기 빗살(30)의 하단부가 한쪽으로 경사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빗살확산부(40)는 상기 자루(10)와 상기 빗살(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자루(10)와 빗살(30)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빗살(30)을 지지하여 확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빗살확산부(4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루(10)의 한쪽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목부(41)와, 상기 빗살(30)을 확산지지하는 확산지지판(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목부(41)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커버(20)의 수용공(21)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여 상기 지지턱(25)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목부(41)는 상기 연결커버(20)의 수용공(21)에 끼움 결합하되 상기 지지목부(41)의 외주연 상에 접하는 상기 빗살(30)과 함께 상기 연결커버(20)의 수용공(21)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상기 연결커버(20)와 상기 빗살(30) 및 상기 빗살확산부(40)가 상호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목부(41)에는 복수 개의 상기 빗살(30)이 외주연 상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목부(41)에 상기 빗살(30)들이 하나로 묶음처리될 수 있게 접촉지지한다.
상기 지지목부(41)의 내측에는 상기 자루(10)의 한쪽 끝단이 수용되어 결속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빗살확산부(40)에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목부(41) 내에 끼워지는 상기 자루(10)를 압착고정하는 요철부(44) 및 압착돌기(43)를 구비한다.
상기 요철부(44)는 상기 자루(10)에 접하여 압착고정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목부(41)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요철부(44)는 상기 지지목부(4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도 5에는 3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요철부(44)를 구성하게 되면, 지지목부(41)에 결합하는 자루(10)에 대해 접촉마찰력을 높여 자루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자루(!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돌기(43)는 상기 요철부(44)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목부(41)의 내주연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면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압착돌기(43)는 상기 지지목부(41)의 내주연 상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자루(10)의 외주연 상에 압착고정할 수 있게 면 접촉한다.
상기 압착돌기(43)는 상기 자루(10)의 외주연 상에 사방에서 면 접촉하여 상기 자루(10)가 상기 지지목부(41) 상에 압착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압착돌기(43)는 상단에서부터 하향할수록 내측으로 점점 돌출형성되게 완만하게 경사진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확산부(40)의 지지목부(41)를 향해 수용되되 상기 지지목부(41)를 향해 상기 자루(10)가 계속해서 삽입될수록 상기 자루(10)를 향해 상기 압착돌기(43)가 점점 압착되면서 강력한 고정력을 생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자루(10)의 사방에서 면 접촉하여 압착고정하되 하향할수록 내측으로 점점 돌출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테이퍼형상의 압착돌기(43)를 구성하게 되면, 자루(10)의 고정 결속력을 높여 빗질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하고 작업자의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작업이 보다 편리하며 청소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산지지판(45)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목부(41)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목부(41) 상에 일체로 묶음처리되는 상기 빗살(30)을 확산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면에 상기 지지목부(41)를 구비하되 상기 빗살(30)을 상기 지지목부(4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수직연장선상으로 연장토록 지지하는 제1지지판(45a)과, 상기 빗살(30)을 전방을 향해 확산가능토록 지지하는 제2지지판(45b)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지지판(45b)은 상기 제1지지판(45a)의 일단에 전방으로 완만하게 하향경사진 구조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제1지지판(45a)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진 상기 제2지지판(45b)과의 경사각(α)이 40~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산지지판(45)에는 상기 빗살(30)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30)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47)을 구비한다.
상기 확산공(47)은 상기 확산지지판(45) 상에 상하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되 하나의 확산공(47)에 다수 개(예를 들면 4~10개)의 빗살(30)을 수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확산공(47)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두 개의 지지면인 경사지지면(47a)과 확산지지면(47b)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지지면(47a)은 상기 확산공(47) 내에 유입된 상기 빗살(30)을 지지토록 상기 확산공(47)의 한쪽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지지면(47a)의 경사각도(β1)는 상기 확산지지판(45)의 상면을 기준으로 20~35°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확산지지면(47b)은 상기 경사지지면(47a)의 반대편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살(30)의 확산각도를 설정토록 지지한다. 상기 확산지지면(47b)의 경사각도(β2)는 상기 확산지지판(45)의 상면을 기준으로 15~40°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빗살(30)을 수용지지하는 경사지지면(47a)과 함께 빗살(30)의 확산각도를 설정하는 확산지지면(47b)을 구성하게 되면, 빗살(30)을 일정한 경사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빗살(30)을 일괄적인 각도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확산공(47)에서 상기 확산지지면(47b)의 경사각도(β2)가 상기 확산지지판(45)의 영역별로 각각 다른 경사각도(β2)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확산지지판(45)을 3개의 영역으로 나눠 형성하되 해당 영역별로 상기 확산공(47)의 확산지지면(47b)에 대한 경사각도(β2)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확산지지판(45)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빗살(30)의 형태를 지지하되 상기 빗살(30)이 바깥쪽을 향해 확산된 형태를 갖는 빗살확산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빗살확산형의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확산공(47)에서 확산지지면(47b)의 경사각도(β2)가 상기 지지목부(41)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작은 경사각도(β2)의 확산지지면(47b)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확산공(47)의 확산지지면(47b)에 대한 경사각도(β2)별로 구분하여 나눠지되 상기 지지목부(41)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상기 확산공(47)의 확산지지면(47b)에 대한 경사각도(β2)가 상기 확산지지판(45)의 상면을 기준으로 작은 경사각도를 이루므로 상기 빗살(30)이 접하게 되는 상기 확산공(47) 상의 경사진 확산지지면(47b)의 경사도가 작아져 상기 빗살(30)이 점점 확산된 구조를 이루는 빗살확산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빗살확산형의 확산지지판(45)으로 구성하게 되면, 빗살(30)이 보다 확산된 구조를 이루어 빗살(30)의 확산영역을 확장시킴으로 한 번의 빗질에 보다 많은 양의 이물질을 쓸어낼 수 있어 광범위한 크기의 청소영역을 신속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확산지지판(45)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빗살(30)의 형태를 지지하되 상기 빗살(30)이 안쪽으로 모이는 형태를 갖는 빗살집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빗살집합형의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확산공(47)에서 확산지지면(47b)의 경사각도(β2)가 상기 지지목부(41)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경사각도(β2)의 확산지지면(47b)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확산지지판(45)은 상기 확산공(47)의 확산지지면(47b)에 대한 경사각도(β2)별로 구분하여 나눠지되 상기 지지목부(41)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상기 확산공(47)의 확산지지면(47b)에 대한 경사각도(β2)가 상기 확산지지판(45)의 상면을 기준으로 커지는 경사각도(β2)를 이루므로 상기 빗살(30)이 접하게 되는 상기 확산공(47) 상의 경사진 경사지지면(47a)의 경사도가 커져 상기 빗살(30)이 점점 내측으로 모이는 구조의 빗살집합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빗살집합형의 확산지지판(45)으로 구성하게 되면, 빗살(30)이 전체적으로 안쪽을 향해 집합된 구조를 이루어 바닥면에 붙은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에 의하면 빗살을 한쪽 경사방향으로 기울여 확산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빗살의 형상을 계속해서 유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빗질작업시 바닥과 맞닿는 빗살의 표면적 및 빗살의 확산영역이 넓어 작업자의 빗질에 따른 청소가 매우 편리하며, 청소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청소효율은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빗살과 자루를 서로 간단하게 연결하여 결속고정하도록 구성하므로, 상호 분리 및 조립 작업이 자유로워 보관이 용이하고 빗살만을 교체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자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자루 15 : 결속수단 16 : 결속단
20 : 연결커버 21 : 수용공 25 : 지지턱
30 : 빗살 40 : 빗살확산부 41 : 지지목부
43 : 압착돌기 44 : 요철부 45 : 확산지지판
45a : 제1지지판 45b : 제2지지판 47 : 확산공
47a : 경사지지면 47b : 확산지지면
α : 확산지지판의 경사각도
β1 : 경사지지면의 경사각도 β2 :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자루 상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최소 하나 이상의 결속단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커버 상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결속단은 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삼각형 단면의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커버에 수용 및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커버 상부에는 상기 결속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단이 연결커버에 결속 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자루.
  4.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빗살확산부에는, 상기 지지목부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자루에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복수 개의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지지목부의 내주연 상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루의 외주연 상의 사방에서 면 접촉하여 압착고정하는 압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돌기는 상단에서부터 하향할수록 내측으로 점점 돌출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5.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면에 상기 지지목부를 구비하되 상기 빗살을 상기 지지목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수직연장선상으로 연장토록 지지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빗살을 전방을 향해 확산가능토록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기 제1지지판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진 상기 제2지지판과의 경사각이 40~50°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7.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봉 형상의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을 수용하되 상하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 상에 체결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커버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하부에 수용되어 묶음처리되고 상기 연결커버로부터 하향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빗살과;
    상기 연결커버의 수용공 내에 일단이 연결결합하되 내측에 상기 자루의 한쪽 끝단이 수용결속되고 외주연 상에 복수 개의 상기 빗살이 묶음처리되도록 접촉지지하는 지지목부와, 상기 지지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빗살을 끼움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확산공을 갖는 확산지지판으로 구성된 빗살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확산공에는 한쪽에 상기 빗살을 지지토록 경사형성되는 경사지지면과, 상기 경사지지면의 반대편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살의 확산각도를 설정토록 지지하는 확산지지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확산지지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20~35°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확산지지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15~4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빗자루.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산지지판은 상기 확산공에서 상기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확산지지판의 영역별로 각각 다른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빗자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확산공에서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지지목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구성하여 상기 빗살이 바깥쪽을 향해 확산된 빗살확산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확산공에서 확산지지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지지목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갈수록 점점 커지게 구성하여 상기 빗살이 안쪽으로 모이는 빗살집합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빗자루.
  12. 삭제
KR1020140138496A 2014-10-14 2014-10-14 조립식 빗자루 KR10160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96A KR101608980B1 (ko) 2014-10-14 2014-10-14 조립식 빗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96A KR101608980B1 (ko) 2014-10-14 2014-10-14 조립식 빗자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08A KR20160043808A (ko) 2016-04-22
KR101608980B1 true KR101608980B1 (ko) 2016-04-25

Family

ID=5591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96A KR101608980B1 (ko) 2014-10-14 2014-10-14 조립식 빗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46A (ko) 2019-05-17 2019-05-28 권영광 수공구 조립용 다각형 중공자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718B2 (ja) * 1993-03-31 2000-06-12 株式会社東芝 ファクシミ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718B2 (ja) * 1993-03-31 2000-06-12 株式会社東芝 ファクシミリ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46A (ko) 2019-05-17 2019-05-28 권영광 수공구 조립용 다각형 중공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08A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7735A1 (en) Dustpan and broom housing assembly combination
US7203988B2 (en) Broom with scuff remover
AU2011215221B2 (en) Cleaning device
US9408459B2 (en) Combination broom and shovel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WO2014116438A1 (en) Dustpan
US5371916A (en) T-shaped broom head
WO2019089079A1 (en) Dustpan and broom housing assembly combination
US20060117511A1 (en) Pushbroom with support brace
FR2847149A3 (fr) Ensemble de balai-eponge
KR101571211B1 (ko) 청소용 빗자루
WO2018030724A1 (ko) 청소용 빗자루
KR200416404Y1 (ko) 조립빗자루
KR200451911Y1 (ko)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KR101742692B1 (ko) 빗자루 자루 고정구
KR20180012428A (ko) 빗살 조절형 빗자루
KR20150022084A (ko) 청소용 솔
KR200447208Y1 (ko) 청소용 빗자루
CN210538503U (zh) 一种自动扫蛋液机用机械扫夹紧放松机构
KR880001505Y1 (ko) 조립식 다용도 빗자루
KR101197550B1 (ko) 빗자루
WO2021117951A1 (ko) 조립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구비한 청소용 빗자루
KR101245387B1 (ko) 빗자루보조손잡이
KR200399270Y1 (ko) 빗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