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66A - 파손방지용 구이기 - Google Patents
파손방지용 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5866A KR20120115866A KR1020110033436A KR20110033436A KR20120115866A KR 20120115866 A KR20120115866 A KR 20120115866A KR 1020110033436 A KR1020110033436 A KR 1020110033436A KR 20110033436 A KR20110033436 A KR 20110033436A KR 20120115866 A KR20120115866 A KR 201201158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p tray
- oil
- food
- fir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방지용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놓여져 불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이 배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과 배수구가 형성되는 불판과, 중앙부분으로 관통홈이 형성되고 관통홈의 주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과, 수분이나 기름이 수집되는 기름통, 기름통의 상측부분으로 다수개의 타공홀과 돔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상측으로 테두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의 경사벽에 밀착되는 경사테두리와 상기 경사테두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돔형태의 돌출돔과 상측으로 돔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을 중앙으로 수집하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내부홈이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불판이 위치되는 불조절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수집하는 불조절부와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분, 기름 등을 수집하는 기름받이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에 수집되는 기름에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름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의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기름받이와 불조절부를 별도로 교체,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수집하는 불조절부와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분, 기름 등을 수집하는 기름받이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에 수집되는 기름에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름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의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기름받이와 불조절부를 별도로 교체,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손방지용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을 불을 이용하여 조리할 때, 음식물이 올려지는 불판을 지지하는 기름받이와 불을 모아주는 불조절부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줄이고 불판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열에 의해 기름받이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파손방지용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이기는 고기 등이 올려지는 불판과 상기 불판을 지지하며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 등을 수집하는 기름받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불판에는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홈을 통해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 등이 흘러내려 불판을 지지하는 기름받이로 흘러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용이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이 퍼지지 않도록 기름받이에 불을 중앙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불수집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이 불수집부를 통해 중앙으로 모여지면서 불판을 달구어 고기 등을 익히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기름받이와 불수집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이 불수집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기름받이로 바로 전달되면서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에도 열기가 전달되어 불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수집부에서 기름받이로 바로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기름받이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기름받이가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덧붙여, 불수집부가 불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거나 파손되어 교체하거나 보수해야할 경우, 불수집부는 물론 기름받이도 같이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파손방지용 구이기는 음식물이 놓여져 불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이 배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과 배수구가 형성되는 불판과, 중앙부분으로 관통홈이 형성되고 관통홈의 주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과, 수분이나 기름이 수집되는 기름통, 기름통의 상측부분으로 다수개의 타공홀과 돔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상측으로 테두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의 경사벽에 밀착되는 경사테두리와 상기 경사테두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돔형태의 돌출돔과 상측으로 돔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을 중앙으로 수집하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내부홈이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불판이 위치되는 불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수집하는 불조절부와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분, 기름 등을 수집하는 기름받이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에 수집되는 기름에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름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의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기름받이와 불조절부를 별도로 교체,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불조절부가 고정되는 기름받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거치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기름받이에 불조절부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불조절부에 돔형태의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여 불조절부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불조절부로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불판 등으로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부 등에 의해 기름받이와 불조절부의 접촉면적을 줄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기름받이와 불판 등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 등을 용이하게 기름받이로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기름받이에도 돔형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의해 불조절부와 불판의 접촉면적을 줄여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을 불조절부로 전달될 때, 불조절부에서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기름받이에 물을 채우지 않아도 되며, 기름받이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름받이에 접촉하였을 때 사용자가 불에 의한 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기름받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5는 본 발명의 불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기름받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5는 본 발명의 불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파손방지용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손방지용 구이기(5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10), 기름받이(20), 불조절부(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불판(10)은 음식물이 놓여져 불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이 배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11)과 배수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20)는 중앙부분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1)의 주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22)과, 수분이나 기름이 수집되는 기름통(23), 상기 기름통(23)의 상측부분으로 다수개의 타공홀(24)과 돔형태의 돌출부(25)가 형성된 거치판(26), 상기 거치판(26)의 상측으로 테두리(27)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불조절부(30)는 상기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에 밀착되는 경사테두리(31)와 상기 경사테두리(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돔형태의 돌출돔(32)과 하측으로 돔형태의 오목부(33)가 형성되는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을 중앙으로 수집하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되는 조절부(35)와, 상기 조절부(35)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내부홈(36)이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37)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불판(10)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불판(10)의 중앙으로 불조절부(30)의 측벽(37)과 대응되는 홈(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과 불조절부(30)의 경사테두리(31), 측벽(37)은 110°~ 140°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불조절부(30)의 조절부(35)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레스(도면에 미도시)나 주조(도면에 미도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불판(10), 기름받이(20), 불조절부(30)를 제작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기 등과 같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화로(도면에 미도시)에 기름받이(2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기름받이(2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21)의 주위에 형성되는 경사벽(22)에 불조절부(30)의 경사테두리(31)가 밀착되도록 하거나 경사테두리(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대(34)의 오목부(33)가 하늘을 향하도록 하고, 돌출돔(32)이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에 올려지도록 하여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올려놓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과 불조절부(30)의 경사테두리(31)가 110°~ 14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불조절부(30)가 흔들리지 않게 되며, 상기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를 장시간 사용하여 경사벽(22)과 경사테두리(31)가 중력방향과 동일하게 수직형태로 구부러지더라도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에 불조절부(30)의 지지대(34)에 형성된 돌출돔(32)을 거치시시켜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결합할 수도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경사벽(22)과 경사테두리(31)를 밀착시켜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를 결합시키거나, 경사벽(22)에 지지대(34)의 돌출돔(32)을 거치시켜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를 고정시키게 되면,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가 최소한의 밀착면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덧붙여, 상기 불조절부(30)의 지지대(34)에는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목부(33)는 화로에서 불조절부(30)로 전달되는 열이 오목부(33)를 통해 외부로 발산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33)를 돌출돔(32)과 같이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평편한 평면으로 형성되면 외부의 공기와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외부로 열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불조절부(30)로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최소한으로 발산되도록 외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고 그 열이 다시 불조절부(30)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불조절부(30)에 형성되는 조절부(35)의 상측으로 불판(10)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불판(10)의 중앙으로 홈(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는 불판(10)의 중앙하측이 불조절부(30)에 형성된 측벽(37)에 놓여지도록 하고, 불판(10)의 중앙으로 홈(13)을 형성하였을 때는 불판(10)의 홈(13)으로 측벽(37)이 삽입되도록 하여, 불조절부(30)에 불판(10)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불판(10)에 홈(13)을 형성하여 불조절부(30)에 불판을 위치시키게 되면, 조절부(35)에 불판(10)이 놓여지게 되면서 불판(10)과 불조절부(30)의 밀착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불판(10)으로 보다 많은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위치시키고, 상기 불조절부(30)의 상측으로 불판을 위치시킨 후, 화로를 작동시키고 불판(10)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린 후 조리하게 된다.
그러면,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에 의한 열이 기름받이(20)의 관통홈(21)을 지나 상기 불조절부(30)의 조절부(35)를 통해 중앙으로 집중되면서 내부홈(36)을 통해 불판(10)으로 전달되거나 내부홈(36)의 주위로 형성된 측벽(37)을 타고 불판(10)으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불조절부(30)의 측벽(37)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화로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중앙으로 더욱 용이하게 집중될 수 있게 되며, 불판(10)에 홈을(13)을 형성할 경우 불조절부(30)와 불판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37)에 의해 불조절부(30)에 불판(10)이 쉽게 결합되며 측벽(37)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불판(10)으로 열이 용이하게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불판(10)으로 열이 전달되게 되어 불판(10)에 올려진 음식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면서 음식물에서 열에 의한 수분이나 기름 등이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그 수분이나 기름 등이 불판(10)에 형성된 배수구(12)를 따라 불판(10)의 외측방향으로 흐르다가 배수홈(11)을 통해 불판의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불판(10)에서 배수홈(11)을 통해 하측으로 흐르던 수분이나 기름이 기름받이(20)의 거치판(26)에 형성된 타공홀(24)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위치시키고 그 상측으로 불판(10)을 위치시키게 되었을 때, 불판(10)이 기름받이(20)의 거치판(26)이나 테두리(27)와 접촉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불조절부(30)의 조절부(35)의 높이를 높게 하도록 하는데, 조절부(35)의 높이가 낮아 불판(10)이 기름받이(20)의 거치판(26) 등에 직접 닿게 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거치판(26)에는 돔형태의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25)에 불판(10)이 점접촉형태로 접촉하게 되어, 기름받이(20)와 불판(1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화로와 불조절부(20)를 통해 불판(10)으로 전달되는 열이 기름받이(20)로 최소한으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불판의 배수구(12)와 배수홈(11)을 통해 기름받이(20)의 거치판(26)으로 이동된 기름이나 수분이 거치판(26)에 형성된 타공홀(24)로 흘러 다시 기름통(23)으로 수집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름통(23)에 물을 채울 수 있는데, 기름통(23)에 물을 채우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불조절부(30)에서 용이하게 중앙으로 집중하며, 불조절부(30)로 전달되는 열이 불판(10)으로 최대한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불조절부(30)와 기름받이(20)의 접촉면적을 줄여 기름받이(2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함으로써, 기름받이(20)가 열에 의해 내구성 등이 감소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사용자가 화로사용시 기름받이(20)에 신체가 접촉되었을 때, 화상과 같은 신체의 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불조절부(30)의 측벽(37)을 평면형태가 아닌 곡면형태로 형성하게 되어 불판(10)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불판(10)으로 용이하게 열이 전달됨은 물론, 불판(10)이 측벽(37)에 의해 기름받이(20)와 이격되어 불판(10)과 기름받이(20)의 접촉면적을 줄여 기름받이(2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과 불조절부(30)의 경사테두리(31)를 110°~ 140°의 각도로 형성하여 기름받이(20)에 불조절부(30)를 위치시켰을 때, 기름받이(20)에서 불조절부(3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기름받이(20)와 불조절부(30)의 접촉면적을 경사벽(22)과 경사테두리(31)의 면적만큼만 접촉되게 됨으로써, 화로에서 불조절부(30)에서 기름받이(2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에 불조절부(30)의 돌출돔(32)이 접촉되도록 조절하게 되면, 경사벽(22)과 돌출돔(32)이 점접촉으로 접촉됨으로써 화로에서 불조절부(30)를 통해 기름받이(2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기름받이(20)의 파손을 예방하며, 기름받이(20)로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기름받이(20)의 기름통(23)에 물 등을 채우지 않아도 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불조절부(30)의 오목부(33)를 통해 불조절부(30)와 외부의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불조절부(30)에서 외부로 나가는 열을 줄여 열효율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불조절부(30)의 조절부(35)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불판(10)과 기름받이(20)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측벽(37)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화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중앙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불판(10)과 불조절부(3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10 : 불판 11 : 배수홈
12 : 배수구 20 : 기름받이
21 : 관통홈 22 : 경사벽
23 : 기름통 24 : 타공홀
25 : 돌출부 26 : 거치판
27 : 태두리 30 : 불조절부
31 : 경사테두리 32 : 돌출돔
33 : 오목부 34 : 지지대
35 : 조절부 36 : 내부홈
37 : 측벽
50 : 파손방지용 구이기
12 : 배수구 20 : 기름받이
21 : 관통홈 22 : 경사벽
23 : 기름통 24 : 타공홀
25 : 돌출부 26 : 거치판
27 : 태두리 30 : 불조절부
31 : 경사테두리 32 : 돌출돔
33 : 오목부 34 : 지지대
35 : 조절부 36 : 내부홈
37 : 측벽
50 : 파손방지용 구이기
Claims (4)
- 음식물이 놓여져 불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이 배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11)과 배수구(12)가 형성되는 불판(10);
중앙부분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1)의 주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22)과, 수분이나 기름이 수집되는 기름통(23), 상기 기름통(23)의 상측부분으로 다수개의 타공홀(24)과 돔형태의 돌출부(25)가 형성된 거치판(26), 상기 거치판(26)의 상측으로 테두리(27)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기름받이(20);
상기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에 밀착되는 경사테두리(31)와 상기 경사테두리(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돔형태의 돌출돔(32)과 상측으로 돔형태의 오목부(33)가 형성되는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을 중앙으로 수집하는 단면이 "ㄱ"자로 형성되는 조절부(35)와, 상기 조절부(35)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내부홈(36)이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37)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불판(10)이 위치되는 불조절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파손방지용 구이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10)의 중앙으로 불조절부(30)의 측벽(37)과 대응되는 홈(13)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파손방지용 구이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20)의 경사벽(22)과 불조절부(30)의 경사테두리(31), 측벽(37)은 110°~ 140°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파손방지용 구이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조절부(30)의 조절부(35)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파손방지용 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436A KR20120115866A (ko) | 2011-04-11 | 2011-04-11 | 파손방지용 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436A KR20120115866A (ko) | 2011-04-11 | 2011-04-11 | 파손방지용 구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5866A true KR20120115866A (ko) | 2012-10-19 |
Family
ID=4728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3436A KR20120115866A (ko) | 2011-04-11 | 2011-04-11 | 파손방지용 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586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4137A (zh) * | 2017-06-28 | 2017-09-19 | 浙江安派餐饮设备有限公司 | 烤串炉防油套 |
-
2011
- 2011-04-11 KR KR1020110033436A patent/KR20120115866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4137A (zh) * | 2017-06-28 | 2017-09-19 | 浙江安派餐饮设备有限公司 | 烤串炉防油套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026041A1 (ko) | 고기구이용 불판 | |
US20090101024A1 (en) | Griddle for cooking and preparing foods | |
KR20120115866A (ko) | 파손방지용 구이기 | |
KR101135662B1 (ko) | 구이용 불판 | |
KR101321525B1 (ko) | 구이용 불판 | |
KR20110104821A (ko) |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 |
KR200474594Y1 (ko) | 구이용 불판 | |
KR101346289B1 (ko) | 구이판 | |
KR20190093916A (ko) | 구이용 불판 | |
KR101281088B1 (ko) | 이중 구이판 | |
KR101819377B1 (ko) | 석쇠받침 보조불판 | |
KR101664976B1 (ko) | 숯불 구이기 | |
KR200393644Y1 (ko) |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 |
KR101819384B1 (ko) | 석쇠받침 보조불판 | |
KR200414163Y1 (ko) |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 |
KR200342529Y1 (ko) | 구이판과 구이판받침틀의 구조 | |
KR20080001970U (ko) | 석쇠 | |
KR200353487Y1 (ko) | 두개의 보조판을 갖는 고기구이판 | |
KR102322304B1 (ko) | 구이용 다용도 불판 | |
KR200466227Y1 (ko) | 휴대용 불판 조립체 | |
KR200359184Y1 (ko) | 구이기 | |
US20230329481A1 (en) | Grill plate for oven with draining feature | |
JP4353437B2 (ja) | 焼成調理器 | |
JP3208285U (ja) | 調理器具 | |
KR200347886Y1 (ko) | 고기구이용 받침대 및 그 받침대와 한 벌을 이루는 돌 불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