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03A -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03A
KR20120115803A KR1020110033335A KR20110033335A KR20120115803A KR 20120115803 A KR20120115803 A KR 20120115803A KR 1020110033335 A KR1020110033335 A KR 1020110033335A KR 20110033335 A KR20110033335 A KR 20110033335A KR 20120115803 A KR20120115803 A KR 2012011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
hard coating
coating layer
transf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497B1 (ko
Inventor
이명진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03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05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haracterised by layers cured by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3Silicon-containing polymers, e.g. silicones, 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6Fluorine-containing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재필름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층 상부에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드코팅층 상부에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하드코팅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층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최상부 하드코팅층인 제1하드코팅층이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그 표면부가 내인공땀 효과와 같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INSERT MOLD TRANSCRIPTION FILM HAVING IMPROVED CONTAMINAT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하드코팅층 최상부에 불소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하드코팅층을 더 적층하여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의 케이스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출물로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 등의 사출물은 표면을 보호하거나 미려하게 하기 위해 UV코팅 또는 인쇄필름을 코팅 한다.
한편,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 사용자의 터치가 많은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서 그 외관에 내지문성, 내인공땀 등 내오염성 기능이 부여된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하드코팅층은 상기와 같은 내지문성, 내인공땀 효과 등이 부족하여 도막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사필름의 표면부에 내인공땀 효과와 같은 내오염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필름에 특정 성분이 포함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내오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재필름 및 이형층의 상부에 특정 성분이 포함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내오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은 기재필름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층 상부에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하드코팅층 상부에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하드코팅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위로부터, 기재필름, 이형층,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 제2하드코팅층, 인쇄층,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인서트 몰드 전사필름의 제1하드코팅층이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전사필름의 표면부가 내인공땀 효과와 같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재필름에 이형층을 형성하고 제1하드코팅층, 제2하드코팅층, 인쇄층,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을 순차적으로 코팅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을 따른다.
이때, 실제 사출물과 접합되는 부분은 접착층으로, 접착층을 기준으로 할 경우 아래로부터, 접착층, 프라이머층, 인쇄층, 제2하드코팅층, 제2하드코팅층, 이형층 및 기재필름의 순서로 형성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상부 또는 하부라는 표현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전체적인 적층 순서를 기준으로 이해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재필름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이형층 상부에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1하드코팅층 상부에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130)와, 상기 제2하드코팅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인쇄층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50)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여기까지의 공정으로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층을 사출물에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유광 및 무광 이형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 인몰드 전사 필름이 전사된 사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구조로서 도시된 상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기재필름(1), 이형층(2), 제1하드코팅층(3), 제2하드코팅층(4), 인쇄층(5), 프라이머층(6) 및 접착층(7)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접착층(7) 하부에 사출물(8)이 구비되어, 사출물(8)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이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바에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하부에 기재필름(1)을 놓고, 그 상부에 다른 층들을 적층하는 순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실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재필름(1) 재질은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 또는 PETG 수지는 일반적 기재필름 소재보다 더 우수한 가온신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PET 또는 PETG 수지가 사용하여 성형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형층(2)에 사용되는 이형제는 공지의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멜라민계 이형제 또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계 또는 실리콘계 이형제는 액상으로 얇게 도포 될 수 있으므로, 기재필름(1)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제1하드코팅층(3)을 밀착시키는 재료로 적합하며, 제1하드코팅층(3)이 완전 경화된 후에는 두 층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하드코팅층이 두개의 층으로 적층된다. 상기 기재필름(1)과 이형층(2)을 제거한 후,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이 제1하드코팅층(3)이며 그 하부에는 제2하드코팅층(4)이 위치한다.
상기 제1하드코팅층(3)은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이 사출물에 접착되고, 상기 전사필름에서 기재필름(1)과 이형층(2)이 제거된 후, 전사필름 표면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하드코팅층(3)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구조이며 내구성 등과 더불어 내오염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필름의 제1하드코팅층(3)은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되어 형성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표면 보호 기능뿐 아니라, 내지문성이나 내인공땀 효과와 같은 내오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공지된 고분자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제1하드코팅층(3)의 표면 경도, 내오염성 측면에서 폴리(트리플루오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불소 함유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할 수 도 있다.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된다.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 분산 안정제, 중합 개시제 및 이온 교환수를 중합 용기에 투입하고 현탁 중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필름의 상기 제1하드코팅층(3)은 이중경화성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되,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하드코팅층의 코팅액을 도포한 후, UV를 조사하여 반경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중경화성 제1하드코팅층이란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 물질을 이형층의 상부에 도포한 후, 1차 UV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부분 경화시킨 상태의 UV 경화성 하드코팅층을 의미한다.
제1하드코팅층(3)은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 물질을 이형층(2)의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제1하드코팅층(3)의 표면에는 입체 패턴의 형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중경화성 제1하드코팅층은 특히 내오염성의 측면에서 광경화성 고형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필름의 제2하드코팅층(4)은 이중경화성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되,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2하드코팅층의 코팅액을 도포한 후, UV를 조사하여 반경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중경화성 제2하드코팅층이란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 물질을 제1하드코팅층(3)의 상부에 도포한 후, 1차 UV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부분 경화시킨 상태의 UV 경화성 하드코팅층을 의미한다.
제2하드코팅층(4)은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 물질을 제1하드코팅층(3)의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제2하드코팅층(4)의 표면에는 입체 패턴의 형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중경화성 제2하드코팅층은 경도, 내열성, 성형성, 적층 대상물과의 접착성 등의 측면에서 광경화성 고형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아크릴계 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공지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경도, 내열성, 성형성, 적층 대상물과의 접착성 등의 측면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텔 아크릴 레이트, 아민변성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제2하드코팅층(4) 상부에 인쇄층(5)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인쇄층(5)은 금속효과층, 펄잉크층 및 미러잉크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효과층은 알루미늄, 구리 및 티타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인쇄층(5)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바인더를 이루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료 25중량부, 합성수지 15중량부, 경화제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화제는 우레탄공중합체를 약 40%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층(5)은 다중색상 그라비어 인쇄 윤전기(Multi-color Gravuer Printing Machine)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다중 그라비어 인쇄 윤전기에서 정해진 인쇄 도수에서 운전된다. 이때, 인쇄층(5)은 1.0 ~ 1.5㎛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건조는 100℃에서 10초 동안 진행되고 건조과정을 거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을 거쳐 인쇄층(5)의 가교가 완료되도록 한다.
그 외에는 인쇄층(5)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인쇄 후 잉크를 흡수하는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평탄화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인쇄층(5)은 단독으로 전체 전사 무늬를 표현 할 수도 있으나, 부분적으로 인쇄되어 다양한 디자인, 캐릭터 또는 상표 등을 여러가지 색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코레이션(Decoration)층으로서 금속효과층이라 할 수 있다.
이때, 금속효과층은 알루미늄, 구리 및 티타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 15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효과층이 50Å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충분한 금속 질감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50Å을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무광 무늬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고유의 질감이 무너질 수 있고, 전체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켜, 성형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효과층은 고유의 금속 색깔 이외에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는 배경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질감 효과를 얻어야 하는 로고 등의 부분에만 스퍼터링 증착공정을 수행한 후 나머지 영역은 상기 인쇄층 형성 공정에 따라서, 배경 인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필름의 인쇄층(5) 상부에는 프라이머층(6)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6)은 잉크 흡수성이 우수한 아크릴폴리올 또는 우레탄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라이머층(6)은 제1 및 제2하드코팅층(3, 4) 및 인쇄층(5)과 소정의 굴절률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인보우(Rainbow)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6)은 인쇄층(5)과 후속의 접착층(7)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보조층으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머층(6) 상부에 접착층(7)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이 사출물(8)에 원활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1하드코팅층을 제조함으로써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실시한 본 발명의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특성에 대하여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
[실험예]
[실시예1]
PET 재질의 기재 필름 표면에 멜라민계 이형필름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이형필름 상부에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소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하드코팅층의 상부에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으로, 인쇄층으로서 150Å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금속효과층을 형성하고, 금속효과층 상부에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을 형성하여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를 완료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을 사출물에 전사시키고, 상기 기재필름 및 이형필름을 제거하였다.
이때, 기재필름 및 이형필름의 제거 전에 상기 제1하드코팅층 및 제2하드코팅층을 완전 경화시켜, 제거 공정이 용이해 질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과 모든 공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제1하드코팅층은 트리플루오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1과 모든 공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제1하드코팅층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비교예1]
상기 실시예1과 모든 공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이형층의 상부에 제1하드코팅층 형성단계를 배제하고 제2하드코팅층만을 형성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 별로 10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기 테스트는 기재필름 및 이형필름을 제거한 전사필름의 표면에 인공땀을 떨어뜨려 온도 75℃, 상대습도 90%의 조건을 갖는 항온조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기 표면의 자국 생성 여부와 외관 손상 여부를 살펴보았다.
상기 테스트의 결과로서, 내오염성이 우수하여 표면에 자국이 잘 남지 않는 전사필름은 상 등급, 표면에 어느 정도 자국이 남지만 양호한 정도는 중 등급, 자국이 심하게 남고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는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인공땀으로 인해 표면에 자국이 심하게 남아서 제품화하기 어려운 샘플은 불량품으로 판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은 내오염성이 개선되어 내인공땀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비교예1의 경우는 인공땀에 의하여 전사필름의 표면에 자국이 발생하고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기재필름
2 : 이형층
3 : 제1하드코팅층
4 : 제2하드코팅층
5 : 인쇄층
6 : 프라이머층
7 : 접착층
8 : 사출물

Claims (16)

  1. 기재필름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층 상부에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하드코팅층 상부에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하드코팅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멜라민계 이형제 또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폴리(트리플루오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드코팅층은
    이중경화성 제1하드코팅층을 형성하되,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하드코팅층을 도포한 후, UV를 조사하여 반경화 상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드코팅층은
    이중경화성 제2하드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1하드코팅층의 상부에 엠보 벨트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2하드코팅층을 도포한 후, UV를 조사하여 반경화 상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경화성 제1하드코팅층은
    광경화성 고형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90중량% 이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경화성 제2하드코팅층은
    광경화성 고형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아크릴계 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폴리(트리플루오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텔 아크릴 레이트, 아민변성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금속효과층, 펄잉크층 및 미러잉크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제조 방법.
  12. 위로부터, 기재필름;, 이형층;,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포함된 제1하드코팅층;, 제2하드코팅층;, 인쇄층;,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멜라민계 고분자 수지 또는 실리콘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드코팅층은
    광경화성 고형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9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폴리(트리플루오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KR1020110033335A 2011-04-11 2011-04-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7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35A KR101276497B1 (ko) 2011-04-11 2011-04-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35A KR101276497B1 (ko) 2011-04-11 2011-04-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03A true KR20120115803A (ko) 2012-10-19
KR101276497B1 KR101276497B1 (ko) 2013-06-18

Family

ID=4728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335A KR101276497B1 (ko) 2011-04-11 2011-04-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54B1 (ko) * 2013-05-30 2014-11-26 정두호 직물 또는 피혁 제품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인쇄된 인쇄물
KR101481228B1 (ko) * 2012-10-18 2015-01-09 (주)엘지하우시스 외장용 전사 필름, 외장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인몰드 사출 성형품
KR20180068811A (ko) * 2016-12-14 2018-06-22 김도영 전사 불소코팅층을 갖는 알루미늄 패널형 내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713B1 (ko) * 2013-05-06 2014-03-13 유화종 Pet 재질로 된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KR102389806B1 (ko) * 2021-10-14 2022-04-25 (주)성수기전 외측에는 iml 필름을 삽입하고 내측에는 led 소자가 부착된 회로를 삽입하여 동시에 사출하는 제조 공법
KR20240020737A (ko) 2022-08-08 2024-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내지문오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84B1 (ko) * 2005-12-30 2007-03-28 제일모직주식회사 방오성을 지닌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하드코팅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의 코팅방법
JP4904069B2 (ja) * 2006-03-06 2012-03-28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26504B1 (ko) * 2007-12-31 2009-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KR20100081795A (ko) * 2009-01-07 2010-07-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블로킹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28B1 (ko) * 2012-10-18 2015-01-09 (주)엘지하우시스 외장용 전사 필름, 외장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인몰드 사출 성형품
KR101463954B1 (ko) * 2013-05-30 2014-11-26 정두호 직물 또는 피혁 제품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인쇄된 인쇄물
WO2014193107A1 (ko) * 2013-05-30 2014-12-04 Chung Doo Ho 직물 또는 피혁 제품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인쇄된 인쇄물
US9862206B2 (en) 2013-05-30 2018-01-09 Doo Ho Chung Method for printing fabric or leather product, and printed matter printed by using the same
KR20180068811A (ko) * 2016-12-14 2018-06-22 김도영 전사 불소코팅층을 갖는 알루미늄 패널형 내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497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039B1 (ko) 입체 패턴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76497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20451B1 (ko) 인서트 사출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KR20110069462A (ko) 금속 질감의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5870215B2 (ja) 弾性質感が付与されたインモールド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22496A1 (en) Transfer film for in-mold injection showing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050034B2 (ja) インモールド射出用転写フィルム
JP5979026B2 (ja) 成形同時加飾用転写フィルム
US11104047B2 (en) Transfer film, method for producing a transfer film, use of a transfer film, and method for coating a component
KR101320751B1 (ko)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131977A (ko)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1103409B1 (ko)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749B1 (ko) 유광 또는 무광 무늬를 갖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TW201819185A (zh) 黏著片材積層體、賦形黏著片材積層體及其製造方法
JP7074436B2 (ja) 装飾シート、装飾シートを含む構造体及び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270797B1 (ko) 홀로그램 구현이 가능한 인몰드 사출물 제조 방법
KR101248743B1 (ko)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02845A1 (en) Transfer film, plastic injection-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176465B1 (ko) 요철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출물에 홀로그램을 전위시키는 방법
TW201406520A (zh) 模內轉印膜及製造彼之方法
JP2019089243A (ja) 三次元加飾用フィルム、三次元加飾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加飾用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の製造方法
CN114573852A (zh) 壳体、壳体加工方法、淋涂胶液及电子设备
KR101279505B1 (ko) 요철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출물에 홀로그램을 전위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