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532A - 청소용 빗자루 - Google Patents

청소용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532A
KR20150011532A KR1020130086575A KR20130086575A KR20150011532A KR 20150011532 A KR20150011532 A KR 20150011532A KR 1020130086575 A KR1020130086575 A KR 1020130086575A KR 20130086575 A KR20130086575 A KR 20130086575A KR 20150011532 A KR20150011532 A KR 2015001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mb
posture
comb teeth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권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일 filed Critical 권영일
Priority to KR102013008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532A/ko
Publication of KR2015001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46B3/1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reet-cleaning or rail-cleaning b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66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use with street cleaning machinery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며,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자루의 중심쪽에 배치되게 하여 빗살부가 모이게 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자루로부터 멀리 배치되게 하여 빗살부가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빗자루{Broomstick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실외에서 사용하며 좁은 부분을 쓸거나 넓은 부분을 쓸 때 모두 유용하게 제작된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실내용 빗자루와 실외용 빗자루로 나눌 수 있으며,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도 있다. 도 1의 사진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의 빗자루가 나타나 있다.
도 1의 사진을 참고하면, 기존에 널리 사용하는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와, 자루부의 하단에 이물질을 쓸어 내기 위해 빗살부재들이 다발로 묶여 있는 빗살부 및 자루부와 빗살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의 사진의 가장 좌측에 나타나 있는 빗자루는 빗살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넓은 영역을 쓸기에는 적합하지만 모서리와 같은 좁은 영역을 쓸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물론 빗자루의 자세를 바꿔서 좁은 부분을 쓸 수는 있지만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도 1의 나머지 3개의 빗자루는 주로 도로나 마당을 쓸 때 사용하는데, 이러한 형태들의 빗자루들은 빗살부재들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않고 다발로 묶여 있으며, 빗살부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게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빗자루들도 빗살부의 영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쓸거나, 모서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불편함이 생긴다. 특히,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힘을 줘서 빗살부를 눌러서 사용하므로,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빗살부재들이 탄성력을 잃어 휘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아 전체적인 형상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빗자루의 빗살부재는 플라스틱이나 대나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일정 기간 사용하면 탄성이 떨어져 딱딱해지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대나무 재질의 경우 마모가 쉽게 일어나서 사용 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살부를 넓게 펴서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거나 또는 빗살부를 좁게 모아서 모서리 등의 좁은 영역을 쓸 수 있도록 빗살부의 형상이 변경가능하게 구조가 개선된 청소용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상기 자루의 중심쪽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빗살부가 모이게 되는 제1자세와, 상기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상기 자루로부터 멀리 배치되게 하여 상기 빗살부가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가능한 결합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자루의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제2자세로 변경시키며,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제1자세로 변경시킨다. 또한,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유닛은,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빗살부 내측에 배치되고, 가압되는 경우 횡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자루의 외측으로 밀어 상기 빗살부를 상기 제2자세로 변경시키고, 가압해제시 탄성적으로 원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빗살부를 상기 제1자세로 변경시키는 팽창부재와,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팽창부재의 하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자루부의 내측을 통해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상기 자루부에 결합되는 조작캡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캡을 상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이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캡은 상기 자루에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트링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트링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가압부재는, 상기 자루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팽창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해제시키는 가압볼트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재를 감싸며 상기 자루에 결합되는 결합밴드를 구비하여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결합밴드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기 자루에 밀착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과 조건에 적합하게 빗살부재들이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빗살부재들이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마모성과 탄서이 우수한 코코넛 나무를 빗살부재로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하며, 한 번의 비질로도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청소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용 빗자루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의 넓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의 넓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가압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의 넓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100)는 자루(10)와 빗살부(50) 및 변환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로, 마당, 광장 등과 같은 실외에서 사용할 목적인 경우 자루가 길게 형성되지만, 실내용인 경우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자루(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통 나무 재질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빗살부(50)는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빗살부재(51)들이 다발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살부재(51)는 수십Cm의 길이와 수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빗살부재(51)는 자루(10)의 하단에 결합된다.
기존의 빗살부재(51)는 싸리나무, 플라스틱,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코넛 나무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코코넛 나무를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코코넛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이 우수하여 빗살부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싸리나무나 대나무 재질의 경우 강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져서 일정 시간 사용하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금방 닳아서 사용년한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코코넛 나무는 내마모성이 높아 충분히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코넛 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빗살부재는 잘 휘어지면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적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빗자루를 지면에 접촉시켜 누르면 빗살부재들이 휘어지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며, 빗살부재들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면을 누르게 되므로 처리 대상물을 잘 쓸어낼 수 있다. 그러나 빗살부재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잘 휘어지지 않고 반발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에 힘이 들고 청소 효율도 떨어진다.
코코넛 나무 재질은 내모성과 탄성에 있어서 빗살부재(51)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코코넛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물론 대나무, 싸리나무 등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이점들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로서 코코넛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을 자루의 하단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완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50)가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좁게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변환유닛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 변환유닛(90)은 결합밴드(60)와 홈부(70)로 이루어진다.
결합밴드(60)는 빗살부재(51)들을 자루(10)에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한 고리형의 밴드가 사용된다.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가 자루(1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밴드(60)가 빗살부재(51)들을 감싸면서 자루(10)에 끼워진다. 결합밴드(60)는 빗살부재(51)들을 자루(10)쪽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빗살부재(51)는 자루(10)의 외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고리형의 결합밴드(60)는 중심점 방향, 즉 반경방향(자루가 원형이라는 가정하에 자루의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빗살부재(51)들이 자루(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결합밴드(60)를 자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은 용이하다. 즉, 빗살부재(51)들만을 자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결합밴드(60)와 빗살부재(51)들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수월하다.
즉, 결합밴드(60)를 이용하여 빗살부재(51)를 자루(10)에 결합시키면, 빗살부재(51)가 자루(10)쪽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가압되므로 빗살부재(51)가 자루(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어렵지만 자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가능하다. 사용자가 빗살부재(51)와 결합밴드(60)를 동시에 파지하여 자루(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빗살부재(51)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밴드(60)만을 파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홈부(70)는 자루(10)의 하단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빗살부재(51)의 상부가 자루(10)의 하단부 외면에 배치되므로 빗살부재(51)들은 홈부(70) 위에 놓이게 된다.
홈부(70)와 결합밴드(60)에 의하여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와 제2자세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결합밴드(60)가 홈부(70)에 위치하게 되면 빗살부재(51)의 상단부가 홈부(70)쪽으로 깊숙히 눌려 들어가므로 빗살부재(51)는 자루(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빗살부재(51)의 하단부는 자루(10)자루(10)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자세를 본 명세서에서는 제2자세로 칭하였다.
반대로, 결합밴드(60)가 홈부(70)로부터 이탈하여 자루(10)의 외면에 놓이면 빗살부재(51)는 자루(1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빗살부재(51)의 하단부들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를 제1자세라 한다.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에 있을 때, 빗살부재(51)들의 총합인 빗살부(50)는 좁은 모드가 되며, 역으로 빗살부재(51)들이 제2자세에 있을 때 빗살부(50)는 넓은 모드가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빗살부재(51)들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밴드(60)만을 상하로 이동시켜 홈부(70)에 배치시키거나 홈부(70)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결합밴드(60)와 빗살부재(51)를 함께 이동시킬 수도 있다. 거꾸로 말하면 빗살부재(51)와 결합밴드(60)를 잡아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자루(10)를 상하로 이동시켜도 동일한 결과가 된다. 즉, 결합밴드(60)와 자루(10) 사이에 상대이동을 통해, 결합밴드(60)가 홈부(70)에 배치되면 빗살부재(51)들은 제2자세가 되며, 홈부(70)에서 이탈하면 제1자세로 된다.
넓은 모드는 한 번의 비질에 의하여 넓은 영역을 쓸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좁은 모드는 모서리와 같은 좁은 영역을 쓰는 경우 또는 청소대상물이 바닥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제1실시예에서는 변환유닛으로 결합밴드와 홈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제2실시예에서는 다른 형태의 변환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의 넓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200)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자루(20)가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빗살부재(51)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2실시예의 변환유닛(90')은 제1실시예의 변환유닛(90)과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서 변환유닛(90')은 팽창부재(81)와 가압부재로 이루어진다.
팽창부재(81)는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82)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팽창부재(81)는 자루(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팽창부재(8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처럼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가능한 재질로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기가 밀폐 있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팽창부재(81)는 가압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팽창되고 가압이 해제된 경우 다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수축될 수 있는 구성으로만 이루어지면 족하므로, 내부에 공기가 들어있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재질이면 된다.
제2실시예에서 채용된 팽창부재(81)는 가압이 없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지만, 상하방향을 따라 가압이 이루어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면서 횡방향으로 팽창된다. 가압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가압부는 팽창부재(81)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판(86)과 스트링(87)과 조작캡(88)을 구비한다. 가압판(86)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팽창부재(81)의 하부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스트링(87)은 길게 형성되어 자루(20)의 내부를와 팽창부재(81)의 관통공(82)을 통해 가압판(86)의 상면에 연결된다. 스트링(87)의 상부는 자루(20)에 결합되는 조작캡(88)에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조절캡(88)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판(86)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팽창부재(81)를 압축시키면서 횡방향으로 팽창되게 하고, 거꾸로 조절캡(88)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가압판(86)도 함께 이동하면서 팽창부재(8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므로 팽창부재(81)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조작캡(88)이 자루(20)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방식이 채택된다. 즉, 자루(20)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조작캡(88)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작캡(8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에 의해 조작캡(88)이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조작캡(88)은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렇게 나사체결되는 구성 이외에도 조작캡이 자루(2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루(2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의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판(86)의 상하이동에 따라, 팽창부재(81)가 압축되어 횡방향으로 팽창되면 빗살부재(51)들은 팽창부재(81)에 밀려 외측으로 벌어지는 제2자세로 바뀌며, 팽창부재(81)가 수축하면 빗살부재(51)들이 원래의 상태로 모이면서 제1자세로 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 빗살부재(51)들을 자루(20)에 밀착시키는 역할은 결합밴드(6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제1실시예예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팽창부재(81)의 구성과 작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팽창부재(8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의 구성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가압부재는 자루(20)의 내부에 나사축(89a)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나사축(89a)은 팽창부재(81)의 관통공(82)을 통해 팽창부재(81)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나사축(89a)에는 가압볼트(89b)가 나사체결된다. 가압볼트(89b)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체결이 강화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팽창부재(81)를 가압하여 횡방향으로 팽창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을 해제하므로 팽창부재(81)를 원상태로 회복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그 변형예에서도 팽창부재가 압축되어 횡방향으로 팽창하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원상태로 회복되면, 빗살부재(51)의 하단부도 자루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모아지므로 빗살부(50)는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하고자 하는 조건에 따라 조작캡(88)이나 가압볼트(89b)를 조절함으로써 빗살부(50)의 모드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청소를 효율적이며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 ... 청소용 빗자루 10,20 ... 자루
50 ... 빗살부 51 ... 빗살부재
60 ... 결합밴드 70 ... 홈부
81 ... 팽창부재 82 ... 관통공
85,85' ... 가압부재 86 ... 가압판
87 ... 스트링 88 ... 조작캡
89a ... 나사축 89b ... 가압볼트
90,90' ... 변환유닛

Claims (9)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빗자루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상기 자루의 중심쪽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빗살부가 모이게 되는 제1자세와, 상기 빗살부재들의 하단부를 상기 자루로부터 멀리 배치되게 하여 상기 빗살부가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가능한 결합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자루의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제2자세로 변경시키며,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제1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빗살부 내측에 배치되고, 가압되는 경우 횡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빗살부재를 상기 자루의 외측으로 밀어 상기 빗살부를 상기 제2자세로 변경시키고, 가압해제시 탄성적으로 원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빗살부를 상기 제1자세로 변경시키는 팽창부재와,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팽창부재의 하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자루부의 내측을 통해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상기 자루부에 결합되는 조작캡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캡을 상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이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캡은 상기 자루에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트링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트링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자루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팽창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팽창부재를 가압해제시키는 가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9.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재를 감싸며 상기 자루에 결합되는 결합밴드를 구비하여,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결합밴드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기 자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KR1020130086575A 2013-07-23 2013-07-23 청소용 빗자루 KR2015001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75A KR20150011532A (ko) 2013-07-23 2013-07-23 청소용 빗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75A KR20150011532A (ko) 2013-07-23 2013-07-23 청소용 빗자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32A true KR20150011532A (ko) 2015-02-02

Family

ID=5248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575A KR20150011532A (ko) 2013-07-23 2013-07-23 청소용 빗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5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028B1 (ko) 청소구
WO2006068684A1 (en) Broom with a flexible neck
US20060288512A1 (en) Cleaning attachment for a brush
KR101571211B1 (ko) 청소용 빗자루
KR20150011532A (ko) 청소용 빗자루
US20060156499A1 (en) Broom with a flexible neck
JP3213423U (ja) かき寄せ及び挟み込み両用の機能を搭載する落ち葉清掃工具
CN203564186U (zh) 一种多功能塑料扫帚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KR101875096B1 (ko) 청소용 빗자루
US3680168A (en) Fabric brush
CN204169793U (zh) 会扫地的拖把
JP5219258B2 (ja) ブラシの製造方法
US20070101528A1 (en) Sweeping device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JP3909047B2 (ja) 強度補強箒及び清掃方法
US20150033486A1 (en) Toothbrush bristle element having serrated outer structure
KR20230032394A (ko) 청소용 빗자루
JP3215652U (ja) 伸縮可能なミニ粘着式クリーナー
US20240023700A1 (en) Broom for cleaning with replaceable bristles
CN203762511U (zh) 一种振动式清洗刷
KR200464695Y1 (ko) 빗자루 조립 구조
CN216142358U (zh) 抹子
KR101245387B1 (ko) 빗자루보조손잡이
RU187741U1 (ru) Метла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