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501A -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 Google Patents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501A
KR20120114501A KR1020110032046A KR20110032046A KR20120114501A KR 20120114501 A KR20120114501 A KR 20120114501A KR 1020110032046 A KR1020110032046 A KR 1020110032046A KR 20110032046 A KR20110032046 A KR 20110032046A KR 20120114501 A KR20120114501 A KR 2012011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ent
tsa
vascular
reste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해진
권진숙
국현
안영근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1003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501A/ko
Publication of KR2012011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과 스텐트 내 재협착에 따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으로, 스텐트 내의 재협착을 억제하고, 스텐트 시술후의 혈관내피세포의 재내막화가 더디게 나타나는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혈관 평활근 세포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스텐트 내 혈관 재협착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rteriosclerosis therapeutic drug 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stenosis}
본 발명은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관상동맥질환은 세계적으로 사망을 유도하는 주요 원인인자중의 하나이며, 심근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벽내에 동맥경화성 플라크의 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는 대개 3가지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 베타-블럭커(beta-blockers),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칼슘길항제(calcium antagonists)와 같은 의약품 치료이고, 둘째는, 혈관확장술(angioplasty)과 관동맥내에 스텐트 이식과 같은 관동맥 중재시술(coronary intervention)이며, 셋째는 관동맥우회 수술이다. 관상동맥질환 치료에 있어서, 위의 3 가지 방법 중 특히 관동맥 중재시술이 급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점은 혈관내피세포의 박리로 인한 혈관손상과 재협착이다. 재협착은 혈관 평활근세포의 이동 및 증식, 혈소판과 백혈구의 부착과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 등으로 혈관벽의 과도한 증식이 나타나서 혈관내경이 다시 좁아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자들이 스텐트내에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을 코팅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약물방출 스텐트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만 동시에 혈관내피세포의 성장도 억제하여 재내막화(re-endothelization)을 지연시킨다는 문제점은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에, Mombouli 등은 관동맥 확장술 후에 내피세포의 기능을 향상시켜 재협착 발생을 감소시키고자 앤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를 사용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Khaper 등은 알파 교감신경차단제(α-adrenergic blocking agents)를 사용하거나 직접적으로 일산화질소의 공여자인 린시도민(linsidomine)과 몰시도민(molsidomine)을 처리하여 재협착을 억제했다고 발표하였다[Khaper, N., Singal, P.K. Effects of afterload-reducing drugs on pathogenesis of antioxidant change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n rats. J. Am Coll Cardiol. 1997, 29:856-861; Lablanche, J.M., et al. Effect of the direct nitric oxide donors linsidomine and molsidomine on angiographic restenosis after coronary balloon angioplasty, the ACCORD study. Circulation 1997, 95:83-89.].
또한, 국내에서도 일산화질소의 전구물질인 L-아르기닌(L-arginine)을 손상된 혈관에 처리하였을 때 내막형성이 억제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Jeon, D.S., et al. The effects of L-arginine on neointima formation in a rat vascular injury model. Korean Circulation Journal. 1997, 27:1350-1360.).
한편, 최근 학계에서는 크로마틴을 변조할 수 있는 효소인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많은 질병에도 관여된다는 연구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는 특히 암과 관련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 효소 억제제(HDAC inhibitor)의 주된 특징은 G1/S checkpoint에서 세포 주기의 억제제로 작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가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 중에서, 현재 SAHA(Vorinostat 라고도 알려져 있음)는 미국 식품의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승인되었고, 난치성 피부 T-세포 림프종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이하 TSA라고 칭함)는 상기 SAHA처럼 하이드록삼산(hydroxamic acid)형태로, G1 과 G2/M기 세포증식억제(cell cycle arrest)이며, Friend leukemia 세포 분화를 유도하고 천연물에서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비소세포폐암 세포(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에서 암억제 활성을 보임이 보고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TSA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암의 치료제 효능 이외의 다른 질병 즉, 심근비대증 및 심부전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Kee, H.J., Kook, H. Kruppel like factor 4 mediate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induced prevention of cardiac hypertrophy. Journal of Molecular Cellular and Cardiology, 2009, 47:770-780.).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직까지 관상동맥질환의 치료응용 가능성에 대한 보고된 바 없는 TSA에 대한 다양한 기능의 연구를 진행하던 중, TSA가 효과적으로 혈관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관 평활근세포에서만 증식을 억제하고, 혈관내피세포에서는 증식을 억제하지 않는 특징에 의해 우수한 혈관재협착 방지효과를 가지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TSA)의 혈관재협착 억제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혈관재협착 억제 물질로서 우수한 혈관재협착 방지효과를 가지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TSA) 및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 또는 혈관 신생내막의 형성을 억제하고, 신생내막 형성(neointimal hyperplasia)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혈관 재협착 방지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텐트(stent) 또는 벌룬(Balloon)에 코팅하여 동맥 경화반 부위에 삽입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동맥 경화반 부위에 1 내지 3 ㎜ 두께로 직접 도포하는 투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는 상기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된 스텐트 또는 벌룬(Ballo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 또는 혈관 신생내막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을 유발하는 관동맥 협착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동맥 협착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술된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이후 빈번히 발생되는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트리코스타틴 A 처리에 의한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에 의한 세포 증식을 확인한 결과, TSA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인간 제대정맥 내피 세포(HUVEC)의 증식의 경우, TSA 처리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스텐트(stent) 또는 벌룬(Balloon)에 코팅하여 혈관부위에 삽입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혈관부위에 1 내지 3 ㎜ 두께로 직접 도포하는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혈관부위는 동맥 경화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텐트 또는 벌룬이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내 적용(endoluminal appilcation), 예를 들면 혈관내에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혈액의 흐름이 순조로워야 되는 부위에 질환이 발생하여 그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외과적으로 개복 수술을 하지 않고 x-선 투시 하에서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부위에 삽입하여 혈액의 흐름을 정상화시키는 원통형의 의료용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의 사용량은 관상동맥 재협착 방지에의 통상적인 사용량으로, 일례로 1일 10 ㎍/스텐트(또는 벌룬) 내지 100 ㎍/ 스텐트(또는 벌룬)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는 혈관재협착이 발생한 후에 처리하여 재협착된 부분을 완화시킬 수도 있고, 혈관재협착이 발생하기 전에 처리하여 재협착을 예방할 수도 있다. 특히, 스텐트시술시 스텐트의 코팅제로서 트리코스타틴 A를 스텐트에 코팅하고, 코팅된 스텐트를 시술할 경우에는, 스텐트 시술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는 혈관재협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 시술 이후에 투여할 경우에는 경구 또는 비경구의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시 풍선도자를 이용한 약물 운반용 담체로서 개발된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국소 비경구투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트리코스타틴 A를 투여할 경우, 스텐트시술 이후에 발생하는 혈관재협착을 예방하고, 발생된 혈관재협착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혈관재협착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하는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용액에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용액은 멸균되거나 무균성이고, 물, 완충제, 등장제 또는 동물 또는 사람에게 적용할 경우, 알레르기 또는 기타 유해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기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피복물, 항균제, 항진균제 및 등장제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 활성 물질용으로 상기 매질 및 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활성성분과 비혼화성인 통상적인 매질 또는 제제 이외에, 치료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사용이 고려된다. 또한, 보충성 활성 성분을 당해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3
상기 치료제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된 스텐트 또는 벌룬(Balloon)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스텐트에 코팅한다. 스텐트에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코팅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침염코팅(dip-coated)과 고분자와 함께 코팅(polymer coated) 하는 방법이 있으며, 침염코팅법은 가장 간단한 코팅 방법이며, 약학 조성물만이 코팅되기 때문에 약물만의 생물학적 효과를 관찰하기에 용이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과 스텐트 내 재협착에 따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으로, 스텐트 내의 재협착을 억제하고, 스텐트 시술후의 혈관내피세포의 재내막화가 더디게 나타나는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 뿐 아니라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혈관 평활근 세포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스텐트 내 혈관 재협착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TSA) 농도별 처리에 따른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리코스타틴 A 농도별 처리에 따른 인간 제대 정맥내피 세포에 대한 성장여부를 조사한 그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트리코스타틴 A 농도별 처리에 따른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DNA 합성속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림이며,
(A: 혈관 평활근세포, B: 초대배양 혈관 평활근세포)
도 4는 본 발명의 트리코스타틴 A 처리에 따른 경동맥 손상 쥐의 혈관 내 조직 손상여부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며,
(A: 손상된 경동맥 절편, B: TSA가 처리된 경동맥 절편)
도 5는 본 발명의 트리코스타틴 A 처리에 따른 경동맥 손상 쥐의 혈관 내 협착 억제효과를 확인한 조직사진이다.
(A: 손상된 경동맥 절편, B: TSA가 처리된 경동맥 절편)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아이디어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에 있어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조예 ]
(1) 트리코스타틴 A( trichostatin A, TSA )의 시약 준비
본 실시예에서는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에 사용한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TSA)는 국내 시그마 회사(Sigm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TSA는 물에 녹지 않는 성질 때문에 유기용매에 녹여 사용하였다. 세포실험을 위해서는 TSA 약제를 DMSO 100%에 녹인 후, 100μM의 TSA를 -20C 에 보관하다가 세포실험 할 때에는 최종농도가 100 n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동물실험 할 때에는 TSA를 100% 에탄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2) 혈관 평활근세포 및 인간 제대 정맥내피 세포 배양법
혈관 평활근세포인 A10 세포는 ATCC에서 구입하였고, 이 세포는 태아쥐의 흉대동맥에서 분리한 것으로서,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초대배양 혈관 평활근세포인 primary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VSMC)은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제대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는 Modern Tissue Technology[MTT]에서 구입하였고, 세포는 growth supplements가 들어있는 SingleQuots를 endothelial growth medium(EGM)에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 실시예 1] TSA 에 의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억제 효과
TSA가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포성장 분석(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2)의 인간 제대정맥 내피 세포(HUVEC) 및 혈관 평활근세포인 A10 세포를 96 well 배양 용기에 4000개를 깔고 0.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증식을 위해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인 PDGF-BB(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을 50 ng/㎖로 처리하고, TSA를 100 nM, 250 nM, 500 nM의 농도별 처리한 다음, 3일 후에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에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시약을 25㎕ 넣고, 37℃ 세포 배양기에 2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에 DMSO (dimethyl sulfoxide) 150 ㎕를 넣어 보라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녹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에 의한 세포 증식은 TSA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TSA가 혈관 평활근 세포(A10)의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인간 제대정맥 내피 세포(HUVEC)의 증식의 경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간 제대 정맥내피 세포에 세포의 성장인자들이 들어있는 조건 하에서는 TSA 처리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억제에 효과적이고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TSA 에 의한 혈관 평활근세포의 DNA 합성속도 억제
상기 TSA가 혈관 평활근세포의 DNA 합성속도를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H] 티미딘 결합(thymidine incorporation) 방법을 실시하였다. 혈관 평활근세포인 A10 과 초대배양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24 well 배양용기에 20,000개를 깔았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태아 소 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을 넣지 않는 DMEM 배지에 배양한 후에 PDGF-BB 50 ng/㎖ 농도와 TSA 100 nM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 μCi/㎖ [3H]-thymidine이 되도록 배양 용기에 첨가한 후 37℃ 세포 배양기에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두 번 세포를 세척한 후에 10% TSA(trichloroacetic acid)를 500 ㎕ 넣고 세척하며 이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1 N NaOH 용액을 200 ㎕ 넣어 10분 동안 추출한 후, 중화시키기 위해 200 ㎕ 1M HCl을 첨가하였다. 세포 용해물에 섬광계수용 혼합액(scintillation cocktail)을 9 ㎖ 가하고 강하게 혼합한 후에 방사선량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에 의한 DNA 합성속도가 TSA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TSA 에 의한 세포사멸의 여부 확인
상기 TSA에 대한 조직의 세포사멸을 확인하기 위해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TdT)-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ing, Millipore, S7100, USA) 방법을 수행하였다. 파라핀 블록으로 제작된 조직을 5 um 두께로 박절한 후 자일렌(xylene) 용액으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여러 단계로 희석한 에탄올로(100%, 95%, 90%, 80%, 70%) 재수화하고, PBS 로 수세하였다. 조직 내의 단백질은 프로테아제 K(proteinase K)를 처리한 후, TUNEL 반응액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 세척 후에 핵 염색을 위해 DAPI(4,6-diamidino-2-phenylindol)를 가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손상된 경동맥 절편과 TSA 처리된 경동맥 절편의 세포사멸을 확인한 결과,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TSA는 세포에 독성이 없어 세포사멸을 유도하지 않는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TSA 투여에 의한 손상된 경동맥의 협착 억제 효과 실험
(1) TSA 를 포함하는 플루로닉 겔( pluronic gel ) 제조
혈관벽에 TSA 약물을 도포하기 위해서 플루로닉 겔을 만들었다. 실험 전에 F-127 플루로닉 겔을 30% 가 되도록 3차 증류수에 녹인 뒤, 4℃에서 하룻밤 이상 방치하였다. 1 ㎎의 TSA를 100% 에탄올 100 ㎕에 녹인 후 10 ㎕를 꺼내어 30% 플루로닉 겔 90 ㎕에 혼합하였다. TSA 가 포함된 100 ㎕의 플루로닉 겔에는 100 ㎍의 TSA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대조군은 TSA 약물을 포함하지 않도록 같은 방법으로 만들었다.
(2) 흰쥐 경동맥 손상 수술
마취는 250 g의 흰쥐에 케타민(ketamine)과 자일라진(xylazine)을 복강에 투여하여 마취시켰다. 우측 경부를 절개하여 총경동맥, 외경동맥 및 내경동맥을 노출시킨 후, 총경동맥의 기시부와 내경동맥의 원위부를 수술사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결찰하였다. 외경동맥을 절개하여 2F Fogarty 풍선도자(Baxter Healthcare Cor- poration, USA)를 삽입한 후 총경동맥을 풀고 총동맥의 기시부에서 풍선도자를 부풀리어 3회 왕복시켜 내피세포를 제거하였다. 그 후 혈류를 재관류시켰다.
경동맥 외부에 상기 (1)에서 제조한 TSA가 포함된 플루로닉 겔 100 ㎕을 바르고, 대조군에는 TSA가 없는 플루로닉 겔을 발라주었다.
(3) 형태계측 검사
상기 (2)의 흰쥐 경동맥 손상 수술 2주후에 조직검사를 위해 마취한 후,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을 통해 식염수로 관류시켜 혈관계를 세척한 다음 즉시 대동맥을 통하여 10% 포르말린을 관류시켜 고정하였다.
조직표본을 hematoxylin-eosin(H&E)으로 염색한 후,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중막의 면적(media area), 신생내막 면적(neointima area) 및 협착정도(stenosis)를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그 결과 도 5 및 상기 표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풍선도자를 이용한 경동맥 손상 쥐에서 손상된 경동맥의 혈관 벽은 두께가 증가되어 형성된 신생내막 정도가 TSA 처리군에서는 억제됨을 보여주었고, 또한 TSA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생내막 면적 및 협착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혈관 신생내막 세포의 증식억제에 효과는 있으나,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이중적인 효과가 있어 경동맥의 재협착 억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코스타틴 A(trichostatin A, TS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Figure pat00005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 또는 혈관 신생내막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스텐트(stent) 또는 벌룬(Balloon)에 코팅하여 혈관부위에 삽입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혈관부위에 1 내지 3 ㎜ 두께로 직접 도포하는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부위는 동맥 경화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된 스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된 벌룬(Ballo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KR1020110032046A 2011-04-07 2011-04-07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KR2012011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46A KR20120114501A (ko) 2011-04-07 2011-04-07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46A KR20120114501A (ko) 2011-04-07 2011-04-07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01A true KR20120114501A (ko) 2012-10-17

Family

ID=4728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46A KR20120114501A (ko) 2011-04-07 2011-04-07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62A1 (ko) * 2021-09-30 2023-04-06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생체 흡수성 혈관 스캐폴드과 약물 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관상동맥 재협착증의 치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62A1 (ko) * 2021-09-30 2023-04-06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생체 흡수성 혈관 스캐폴드과 약물 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관상동맥 재협착증의 치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irunavukkarasu et al. Resveratrol alleviates cardiac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ole of nitric oxide, thioredoxin, and heme oxygenase
Li et al. Attenuation of Na/K-ATPase/Src/ROS amplification signal pathway with pNaktide ameliorates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JP2003505507A (ja) 治療的血管新生および脈管形成におけるニコチン
JP2013522311A (ja) シクロスポリンおよび芳香族カチオン性ペプチドを用いた併用療法
JP2010059185A (ja) 薬剤の経口生物学的利用能を高めるための方法、組成物およびキット
US20010053356A1 (en) Garlic ingredients and antioxidan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related disorders and pathological angiogenesis-mediated disorders
US2009027473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neointimal hyperplasia
Liu et al. Ginsenoside Rb1 ameliorates autophagy via the AMPK/mTOR pathway in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s in vitro and in vivo
AT502055A1 (de) Behandlung von tumoren
Wan et al. Artesunate protects against surgery-induced knee arthrofibrosis by activating Beclin-1-mediated autophagy via inhibition of mTOR signaling
WO2007120897A2 (en) Compositions and intraluminal devices for inhibiting vascular stenosis
Chen et 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rolimus and paclitaxel nanoparticles in anti-proliferation effect in normoxia and hypoxia: The basis of better selection of atherosclerosis treatment
BG65847B1 (bg) Приложение на производни на бигуанидина за получаване на лекарствено средство с цикатризиращ ефект
EP1197210A1 (en) Agents inhibiting chronic rejection reactions after organ transplantation
US20040213826A1 (en) Medical device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smooth muscle cells
US20090036527A1 (en) Therapeutic Application Of Leonurine In Treating Cardiomyopathy
KR101497868B1 (ko) 리모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근육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20114501A (ko)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Xiong et al. Piceatannol-3′-O-β-D-glucopyranoside attenuates colistin-induced neurotoxicity by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via the NRF2/HO-1 pathway
US8283377B2 (en) Method for inhibiting blood vessel stenosis
JPS61106521A (ja) 血管増殖抑制剤
Han et al. Heparin/heparan sulfate chelation inhibits control of vascular repair by tissue-engineered endothelial cells
Chen et al. Ginkgo biloba extract protects mesenteric arterioles of old rats via improving vessel elasticity through Akt/FoxO3a signaling pathway
KR101136029B1 (ko) 후기 스텐트 혈전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
ES2275647T3 (es) Diantraquinonas policiclicas como agentes anti-cancerosos y anti-angiogenic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