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79B1 -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79B1
KR102457779B1 KR1020210023636A KR20210023636A KR102457779B1 KR 102457779 B1 KR102457779 B1 KR 102457779B1 KR 1020210023636 A KR1020210023636 A KR 1020210023636A KR 20210023636 A KR20210023636 A KR 20210023636A KR 102457779 B1 KR102457779 B1 KR 10245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op
connecting member
selectivel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024A (ko
Inventor
김제훈
Original Assignee
김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훈 filed Critical 김제훈
Priority to KR102021002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79B1/ko
Priority to PCT/KR2022/002494 priority patent/WO2022177384A1/ko
Publication of KR2022012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포가 부착되는 베이스판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하여 밀대 걸레를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빗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Push mop with optional fixation}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포가 부착되는 베이스판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도구는 집안이나 사무실 등의 생활공간을 청소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 청소하는 진공청소기와, 스팀을 통해 걸레를 가열하여 바닥의 찌든 때를 용이하게 청소하는 스팀청소기 및 저면에 부착된 걸레 또는 청소포를 밀고 당기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밀대 걸레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밀대 걸레는 걸레 또는 청소포를 밀대의 본체 바닥에 부착한 상태에서 자루를 이용하여 밀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걸레 또는 청소포를 본체의 바닥에 부착하여 여러 장소의 바닥면, 벽면 등을 청소할 시에 사용되는 청소도구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20-0376049호(실) 상부에 손잡이부가 구비된 자루와, 자루의 하부에 결합되는 걸레 지지수단과 상기 걸레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걸레포로 구성된 밀대걸레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 결합공이 구비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서 직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단부의 내측면 하부에 회전 축 돌기가 구비된 지지대로 구성된 ‘┌┐’자 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대 내측에 결합되고 전, 후면 상단에 수매직테이프면이 장착되며, 전, 후면의 표면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면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의 회전 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된 판 형의 걸레판과; 상기 걸레판을 감싸며 걸레판 전, 후면상의 수매직테이프면에 각 단부의 내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착탈식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지구를 중심으로 걸레판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걸레판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레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걸레판을 고정시켜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워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야 할 경우,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해야 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하여 밀대 걸레를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빗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포함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의 일 측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 형성되되 베이스판이 상기 연결부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관통홀 및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의하면, 청소포를 부착하여 실내 및 실외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이 필요할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켜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밀대 걸레질과 빗질을 간편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2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6은 도 5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3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4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5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6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B ㅡ B')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7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8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9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0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C ㅡ C')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1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D ㅡ D')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2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본 발명은 청소포가 부착되는 베이스판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걸레는 베이스판(100), 연결부재(200) 및 손잡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하기될 연결부재(200)의 연결부(210a) 또는 회동축(210b)에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포는 종래의 일반적인 물을 흡수하여 바닥, 벽면 및 천장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걸레, 헝겊, 행주 및 청소포 등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청소포가 베이스판(100)에 탈, 부착되는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홈 끼움구조, 벨크로 구조 등 다양한 탈, 부착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0)을 고정시켜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으로 청소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쓸거나 긁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연결부(210a)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00)가 포함된 밀대 걸레 고정부(40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실시 예 1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일 측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a)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a)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a)과, 상기 관통홀(410a) 및 삽입홈(420a)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a)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30a)가 상기 관통홀(410a) 및 삽입홈(420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a) 및 삽입홈(420a)으로 고정부재(430a)를 삽입하여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2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일 측에 내삽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410b)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410b)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410b)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삽입홈(42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410b)가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10b)가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드부재(410b)의 일 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삽임홈(420b)에 삽입될 시에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름버튼(410c)과,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누름버튼(410c)의 조작에 따라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누름버튼(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버튼(410c)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버튼삽입홈(420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버튼(410c)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양한 버튼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누름버튼(410c)의 단부가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410c)이 평상시에는 누름버튼(410c)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누름버튼삽입홈(420c)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름버튼(410c)을 한 번 누름 할 시에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누름버튼(410c)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누름버튼삽입홈(420c)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한 번 더 누름 할 시에는 상기 누름버튼(410c)이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누름버튼(410c)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누름버튼삽입홈(420c)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210a)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상기 연결부(210a)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된 부분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누름버튼(410d)과,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축누름버튼(410d)의 조작에 따라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축누름버튼(410d)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누름버튼삽입홈(420d)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누름버튼(410d)은 상기 누름버튼(410c)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축누름버튼삽입홈(420d)에 삽입되는 상기 축누름버튼(410d)의 일 측 단부의 형상은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 측 단부의 외주 일 측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누름버튼삽입홈(420d)에 삽입될 시에 축누름버튼(410d)이 축누름버튼삽입홈(420d)의 내측에 걸림 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따라 회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210a)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연결부(210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e)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e)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삽입홈(420e)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측 단부의 일 측이 상기 연결부(210a)의 내측으로 내삽되어 상기 연결부(210a)와 축 결합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e)가 조작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재삽입홈(420e)에 삽입되거나 고정부재삽입홈(420e)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6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하는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및 후면부 일 측에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7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를 회전시켜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상기 고정부(400)가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일 측에 위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와 맞닿을 시,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상기 고정부(400)가 구성될 시에는 상기 각각의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400)는 회전에 따라 일 측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에 위치되거나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중앙부에는 전, 후면으로 관통되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0재(200)는,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회동축(210b)과, 상기 회동축(210b)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부 일 측에 손잡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연장부(220b)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회동축(210b) 및 연장부(220b)로 구성되는 연결부재(200)가 포함된 밀대 걸레 고정부(40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실시 예 8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일 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f)과,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f)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f)과, 상기 관통홀(410f) 및 삽입홈(420f)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f)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30f)가 상기 관통홀(410f) 및 삽입홈(420f)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f) 및 삽입홈(420f)으로 고정부재(430f)를 삽입하여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9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10b)은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내삽되어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내삽되는 회동축(210b)의 외주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g)과, 상기 회동축(210b)이 내삽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g)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g)과, 상기 관통홀(410g) 및 삽입홈(420g)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g)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축(210b)의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각각 내삽되어 축 결합될 시에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내삽된 회동축(210b)의 외주에 관통홀(410g)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410g)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삽입홈(420g)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420g) 및 관통홀(410g)로 고정부재(430g)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10
도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일 측에 내삽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회동축(210b)의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410h)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회동축(210b)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410h)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410h)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삽입홈(420h)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410h)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동축(210b)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10h)가 상기 회동축(210b)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드부재(410h)의 일 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삽입홈(420h)에 삽입될 시에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11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하는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및 후면부 일 측에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12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를 회전시켜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상기 고정부(400)가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일 측에 위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와 맞닿을 시,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상기 고정부(400)가 구성될 시에는 상기 각각의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400)는 회전에 따라 일 측 단부가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에 위치되거나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의하면, 청소포를 부착하여 실내 및 실외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이 필요할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켜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밀대 걸레질과 빗질을 간편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10 : 절개부
200 : 연결부재
210a : 연결부
210b : 회동축
220b : 연장부
300 : 손잡이부
400 : 고정부
410a : 관통홀 420a : 삽입홈 430a : 고정부재
410b : 슬라이드부재 420b : 슬라이드부재삽입홈
410c : 누름버튼 420c : 누름버튼삽입홈
410d : 축누름버튼 420d : 축누름버튼삽입홈
410e : 고정부재 420e : 고정부재삽입홈
410f : 관통홀 420f : 삽입홈 430f : 고정부재
410g : 관통홀 420g : 삽입홈 430g : 고정부재
410h : 슬라이드부재 420h : 슬라이드부재삽입홈

Claims (16)

  1.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일 측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a)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a)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a)과,
    상기 관통홀(410a) 및 삽입홈(420a)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름버튼(410c)과,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누름버튼(410c)의 조작에 따라 연결부재(200) 또는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누름버튼(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버튼(410c)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버튼삽입홈(420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7.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210a)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상기 연결부(210a)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된 부분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누름버튼(410d)과,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축누름버튼(410d)의 조작에 따라 연결부(210a)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축누름버튼(410d)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누름버튼삽입홈(420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8.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210a)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일 측 단부를 연결부(210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e)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축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e)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삽입홈(420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9.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 끝 단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양 끝 단부에 하부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연결부(210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연결부(210a)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0. 삭제
  11.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중앙부에는 전, 후면으로 관통되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회동축(210b)과,
    상기 회동축(210b)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부 일 측에 손잡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연장부(2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일 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f)과,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f)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f)과,
    상기 관통홀(410f) 및 삽입홈(420f)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10b)은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내삽되어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내삽되는 회동축(210b)의 외주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10g)과,
    상기 회동축(210b)이 내삽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되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관통홀(410g)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0g)과,
    상기 관통홀(410g) 및 삽입홈(420g)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0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일 측에 내삽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회동축(210b)의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410h)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회동축(210b)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410h)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410h)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삽입홈(420h)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회동축(210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를 회전시켜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부 일 측 또는 후면부 일 측 또는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KR1020210023636A 2021-02-22 2021-02-22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KR10245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36A KR102457779B1 (ko) 2021-02-22 2021-02-22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PCT/KR2022/002494 WO2022177384A1 (ko) 2021-02-22 2022-02-21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36A KR102457779B1 (ko) 2021-02-22 2021-02-22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24A KR20220120024A (ko) 2022-08-30
KR102457779B1 true KR102457779B1 (ko) 2022-10-21

Family

ID=8293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36A KR102457779B1 (ko) 2021-02-22 2021-02-22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7779B1 (ko)
WO (1) WO202217738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640A (ja) * 2000-07-04 2002-01-22 Teramoto Corp 清掃用具のヘッドホルダ
KR200305843Y1 (ko) * 2002-11-21 2003-03-03 주식회사 포비 자루걸레
US20080016638A1 (en) * 2006-07-18 2008-01-24 Cameron Ray Morris Mop Assembly With Reversible Head
KR102041877B1 (ko) * 2019-04-26 2019-11-06 김제훈 다기능 밀대 걸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16B1 (ko) * 2008-12-19 2011-09-07 삼정크린마스터(주) 밀걸레 청소도구용 걸레 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640A (ja) * 2000-07-04 2002-01-22 Teramoto Corp 清掃用具のヘッドホルダ
KR200305843Y1 (ko) * 2002-11-21 2003-03-03 주식회사 포비 자루걸레
US20080016638A1 (en) * 2006-07-18 2008-01-24 Cameron Ray Morris Mop Assembly With Reversible Head
KR102041877B1 (ko) * 2019-04-26 2019-11-06 김제훈 다기능 밀대 걸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384A1 (ko) 2022-08-25
KR20220120024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4791A1 (en) Combination handle and extension handle kit for cleaning implements
US5071489A (en) Floor cleaner using disposable sheets
US20090223007A1 (en) Combination cleaning utensil and dustpan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200602305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leaning device
US20230255437A1 (en) Multifunctional push-pull mop
EP2230982B1 (en) Capture and removal cleaning system
US5655250A (en) Floor cleaning implement
US20070089255A1 (en) Kit for multi-piece floor cleaning implement
US20090097907A1 (en) System for detachably connecting mop heads, mop pads, and the like
KR102457779B1 (ko)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WO2013120094A1 (en) Wet and dry disposable cloth sweeper
JP2021512655A (ja) 清掃用具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JP3917580B2 (ja) 綿布雑巾掃除機
KR20240025391A (ko)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US20220104609A1 (e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leaning implements
KR200455515Y1 (ko)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KR20210089939A (ko) 탄성복원력을 갖는 청소도구
WO1995027433A1 (en) A cleaning arrangement for surfaces
JPH1052386A (ja)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JP3241196U (ja) 多機能フラットモップ
US20070240270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KR102625838B1 (ko) 벨크로가 구비된 부직포용 연결패드
US20220386837A1 (en) Universal accessory for enhancing floor cleaning and hair trapping for a plurality of vacuum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