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211B1 - 청소용 빗자루 - Google Patents

청소용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211B1
KR101571211B1 KR1020130113014A KR20130113014A KR101571211B1 KR 101571211 B1 KR101571211 B1 KR 101571211B1 KR 1020130113014 A KR1020130113014 A KR 1020130113014A KR 20130113014 A KR20130113014 A KR 20130113014A KR 101571211 B1 KR101571211 B1 KR 10157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nector
comb
support plate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255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권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일 filed Critical 권영일
Priority to US14/913,478 priority Critical patent/US9622567B2/en
Priority to KR1020130113014A priority patent/KR1015712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8515 priority patent/WO2015046634A1/ko
Priority to CN201380079666.4A priority patent/CN105592750B/zh
Publication of KR2015003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11B1/ko
Priority to PH12016500556A priority patent/PH120165005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46B3/1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reet-cleaning or rail-cleaning b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빗살부재들이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빗자루{Broomstick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실외에서 사용하며 좁은 부분을 쓸거나 넓은 부분을 쓸 때 모두 유용하게 제작된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실내용 빗자루와 실외용 빗자루로 나눌 수 있으며,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도 있다. 도 1의 사진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의 빗자루가 나타나 있다.
도 1의 사진을 참고하면, 기존에 널리 사용하는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와, 자루부의 하단에 이물질을 쓸어 내기 위해 빗살부재들이 다발로 묶여 있는 빗살부 및 자루부와 빗살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의 사진의 가장 좌측에 나타나 있는 빗자루는 빗살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넓은 영역을 쓸기에는 적합하지만 모서리와 같은 좁은 영역을 쓸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물론 빗자루의 자세를 바꿔서 좁은 부분을 쓸 수는 있지만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도 1의 나머지 3개의 빗자루는 주로 도로나 마당을 쓸 때 사용하는데, 이러한 형태들의 빗자루들은 빗살부재들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않고 다발로 묶여 있으며, 빗살부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게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빗자루들도 빗살부의 영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쓸거나, 모서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불편함이 생긴다. 특히,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힘을 줘서 빗살부를 눌러서 사용하므로,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빗살부재들이 탄성력을 잃어 휘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아 전체적인 형상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빗자루의 빗살부재는 플라스틱이나 대나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일정 기간 사용하면 탄성이 떨어져 딱딱해지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대나무 재질의 경우 마모가 쉽게 일어나서 사용 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시중에서 도로 청소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 1의 좌측 두 번째에 도시되어 있는 빗자루는 빗살부재로 인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빗살부재의 경우 용융된 플라스틱을 몰드에 넣어 사출 공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재료비 및 가공비를 절감시키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살부를 넓게 펴서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거나 또는 빗살부를 좁게 모아서 모서리 등의 좁은 영역을 쓸 수 있도록 빗살부의 형상이 변경가능하며, 빗살부재의 재료를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한 청소용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상기 자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과,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자루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지지판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와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의 장착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커넥터부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자루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의 조임부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와 제1체결부 사이에 밀착된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자루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유닛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 가능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결합밴드를 더 구비하여,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과 조건에 적합하게 빗살부재들이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빗살부재들이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마모성과 탄성이 우수한 코코넛 나무를 빗살부재로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하며, 한 번의 비질로도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청소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용 빗자루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청소용 빗자루의 변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커넥터들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커넥터들이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된 후의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버클이 닫힌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청소용 빗자루의 변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100)는 자루(10)와 빗살부(50) 및 변환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로, 마당, 광장 등과 같은 실외에서 사용할 목적인 경우 자루가 길게 형성되지만, 실내용인 경우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자루(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통 나무 재질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빗살부(50)는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빗살부재(51)들이 다발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살부재(51)는 수십Cm의 길이와 수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빗살부재(51)는 자루(10)의 하단에 결합된다.
기존의 빗살부재(51)는 싸리나무, 플라스틱,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코넛 나무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코코넛 나무를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코코넛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이 우수하여 빗살부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싸리나무나 대나무 재질의 경우 강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져서 일정 시간 사용하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금방 닳아서 사용년한이 짧은 문제가 있었으나, 코코넛 나무는 내마모성이 높아 충분히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코넛 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빗살부재는 잘 휘어지면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적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빗자루를 지면에 접촉시켜 누르면 빗살부재들이 휘어지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며, 빗살부재들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면을 누르게 되므로 처리 대상물을 잘 쓸어낼 수 있다. 그러나 빗살부재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잘 휘어지지 않고 반발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에 힘이 들고 청소 효율도 떨어진다. 코코넛 나무 재질은 내모성과 탄성에 있어서 빗살부재(51)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코코넛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물론 대나무, 싸리나무 등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이점들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로서 코코넛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을 자루의 하단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완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50)가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좁게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변환유닛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 변환유닛은 지지판(21) 결합밴드(22) 및 커넥터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30) 및 제2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지지판(21)은 자루(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의 횡단면적은 자루(10)의 횡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1)의 반경은 자루(21)보다 크므로 지지판(21)이 자루(10)에 대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다만, 지지판의 형태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포함하여 다각형 형상이나,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판(21)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27)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형이란 돌출부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뚫려 있는 관 형상은 물론, 지지판(21)에 의하여 전면은 막혀 있는 형태로 내부에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는 오목한 홈부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27)에 자루(1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지판(21)과 자루(10)가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8)이 형성된다.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중공형의 관 형상으로 자루(10)에 끼워져 자루(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커넥터(30)는 자루(10)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비하여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와 제1커넥터(30)는 상대이동 가능하다. 제1커넥터(30)는 연결부(31), 제1체결부(32), 조임부(33) 및 장착부(35)를 구비한다. 연결부(31)는 제1커넥터(30)의 최하단부로서, 연결부(31)의 외주면에 빗살부재(51)들이 상기한 결합밴드(22)에 의하여 밀착된다.
제1체결부(32)는 연결부(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40)에 체결되는 작용을 한다. 조임부(33)는 제1체결부(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는 길이방향(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슬릿(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커넥터(30)의 제1체결부(32)에도 조임부(33)의 슬릿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5)는 제1커넥터(30)가 지지판(21)과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장착부(35)를 형성한다. 즉, 제1커넥터(30)의 하단부를 이루는 연결부(31)의 내경이 자루(10)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커넥터의 하단부 내주면은 자루(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지지판(21)의 돌출부(27)에 형성된 나사산(28)과 상호 체결 및 분리가능하다.
다만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 사이의 결합은 나사체결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커넥터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구조적 변경을 통해 제1커넥터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돌출부에 고리형의 부재를 설치하여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커넥터(40)는 자루(10)에 끼워져서 제1커넥터(30) 윗부분에 배치된다. 제1커넥터(30)와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40)도 자루(10)에 비하여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와 제2커넥터(40)는 상대이동 가능하다. 제2커넥터(40)는 제2체결부(41)와 가압부(42)를 구비한다. 제2체결부(4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커넥터(30)의 제1체결부(32)에 나사체결된다. 가압부(42)는 제2체결부(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도면에서 점선 k로 표시된 두께로부터 점선 p로 표시된 두께까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의 내경은 점선 k와 점선 p로 표시된 두께 사이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p로 표시된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33)가 시작하는 부분은 부드럽게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41)의 나사체결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커넥터(40)를 이동시켜 제1커넥터(30)에 나사체결하면 도 6과 같이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가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를 강하게 압착시킨다. 즉,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의 내경은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가압부(42)가 조임부(33)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커넥터(30)는 제2커넥터(40)에 의해 가압되어 자루(10)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1체결부(32)에도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압부(42)가 회전되면서 조임부(33)와 제1체결부(32)를 가압하면 벌어져 있던 슬릿들이 닫히면서 제1커넥터(30)가 자루(10)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제1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도, 내경이 작은 가압부(42)가 조임부(33)에 억지끼움되면서 제1커넥터(30)를 자루(10)쪽으로 가압하므로 제1커넥터(30)를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역으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을 해제하면 가압부(42)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대한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다.
한편, 결합밴드(22)에 의하여 제1커넥터(30)의 외주면에 빗살부재(51)들이 밀착되었을 때,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커넥터(30)의 연결부(31)와 제1체결부(32) 사이에는 덮개부(55)가 마련된다. 덮개부(55)는 반구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부에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모아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에서는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와 제2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중앙부 정도로 하강시키면 지지판(21)과 빗살부재(51) 사이의 간섭이 적어지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재(51)는 자루(1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자세, 즉 좁은 모드로 자세 변경된다. 좁은 모드에서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1 정도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을 가정한다면 직경이 d1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를 분리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상단부로 이동시키면 지지판(21)이 빗사부재(51)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빗살부재(51)들은 자루(10)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상당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교차된다. 즉 빗살부재(51)들이 넓게 벌어지면서 제2자세인 넓은 모드로 변경된다.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2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으로 가정하면 d2의 직경을 가진다). 물론 좁은 모드에서의 d1보다 넓은 모드에서의 d2의 길이가 훨씬 길다.
넓은 모드로 변경된 후,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를 다시 결합시키면, 제1커넥터(30)가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빗자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난 빗살부재(51)들이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므로, 빗살부재(51)들은 지지판(21)을 가압한다. 따라서, 넓은 모드에서는 자루(10)와 변환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넓은 모드에서 제1커넥터(30)의 장착부(35)와 지지판(21)의 돌출부(27)가 상호 나사체결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을 완전히 위로 끌어올려 장착부(35)와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일정 정도만 끌어올릴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장착부(35)와 돌출부(27)가 상호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는 지지판(21)의 위치를 변경하여 빗살부재(51)들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는 빗살부재(51)가 자루(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각도를 넓게 형성하면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좁은 모서리를 쓸거나 힘을 많이 주어서 비질을 해야하는 경우라면 좁은 모드로 빗자루를 사용하며, 낙엽을 쓰는 경우와 같이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고자 하는 경우에는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즉, 청소해야할 대상의 상태나 영역의 특성에 따라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을 택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빗자루와 같은 생활필수품의 경우 기능이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과다한 생산비가 투입된다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 및 제2커넥터(40)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빗자루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에 빗자루를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빗자루의 경우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은 부품수의 증대는 물론, 조립비용도 증대시키며,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도 늘어나므로 비용과 내구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기능, 경제성,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실용적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변환유닛의 일 요소로서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로 이루어지고,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하여 변환유닛을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커넥터부의 구성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변환유닛은 중공형으로 자루(10)에 끼워지는 관형의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기만 하면, 이 관형의 본체를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본 실시예에서는 제2커넥터)은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커넥터부가 반드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분할되어 있을 필요도 없으며, 커넥터부가 제1커넥터를 구비하고 제1커넥터를 자루에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계적 구성, 예컨대 핀을 홀에 끼웠다 뺐다 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로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로서 버클 구조를 이용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버클이 닫힌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에서 자루(10), 빗살부재(51), 지지판(21) 및 결합밴드(22)에 대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로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대체하여, 연결봉(70) 및 버클(80)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연결봉(70)은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자루(10)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연결봉(70)의 내경은 자루(10)의 외경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에 연결봉(70)이 끼워진 상태로 상대이동 가능하다. 연결봉(7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빗살부재(51)들이 결합밴드(22)에 의하여 밀착된다. 그리고 연결봉(70)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모아주도록 덮개부(55)가 형성된다. 연결봉(70)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절개부(71)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봉(70)의 하단부 내경은 자루(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봉(7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장착부가 마련된다. 이 장착부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판의 돌출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나사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버클(80)은 연결봉(70)을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버클(80)은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를 구비하는 공지의 부재로서,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키의 부츠에 채용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즉,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는 각각 연결봉(70)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록킹부(82)는 제1록킹부(81)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록킹부(81) 및 제2록킹부(82)와 연결봉(70) 사이 및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버클(80)이 조여지면 풀리지 않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버클(80)은 공지의 부재로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구조이며, 이와 유사한 다양한 구조들이 채용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봉(70)의 절개부(71)가 열려 있지만, 제1록킹부(81)를 회전시켜서 버클(80)을 잠그면 벌어져 있던 절개부(71)가 억지로 닫히면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연결봉(70)은 자루(10)를 조이면서 밀착되므로, 연결봉(70)과 자루(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에서도 버클(80)을 풀어서 연결봉(70)과 자루(10)를 느슨하게 만든 후 자루(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세 변경이 완료되면, 버클(80)을 조여 연결봉(70)을 자루(10)에 결합시킨 후 빗자루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연결봉과 버클을 비롯하여 다양한 결합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자루와 상대이동 가능하되, 위치가 정해진 후에는 자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홀과 버튼구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을 제1자세(좁은 모드)와 제2자세(넓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변경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청소용 빗자루 10 ... 자루
21 ... 지지판 22... 결합밴드
27 ... 돌출부 28 ... 나사산
30 ... 제1커넥터 31 ... 연결부
32 ... 제1체결부 33 ... 조임부
35 ... 장착부 38 ... 슬릿
40 ... 제2커넥터 41 ... 제2체결부
42 ... 가압부 50 ... 빗살부
51 ... 빗살부재 55 ... 덮개부
70 ... 연결봉 71 ... 절개부
80 ... 버클 81 ... 제1록킹부
82 ... 제2록킹부

Claims (8)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상기 자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과,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판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싱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와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커넥터부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자루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조임부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슬릿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제1체결부 사이에 밀착된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자루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 가능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결합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KR1020130113014A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KR10157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3,478 US9622567B2 (en) 2013-09-24 2013-09-24 Cleaning broom
KR1020130113014A KR101571211B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PCT/KR2013/008515 WO2015046634A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CN201380079666.4A CN105592750B (zh) 2013-09-24 2013-09-24 清扫用扫帚
PH12016500556A PH12016500556A1 (en) 2013-09-24 2016-03-28 Cleaning b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14A KR101571211B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55A KR20150033255A (ko) 2015-04-01
KR101571211B1 true KR101571211B1 (ko) 2015-11-24

Family

ID=5274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014A KR101571211B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2567B2 (ko)
KR (1) KR101571211B1 (ko)
CN (1) CN105592750B (ko)
PH (1) PH12016500556A1 (ko)
WO (1) WO2015046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96B1 (ko) * 2016-08-09 2018-08-02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CN208973689U (zh) * 2017-09-12 2019-06-14 科德宝加拉家居用品私人有限公司 一种扫帚连接头
WO2022270652A1 (ko) * 2021-06-23 2022-12-29 마음담은협동조합 빗살 교체가 가능한 청소용 빗자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902A (ja)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US20070101529A1 (en) 2005-11-09 2007-05-10 Lloyd Garcia Adjustable bristle broo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9455A (en) * 1958-02-24 1962-04-17 Siculan Daniel Combination broom and dust pan
KR950003962Y1 (ko) 1993-04-16 1995-05-18 박국서 도로청소용 비
US5375288A (en) * 1993-10-01 1994-12-27 Seagren; Eric H. Round head broom
KR200198351Y1 (ko) 2000-04-11 2000-10-02 최재형 신축 가변형 빗자루
GB2367486B (en) * 2000-10-04 2003-11-12 Michael Howells A dual purpose broom
US20040031116A1 (en) 2002-08-15 2004-02-19 Coleman Lorenzo Jacob Combination of push broom and house broom
CN2922768Y (zh) * 2006-06-14 2007-07-18 方宏 帚头、帚杆可伸缩的扫帚
CN201029848Y (zh) * 2007-03-14 2008-03-05 曹静 延展式扫帚
KR101048270B1 (ko) * 2008-07-04 2011-07-12 (주)삼성컨트롤밸브 엔진의 성능테스트 장치
KR20100004607U (ko) 2008-10-27 2010-05-07 송효숙 빗자루
CN102342807A (zh) * 2010-08-03 2012-02-08 白景兰 一种扫帚
KR20120031570A (ko)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접이식 빗자루
CN201905829U (zh) * 2010-12-16 2011-07-27 管峰 可伸展式笤帚
CN202055215U (zh) * 2011-01-06 2011-11-30 张晨 新型扫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902A (ja)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US20070101529A1 (en) 2005-11-09 2007-05-10 Lloyd Garcia Adjustable bristle b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634A1 (ko) 2015-04-02
US20160198840A1 (en) 2016-07-14
KR20150033255A (ko) 2015-04-01
CN105592750A (zh) 2016-05-18
US9622567B2 (en) 2017-04-18
PH12016500556A1 (en) 2016-05-23
CN105592750B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68684A1 (en) Broom with a flexible neck
KR101571211B1 (ko) 청소용 빗자루
US7721380B2 (en) Push broom bracket
US20150068371A1 (en) Cleaning implement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US20040031116A1 (en) Combination of push broom and house broom
US20060117511A1 (en) Pushbroom with support brace
KR101875096B1 (ko) 청소용 빗자루
US5511370A (en) Double rake
CN210043947U (zh) 一种清扫耙
US8356381B2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RU91268U1 (ru) Метла
KR200416404Y1 (ko) 조립빗자루
KR20210075713A (ko) 조립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구비한 청소용 빗자루
CN103157610A (zh) 通用维克罗清洁工具
KR200198351Y1 (ko) 신축 가변형 빗자루
US20070180639A1 (en) Broom Handle Connection
US20150033486A1 (en) Toothbrush bristle element having serrated outer structure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KR20150011532A (ko) 청소용 빗자루
CN107361510B (zh) 一种手柄、带手柄的工具以及将柔性材料连接手柄的方法
KR20230032394A (ko) 청소용 빗자루
USD1013392S1 (en) Cosmetic brush
JP3220521U (ja) レーキ付き箒
KR200417570Y1 (ko) 도로 청소용 빗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