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16B1 -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16B1
KR101965116B1 KR1020180144598A KR20180144598A KR101965116B1 KR 101965116 B1 KR101965116 B1 KR 101965116B1 KR 1020180144598 A KR1020180144598 A KR 1020180144598A KR 20180144598 A KR20180144598 A KR 20180144598A KR 101965116 B1 KR101965116 B1 KR 10196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unit
tip
sen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박정희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18014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63Electrode maintenance, e.g. cleaning,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팁 드레서에 장착되어 용접 팁의 단부에 대한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판단하여 용접 팁이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노출된 외주면 일부에 도그돌부를 형성한 회전도그와, 도그돌부에 밀려 반복적인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과, 중계유닛의 센싱도그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센싱도그의 감지여부에 따라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똔느 역회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Rotary direction discriminator for tip dresser}
본 발명은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팁 드레서에 장착되어 용접 팁 단부에 대한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별하여 용접 팁이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생산 라인과 같은 일정 제품의 대량생산에는 다른 용접에 비해 가열시간이 짧아 작업속도가 빠르고 가열범위가 좁아 잔류 응력이나 변형이 적음으로 용접부의 안정성이 높은 스폿 용접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폿 용접은 통상 용접 건이 로봇에 장착되거나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실시되며, 상하 방향에서 용접작업을 행하는 방식 또는 좌우 방향에서 용접작업을 행하는 방식의 용접 건이 있으며, C 형 형상을 가지거나 X 형 형상을 가지는 종류가 있다.
이러한 용접 건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의 상단에 마주보고 설치되는 생크(shank)와, 생크 끝에 부착되어 용접이 행해지는 용접 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용접 팁은 단부가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재질에 구리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한편, 용접 팁은 용접 작업에 의해 선단부가 압력과 열에 의해 마모되고 단부가 녹아서 마모가 허용 한계치 이상으로 진행되면 저항치가 변하게 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되므로 주기적으로 팁 드레서를 이용해 용접 팁에 대한 드레싱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폿 용접 건의 일측에는 통상 팁 드레서(TIP DRESSER, 10)를 설치하여 용접 팁의 종류에 해당하는 바이트 유닛(20)을 구동모터로 회전시켜, 회전하는 바이트 유닛(20)에 구비된 가공 바이트(22)를 이용해 용접 팁의 끝단을 깎아 원하는 접촉면을 확보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바이트 유닛(20)은 팁 드레서(10)의 장착공간(11)에 회전되게 설치하는데, 장착공간(11)에 삽입설치되는 홀더(21)와, 홀더(21)에 구비된 가공 바이트(22)와, 홀더(21)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커버(23)와 하부커버(24)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때, 장착되는 홀더(21)의 구조에 따라 상부커버(23)와 하부커버(24)가 없는 구성이 적용되기도 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바이트 유닛(20)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인입된 용접 팁의 단부를 깎는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한다.
도시에서는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고,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팁 드레싱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이미 설정에 따라 팁 드레서(10)의 설치 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팁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고 작업 중 일부로 바이트 유닛(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팁 드레서(10)의 회전여부만을 판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었는지 수행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였다.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바이트 유닛(20)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t1)를 가진 반달도그(4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반달도그(40)의 회전을 감지센서부(50)의 근접센서(52)를 이용해 근접여부를 감지함으로 바이트 유닛(20)이 회전하였음을 판단하였다.
다시 말해, 바이트 유닛(20)이 회전할 때 일체형의 반달도그(40)는 무조건 같이 회전하는 바 근접센서(52)가 회전할 때 가까워지는 반달도그(40)를 감지하도록 구성하여, 바이트 유닛(20)이 회전하였을 경우에는 무조건 용접 팁에 대한 팁 드레싱 작업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팁 드레서(10)의 바이트 유닛(20)은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회전을 하며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팁 드레서(10) 장치의 설치 또는 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회전을 주는 모터 내부의 결선 방향을 잘못 연결하거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중계 박스 내부의 결선 방향이 잘못 되거나,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 감지하는 내부의 마그네틱 등이 불량인 경우 팁 드레서(10)의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통상의 경우, 팁 드레서에 의한 팁 드레싱 작업은 자동 시스템에 따라 수행되며 작업자가 상주하면서 팁 드레싱 작업과정을 확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반달도그(40)의 회전여부를 감지센서부(50)의 근접센서(52)가 감지하여 표시부(60)를 통해 회전하였는지 여부만을 판별하여 알려준다.
이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 수행된 감지 상태와, 도 3에서와 같이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비정상 수행된 감지 상태가 동일하게 표시되어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 하였는지 또는 역회전 하였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며, 단지 표시부(60)에 의한 감지상태를 무의식적으로 확인하고 감지상태라면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함에 따라 용접 팁의 팁 드레싱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용접 팁이 재차 스폿 용접 작업에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전체 스폿 용접의 불량을 야기할 수 밖에 없으며 작업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556호(2011. 11. 1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팁 드레서에 장착되어 용접 팁 단부에 대한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별하여 용접 팁이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는, 내부로 인입한 용접 팁의 단부를 회전하면서 깎아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바이트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하되, 노출된 외주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언덕 형상의 도그돌부를 형성한 회전도그와; 외측으로 돌출된 센싱도그를 구비하며, 회전도그의 회전에 따른 도그돌부와의 면 접촉시 회전도그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복적인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과; 팁 드레서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 회동하는 센싱도그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에 의한 센싱도그의 반복적인 출몰 감지 여부에 따라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회전도그는, 바이트 유닛의 개구된 배출공간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본체와;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길이가 반지름 보다 길도록 본체의 외주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한 도그돌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도그돌부는 설정에 따른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 형성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 중계유닛은, 팁 드레서의 일측에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몸체와, 몸체에서 회전도그 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도그의 회전시 도그돌부와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본체 또는 접촉부에서 센서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에 따라 센서부의 센싱영역 내로 출몰하는 센싱도그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접촉부는 본체에서 돌출 연장된 연장체와, 도그돌부와 면접촉하면서 연장체의 일측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센서부는, 팁 드레서의 일측에 고정된 센서블럭과, 센서블럭에 의해 고정되어 센싱도그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는, 바이트 유닛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그의 도그돌부에 밀려 반복적으로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의 센싱도그가 센서부가 감지하는 센싱영역 내에서 설정에 따라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함으로 용접 팁의 단부가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트 유닛의 회전감지 기능을 구비한 팁 드레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따른 팁 드레서의 회전감지 기능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를 장착한 팁 드레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적용한 회전도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적용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가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동작을 판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가 바이트 유닛의 역회전 동작을 판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도 1을 기준으로 팁 드레서가 설치된 바닥에서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측은 회전하는 구성요소의 중심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외측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바이트 유닛의 정회전 시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정상상태)으로 하고, 바이트 유닛의 역회전 시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비정상상태)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팁 드레서(10)에 장착된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여 용접 팁의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또는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여 용접 팁의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그(110)와, 회전도그(110)와 연결된 중계유닛(120), 및 중계유닛(120)를 감지하는 센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작업자에게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에 밀려 반복적으로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120)의 센싱도그(123)가 센서부(130)가 감지하는 센싱영역 내에서 설정에 따라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함으로 용접 팁의 단부가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내부로 인입한 용접 팁의 단부를 회전하면서 깎아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회전도그(110)와 중계유닛(120)과 센서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도그(110)는, 바이트 유닛(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하되, 노출된 외주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언덕 형상을 가지는 도그돌부(112)를 형성한다.
도시에서 팁 드레서(10)는 상부와 하부로 용접 팁이 인입되는 장치로 도시하였으며, 이때 회전도그(110)는 바람직하게 바이트 유닛(20)의 상부에 볼트부재 등을 이용해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도 6(a)(b)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회전도그(110)는, 바이트 유닛(20)의 개구된 배출공간(도1, 21a)과 대응하는 개구부(111a)를 가지며 바이트 유닛(2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중심(c)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a1)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본체(111)와, 중심(c)에서 외주면까지의 길이(a2)가 상기 반지름(a1) 보다 길면서 본체(111)의 외주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한 도그돌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본체(111)는 바이트 유닛(20)에 볼트 결합가능하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공(111b)을 가진다.
그리고,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는 설정에 따른 간격을 가지며 본체(111)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형성한다.
이어서, 재차 도 4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계유닛(120)은, 설정에 따라 센서부(130)의 센싱영역 내에 출몰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센싱도그(123)를 구비하며,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도그돌부(112)와의 면 접촉시 회전도그(110)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반복적인 탄성 회동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중계유닛(120)은, 팁 드레서(10)에 일측이 탄성부재(124)로 연결되고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몸체(121)와, 몸체(121)에서 회전도그(110) 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도그(110)의 회전시 도그돌부(112)와 면접촉하는 접촉부(122)와, 몸체(121) 또는 접촉부(122)에서 센서부(130)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에 따라 센서부(130)의 센싱영역 내로 출몰하는 센싱도그(1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접촉부(122)는 회전도그(110)와의 마찰력을 줄이고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접촉하는 부분을 롤러로 구성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접촉부(122)는 몸체(121)에서 돌출 연장된 연장체(122a)와, 도그돌부(112)와 면접촉하면서 연장체(122a)의 일측에 회전축(122b-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롤러(122b)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어서, 재차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130)는, 팁 드레서(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120)의 센싱도그(123)가 센싱영역내로 출몰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시에서 설정에 따라 회전도그(110)의 정회전시 센싱도그(123)는 센싱영역 내로 출몰하며 센서부(130)는 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30)는, 팁 드레서(10)의 일측에 고정된 센서블럭(131)과, 센서블럭(131)에 의해 고정되어 센싱도그(123)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132)는 근접센서를 이용해 센싱도그(123)가 센싱영역내로 출몰시 이를 감지한다.
한편, 재차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센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알림부(140)는 발광램프의 발광 및 발광 색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알려주거나, 경고음을 통해 청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알려주는 등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알림부(140)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재차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술의 중계유닛(120)과 센서부(130)를 팁 드레서(10)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보호하기 위한 브래킷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브래킷부(150)는 팁 드레서(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계유닛(120)의 회동 및 센서부(130)의 장착을 지지하는 장착플레이트(151)와, 센서부(130)와 중계유닛(120)의 후방을 감싸며 중계유닛(120)의 높이를 가지도록 장착플레이트(151)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52)와, 중계유닛(120)의 탄성부재를 덮고 보호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53)를 포함한다.
이때, 장착플레이트(151)의 센서부(130) 측 일단면은 바이트 유닛(20) 측으로 반복회동하는 중계유닛(120)의 접촉부(122)가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에 과하게 밀려 센싱도그(123)가 센서부(130)의 센싱영역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리미트턱(151a)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재차 도 4와 도 5와 함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노출된 외주면에 도그돌부(112)를 형성한 회전도그(110)가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중계유닛(120)은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가 면 접촉할 때마다 밀려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반복적인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중계유닛(120)에는 센서부(130) 측으로 돌출된 센싱도그(123)가 구비되며, 센서부(130)는 고정된 센서(132)를 가진다.
도 8은 팁 드레서(10)의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여 용접 팁의 단부를 정상적으로 드레싱 작업할 때이다.
도 8의 (a)와 같이,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 하는 경우 회전도그(110) 또한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정회전한다.
이때,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는 중계유닛(120)의 접촉부(122)를 구성하는 감지롤러(122b)를 정회전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중계유닛(120)은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회동하고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 내에 위치한다.
이어서, 도 8의 (b)와 같이, 계속적인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돌부(112)가 중계유닛(120)의 감지롤러(122b)를 통과하면 중계유닛(120)은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고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싱영역을 벗어나 위치한다.
그리고, 도 8의 (c)와 같이, 계속적인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의해 이어지는 회전도그(110)의 외주면에 위치한 이웃한 도그돌부(112)는 중계유닛(120)의 접촉부(122)를 구성하는 감지롤러(122b)를 재차 정회전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중계유닛(120)은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재차 회동하고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a) 내지 (c)를 반복하면서, 중계유닛(120)의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하는 센싱영역 내로 반복적으로 출몰하게 된다.
한편, 센서부(130)는 설정에 따라 센싱도그(123)의 센싱영역 내 반복적인 출몰 감지를 확인하면 알림부(14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알린다.
도 9는 팁 드레서(10)의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여 용접 팁의 단부에 대한 드레싱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도 9의 (a)와 같이,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 하는 경우 회전도그(110) 또한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역회전한다.
이때,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는 중계유닛(120)의 접촉부(122)를 구성하는 감지롤러(122b)를 역회전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중계유닛(120)은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회동하고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과 반대되는 위치로 밀려난다.
이어서, 도 9의 (b)와 같이, 계속적인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돌부(112)가 중계유닛(120)의 감지롤러(122b)를 통과하면 중계유닛(120)은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고 센싱도그(123) 또한 최초 위치로 되돌아와 위치한다.
그리고, 도 9의 (c)와 같이, 계속적인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의해 이어지는 회전도그(110)의 외주면에 위치한 이웃한 도그돌부(112)는 중계유닛(120)의 접촉부(122)를 구성하는 감지롤러(122b)를 재차 역회전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중계유닛(120)은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재차 회동하고 센싱도그(123)는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영역과 반대되는 위치로 재차 밀려난다.
이와 같이, 도 9의 (a) 내지 (c)를 반복하면서, 중계유닛(120)의 센싱도그(123)는 회전도그(110)가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센서부(130)의 센서(132)가 감지하는 센싱영역 내로 한번도 위치하지 않게 된다.
한편, 센서부(130)는 설정에 따라 바이트 유닛(20)이 회전하고 있음에도 센싱도그(123)의 센싱영역 내 센싱도그(123)의 반복적인 출몰을 감지할 수 없음을 알림부(140)를 통해 알린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바이트 유닛(20)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그(110)의 도그돌부(112)에 밀려 반복적으로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120)의 센싱도그(123)가 센서부(130)가 감지하는 센싱영역 내에서 설정에 따라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함으로 용접 팁의 단부가 정상적으로 가공되었는지를 작업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도그(110)와 중계유닛(12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100)는, 센서부(130)가 센싱영역 내로 센싱도그(123)의 반복적인 출몰 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는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 할 때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 할 때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팁 드레서(10)의 종류에 따라 역회전 할 때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 할 때 드레싱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는, 센싱도그(123)가 반복적으로 센서부(130)의 센싱영역에 출몰하였을 경우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센서부(130)가 센싱도그(123)를 감지하지 못하였을 경우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하여 팁 드레싱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센싱도그(123)의 위치에 따라 센서부(130)가 감지하지 못하였을 경우 바이트 유닛(20)이 정회전하고, 센서부(130)가 감지하지 하였을 경우 바이트 유닛(20)이 역회전한 것으로 설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센서부(130)의 센서(132)는 근접센서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센싱도그(123)의 출몰을 감지함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면 위치센서 또는 다른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팁 드레서 20 : 바이트 유닛
21 : 홀더 21a : 배출공간
22 : 가공바이트 23 : 상부커버
24 : 하부커버
100 :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110 : 회전도그 111 : 본체
112 : 도그돌부 120 : 중계유닛
121 : 몸체 121a : 회전축
122 : 접촉부 122b : 감지롤러
123 : 센싱도그 130 : 센서부
131 : 센서블럭 132 : 센서
140 : 알림부
150 : 브래킷부

Claims (7)

  1. 내부로 인입한 용접 팁의 단부를 회전하면서 깎아 팁 드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단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유닛(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하되, 노출된 외주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언덕 형상의 도그돌부(112)를 형성한 회전도그(110)와;
    외측으로 돌출된 센싱도그(123)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도그(110)의 회전에 따른 도그돌부(112)와의 면 접촉시 상기 회전도그(110)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반복적인 탄성 회동하는 중계유닛(120)과;
    상기 팁 드레서(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탄성 회동하는 상기 센싱도그(123)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130)에 의한 센싱도그(123)의 반복적인 출몰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그(110)는,
    상기 바이트 유닛(20)의 개구된 배출공간(21a)과 대응하는 개구부(111a)를 가지며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중심(c)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a1)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본체(111)와,
    중심(c)에서 외주면까지의 길이(a2)가 상기 반지름(a1) 보다 길도록 상기 본체(111)의 외주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한 도그돌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돌부(112)는 설정에 따른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유닛(120)은,
    상기 팁 드레서(10)에 일측이 탄성부재(124)로 연결되고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에서 회전도그(110) 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도그(110)의 회전시 도그돌부(112)와 면접촉하는 접촉부(122)와, 상기 몸체(121) 또는 접촉부(122)에서 상기 센서부(130)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바이트 유닛(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부(130)의 센싱영역 내로 출몰하는 센싱도그(12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22)는 상기 몸체(121)에서 돌출 연장된 연장체(122a)와, 상기 도그돌부(112)와 면접촉하면서 상기 연장체(122a)의 일측에 회전축(122b-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롤러(122b)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팁 드레서(10)의 일측에 고정된 센서블럭(131)과,
    상기 센서블럭(131)에 의해 고정되어 센싱도그(123)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KR1020180144598A 2018-11-21 2018-11-21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KR10196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98A KR101965116B1 (ko) 2018-11-21 2018-11-21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98A KR101965116B1 (ko) 2018-11-21 2018-11-21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16B1 true KR101965116B1 (ko) 2019-08-13

Family

ID=6762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598A KR101965116B1 (ko) 2018-11-21 2018-11-21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43B1 (ko) 2019-08-13 2020-01-09 주식회사 팍스랩 팁 드레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342A (ja) * 2003-02-21 2004-09-09 Honda Motor Co Ltd チップドレス装置
JP2005125361A (ja) * 2003-10-23 2005-05-19 Toyota Industries Corp チップドレッサ装置
KR100786191B1 (ko) * 2007-07-02 2007-12-18 (주)홍진 용접팁 연마장치
KR20110010556U (ko) 2010-05-04 2011-11-10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용접 팁 드레서의 커터 조립체
KR101271463B1 (ko) * 2011-04-04 2013-06-05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오토 팁 드레서
JP5290661B2 (ja) * 2008-08-07 2013-09-18 マツダ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装置の電極消耗量計測方法及び電極消耗量計測装置
KR101326033B1 (ko) * 2012-07-26 2013-11-05 주식회사 나우정공 저항용접기의 용접전극용 팁 검사장치
KR101350328B1 (ko) * 2013-08-30 2014-01-17 이성 주식회사 스폿 용접기의 전극팁 영상 판독장치
KR101696263B1 (ko) * 2016-09-07 2017-01-13 주식회사 나우정공 팁 드레서용 칩 콜렉터 유닛
US20170291250A1 (en) * 2016-04-11 2017-10-12 Tipman Co., Ltd. Rotary change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342A (ja) * 2003-02-21 2004-09-09 Honda Motor Co Ltd チップドレス装置
JP2005125361A (ja) * 2003-10-23 2005-05-19 Toyota Industries Corp チップドレッサ装置
KR100786191B1 (ko) * 2007-07-02 2007-12-18 (주)홍진 용접팁 연마장치
JP5290661B2 (ja) * 2008-08-07 2013-09-18 マツダ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装置の電極消耗量計測方法及び電極消耗量計測装置
KR20110010556U (ko) 2010-05-04 2011-11-10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용접 팁 드레서의 커터 조립체
KR101271463B1 (ko) * 2011-04-04 2013-06-05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오토 팁 드레서
KR101326033B1 (ko) * 2012-07-26 2013-11-05 주식회사 나우정공 저항용접기의 용접전극용 팁 검사장치
KR101350328B1 (ko) * 2013-08-30 2014-01-17 이성 주식회사 스폿 용접기의 전극팁 영상 판독장치
US20170291250A1 (en) * 2016-04-11 2017-10-12 Tipman Co., Ltd. Rotary changer
KR101696263B1 (ko) * 2016-09-07 2017-01-13 주식회사 나우정공 팁 드레서용 칩 콜렉터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43B1 (ko) 2019-08-13 2020-01-09 주식회사 팍스랩 팁 드레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914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ar state
CN111307638B (zh) 磨损诊断方法和维护方法
US4523409A (en) Automatic contour grinding system
KR101965116B1 (ko)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JP5765686B2 (ja) ロボット接触検知装置
US11376685B2 (en) Automatic tip changer for burnback in an arc welding robot
KR20200005663A (ko) 정밀 기계 가공 공구의 특성 변수의 측정
US9764439B2 (en) High voltage crash prevention device for machine tools
JP7245225B2 (ja) 電動工具および方法
EP1825947B1 (en) Pipe seam detection device of three-dimensional laser beam machine
KR102064543B1 (ko) 팁 드레서
KR100706548B1 (ko)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KR101941642B1 (ko) 면취기에 장착되는 파이프 길이 검사 장치
JP2020060828A (ja) 工作機械
JPH07266197A (ja) センサ付装置、センサ付研削装置及びセンサ
KR101972811B1 (ko) 팁 드레싱 장치
JP2005319514A (ja) 溶接装置
KR101832112B1 (ko) 용접팁 드레싱 장치를 구비한 용접장치
KR101952090B1 (ko) 팁 드레싱 장치
US6514016B1 (en) Stuck tool detector and related method
KR101972812B1 (ko) 팁 드레싱 장치
KR102076835B1 (ko) 스폿용접장치
KR102031038B1 (ko) 용접팁 검사장치
JPS63207554A (ja) 研削装置
KR101969749B1 (ko) 버니싱장치의 다이스표면 크랙 검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