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391A -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391A
KR20240025391A KR1020220103596A KR20220103596A KR20240025391A KR 20240025391 A KR20240025391 A KR 20240025391A KR 1020220103596 A KR1020220103596 A KR 1020220103596A KR 20220103596 A KR20220103596 A KR 20220103596A KR 20240025391 A KR20240025391 A KR 2024002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ixing member
fixing
selectively
m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훈
Original Assignee
김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훈 filed Critical 김제훈
Priority to KR102022010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391A/ko
Priority to PCT/KR2022/012425 priority patent/WO2024038935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3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포의 부착이 가능한 베이스판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베이스판 또는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밀대 걸레를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빗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Push mop with optional fixation}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포의 부착이 가능한 베이스판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도구는 집안이나 사무실 등의 생활공간을 청소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 청소하는 진공청소기와, 스팀을 통해 걸레를 가열하여 바닥의 찌든 때를 용이하게 청소하는 스팀청소기 및 저면에 부착된 걸레 또는 청소포를 밀고 당기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밀대 걸레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밀대 걸레는 걸레 또는 청소포를 밀대의 본체 바닥에 부착한 상태에서 자루를 이용하여 밀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걸레 또는 청소포를 본체의 바닥에 부착하여 여러 장소의 바닥면, 벽면 등을 청소할 시에 사용되는 청소도구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20-0376049호(실) 상부에 손잡이부가 구비된 자루와, 자루의 하부에 결합되는 걸레 지지수단과 상기 걸레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걸레포로 구성된 밀대걸레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 결합공이 구비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서 직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단부의 내측면 하부에 회전 축 돌기가 구비된 지지대로 구성된 ‘┌┐’자 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대 내측에 결합되고 전, 후면 상단에 수매직테이프면이 장착되며, 전, 후면의 표면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면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의 회전 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된 판 형의 걸레판과; 상기 걸레판을 감싸며 걸레판 전, 후면상의 수매직테이프면에 각 단부의 내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착탈식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지구를 중심으로 걸레판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걸레판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레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걸레판을 고정시켜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워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야 할 경우,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해야 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베이스판 또는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밀대 걸레를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빗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포함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베이스판 또는 연결부재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의하면, 베이스판 또는 베이스판에 청소포를 부착하여 실내 및 실외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이 필요할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밀대 걸레질과 빗질을 간편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5는 도 4의 (A ㅡ A')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1의 구성 중 홈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7은 도 6의 (B ㅡ B')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2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9는 도 6의 (C ㅡ C')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3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4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5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밀대 걸레의 실시 예 6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면도)
본 발명은 청소포의 부착이 가능한 베이스판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하는 베이스판을 고정부로 고정하여 고정된 베이스판으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 빗질과 같은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베이스판(100) 또는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걸레는 베이스판(100), 연결부재(200) 및 손잡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일 측에 청소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하기될 연결부재(200)의 회동축(210)에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포는 종래의 일반적인 물을 흡수하여 바닥, 벽면 및 천장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걸레, 헝겊, 행주 및 청소포 등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청소포가 베이스판(100)에 탈, 부착되는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홈 끼움구조, 벨크로 구조 등 다양한 탈, 부착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베이스판(100) 또는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0)을 고정시켜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하부면으로 청소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쓸거나 긁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중앙부에는 전, 후면으로 관통되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회동축(210)과, 상기 회동축(21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부 일 측에 손잡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연장부(22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실시 예 1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를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400)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와 이격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에 밀착시켜 걸레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400)를 이동시켜 고정부(400)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각각 위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걸림 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a)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410a)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고정부재(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a)는 고정부재(410a)를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킬 시, 일 측 끝 단부 및 타 측 끝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각각 위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고정부재(430)는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고정부재(410a)가 상기 연장부(220)로부터 이격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있거나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각각 위치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a)가 기타 외부요인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고정부재(430)는 상기 고정부재(410a)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정부재(410a)의 이동을 제한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고정부재(430)가 고정부재(410a)가 구성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보조고정부재(430)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고정부재(410a)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410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는 고정부재(410a)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재(430)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를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위치된 후에는 상기 보조고정부재(4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부재(410a)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상기 연장부(22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223)가 각각 내삽 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타 측에는 상기 고정부재(410a)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각각 위치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a)의 일 측 끝 단부 및 타 측 끝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부(440)가 구성된다.
실시 예 2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연장부(220)의 삽입부(420b)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b)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b)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b)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부(42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420b)는 상기 연장부(220)의 일 측에 내삽 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연장부(22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410b)를 이동시켜 고정부재(410b)의 일 측 단부를 상기 삽입부(420b)에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간편하게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10b)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된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3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을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상기 연장부(220)를 향해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된 고정부(400)의 일 측에는 보조고정부재(430)가 연결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43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400)를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부(400)를 이동시켜 고정부(4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각각 위치될 시에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에 걸림 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연장부(220)의 삽입부(420c)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c)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c)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부(42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420c)는 상기 연장부(220)의 일 측에 내삽 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연장부(22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420c)가 상기 연장부(22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시, 상기 연장부(220)의 타 측에 인접한 베이스판(100)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부(420c)의 일 측으로 삽입되어 관통하는 고정부재(410c)의 끝 단부가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홈부(45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410c)를 이동시켜 고정부재(410c)의 일 측 단부를 상기 삽입부(420c)에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간편하게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10c)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된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5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일 측에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d)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d)의 조작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고정부재(410d)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홈(420d)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10d)를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부재(410d)의 일 측 단부를 상기 삽입홈(420d)에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간편하게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10d)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된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 예 6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회동축(210)의 관통부(420e)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e)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c)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축(210)의 일 측에 회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420e) 및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관통부(420e)로 삽입되며 회동축(210)을 관통하는 고정부재(410e)의 끝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홈부(4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10e)를 이동시켜 고정부재(410e)의 일 측 단부를 상기 관통부(420e) 일 측으로 삽입하여 고정부재(410e)의 끝 단부가 상기 고정홈부(4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부(460)로 인해 고정된 고정부재(410e)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된 베이스판(100)을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에 의하면, 베이스판 또는 베이스판에 청소포를 부착하여 실내 및 실외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베이스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닥면, 벽면, 천장 등에 밀착시켜 걸레질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청소면을 쓸거나 긁어내는 등의 빗질이 필요할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빗질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별도의 빗자루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밀대 걸레질과 빗질을 간편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10 : 절개부
200 : 연결부재
210 : 회동축
220 : 연장부
223 : 홈부
300 : 손잡이부
400 : 고정부
410a : 고정부재
410b : 고정부재 420b : 삽입부
410c : 고정부재 420c : 삽입부
410d : 고정부재 420d : 삽입홈
410e : 고정부재 420e : 관통부
430 : 보조고정부재
440 : 마감부
450 : 보조홈부
460 : 고정홈부

Claims (10)

  1. 청소면에 있는 각종 물질과 물체를 쓸어서 모으거나 긁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이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가 포함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밀대 걸레에는,
    상기 베이스판(100) 또는 연결부재(200)에 연결 구성되어 회동하는 베이스판(1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 중앙부에는 전, 후면으로 관통되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양 끝 단부가 상기 절개부(110)의 내측 양 끝 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회동축(210)과,
    상기 회동축(21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부 일 측에 손잡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연장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를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a)와,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410a)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고정부재(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연장부(220)의 삽입부(420b)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b)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b)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b)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부(4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400)의 일 측을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로 이동시켜 상기 연장부(220)의 전, 후면부 일 측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연장부(220)의 삽입부(420c)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c)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c)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부(42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일 측에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d)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d)의 조작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고정부재(410d)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는 삽입홈(420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내삽 되어 구성되되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누름하여 회동축(210)의 관통부(420e)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410e)와,
    상기 베이스판(100)이 상기 손잡이부(300)와 평행을 유지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410c)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재(410c)의 일 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축(210)의 일 측에 회동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420e) 및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관통부(420e)로 삽입되며 회동축(210)을 관통하는 고정부재(410e)의 끝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홈부(4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KR1020220103596A 2022-08-18 2022-08-18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KR20240025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96A KR20240025391A (ko) 2022-08-18 2022-08-18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PCT/KR2022/012425 WO2024038935A1 (ko) 2022-08-18 2022-08-19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96A KR20240025391A (ko) 2022-08-18 2022-08-18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391A true KR20240025391A (ko) 2024-02-27

Family

ID=8994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596A KR20240025391A (ko) 2022-08-18 2022-08-18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5391A (ko)
WO (1) WO20240389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66Y1 (ko) * 1997-11-17 2003-01-03 우길만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US6889917B2 (en) * 2003-03-10 2005-05-10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device with universal motion quick disconnect head
WO2011097176A2 (en) * 2010-02-02 2011-08-11 Diversey, Inc. Articulated floor tool with lock
KR101147814B1 (ko) * 2010-06-25 2012-05-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대걸레
KR20210089939A (ko) * 2020-01-09 2021-07-19 김제훈 탄성복원력을 갖는 청소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8935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4791A1 (en) Combination handle and extension handle kit for cleaning implements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5323506A (en) Bathtub scrubbing implement
US20070119009A1 (en) Mop with insert
US8607400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US11805958B2 (en) Multifunctional push-pull mop
US20120180236A1 (en) Mop
US8296895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KR200479959Y1 (ko) 밀대형 청소기
US10188258B2 (en) Multi-function cleaning tool
US2858559A (en) Dusting mop for use over floor brush
US20090097907A1 (en) System for detachably connecting mop heads, mop pads, and the like
US8407847B1 (en) Wet and dry disposable cloth sweeper
KR20240025391A (ko)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CA2921747A1 (en) Broom stick and mop adapter apparatus
JP2021512655A (ja) 清掃用具
KR100893462B1 (ko) 다면 분할 활용식 밀대청소기
KR102457779B1 (ko)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밀대 걸레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JPH1052386A (ja)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JP4365231B2 (ja) 柄付き清掃具
KR20210089939A (ko) 탄성복원력을 갖는 청소도구
JP3241196U (ja) 多機能フラットモップ
KR102625838B1 (ko) 벨크로가 구비된 부직포용 연결패드
JP2001078941A (ja) 合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