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536A -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 Google Patents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536A
KR20120115536A KR1020127020509A KR20127020509A KR20120115536A KR 20120115536 A KR20120115536 A KR 20120115536A KR 1020127020509 A KR1020127020509 A KR 1020127020509A KR 20127020509 A KR20127020509 A KR 20127020509A KR 20120115536 A KR20120115536 A KR 2012011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mizing head
circumferential
paint
main body
mechan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786B1 (ko
Inventor
마사히꼬 모또자끼
류지 다니
Original Assignee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filed Critical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2011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3/10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5/0407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Abstract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기구 부품(4)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하여 기구 부품(4)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기구 부품(4)은 주위 방향으로 연속된 측벽(14)과, 갈고리(16a)가 부착된 복수의 다리(16)와, 다리(16)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원주 융기(20)를 갖고 있다. 이 원주 융기(20)는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부에 착좌하는 동시에, 상기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은 경사벽으로 구성된다. 이 주위벽(8)의 경사와 상보적으로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은 경사져 있다.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이, 그 전체 영역에 걸쳐서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에 실질적으로 접하고 있다.

Description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ROTARY ATOMIZING HEAD FOR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본 발명은 정전 도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도장기에 조립되는 회전 무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정전 도장기가 보급된 오늘, 예를 들어 자동차 보디의 도장에 회전 무화 헤드를 구비한 정전 도장기가 다용되고, 이러한 종류의 도장기는 회전 무화식의 도장기라고 부르고 있다. 특허 문헌 1 내지 8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 무화 헤드는 무화 헤드 본체와, 이 무화 헤드 본체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기구 부품으로 구성되는 조립체이다. 도료는 피드 튜브를 통하여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되고, 고속 회전하는 회전 무화 헤드에 의해 도료가 미립화된다. 이 점으로부터, 회전 무화 헤드는 고정밀도의 회전 밸런스가 요구된다.
회전 무화 헤드의 내부 세정을 위해 회전 무화 헤드의 분해ㆍ재조립을 용이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은 무화 헤드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기구 부품을 액세스시켜, 이 기구 부품을 무화 헤드 본체에 장착하는 형식의 회전 무화 헤드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은, 무화 헤드 본체에 도료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리고, 회전 무화 헤드의 도료실 즉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방을 무화 헤드 본체와 협동하여 형성하는 기구 부품을 무화 헤드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2 이후의 문헌은, 허브 부재라고 부르고 있는 기구 부품을 무화 헤드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액세스시킴으로써 허브 부재를 무화 헤드 본체에 장착하는 형식의 회전 무화 헤드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에 탄성 링을 통하여 허브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회전 무화 헤드는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에 원주 홈(제1 원주 홈)을 갖고, 또한, 허브 부재의 주위면에도 원주 홈(제2 원주 홈)을 갖고, 그리고, 탄성 링을 이들 제1, 제2 원주 홈에 개재시킴으로써, 무화 헤드 본체에 대하여 허브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허 문헌 2의 회전 무화 헤드에 따르면, 무화 헤드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허브 부재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세정 후에 용이하게 허브 부재를 무화 헤드 본체에 조립할 수 있다.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한 회전 무화 헤드의 다른 선행예로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회전 무화 헤드를 들 수 있다. 이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회전 무화 헤드는,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에 있어서의 전방 단부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를 끼워 맞추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는 그 형상이나 재료의 특성에 기초하는 탄성 및 휨성을 갖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무화 헤드 본체의 단차부에 끼움 장착된다. 그리고, 무화 헤드 본체의 단차부에는, 그 주위면에 빠짐 방지의 원주 볼록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단차부의 주위면을 전방을 향하여 직경 축소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함으로써, 허브 부재가 무화 헤드 본체의 전방에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회전 무화 헤드는,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저면에 스푼컷 홈을 갖고, 이 스푼컷 홈에 이어지는 벽면을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장된 경사벽면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에는, 그 외주 부분에 복수의 도료 토출구가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도료 토출구는, 상술한 경사벽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의 발명은,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와, 이것을 수용하는 무화 헤드 본체에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이 영구 자석의 흡착 현상을 이용하여,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를 무화 헤드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5의 발명은,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가 수많은 다리를 갖고, 이 다리의 자유단부를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원주 홈에 계지함으로써 무화 헤드 본체에 대하여 허브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게다가, 특허 문헌 5의 발명은,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의 외주면과 무화 헤드 본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을 도료 통로로서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의 회전 무화 헤드는, 무화 헤드 본체에 대한 허브 부재의 고정에 관한 것으로, 허브 부재의 고정이, 오로지 탄성 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저항력에 의존하고 있다. 이 점으로부터, 탄성 링의 열화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허브 부재의 고정이 탄성 링이라고 하는 탄성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무화 헤드 본체에 허브 부재를 장착할 때에, 허브 부재가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전 무화 헤드는 고속 회전하므로, 이 고속 회전에 의해 탄성 링이 변형되어 이 탄성 링에 의한 시일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무화 헤드 본체와 허브 부재 사이에 탄성 링을 개재 장착한다고 하는 것은, 바꿔 말하면, 무화 헤드 본체와 허브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비교적 크고, 이 클리어런스로부터 도료가 인입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특허 문헌 2는 기술 개시를 행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회전 무화 헤드는 색 교체할 때에, 회전 무화 헤드를 분해하는 일 없이 내부 세정이 실시되지만, 이 내부 세정에서는 무화 헤드 본체와 허브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인입된 도료를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 점에서도, 특허 문헌 2의 발명은 아직 실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은, 무화 헤드 본체의 단차부에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를 끼움 장착하는 동시에 무화 헤드 본체의 단차부의 주위면에 원주 볼록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 단차부의 주위면을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시키는 테이퍼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본 발명도 아직 실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4는, 그 실시예에서는,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와 무화 헤드 본체를 영구 자석의 흡착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 및 무화 헤드 본체의 재료가 비자성의 재료(알루미늄)에 제한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특허 문헌 5는,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에 형성한 원주 홈과 허브 부재의 다리와 결합에 의해 원판 형상의 허브 부재를 고정하는 동시에, 원판 형상 허브 부재의 외주면과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 사이의 간극이고 또한 인접하는 다리의 사이에 도료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회전 무화 헤드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회전 무화 헤드를 세정하려고 해도 원주 홈이나 다리에 부착된 도료가 세정되지 않고 남아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점에서도, 특허 문헌 5에, 허브 부재를 무화 헤드 본체로부터 제거하여 분해 청소하는 방식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1871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3439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0484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940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24593호 공보 US 6,189,804 B1 US 6,360,962 B2 US 7,017,835 B2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를 분해하여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무화 헤드를 분해하는 일 없이 내부 세정에 의해 색 교체가 가능한 회전 무화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 부품의 위치 결정을 확실한 것으로 하면서 내부 세정시의 도료 나머지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회전 무화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세정에 의한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무화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도포물의 도장면에 기포가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공간(S)과, 상기 도료 공간(S)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푼컷 홈(30)을 갖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1)이며,
벨형의 무화 헤드 본체(2)와,
상기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에 무화 헤드 본체(2)의 전방으로부터 액세스하여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합성 수지제의 기구 부품(4)을 갖고,
상기 기구 부품(4)이,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14)과, 상기 측벽(14)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주위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복수의 다리(16)와,
상기 다리(16)의 자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에 형성된 원주 홈(18)에 결합하는 갈고리(16a)를 갖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장되는 경사(θ)진 벽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구 부품(4)의 상기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14)의 외주면(14a)이 상기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구 부품의 측벽(14)의 외주면(14a)과 상기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이 실질적으로 접하고 있고,
상기 기구 부품(4)의 상기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14)의 내주면(14b)이 상기 스푼컷 홈(30)에 연속되고,
상기 기구 부품(4)에는, 상기 도료 공간(S)에 통하는 복수의 도료 토출구(24)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도료 토출구(24)는, 상기 기구 부품(4)의 측벽의 내주면(14b)에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이 그 전후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에 실질적으로 접하고 있으므로, 도료가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에 돌아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 및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이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확장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령 기구 부품(4)과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 사이에 도료가 침입하였다고 해도,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과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 사이에 도료가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탄성 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푼컷 홈(30)은 합성 수지제의 기구 부품으로 구성해도 좋고, 무화 헤드 본체(2)에 형성해도 좋다. 무화 헤드 본체(2)에 스푼컷 홈(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구체적인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구 부품(4)의 상기 복수의 다리(16)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원주 융기(20)를 갖고, 한편, 상기 무화 헤드 본체(2)가, 그 중심 부분에 형성된 도료 피드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투과구(10)의 주위에 원주 받침대(22)를 갖고, 이 원주 받침대(22)에, 상기 투과구(10)와 동축의 또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스푼컷 홈(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가 상기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부에 착좌하는 동시에 상기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구체예에 따르면, 기구 부품(4)의 다리(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갈고리(16a)를 사용하여 기구 부품(4)을 무화 헤드 본체(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 부품(4)의 다리(16)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주 융기(20)를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부에 착좌시키는 동시에 이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기구 부품(4)은 다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주 융기(20)가,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기구 부품(4)의 다리에 의한 고정 구조에 대한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점에 더하여,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를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에 착좌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한 기구 부품(4)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또한 위치 결정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작용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일부를 구성하는 무화 헤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구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기구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기구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기구 부품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단면도이고, 제1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단면도이고, 제1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단면도이고, 제1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단면도이고, 제1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고, 기구 부품을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를 무화 헤드 본체와 기구 부품으로 분해한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6)>
도 1은, 회전 무화식의 정전 도장기로부터 제거한 회전 무화 헤드를 도시한다. 도시한 회전 무화 헤드(1)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34393호 공보)와 마찬가지로, 무화 헤드 본체(2)와, 이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기구 부품(4)의 조립체이고, 기구 부품(4)은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무화 헤드 본체(2)의 후단부에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와 마찬가지로, 에어 모터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나사부(2a)의 중심 축선은 회전 무화 헤드(1)의 회전 축선과 공통이고, 회전 무화 헤드(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에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특허 문헌 2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 모터의 회전축은 중공축으로 구성되고, 이 회전축 중에 도료 피드 튜브가 삽입되어 있다. 도료 피드 튜브를 통하여 회전 무화 헤드(1)의 중심 부분에 도료가 공급된다. 또한, 도료 피드 튜브의 외주면과 회전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세정액(전형적으로는 시너)의 통로로서 이용되고, 이 세정액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에 의해 회전 무화 헤드(1)의 세정이 행해진다. 도료 및 세정액의 공급에 관하여 특허 문헌 3에 상세한 설명이 있으므로, 이 특허 문헌 3을 여기에 원용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기구 부품(4)을 제거한 상태의 무화 헤드 본체(2)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무화 헤드 본체(2)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경질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벨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무화 헤드 본체(2)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주면(2b)을 갖고, 이 내주면(2b)은 무화 헤드 본체(2)의 외주연(2c)에 이어져 있다. 무화 헤드 본체(2)에 대하여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도료를 대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무화 헤드 본체(2)의 내주면(2b)에는, 중심 부분에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중앙 오목부(6)가 형성되고(도 2), 이 중앙 오목부(6)는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확장된 개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오목부(6)는, 그 단면 형상에 있어서, 회전 무화 헤드(1)의 회전 축선 O와 평행한 라인 L에 관하여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이 각도 θ 경사져 있고, 중앙 오목부(6)는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된 통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중앙 오목부(6)의 저부의 중심 부분에 보이는 단면 원형이 관통한 투과구(10)는, 도료 피드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고, 회전 무화 헤드(1)[무화 헤드 본체(2)]의 회전 축선과 동축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기구 부품(4)에 관한 도면이고, 도 3은 단면도이고, 도 4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배면도이다. 기구 부품(4)은, 예를 들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고, 비교적 단단한 부재이다.
기구 부품(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판 형상 전방벽(12)(도 4)을 갖고, 이 전방벽(12)은 종래의 허브 부재의 기능을 구비한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기구 부품(4)은, 이 전방벽(12)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14)(도 3)을 더 갖고, 이 측벽(14)은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측벽(14)은 외주면(14a)과 내주면(14b)을 갖고, 외주면(14a)은, 전술한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이 측벽(14)의 외주면(14a)은,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확장된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은 전단부의 쪽이 후단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이 직경은 중앙 오목부(6)가 대응하는 개소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기구 부품(4)은, 그 후단부면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16)를 갖고, 이 복수의 다리(16)는,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리(16)는 그 후단부 즉 자유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갈고리(16a)를 갖는다.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에 기구 부품(4)을 장착할 때에, 다리(16)의 탄성 변형에 의해 중앙 오목부(6)의 전방으로부터 기구 부품(4)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기구 부품(4)이 정규 위치에 위치하면, 다리(16)의 갈고리(16a)가,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 홈(18)(도 2)에 인입되어 원주 홈(18)의 측벽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기구 부품(4)이 무화 헤드 본체(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도 1).
기구 부품(4)의 저부 즉 후단부에는, 다리(16)의 내주측 또한 이에 인접하여,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원주 융기(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주 융기(20)에 대응하여,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저면에는, 단면 원형의 투과구(10)의 주위에 융기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받침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부에,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가 착좌한 상태로 되는 동시에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1).
이와 같이, 기구 부품(4)의 후단부에 있어서, 다리(16)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원주 융기(20)를,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에 착좌시키는 동시에 원주 받침대(22)의 외주면에 접촉시킨다고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다리(16)와 원주 홈(18)으로 이루어지는 기구 부품(4)의 고정 구조에 대한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기구 부품(4)은, 전방벽(12)의 외주 부분에 복수의 도료 토출구(24)를 갖고, 이 복수의 도료 토출구(24)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통인 원주 상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12)의 중심 부분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분액 정상(26)을 갖고(도 3), 이 분액 정상(26)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4개의 세정 구멍(28)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기구 부품(4)의 측벽(14)에 관한 것으로,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주면(14b)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장된 경사벽면으로 구성되고, 이 내주면(14b)의 전단부에 이어지도록 하여 상기 도료 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료 토출구(24)는 기구 부품(4)의 측벽의 내주면(14b)에 연속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료 토출구(24)의 축선은 측벽(14)의 내주면(14b)의 경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다(도 1, 도 3).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에는, 그 전방을 향한 면 즉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과 대향하는 면에, 원형 투과구(10)와 동축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스푼컷 홈(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스푼컷 홈(30)의 외주 벽면(30a)(도 2)은 전술한 기구 부품(4)의 측벽(14)의 내주면(14b)의 후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거의 동일한 경사 각도로 설정되어 측벽(14)의 내주면(14b)과 동일면으로 이어져 있다(도 1).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스푼컷 홈(30)을 구비한 원주 받침대(22)의 외주측의 단부면 즉 정상면(32)은, 스푼컷 홈(30)을 향하여 절결된 형상의 단차부(34)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갖고(도 2), 한편,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의 자유 단부면에는, 그 내주측에 요철부(36)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이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의 요철부(36)는, 상기 원주 받침대(22)의 외주측 정상면(32)의 요철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외주측 정상면(32)과 요철 끼워 맞출 수 있고, 이 요철 끼워 맞춤에 의해 기구 부품(4)을 무화 헤드 본체(2)에 장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또한 간단하게, 기구 부품(4)을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구 부품(4)의 원주 융기(20)의 자유 단부면의 요철부(36)를, 원주 받침대(22)의 외주측 정상면(32)에 요철 끼워 맞추게 하였을 때에, 기구 부품(4)의 측벽(14)의 내주면(14b)은 원주 받침대(22)의 스푼 홈(30)의 외주 벽면(30a)과 동일면의 상태로 된다. 이 동일면 상태에 의해서, 기구 부품(4)의 측벽(14)과,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 사이에 도료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화 헤드 본체(2)와, 그 중앙 오목부(6)에 무화 헤드 본체(2)의 전방으로부터 액세스시켜 무화 헤드 본체(2)에 끼움 장착되는 기구 부품(4) 사이에 시일 부재(O링)가 개재 장착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기구 부품(4)의 외주면(14a)은, 그 전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과 실질적으로 접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주위벽(8)은 전방을 향하여 직경 확장된 경사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의 외주 부분에 도료 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료 토출구(24)로부터 유출된 도료는, 원심력에 의해,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의 외주연부를 타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흐르고, 계속해서, 무화 헤드 본체(2)의 내주면(2b)을 타고 외주연(2c)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기구 부품(4)의 전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과 실질적으로 접한 상태에 있으므로, 도료가 기구 부품(4)과 중앙 오목부(6) 사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작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령 도료가 침입하였다고 해도, 중앙 오목부(6)의 주위벽(8)이 전방을 향하여 직경 확장된 경사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경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허브 본체와 이것을 수용하는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 사이에 도료가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료의 색 교체를 위해 회전 무화 헤드(1)를 세정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무화 헤드(1)에 세정액(전형적으로는 시너)이 공급된다. 시너는,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 부품(4)이 연속된 측벽(14)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를 유동함으로써 기구 부품(4) 및 무화 헤드 본체(2)의 원주 받침대(22)가 세정되고, 그리고, 세정 구멍(28) 및 도료 토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의 전방면 및 헤드 본체의 내주면(2b)의 세정이 행해진다.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회전 무화 헤드(1) 내의 도료 공간(S)은, 이 제1 실시예에서는, 기구 부품(4)과 무화 헤드 본체(2)로 형성된다. 이 기구 부품(4)으로 둘러싸인 도료 공간(S)(도 1)에 있어서, 이 도료 공간(S)을 둘러싸는 벽면이, 연속된 동일면의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환언하면, 이 도료 공간(S)의 벽면에 단차 등의 도료가 고착되기 쉬운 부위가 없기 때문에, 도료 공간(S)을 둘러싸는 벽면에 도료가 잔류되어 고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료 공간(S)의 전체 영역을 세정액으로 도료 잔여가 없고 또한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기구 부품(4)을 무화 헤드 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과, 무화 헤드 본체(2)의 내주면(2b) 사이에 단차부(40)가 생기도록, 무화 헤드 본체(2)의 중앙 오목부(6)의 깊이 치수와 기구 부품(4)의 두께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무화 헤드(1)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중앙 오목부(6)의 주위 벽면(8)이 각도 θ를 갖고 있다. 이 각도 θ는 근사적으로 제로로 간주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각도이므로, 단차부(40)는 기구 부품(4)의 전방벽(12)의 전방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한 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40)를 댐부라고 부르면, 피드 튜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도료는, 전방벽(12)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도료 토출구(24)로부터 나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지만, 이 도료는 단차부(40)에서 일단 받아내어져 연장된다. 즉 단차부(40)는 댐 기능을 발휘하고, 그리고, 단차부(40)의 댐 기능에 의해 도료에 포함되는 기포가 소실되는 것이 실험으로부터 실증할 수 있었다. 환언하면, 상기 단차부(40)를 구비한 회전 무화 헤드(1)를 사용하여 도장한 피도포물은 기포가 없는 평활성이 우수한 도장면이었다.
도 7 이후의 도면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들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도 7, 도 8)>
제1 실시예에서는 스푼컷 홈(30)이 무화 헤드 본체(2)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제의 바닥 부재(202)가 추가되고, 이 바닥 부재(202)에 상술한 스푼컷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 무화 헤드(200)의 도료 공간(S)이 2개의 기구 부품(208, 202)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에 있어서는, 무화 헤드 본체(204)와, 이에 내장되는 기구 부품(206)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구 부품(206)은, 제1 기구 부품(208)과, 이 제1 기구 부품(208)과는 별도의 부재이고 또한 추가된 기구 부품으로서의 바닥 부재(20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구 부품(208) 및 바닥 부재(202)는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어도 좋고, 다른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제1 기구 부품(208)과 바닥 부재(202)는,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바닥 부재(202)는,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형태를 갖고, 이 전방측의 면(202a)에 스푼컷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부재(202)의 반대측의 면 즉 후방측의 면(202b)은 평면이다. 또한, 바닥 부재(202)는, 그 중심에 전후로 관통한 원형 개구(210)를 갖고, 이 원형 개구(210)는 무화 헤드 본체(204)의 투과구(10)에 통과하고 있다.
제1 기구 부품(208)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구 부품(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구 부품(4)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화 헤드 본체(204)는, 그 중앙 오목부(8)의 저부에 링 형상의 원주 볼록조(212)를 갖는다. 무화 헤드 본체(204)는, 이 원주 볼록조(212)의 내주 부분에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202)와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한 추가된 오목부(214)를 갖고, 이 추가된 오목부(214)에 의해 상기 바닥 부재(202)가 받아들여지는 동시에 바닥 부재(202)가 위치 결정된다.
도 8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무화 헤드(200)는 무화 헤드 본체(204)에 대하여,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202)를 우선 내장하고, 다음에 제1 기구 부품(208)을 내장함으로써 완성한다. 그리고, 제1 기구 부품(208)과 추가된 기구 부품 즉 저부(202)에서 도료 공간(S)이 형성된다.
즉, 이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에 있어서는,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공간(S)이, 모두 합성 수지 재료로 성형된 제1 기구 부품(208)과 추가된 기구 부품(202)으로 형성되고, 이 제1 기구 부품(208) 및 추가된 기구 부품(202)은 무화 헤드 본체(20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1 기구 부품(208)은, 도 7로부터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볼록조(212)와 요철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완성한 회전 무화 헤드(200)는, 제1 기구 부품(208)과 바닥 부재(202)가 협동하여 형성하는 도료 공간(S)은, 간극이 없는 또한 단차부가 없는 내벽면을 갖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무화 헤드 본체(204)의 중앙 오목부(6)의 저부의 형상이 간소하므로, 무화 헤드 본체(2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물론,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에 있어서도, 제1 기구 부품(208) 및 바닥 부재(202)를 무화 헤드 본체(204)에 내장한 상태에서 도료 공간(S)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구 부품(208) 및 바닥 부재(202)를 무화 헤드 본체(204)로부터 제거하고, 무화 헤드 본체(204), 제1 기구 부품(208), 바닥 부재(202)를 개별적으로 세정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구 부품(208)과, 추가된 기구 부품인 바닥 부재(202)가 다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기구 부품(208)과 바닥 부재(202)를 다른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1 기구 부품(208)을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만들고, 바닥 부재(202)를 세정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전형예:테프론(등록 상표)]로 만들어도 좋다.
<제3 실시예(도 9, 도 10)>
이 제3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300)는, 상술한 제2 실시예(도 7, 도 8)의 변형예이기도 하다. 제3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300)는 구획벽(216)은 없는 것이다. 이 제3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300)의 무화 헤드 본체(302)는, 바닥 부재(202)를 수용하는 대경부(304)의 후방 단부가 단차부(306)로 규정되어 있다. 무화 헤드 본체(302)의 대경부(304)에 바닥 부재(202)를 장착하면, 이 바닥 부재(202)는 단차부(306)에 의해 계지되고, 이에 의해 바닥 부재(202)[스푼컷(202)]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제4 실시예(도 11, 도 12)>
이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도 1 등)의 변형예이기도 하다. 이 제4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400)의 무화 헤드 본체(402)는, 제1 실시예의 무화 헤드 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스푼컷 홈(30)의 심부를 합성 수지로 만들고, 이 합성 수지제의 스푼컷 부재(404)를 추가된 기구 부품으로 되어 있다. 스푼컷 부재(404)는 링 형상의 성형품이다. 그리고, 무화 헤드 본체(402)에는 원주 받침대(22)에 있어서, 원주 볼록조(212)에 인접하고 또한 원주 볼록조(212)의 내주측에, 스푼컷 부재(404)와 상보적인 형상의 원주 오목부(406)가 형성되고, 이 원주 오목부(406)에 의해 스푼컷 부재(404)가 받아들여짐으로써 스푼컷 부재(404)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이 위치 결정된 스푼컷 부재(404)의 외주연은 제1 기구 부품(4)과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즉, 이 제4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400)에 있어서는,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공간(S)은, 제1 기구 부품(4)과 스푼컷 부품(404)과 무화 헤드 본체(402)로 형성된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료 공간(S)은, 간극이 없는 또한 단차가 없는 내벽면을 갖고 있다.
물론,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기구 부품(4)과, 이 제1 기구 부품(4)은 별체의 추가된 기구 부품인 스푼컷 부재(404)는 동일한 수지 재료로부터 만들어도 좋고, 다른 수지 재료로부터 만들어도 좋다.
<제5 실시예(도 13 내지 도 15)>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500)는, 기구 부품(502)이,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으로 구성되고, 이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은 상술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와 공통이지만,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이 나사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는 점에서 제2 내지 제4 실시예와는 다르다.
또한, 제1 기구 부품(504)은, 기본적으로는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의 제1 기구 부품(208)과 동일하지만, 다리(16)의 내주측에 원통 형상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통부(508)를 갖는 점에서 제2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200)[제1 기구 부품(208)]와 다르다. 이 통부(50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로 구성된 제1 나사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추가된 기구 부품(506)은,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202)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202)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506)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로 구성된 제2 나사부(512)를 갖고 있다. 이 제2 나사부(512)는 상술한 제1 나사부(510)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 기구 부품(504)의 통부(508)는, 그 내주면에 단차부(514)를 갖고, 이 단차부(514)로부터 통부(508)의 후단부까지의 거리 L은,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506)의 외주 부분의 두께 치수와 동일하다. 제1 기구 부품(504)에 추가된 기구 부품 즉 바닥 부재(506)를 나사 결합시켰을 때에, 이 바닥 부재(506)의 외주 부분의 전방 단부면이 제1 기구 부품(504)의 단차부(514)(도 14)에 의해 계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 기구 부품(504)의 통부(508)의 후단부면은, 추가된 기구 부품(506)의 후단부면과 동일면이 된다.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500)의 무화 헤드 본체(520)는, 중앙 오목부(6)의 심부에 전방에 개방된 추가된 원통 형상의 오목부(522)를 갖고(도 14), 이 원통 형상 오목부(522)는 단차부(524)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도 14, 도 15).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기구 부품(502)에는 원통 형상 오목부(522)에 받아들여지고, 그리고, 단차부(524)가, 제1 기구 부품(504)의 통부(508)의 후단부면 및 추가된 기구 부품(506)의 후단부면의 일부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기구 부품(502)이 위치 결정된다.
이 제5 실시예의 회전 무화 헤드(500)는,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공간(S)이, 모두 합성 수지로 성형된 제1 및 추가된 기구 부품(502, 506)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도료 공간(S)은 간극이 없는 또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내벽면을 갖고 있다. 회전 무화 헤드(500)를 분해하여 세정할 때에는, 무화 헤드 본체(520)로부터 기구 부품(502)을 제거하고, 그리고, 이 기구 부품(502)을 분해하여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세정할 수 있다.
제1 기구 부품(504)과 추가된 기구 부품(506)은 동일한 수지 재료로부터 만들어도 좋고, 다른 수지 재료로부터 만들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댐 기능을 구비한 단차부(40)를 기구 부품에 의해 형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6)의 회전 무화 헤드(1)에 포함되는 기구 부품(4)에 있어서, 그 전방벽(12)의 외주 부분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부를 일체 성형하고, 이 통부에 의해 단차부(40)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회전 무화식의 정전 도장기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 회전 무화 헤드
2 : 무화 헤드 본체
2b : 무화 헤드 본체의 내주면
2c : 무화 헤드 본체의 외주연
4 : 기구 부품
6 :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
8 : 중앙 오목부의 주위벽
10 : 무화 헤드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투과구
12 : 기구 부품 전방벽
14 : 기구 부품의 측벽
14a : 기구 부품의 측벽의 외주면
14b : 기구 부품의 측벽의 내주면
16 : 기구 부품의 다리
16a : 다리의 갈고리
18 : 기구 부품의 다리의 갈고리를 수용하기 위한 원주 홈
20 : 기구 부품의 후방으로 돌출된 원주 융기
22 : 무화 헤드 본체의 바닥의 원주 받침대
24 : 기구 부품 전방벽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도료 토출구
30 : 무화 헤드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투과구 주위의 스푼컷 홈

Claims (7)

  1. 도료 피드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공간과, 상기 도료 공간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푼컷 홈을 갖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이며,
    벨형의 무화 헤드 본체와,
    상기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에 무화 헤드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액세스하여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합성 수지제의 기구 부품을 갖고,
    상기 기구 부품이,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주위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복수의 다리와,
    상기 다리의 자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주위벽에 형성된 원주 홈에 결합하는 갈고리를 갖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의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장되는 경사진 벽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구 부품의 상기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의 외주면이 상기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구 부품의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중앙 오목부의 주위 벽면이 실질적으로 접하고 있고,
    상기 기구 부품의 상기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의 내주면이 상기 스푼컷 홈에 연속되고,
    상기 기구 부품에는, 상기 도료 공간에 통하는 복수의 도료 토출구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도료 토출구는, 상기 기구 부품의 측벽의 내주면에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부품이, 상기 측벽 및 복수의 다리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제1 기구 부품과, 적어도 상기 스푼컷 홈을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추가된 기구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에는, 상기 중앙 오목부의 저부에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을 수용하는 원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부품이, 상기 측벽 및 복수의 다리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제1 기구 부품과, 상기 제1 기구 부품과 협동하여 상기 도료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료 공간의 저부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추가된 기구 부품을 갖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이, 상기 제1 기구 부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의 후방측의 면이 평평하고,
    상기 무화 헤드 본체에는,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추가된 기구 부품의 후방측의 면을 계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부품이 상기 무화 헤드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기구 부품과 상기 무화 헤드 본체 사이에 댐 기구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부품이 상기 기구 부품의 전방 단부면의 외주부에 단차부를 갖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도료 토출구로부터 유출한 도료를 받아내어 연장하는 댐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정전 도장기용의 회전 무화 헤드.
KR1020127020509A 2010-01-06 2011-01-06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KR101787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1542 2010-01-06
JP2010001542 2010-01-06
PCT/JP2011/050136 WO2011083829A1 (ja) 2010-01-06 2011-01-06 静電塗装機の回転霧化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536A true KR20120115536A (ko) 2012-10-18
KR101787786B1 KR101787786B1 (ko) 2017-10-18

Family

ID=4430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509A KR101787786B1 (ko) 2010-01-06 2011-01-06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33381B2 (ko)
EP (1) EP2537593B1 (ko)
JP (1) JP5677323B2 (ko)
KR (1) KR101787786B1 (ko)
CN (1) CN102712006B (ko)
CA (1) CA2800012C (ko)
WO (1) WO2011083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5233B2 (en) * 2008-04-09 2018-12-18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Splash plate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DE102008056411A1 (de) * 2008-11-07 2010-05-20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anlagenbauteil, insbesondere Glockenteller,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JP5504100B2 (ja) * 2010-08-25 2014-05-28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JP5826661B2 (ja) * 2012-02-15 2015-12-02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CA2937837C (en) * 2014-01-29 2019-08-06 Honda Motor Co., Ltd. Rotary atomizing coating device and spray head
JP6314735B2 (ja) * 2014-08-07 2018-04-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式塗装装置のベルカップ
CN108025321B (zh) * 2015-09-17 2020-05-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旋转式雾化涂装装置及喷雾头
JP6936779B2 (ja) * 2018-12-11 2021-09-22 株式会社大気社 静電霧化塗装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3462B2 (ja) * 1995-01-10 2006-03-08 マツダ株式会社 多色回転霧化塗装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3266531B2 (ja) * 1995-12-28 2002-03-18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回転霧化頭
EP0803293A4 (en) * 1995-12-28 2000-05-24 Abb Kk ROTATING SPRAY HEAD
JPH09271696A (ja) * 1996-04-05 1997-10-21 Asahi Sanac Kk 回転電極式静電塗装ガン
JPH1015440A (ja) * 1996-07-08 1998-01-20 Ransburg Ind Kk 静電塗装機
EP0864367B1 (en) * 1996-10-01 2002-11-27 Abb K.K. Rotary atomization head
US5803372A (en) * 1997-04-03 1998-09-08 Asahi Sunac Corporation Hand held rotary atomizer spray gun
US6189804B1 (en) 1998-03-27 2001-02-20 Behr Systems, Inc. Rotary atomizer for particulate paints
US6076751A (en) * 1998-12-15 2000-06-20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of charging using nonincendive rotary atomizer
JP3548060B2 (ja) 1999-10-07 2004-07-28 Abb株式会社 回転霧化頭
ES2217197T3 (es) 2000-11-30 2004-11-01 Abb K.K. Pulverizador rotativo.
JP3779593B2 (ja) * 2000-11-30 2006-05-31 Abb株式会社 回転霧化頭
JP2002186883A (ja) * 2000-12-20 2002-07-02 Abb Kk 回転霧化頭
US6896211B2 (en) * 2001-10-31 2005-05-2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ating buildup on feed tubes
JP4274894B2 (ja) * 2003-10-17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霧化ヘッド
WO2005115629A1 (ja) * 2004-05-25 2005-12-08 Trinity Industrial Corporation 塗装機とその回転霧化頭
JP4554334B2 (ja) 2004-11-08 2010-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頭および回転霧化塗装装置
JP5183163B2 (ja) 2007-11-16 2013-04-17 旭サナック株式会社 回転霧化頭
JP4494498B2 (ja) 2008-06-12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頭、回転霧化塗装装置及び回転霧化塗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7323B2 (ja) 2015-02-25
JPWO2011083829A1 (ja) 2013-05-16
EP2537593B1 (en) 2015-03-11
EP2537593A1 (en) 2012-12-26
KR101787786B1 (ko) 2017-10-18
US20130026258A1 (en) 2013-01-31
US9233381B2 (en) 2016-01-12
WO2011083829A1 (ja) 2011-07-14
CA2800012A1 (en) 2011-07-14
CN102712006A (zh) 2012-10-03
CA2800012C (en) 2018-01-02
CN102712006B (zh) 2015-06-17
EP2537593A4 (en)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536A (ko)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JP5504100B2 (ja)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WO2016163178A9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KR100470156B1 (ko) 회전무화헤드
KR100204973B1 (ko) 회전무화두
JP2011516262A (ja) スプラッシュプレート保持方法および保持装置
JP4516133B2 (ja) 塗装機の洗浄機構
JP3779593B2 (ja) 回転霧化頭
JP5330761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5826661B2 (ja)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JP3266531B2 (ja) 回転霧化頭
JP6475327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JP6179002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US20200238325A1 (en) Coating device
JP3548060B2 (ja) 回転霧化頭
JP2016036771A (ja) 回転霧化式塗装装置のベルカップ
JP2018126715A (ja) 回転霧化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