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6634A1 - 청소용 빗자루 - Google Patents

청소용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6634A1
WO2015046634A1 PCT/KR2013/008515 KR2013008515W WO2015046634A1 WO 2015046634 A1 WO2015046634 A1 WO 2015046634A1 KR 2013008515 W KR2013008515 W KR 2013008515W WO 2015046634 A1 WO2015046634 A1 WO 20150466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g
connector
comb
suppor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5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권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일 filed Critical 권영일
Priority to CN201380079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592750B/zh
Priority to US14/913,478 priority patent/US9622567B2/en
Publication of WO20150466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6634A1/ko
Priority to PH12016500556A priority patent/PH120165005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46B3/1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reet-cleaning or rail-cleaning b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broom, mainly for outdoor use, and relates to a cleaning broom produced both useful when writing a narrow portion or a wide portion.
  • Cleaning brooms can be divided into indoor brooms and outdoor brooms, depending on where you use them, and can be used both indoors and outdoors.
  • Existing widely used brooms are made of a sack portion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a comb portion where the comb members are bundled in a bundle to sweep away the foreign matter at the bottom of the sack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comb portion with the sack portion.
  • Brooms come in a variety of forms. Brooms with comb lengths arranged in line are suitable for sweeping large areas, but not for sweeping narrow areas such as corners. Of course, you can change the broom's posture to use the narrow part, but it's very inconvenient to use.
  • the existing brooms mainly used when writing the road or the yard the comb members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bundled in a bundle, the comb members are manufactured to be bent to form a relatively long.
  • the brooms of this type also have inconveniences when writing a relatively large area or a relatively narrow area such as a corner because the area of the comb portion is determined.
  • the force is used to press the comb portion, and when used for a certain peri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hape is changed because the comb members are not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bent state to lose the elastic force.
  • the comb member of the existing broom is often made of plastic or bamboo material, but in the case of plastic material, the elasticity drops and becomes hard when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efficiency decreases. Has a problem.
  • the brooms most commonly used for road cleaning on the market have had problems of economic manufacture due to the comb members. That is, the comb memb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processing cost because the molten plastic is put into a mold and manufactur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hape of the comb part can be changed so that the comb part is widened to write a wide area at a time or to collect a narrow comb part to write a narrow area such as the corner, the material of the comb member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room for cleaning economically manufacturable by improving the.
  •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rod-shaped bag formed in one direction long so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and a plurality of comb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g to sweep the cleaning object And a conversion unit for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omb members between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ag, and a second posture intersecting with the bag.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 the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ode between the wide mod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widely spread and the narrow mod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collected,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clean the broom. There is an advantage.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rrow mode of the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fte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leaning broom shown in FIG. 1 in a wide mode state.
  •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rsion unit of the cleaning broom.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is a state before the connectors are coupled.
  • FIG. 5 is a state after the connectors are coupled through the screw in the state of FIG.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buckle in the state of FIG.
  • Cleaning broom is provided with a rod-shaped bag formed in one direction elongated to be held by the user, and a comb portion for sweeping the cleaning objec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b members, And a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omb members between the first postur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bag, and the second posture arranged to intersect the bag.
  • the bag and the comb member ar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 the conversion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and has a support plat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g
  • the conversion uni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elastically compressible and stretchable, and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band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b members to the bag by elasticall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comb members to the bag.
  • the comb teeth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y the coupling band.
  • the conversion unit which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bag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bag, and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nected to the comb member close contact.
  • the connector part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and fitted to a lower end of the bag to move with respect to the bag.
  • the connect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b member, the first fasten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male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crew portion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 the second connector has a tightening por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in outer diameter,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and is screwed to the first connector by being inserted into the ba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ressing part extending from the second fastening par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narrower than that of the tightening part,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When screwed into one connector, the pressing portion may be pressed against the bag by pressing the fastening portion toward the bag
  •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may be formed with a slit portion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 the first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exten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g to cover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comb members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upling part.
  • the connecto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late,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hollow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ba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Mutually separable and separable.
  • a thread is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respectively, so that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or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 the comb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coconut wood material.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rrow mode of the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posture change to a wide mode state of the cleaning broom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cleaning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broom converting unit.
  • the cleaning broom 100 includes a bag 10, a comb portion 50, and a conversion unit.
  • Bag 10 is made of a rod-shaped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 the length of the bag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For the purpose of outdoor use such as roads, yards, squares, etc., the bag is formed long, but in the case of indoor use, the bag is formed relatively short as the waist height of a person.
  • the bag 10 is usually made of wood,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may be made of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side using a plastic material.
  • Comb portion 50 is a portion to sweep the cleaning object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mb member 51 makes a bundle.
  • the comb member 51 has a length of several tens of cm and a thickness of several mm, and is formed thin and long.
  • a plurality of comb member 5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 Existing comb member 51 is made of birch, plastic, bamboo, etc.
  • the above-described materials may be used,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 coconut tree.
  • coconut tree is not only high wear resistance than other kinds of trees but also excellent elasticity, which makes it suitable for use as comb members. That is, in case of birch or bamboo material, th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are dropped, and the contact with the ground quickly wears o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coconut tree has a high wear resistance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 coconut trees are also more elastic than other trees.
  • the comb member should be able to flex well and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elastic tension.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broom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is widened while the comb members are bent, and the comb members press the ground by the elastic force in a pressurized state, so that the object can be wiped well. However, if the strength of the comb member is too strong, it will not bend well, so it will be difficult to clean and reduce the cleaning efficiency.
  • Coconut tree material has an optimal condition as the comb member 51 in the wear resistance and elasticity.
  • coconut trees are widely grown in Southeast Asian regions such as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they can be economically provided in comparison with plastics, bamboos, birches and the like.
  • the above advantages are the reason why the coconut tree material is used as the comb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version unit has a comb teeth between the first posture at which the lower ends of the comb members 51 converge toward the center of the bag 10, and the second posture at which the lower ends of the comb members 51 open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g 1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members 51.
  • the conversion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21, a coupling band 22 and a connector portion.
  • the connector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or 30 and a second connector 40.
  • the support plate 2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late 21 is wid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ag 10.
  • the support plate 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And since the radius of the support plate 21 is larger than the bag 21, the support plate 21 is installed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bag (10).
  •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is not limited to a circle, and may be a polygonal shape, an ellipse, or the like including a rectangle.
  • a hollow projection 27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 convex.
  • the hollow includes a tubular shape in which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sion are drilled, as well 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blocked by the support plate 21 to be concave inside.
  • the protrusion 27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bag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and fixing the bag 10 to the protrusion 27.
  • the thread 2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27.
  •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inserted into the bag 10 in a hollow tubular shape and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bag 10.
  •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crewing.
  • the first connector 30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 the first connector 30 has a slightly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bag 10 so that the bag 10 and the first connector 30 are relatively movable.
  • the first connector 30 includes a connection part 31, a first fastening part 32, a fastening part 33, and a mounting part 35.
  • the connection portion 31 is the lowermost end of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comb teeth 51 ar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 by the coupling band 22.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extends up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1 and has a male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40.
  • the tightening portion 33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and is tapered in a form in which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 the slit 38 in which one part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33 of the 1st connector 30.
  • a slit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slit of the tightening portion 33 may b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of the first connector 30.
  • the mounting part 35 is a part that functions to allow the first connector 30 to be mutu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21.
  •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1 is mounted to the mounting part 35.
  •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31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or 30 is formed larger than the bag 10,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o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g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mutually fastened and detached from the thread 28 formed on the protrusion 27 of the support plate 21.
  •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first connector 30 is not limited to the screwing metho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first connector 30 may be firm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 the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t may be possible to form female threads in the.
  •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may be selectively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 the second connector 40 is fitted to the bag 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30.
  • the second connector 40 also has a slightly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bag 10, so that the bag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can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 the second connector 40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41 and a pressing portion 42.
  •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1 to be screw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of the first connector 30.
  • the pressing portion 42 extends upward from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1 and has an inner diameter narrower than that of the fastening portio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 the fastening portio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is taper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k in the drawing to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p.
  •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42 of the second connector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k and the dotted line p, or may be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p.
  • the portion where the tightening portion 33 starts is smoothly curved.
  •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upled by screw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1.
  • the second connector 40 is moved and screwed to the first connector 30.
  • the pressing part 42 of the second connector 40 strongly compresses the tightening part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That is,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42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screwed.
  • the pressing portion 42 is forcibly fitted to the tightening portion 33.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or 30 is pressed by the second connector 40 so as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1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30 is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 the slit 38 is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ptionally, the slit (not shown) may also b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2.
  • the pressing unit 42 rotates and presses the tightening unit 33 and the first fastening unit 32, the slits that are opened may be closed and the first connector 30 may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bag 10.
  • the first connector 30 is pressed toward the bag 10 while the pressing portion 42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is forcibly fitted to the tightening portion 33. 3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unit 42 is released, so that the first connecto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g 10, and thus the first connector 30 is released.
  • the connector 30 is movable relative to the bag 10.
  • the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first connector 30 to accommodate the upper end of the comb members (51)
  • a cover part 5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32.
  • the cover part 55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ccommodates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comb members 51 in the concave interior.
  • the comb members 51 may change posture between the first posture and the second posture.
  • the comb member 51 is a bag ( It is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10) and changes its posture to the first posture, that is, the narrow mode. In the narrow mode, the comb teeth 51 are spread to a length of about d1 in the drawing (assuming a circle, the diameter is d1).
  •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again, the first connector 30 is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so that a broom can be used.
  • the comb members 51 pushed outward by the support plate 21 are elastical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in the wide mode, the comb members 51 press the support plate 21. Therefore, in the wide mode, the bag 10 and the conversion unit need to be more firmly coupled.
  • the mounting portion 35 of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protrusion 27 of the support plate 21 are screwed together to allow a more firm coupling.
  • the support plate 21 may be pulled up completely to be coupled with the mounting part 35, but may be pulled up only to some extent.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35 and the protrusion 27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user may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comb members 51 are open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21.
  • the b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n a narrow mode and a wide mode by the comb member 51 is arranged parallel to the bag 10, or arranged to cross while forming a wide angle. have.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omb membe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ake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daily necessities such as a broom, even if the function is good, it is not practical if excessive production costs are put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support plate 21,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can change the broom posture in a very simple configura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 the configuration is too complicated, economical manufacturing is not possible, but also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is lowered. That is, the complicated structure increases the assembly cost as well as the number of parts, an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arts increases, which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cost and dur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satisfies all functions, economics, and durability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 the connector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or 30 and a second connector 40, and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connect the conversion unit by a screwing method. It was described as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is not limited to this.
  • the conversion unit may be rigidly coupled and detached from the tubular body to the bag 10 as long as it includes a tubular member (first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fitted to the bag 10 in a hollow shape.
  • the configuration (second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that can be employed can adopt various methods.
  • the connector por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vided into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nd the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and holes various mechanical configurations, such as pins, that can firmly couple and detach the first connector to a bag.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that is fitted in and out of place. As such an example,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FIGS. 6 to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ckle closed in the state of FIG. 7.
  • the configuration of the bag 10, the comb member 51,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coupling band 22 in the broo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
  •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rod 70 and the buckle 80 are used in pl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s the connector part.
  • the connecting rod 70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and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rod 7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g 10 so that the connecting rod 70 is relatively mova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70 is fitted.
  • Comb member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band 22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cover 55 is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70 to collect the upper ends of the comb members 51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is formed with a cut portion 7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g 10,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 This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be mutually screwed and separated from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 Buckle 80 is for firmly coupling the connecting rod 70 to the bag (10).
  • the buckle 80 is a known member including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and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at used for boots of inline skating or skiing.
  • first lock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are hingedly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7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is hinge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do.
  • a spring is selective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and the connecting rod 70, and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 the cutout 71 of the connecting rod 70 is ope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82 are not coupled, the first locking portion 81 is open. Rotating the lock to lock the buckle 80, the open cut portion 71 is forcibly closed and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since the connecting rod 70 is tight while tightening the bag 10, the connecting rod 70 and the bag 10 can be firmly coupled.
  • the connecting rod 70 and the bag 10 loosen the connecting rod 70 and the bag 10 by releasing the buckle 80, and then move the bag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comb members 51 in a wide mode and a narrow mode. Can be changed.
  • the posture change is completed, tighten the buckle 80, the connecting rod 70 is coupled to the bag 10, and then use a broom.
  • a variety of coupling structures may be adopted, including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the connecting rod, and the buckle. That is, it is possible to move relative to the bag, but after the position is determined, if the structure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bag, it can be added that a variety of structures including a hole and a button structure and the like can be adopted.
  • the posture can be changed between the first posture (narrow mode) and the second posture (wide mode), the comb members can be cleaned very efficiently.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용 빗자루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빗살부재들이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청소용 빗자루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실외에서 사용하며 좁은 부분을 쓸거나 넓은 부분을 쓸 때 모두 유용하게 제작된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실내용 빗자루와 실외용 빗자루로 나눌 수 있으며,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도 있다. 기존에 널리 사용하는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와, 자루부의 하단에 이물질을 쓸어 내기 위해 빗살부재들이 다발로 묶여 있는 빗살부 및 자루부와 빗살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빗자루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빗살부가 일렬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빗자루의 경우 넓은 영역을 쓸기에는 적합하지만 모서리와 같은 좁은 영역을 쓸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물론 빗자루의 자세를 바꿔서 좁은 부분을 쓸 수는 있지만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주로 도로나 마당을 쓸 때 사용하는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이 일렬로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않고 다발로 묶여 있으며, 빗살부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게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빗자루들도 빗살부의 영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쓸거나, 모서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불편함이 생긴다. 특히, 좁은 영역을 쓸 때에는 힘을 줘서 빗살부를 눌러서 사용하므로,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빗살부재들이 탄성력을 잃어 휘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아 전체적인 형상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빗자루의 빗살부재는 플라스틱이나 대나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일정 기간 사용하면 탄성이 떨어져 딱딱해지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대나무 재질의 경우 마모가 쉽게 일어나서 사용 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시중에서 도로 청소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빗자루는 빗살부재로 인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빗살부재의 경우 용융된 플라스틱을 몰드에 넣어 사출 공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재료비 및 가공비를 절감시키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살부를 넓게 펴서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거나 또는 빗살부를 좁게 모아서 모서리 등의 좁은 영역을 쓸 수 있도록 빗살부의 형상이 변경가능하며, 빗살부재의 재료를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한 청소용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과 조건에 적합하게 빗살부재들이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빗살부재들이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마모성과 탄성이 우수한 코코넛 나무를 빗살부재로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하며, 한 번의 비질로도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청소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청소용 빗자루의 변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커넥터들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커넥터들이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된 후의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버클이 닫힌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루와 빗살부재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또한 상기 변환유닛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 가능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결합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변환유닛은,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제1나사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자루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조임부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부 사이에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자루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구비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장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싱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와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커넥터부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청소용 빗자루의 변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100)는 자루(10)와 빗살부(50) 및 변환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로, 마당, 광장 등과 같은 실외에서 사용할 목적인 경우 자루가 길게 형성되지만, 실내용인 경우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자루(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통 나무 재질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빗살부(50)는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빗살부재(51)들이 다발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살부재(51)는 수십Cm의 길이와 수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빗살부재(51)는 자루(10)의 하단에 결합된다.
기존의 빗살부재(51)는 싸리나무, 플라스틱,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코넛 나무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코코넛 나무를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코코넛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이 우수하여 빗살부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싸리나무나 대나무 재질의 경우 강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져서 일정 시간 사용하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금방 닳아서 사용년한이 짧은 문제가 있었으나, 코코넛 나무는 내마모성이 높아 충분히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코넛 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빗살부재는 잘 휘어지면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적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빗자루를 지면에 접촉시켜 누르면 빗살부재들이 휘어지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며, 빗살부재들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면을 누르게 되므로 처리 대상물을 잘 쓸어낼 수 있다. 그러나 빗살부재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잘 휘어지지 않고 반발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에 힘이 들고 청소 효율도 떨어진다. 코코넛 나무 재질은 내모성과 탄성에 있어서 빗살부재(51)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코코넛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물론 대나무, 싸리나무 등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이점들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로서 코코넛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을 자루의 하단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완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50)가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좁게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변환유닛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 변환유닛은 지지판(21) 결합밴드(22) 및 커넥터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30) 및 제2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지지판(21)은 자루(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의 횡단면적은 자루(10)의 횡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1)의 반경은 자루(21)보다 크므로 지지판(21)이 자루(10)에 대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다만, 지지판의 형태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포함하여 다각형 형상이나,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판(21)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27)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형이란 돌출부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뚫려 있는 관 형상은 물론, 지지판(21)에 의하여 전면은 막혀 있는 형태로 내부에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는 오목한 홈부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27)에 자루(1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지판(21)과 자루(10)가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8)이 형성된다.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중공형의 관 형상으로 자루(10)에 끼워져 자루(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커넥터(30)는 자루(10)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비하여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와 제1커넥터(30)는 상대이동 가능하다. 제1커넥터(30)는 연결부(31), 제1체결부(32), 조임부(33) 및 장착부(35)를 구비한다. 연결부(31)는 제1커넥터(30)의 최하단부로서, 연결부(31)의 외주면에 빗살부재(51)들이 상기한 결합밴드(22)에 의하여 밀착된다.
제1체결부(32)는 연결부(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40)에 체결되는 작용을 한다. 조임부(33)는 제1체결부(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는 길이방향(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슬릿(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커넥터(30)의 제1체결부(32)에도 조임부(33)의 슬릿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35)는 제1커넥터(30)가 지지판(21)과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장착부(35)를 형성한다. 즉, 제1커넥터(30)의 하단부를 이루는 연결부(31)의 내경이 자루(10)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커넥터의 하단부 내주면은 자루(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지지판(21)의 돌출부(27)에 형성된 나사산(28)과 상호 체결 및 분리가능하다.
다만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 사이의 결합은 나사체결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커넥터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구조적 변경을 통해 제1커넥터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돌출부에 고리형의 부재를 설치하여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가 반드시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지지판을 제1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장착부와 돌출부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제2커넥터(40)는 자루(10)에 끼워져서 제1커넥터(30) 윗부분에 배치된다. 제1커넥터(30)와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40)도 자루(10)에 비하여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와 제2커넥터(40)는 상대이동 가능하다. 제2커넥터(40)는 제2체결부(41)와 가압부(42)를 구비한다. 제2체결부(4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커넥터(30)의 제1체결부(32)에 나사체결된다. 가압부(42)는 제2체결부(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도면에서 점선 k로 표시된 두께로부터 점선 p로 표시된 두께까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의 내경은 점선 k와 점선 p로 표시된 두께 사이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p로 표시된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33)가 시작하는 부분은 부드럽게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41)의 나사체결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커넥터(40)를 이동시켜 제1커넥터(30)에 나사체결하면 도 5와 같이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가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를 강하게 압착시킨다. 즉, 제2커넥터(40)의 가압부(42)의 내경은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가압부(42)가 조임부(33)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커넥터(30)는 제2커넥터(40)에 의해 가압되어 자루(10)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제1커넥터(30)의 조임부(3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1체결부(32)에도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압부(42)가 회전되면서 조임부(33)와 제1체결부(32)를 가압하면 벌어져 있던 슬릿들이 닫히면서 제1커넥터(30)가 자루(10)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제1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도, 내경이 작은 가압부(42)가 조임부(33)에 억지끼움되면서 제1커넥터(30)를 자루(10)쪽으로 가압하므로 제1커넥터(30)를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역으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을 해제하면 가압부(42)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대한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제1커넥터(30)는 자루(1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다.
한편, 결합밴드(22)에 의하여 제1커넥터(30)의 외주면에 빗살부재(51)들이 밀착되었을 때,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커넥터(30)의 연결부(31)와 제1체결부(32) 사이에는 덮개부(55)가 마련된다. 덮개부(55)는 반구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부에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모아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에서는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와 제2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중앙부 정도로 하강시키면 지지판(21)과 빗살부재(51) 사이의 간섭이 적어지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재(51)는 자루(1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자세, 즉 좁은 모드로 자세 변경된다. 좁은 모드에서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1 정도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을 가정한다면 직경이 d1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를 분리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상단부로 이동시키면 지지판(21)이 빗사부재(51)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빗살부재(51)들은 자루(10)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상당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교차된다. 즉 빗살부재(51)들이 넓게 벌어지면서 제2자세인 넓은 모드로 변경된다.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2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으로 가정하면 d2의 직경을 가진다). 물론 좁은 모드에서의 d1보다 넓은 모드에서의 d2의 길이가 훨씬 길다.
넓은 모드로 변경된 후,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를 다시 결합시키면, 제1커넥터(30)가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빗자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난 빗살부재(51)들이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므로, 빗살부재(51)들은 지지판(21)을 가압한다. 따라서, 넓은 모드에서는 자루(10)와 변환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넓은 모드에서 제1커넥터(30)의 장착부(35)와 지지판(21)의 돌출부(27)가 상호 나사체결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을 완전히 위로 끌어올려 장착부(35)와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일정 정도만 끌어올릴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장착부(35)와 돌출부(27)가 상호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는 지지판(21)의 위치를 변경하여 빗살부재(51)들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는 빗살부재(51)가 자루(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각도를 넓게 형성하면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좁은 모서리를 쓸거나 힘을 많이 주어서 비질을 해야하는 경우라면 좁은 모드로 빗자루를 사용하며, 낙엽을 쓰는 경우와 같이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고자 하는 경우에는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즉, 청소해야할 대상의 상태나 영역의 특성에 따라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을 택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빗자루와 같은 생활필수품의 경우 기능이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과다한 생산비가 투입된다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1)과 제1커넥터(30) 및 제2커넥터(40)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빗자루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에 빗자루를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빗자루의 경우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은 부품수의 증대는 물론, 조립비용도 증대시키며,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도 늘어나므로 비용과 내구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기능, 경제성,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실용적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변환유닛의 일 요소로서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로 이루어지고,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하여 변환유닛을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커넥터부의 구성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변환유닛은 중공형으로 자루(10)에 끼워지는 관형의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기만 하면, 이 관형의 본체를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본 실시예에서는 제2커넥터)은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커넥터부가 반드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분할되어 있을 필요도 없으며, 커넥터부가 제1커넥터를 구비하고 제1커넥터를 자루에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계적 구성, 예컨대 핀을 홀에 끼웠다 뺐다 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로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로서 버클 구조를 이용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버클이 닫힌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에서 자루(10), 빗살부재(51), 지지판(21) 및 결합밴드(22)에 대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로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대체하여, 연결봉(70) 및 버클(80)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연결봉(70)은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자루(10)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연결봉(70)의 내경은 자루(10)의 외경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자루(10)에 연결봉(70)이 끼워진 상태로 상대이동 가능하다. 연결봉(7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빗살부재(51)들이 결합밴드(22)에 의하여 밀착된다. 그리고 연결봉(70)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빗살부재(51)들의 상단부를 모아주도록 덮개부(55)가 형성된다. 연결봉(70)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절개부(71)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봉(70)의 하단부 내경은 자루(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봉(7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장착부가 마련된다. 이 장착부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판의 돌출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나사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버클(80)은 연결봉(70)을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버클(80)은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를 구비하는 공지의 부재로서,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키의 부츠에 채용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즉,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는 각각 연결봉(70)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록킹부(82)는 제1록킹부(81)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록킹부(81) 및 제2록킹부(82)와 연결봉(70) 사이 및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버클(80)이 조여지면 풀리지 않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버클(80)은 공지의 부재로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구조이며, 이와 유사한 다양한 구조들이 채용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부(81)와 제2록킹부(8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봉(70)의 절개부(71)가 열려 있지만, 제1록킹부(81)를 회전시켜서 버클(80)을 잠그면 벌어져 있던 절개부(71)가 억지로 닫히면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연결봉(70)은 자루(10)를 조이면서 밀착되므로, 연결봉(70)과 자루(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빗자루에서도 버클(80)을 풀어서 연결봉(70)과 자루(10)를 느슨하게 만든 후 자루(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세 변경이 완료되면, 버클(80)을 조여 연결봉(70)을 자루(10)에 결합시킨 후 빗자루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연결봉과 버클을 비롯하여 다양한 결합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자루와 상대이동 가능하되, 위치가 정해진 후에는 자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홀과 버튼구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을 제1자세(좁은 모드)와 제2자세(넓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변경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자루와,
    복수의 빗살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자루의 하단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한 빗살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빗자루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변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와 빗살부재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 가능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상기 자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빗살부재들을 상기 자루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결합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빗살부재들은 상기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자루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자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제1나사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자루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조임부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슬릿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부 사이에 상기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자루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장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9. 제8항에 있어서,
    싱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와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커넥터부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는 코코넛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PCT/KR2013/008515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WO20150466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79666.4A CN105592750B (zh) 2013-09-24 2013-09-24 清扫用扫帚
US14/913,478 US9622567B2 (en) 2013-09-24 2013-09-24 Cleaning broom
PH12016500556A PH12016500556A1 (en) 2013-09-24 2016-03-28 Cleaning b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14A KR101571211B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KR10-2013-0113014 2013-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634A1 true WO2015046634A1 (ko) 2015-04-02

Family

ID=5274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515 WO2015046634A1 (ko) 2013-09-24 2013-09-24 청소용 빗자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2567B2 (ko)
KR (1) KR101571211B1 (ko)
CN (1) CN105592750B (ko)
PH (1) PH12016500556A1 (ko)
WO (1) WO2015046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96B1 (ko) * 2016-08-09 2018-08-02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CN208973689U (zh) * 2017-09-12 2019-06-14 科德宝加拉家居用品私人有限公司 一种扫帚连接头
US20240023700A1 (en) * 2021-06-23 2024-01-25 Madam Coop. Broom for cleaning with replaceable brist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51Y1 (ko) * 2000-04-11 2000-10-02 최재형 신축 가변형 빗자루
JP2002125902A (ja) *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US20040031116A1 (en) * 2002-08-15 2004-02-19 Coleman Lorenzo Jacob Combination of push broom and house broom
KR20100004607U (ko) * 2008-10-27 2010-05-07 송효숙 빗자루
KR20120031570A (ko)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접이식 빗자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9455A (en) * 1958-02-24 1962-04-17 Siculan Daniel Combination broom and dust pan
KR950003962Y1 (ko) 1993-04-16 1995-05-18 박국서 도로청소용 비
US5375288A (en) * 1993-10-01 1994-12-27 Seagren; Eric H. Round head broom
GB2367486B (en) * 2000-10-04 2003-11-12 Michael Howells A dual purpose broom
US20070101529A1 (en) 2005-11-09 2007-05-10 Lloyd Garcia Adjustable bristle broom
CN2922768Y (zh) * 2006-06-14 2007-07-18 方宏 帚头、帚杆可伸缩的扫帚
CN201029848Y (zh) * 2007-03-14 2008-03-05 曹静 延展式扫帚
KR101048270B1 (ko) * 2008-07-04 2011-07-12 (주)삼성컨트롤밸브 엔진의 성능테스트 장치
CN102342807A (zh) * 2010-08-03 2012-02-08 白景兰 一种扫帚
CN201905829U (zh) * 2010-12-16 2011-07-27 管峰 可伸展式笤帚
CN202055215U (zh) * 2011-01-06 2011-11-30 张晨 新型扫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51Y1 (ko) * 2000-04-11 2000-10-02 최재형 신축 가변형 빗자루
JP2002125902A (ja) *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US20040031116A1 (en) * 2002-08-15 2004-02-19 Coleman Lorenzo Jacob Combination of push broom and house broom
KR20100004607U (ko) * 2008-10-27 2010-05-07 송효숙 빗자루
KR20120031570A (ko)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접이식 빗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2750A (zh) 2016-05-18
KR101571211B1 (ko) 2015-11-24
KR20150033255A (ko) 2015-04-01
PH12016500556A1 (en) 2016-05-23
US20160198840A1 (en) 2016-07-14
US9622567B2 (en) 2017-04-18
CN105592750B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6634A1 (ko) 청소용 빗자루
US7634839B2 (en) Pliable handle
CA1120511A (en) Apparatus for physical culture and physiotherapy
WO2018030724A1 (ko) 청소용 빗자루
US9861186B2 (en) Adaptable brush
WO2014065599A1 (ko) 밀대청소기
GB2393905A (en) Cord hair binder with replaceable decoration
WO2012044018A2 (ko) 등산용 지팡이 완충장치
CN214328240U (zh) 一种便携式衣物除毛器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US20120117743A1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WO2022270652A1 (ko) 빗살 교체가 가능한 청소용 빗자루
US10569598B1 (en) Paint brush and roller handle coupler
USD506907S1 (en) Grounding tool with locking mechanism for removing spark plug boot
CN215579287U (zh) 一种高安全性的电线组件
JPH0349529Y2 (ko)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CN212326305U (zh) 一种扫把及扫把簸箕组合装置
CN210520360U (zh) 一种便于更换刷头刷板的牙刷
CN211787728U (zh) 一种学前儿童心理健康教育教具
CN216165844U (zh) 一种可换刷头的浴刷
CN214782818U (zh) 一种新型操作便捷的裁床用鬃毛砖
CA3071406A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yard waste and kit for assembly thereof
CN220236130U (zh) 一种吸汗排湿式松紧带
CN209073045U (zh) 一种应用于花卉大棚的弧形连接管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40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1347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40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