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07A - 오토 팁 드레서 - Google Patents

오토 팁 드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07A
KR20120112907A KR1020110030488A KR20110030488A KR20120112907A KR 20120112907 A KR20120112907 A KR 20120112907A KR 1020110030488 A KR1020110030488 A KR 1020110030488A KR 20110030488 A KR20110030488 A KR 20110030488A KR 20120112907 A KR20120112907 A KR 20120112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ole
auto
main b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463B1 (ko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3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46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63Electrode maintenance, e.g. cleaning,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6Profile cutting tools, i.e. forming-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23B5/166Devices for work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onical surfaces, e.g. of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12Dressing tool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저항용접에 사용하는 한 쌍의 전극 팁을 연마하는 오토 팁 드레서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로드 상하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며 상기 로드 하단을 연결바로 일체시켜 진동을 흡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로드 상단에 일측이 위치하여 결합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판형의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구동축을 보유하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덮개 형으로 내부에 보유공간을 마련하고, 하부플레이트는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통공 타측으로 구멍이 형성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플레이트 구멍에 위치하되 상하 한 쌍의 전극팁을 드레싱하는 팁 연마부;를 구비하여 팁연마부에 상,하 두 개의 커버를 이용하여 홀더에 커터를 안정되게 안착함으로써 최고의 드레싱 품질을 얻을 수 있고, 분말하이스 재질로 커터의 취성을 확보하고, 팁연마부와 지지부의 거리를 단축하여 우수한 진동흡수율을 제공하며, 팁연마부를 듀얼(한 쌍, 2개)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전극 팁을 동시에 작업하여 드레싱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토 팁 드레서{AUTO TIP DRESSE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저항용접에 사용하는 한 쌍의 전극 팁을 연마하는 오토 팁 드레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이 편하며 커터의 취성이 높은 팁 연마부를 견고히 장착하여 우수한 드레싱 품질을 제공하는 오토 팁 드레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 팁 드레서(M)는 반복적인 전기저항용접으로 전극 팁(T)의 가압부분이 변형되거나, 산화막이 형성되어 용접불량이 발생할 때, 상기 오토 팁 드레서(M)를 이용하여 전극 팁(T)의 가압부분을 절삭함으로써 형상을 복원(드레싱)하고 산화막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기저항용접은 용접할 물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열로 모재를 용융상태로 만들고 외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용접방식으로서, 전극 팁을 이용한 스폿(spot)용접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 스폿용접은 겹쳐놓은 금속판 양면을 전극 팁(T)으로 가압하면서 전류를 인가하면 접촉면에 전기저항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발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스폿용접방식은 스폿용접기를 산업용 로봇에 장착하여 주로 자동차, 기차 등의 조립라인에서 패널 등을 용접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극 팁(T)에 높은 열과 압력이 가해지므로, 여러 번 반복하여 용접하면 전극 팁(T)의 가압부분이 변형되거나, 산화막이 형성되어 용접불량을 일으키는 등 용접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오토 팁 드레서(M)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전극 팁(T)의 가압부분을 절삭함으로써 형상을 복원하고 산화막을 제거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오토 팁 드레서(M)의 종래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와 절삭부(5)를 나타낸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의 일측에 진동흡수기구(2)를 통해 구동모터(3)가 설치되고, 구동모터(3)의 상부에 구동부본체(4)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본체(4)의 내부에는 전극 팁(T)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부(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절삭부(5)는 구동기어(4a)에 의해 구동모터(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삭부(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4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극 팁(T)의 가압방향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5a)와, 이 회전체(5a)의 회전중심에 장착된 열십자 모양의 커터(5b)와, 이 커터(5b)를 회전체(5a)에 장착하는 커버(5c)로 구성되며, 회전체(5a)는 상?하로 맞물린 고정플레이트(6)에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의 오토 팁 드레서(M)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서보건(7)에 장착된 구동모터가 구동하면 상하의 전극 팁(T)이 절삭부(5)로 접근하여 내입되고, 구동모터(3)가 구동하여 구동기어(4a)와, 구동기어(4a)에 치합되는 회전체(5a)를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체(5a)에 고정된 커터(5b)가 회전하게 되어 전극 팁(T)의 가압부분을 절삭하여 형상을 드레싱하고 산화막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토 팁 드레서(M)는 절삭부(5)의 커터(5b)가 회전체(5a)에 고정시, 커버(5c)가 상부에서만 커터(5b)를 고정하여 커터가 회전체(5a)에 안정되게 장착하지 못하였고, 기존 커터(5b)의 재질인 초경합금의 최대 약점인 취성을 극복할 수 없었으며, 절삭부(5)와 진동흡수기구(2)가 많이 이격되어 있어 진동흡수율이 떨어져 안정된 드레싱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오토 팁 드레서(M)는 절삭부(5)가 단일(single)형으로 서로 다른 규격의 전극 팁 드레싱 작업시는 절삭부(5)를 다른 규격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팁 연마부를 안정되게 고정함으로써 드레싱 품질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터를 분말하이스 재질로 제작하여 품질향상 및 취성을 극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팁 연마부와 지지부의 거리를 단축하여 우수한 진동흡수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팁 연마부를 듀얼(한 쌍, 2개)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전극 팁을 동시에 작업하여 드레싱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는 일측면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로드 상하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며 상기 로드 하단을 연결바로 일체시켜 진동을 흡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로드 상단에 일측이 위치하여 결합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판형의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구동축을 보유하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덮개 형으로 내부에 보유공간을 마련하고, 하부플레이트는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통공 타측으로 구멍이 형성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플레이트 구멍에 위치하되 상하 한 쌍의 전극 팁을 드레싱하는 팁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하나의 팁연마부를 보유하는 싱글형 기어박스와,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보유공간과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I형 듀얼형 기어박스 및 관통공을 중심으로 직각형의 2개의 보유공간과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는 "ㄱ"형 기어박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의 보유공간에는 아웃풋 기어, 미들 기어, 인풋 기어를 더 장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풋 기어에는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팁 연마부는 상기 아웃풋 기어의 장착공간에 끼움 결합하고, 일부가 절제되어 드레싱 작업시 전극 팁의 칩을 배출하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이 사각형으로 중앙이 움푹 패인 장구형상으로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전극 팁의 선단을 드레싱하는 커터 및 상기 홀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홀더가 아웃풋 기어의 장착공간에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도록 아웃풋 기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커터를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배출공간 중앙에 키, 외측면에 고정편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분말하이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에 의하면, 팁연마부에 상,하 두 개의 커버를 이용하여 홀더에 커터를 안정되게 안착함으로써 최고의 드레싱 품질을 얻을 수 있고, 분말하이스 재질로 커터의 취성을 확보하고, 팁 연마부 지지부의 거리를 단축하여 우수한 진동흡수율을 제공하며, 팁 연마부를 듀얼(한 쌍, 2개)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전극 팁을 동시에 작업하여 드레싱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의 팁연마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 기어박스의 상,하부 플레이트와 팁연마부 및 베이스프레임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의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 기어박스에 보유된 구동기어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오토 팁 드레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삭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100)의 부분 분해사시도, 결합사시도, 팁연마부(150)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결합사시도 및 기어박스(140)의 상,하부 플레이트(141, 142)와 팁 연마부(150) 및 베이스프레임(120)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100)는 크게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프레임(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 타측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130), 상기 구동 모터와 치합되는 기어를 보유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기어박스(140) 및 상기 기어박스에 보유되는 팁 연마부(150)로 구성되며,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의 특성과 유기적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한 쌍의 "ㅓ"자형 지지프레임(111),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한 쌍의 로드(112), 상기 한 쌍의 로드의 하단을 연결하여 일체시키는 연결바(114) 및 상기 지지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상기 로드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13)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11)은 일측면이 고정프레임(1)에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B)로 부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로드(112)가 관통되며, 상기 로드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13)가 상하로 각각 개재되어 팁 연마부(150)의 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전극 팁(T) 드레싱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120)는 중앙에 관통공(121)이 형성된 판형으로, 상기 지지부(110)의 로드(112) 상단과 결합부재(B)를 통하여 결합하여 본 발명 오토 팁 드레서(100)의 중심 골조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 모터(130)는 상기 메인 베이스(120)의 관통공(121)을 중심축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구동 모터(130)에서 분기된 구동축(131)이 보유되며,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어박스(140)는 상기 메인 베이스(1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플레이트(141, 142)가 맞물리는 덮개 형으로 내부에 보유공간(143)을 마련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42)는 상기 메인 베이스(120)의 관통공(121)과 같은 지점에 대응된 형상으로 통공(142a)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141)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42)의 통공(142a) 타측으로 상부면이 개방된 구멍(141a)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박스(14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으로 싱글(single)형이며, 별도의 결합부재(B)가 상부플레이트(141)와 하부플레이트(142)를 통과하여 메인 베이스(120)에 체결한다.
상기 기어박스(140)의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141, 142)에는 각각 대응되는 보유공간(143)이 마련되는 데, 이 보유공간(143)에는 인풋(input) 기어(144), 미들(middle) 기어(145) 및 아웃풋(output) 기어(146)가 장착된다.
인풋 기어(144)는 하부플레이트(142)의 통공(142a)에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통공(142a)에 돌출된 구동축(131)에 중심이 결합한다.
아웃풋 기어(146)는 상부플레이트(141)의 구멍(141a)에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구멍(141a) 중심과 일치하는 장착공간(146a)을 마련하여 팁 연마부(150)를 보유한다.
미들 기어(145)는 상기 인풋 기어(144)와 아웃풋 기어(146)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가 상기 인풋 기어(144)와 아웃풋 기어(146)의 톱니와 맞물려 치합한다.
팁 연마부(150)는 상기 기어박스(140)의 상부플레이트(141) 구멍(141a)에 위치하여, 서보건(7)에 의해 상하에서 팁 연마부(150)로 접근하는 한 쌍의 전극팁(T)을 드레싱하며 홀더(151), 커터(152) 및 한 쌍의 커버(153)로 구성된다.
홀더(151)는 상기 아웃풋 기어(146)의 장착공간(146a)에 끼움 결합으로 장착되고, 외관이 사각형상으로 가공의 편의성을 도모하였으며, 중앙이 움푹 패인 장구형상으로 일부가 절제되어 전극 팁(T)의 칩을 배출하는 배출공간(151c)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151)는 상기 배출공간(151c) 중앙에 고정 돌출부인 키(151a)와, 외측면으로 돌출된 고정편(151b)을 형성하여 상기 커터(152)를 정확히 위치하고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드레싱 품질을 높인다.
커터(152)는 상기 키(151a)와 고정편(151b)에 맞물려 안정되게 위치하고 별도의 결합부재(B)를 통해 홀더(151)에 결합한다.
또한, 커터(152)는 블레이드가 전극 팁(T) 모양에 준하여 일정각도와 형태를 갖추며, 그 재질이 분말하이스로 기존의 하이스 재질인 종래의 커터(5b)에 비해 50% 이상의 품질향상을 도모하였고, 초경합금의 최대 약점인 취성을 극복하였다.
커버(153)는 도넛형으로 상기 홀더(151)의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각각 위치하되, 상기 홀더(151)가 아웃풋 기어(146)의 장착공간(146a)에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도록 스토퍼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아웃풋 기어(146)에 결합부재(B)로 결합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커버(153)가 홀더(151)와 커터(152)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상부에만 존재한 종래기술에 비해 더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함에 따라 드레싱 품질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팁 연마부(150)와 지지부(110) 간의 거리가 종래의 오토 팁 드레서(M) 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팁 연마부(15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지지부(110)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함에 따라서 우수한 품질의 드레싱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100)의 구성요소들의 특성 및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설명하였고 이하, 도 6,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작동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소정 횟수의 스팟 용접을 한 후, 용접 로봇이 서보건(7)을 본 발명의 오토 팁 드레서(100) 근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전극 팁(T)을 오토 팁 드레서(100) 본체의 위아래에서 상하방향에 따라 대항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러면, 그에 대응하여 오토 팁 드레서(100)가 구동 모터(130)를 회전구동시키는데 구동축(131)과 결합된 인풋 기어(144)에서 미들 기어(145), 아웃풋 기어(146) 순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웃풋 기어(146)의 장착공간(146a)에 보유되는 팁 연마부(100)의 홀더(151)와 커터(152)가 회전되면, 서보건(7)이 작동되어 전극 팁(T)을 홀더(151) 안에 삽입시키도록 서로 근접시켜서 커터(152) 쪽으로 밀어붙이고, 상기 커터(152)가 회전하면서 전극 팁(T)의 외주면을 드레싱하면 전극 팁(T)에서 배출된 칩은 배출공간(151c)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200)의 사시도로, 기어박스(240)가 하부플레이트(242)에 형성된 통공(242a)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팁 연마부(250)를 한 쌍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I"자형 듀얼(dual)형으로, 한 개의 인풋 기어로 양측의 미들 기어와 아웃풋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두 개의 팁 연마부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팁 드레서(300)의 사시도로, 기어박스(340)가 하부플레이트(342)에 형성된 통공(342a)을 중심으로 직각형으로 팁 연마부(350)를 2개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ㄱ"자형 듀얼(dual)형으로, 상기 "I"자형 듀얼형과 마찬가지로 한 개의 인풋 기어로 양측의 미들 기어와 아웃풋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두 개의 팁 연마부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I"자형, "ㄱ"자형 오토 팁 드레서(200)(300)는 듀얼형으로, 동시에 두 곳에서 드레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드레싱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건 당연하고, 또한 서로 다른 규격의 팁 연마부를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팁 연마부의 교체 없이 서로 다른 규격의 팁을 드레싱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한 쌍의 팁 연마부를 하나의 팁 드레서에 설치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오토 팁 드레서                 110... 지지부
111... 지지프레임                     112... 로드
113... 탄성부재                       114... 연결바
120... 메인 베이스                    121... 관통공
130... 구동 모터                      131... 구동축
140... 기어박스                       141... 상부플레이트
141a...구멍                           142... 하부플레이트
142a...통공                           143... 보유공간
144... 인풋 기어                      145... 미들 기어
146... 아웃풋 기어                    146a...장착공간
150... 팁 연마부                      151... 홀더
151a...키                             151b...고정편
151c...배출공간                       152... 커터
153... 커버

Claims (7)

  1. 일측면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로드 상하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며 상기 로드 하단을 연결바로 일체시켜 진동을 흡수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로드 상단에 일측이 위치하여 결합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판형의 메인 베이스;
    상기 메인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구동축을 보유하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터;
    상기 메인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플레이트가 맞물리는 덮개 형으로 내부에 보유공간을 마련하고, 하부플레이트는 메인 베이스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통공 타측으로 구멍이 형성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플레이트 구멍에 위치하되 상하 한 쌍의 전극 팁을 드레싱하는 팁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하나의 팁연마부를 보유하는 싱글형 기어박스와,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보유공간과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I형 듀얼형 기어박스 및 관통공을 중심으로 직각형의 2개의 보유공간과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는 "ㄱ"형 기어박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보유공간에는 아웃풋 기어, 미들 기어, 인풋 기어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 기어에는 팁 연마부를 보유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연마부는 상기 아웃풋 기어의 장착공간에 끼움 결합하고, 일부가 절제되어 드레싱 작업시 전극 팁의 칩을 배출하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이 사각형으로 중앙이 움푹 패인 장구형상으로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전극 팁의 선단을 드레싱하는 커터; 및
    상기 홀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홀더가 아웃풋 기어의 장착공간에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도록 아웃풋 기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커터를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배출공간 중앙에 키, 외측면에 고정편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분말하이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팁 드레서.
KR1020110030488A 2011-04-04 2011-04-04 오토 팁 드레서 KR10127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88A KR101271463B1 (ko) 2011-04-04 2011-04-04 오토 팁 드레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88A KR101271463B1 (ko) 2011-04-04 2011-04-04 오토 팁 드레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07A true KR20120112907A (ko) 2012-10-12
KR101271463B1 KR101271463B1 (ko) 2013-06-05

Family

ID=4728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488A KR101271463B1 (ko) 2011-04-04 2011-04-04 오토 팁 드레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4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9642A (zh) * 2014-09-24 2015-01-07 广州市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一种电极帽修磨更换设备
CN109909596A (zh) * 2019-04-12 2019-06-21 上海晟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修磨机可更换脱帽系统装置
CN110621435A (zh) * 2018-04-19 2019-12-27 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电极头修磨器
KR102070946B1 (ko) 2019-08-13 2020-01-29 주식회사 팍스랩 팁 드레서용 커터 홀더 조립체
KR20200058512A (ko) * 2017-11-20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절삭가루 비산 방지 커버
KR102128360B1 (ko) * 2019-05-14 2020-06-30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용접기용 오토 팁 드레서
CN114769736A (zh) * 2022-04-20 2022-07-22 广州安彤实业有限公司 一种刀片易拆装的高扭矩电极头修磨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8671B (zh) * 2017-03-17 2019-08-09 广州明珞汽车装备有限公司 一种自适应的旋转加工装置
KR101965116B1 (ko) * 2018-11-21 2019-08-13 박정원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KR102067935B1 (ko) 2019-06-03 2020-01-17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플랫 헤드 팁 드레서
KR102064543B1 (ko) * 2019-08-13 2020-01-09 주식회사 팍스랩 팁 드레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676B2 (ja) * 2000-03-31 2008-07-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チップドレッサ装置及びチップドレッサ用刃具
KR100472778B1 (ko) 2001-07-24 2005-03-07 주식회사 교쿠토 드레서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9642A (zh) * 2014-09-24 2015-01-07 广州市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一种电极帽修磨更换设备
CN104259642B (zh) * 2014-09-24 2016-04-13 广州市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一种电极帽修磨更换设备
KR20200058512A (ko) * 2017-11-20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절삭가루 비산 방지 커버
CN110621435A (zh) * 2018-04-19 2019-12-27 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电极头修磨器
CN110621435B (zh) * 2018-04-19 2021-06-22 极动焊接机械有限公司 电极头修磨器
CN109909596A (zh) * 2019-04-12 2019-06-21 上海晟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修磨机可更换脱帽系统装置
KR102128360B1 (ko) * 2019-05-14 2020-06-30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용접기용 오토 팁 드레서
KR102070946B1 (ko) 2019-08-13 2020-01-29 주식회사 팍스랩 팁 드레서용 커터 홀더 조립체
CN114769736A (zh) * 2022-04-20 2022-07-22 广州安彤实业有限公司 一种刀片易拆装的高扭矩电极头修磨机
CN114769736B (zh) * 2022-04-20 2023-08-22 广州安彤实业有限公司 一种刀片易拆装的高扭矩电极头修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463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463B1 (ko) 오토 팁 드레서
KR100844913B1 (ko) 용접용 회전 작업대
JP6139192B2 (ja) 電極チップドレッサ用の研磨刃具
KR100950862B1 (ko) 전기 저항 용접기용 팁 드레서
CN110142352B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折弯裁断一体装置
CN209288422U (zh) 多功能电动工具适配的锯片结构
JP2011240376A (ja) 電極研磨装置
JP5756726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用加圧部材の研磨機
CN203887301U (zh) 钎料剪切装置
CN209418026U (zh) 一种用于工业机器人打磨教学的实训设备
CN112973872A (zh) 一种磨粉机磨粉装置
KR101218373B1 (ko) 스폿 용접팁 드레서
CN208680863U (zh) 一种镜架激光焊固定装置
CN217143351U (zh) 一种精密机械零件加工用毛刺去除装置
JP6091078B2 (ja) チップドレッサ
CN216463168U (zh) 一种双联叉机加工用多角度定位装置
KR200479168Y1 (ko) 에어임팩라쳇렌치를 이용한 스폿 용접팁 드레서
JP2021504163A (ja) 手持ち式工作機械
CN216758676U (zh) 一种安全型五金件装置用焊机
CN212823621U (zh) 开关柜柜门开关联动轴焊接工装
CN211219918U (zh) 一种推动式分度机构
CN210046073U (zh) 一种减振手持切割机
CN103381532A (zh) 联轴器叉头焊接夹具
CN212351531U (zh) 一种电子元器件用打磨装置
CN209036148U (zh) 一种弧锥齿轮铣刀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