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812B1 - 팁 드레싱 장치 - Google Patents

팁 드레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812B1
KR101972812B1 KR1020190018565A KR20190018565A KR101972812B1 KR 101972812 B1 KR101972812 B1 KR 101972812B1 KR 1020190018565 A KR1020190018565 A KR 1020190018565A KR 20190018565 A KR20190018565 A KR 20190018565A KR 101972812 B1 KR101972812 B1 KR 10197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tter
driving
welding ti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283A (ko
Inventor
남승우
오중석
Original Assignee
(주)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원 filed Critical (주)호원
Priority to KR102019001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63Electrode maintenance, e.g. cleaning,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팁 드레싱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팁 드레싱 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베이스부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접 팁부와 접촉 시 용접 팁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커터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용접 팁부의 연마 시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센서부가 슬러지를 감지 시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서 하측을 향하는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커터부는, 설치부의 중공된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부는, 설치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고, 상측의 용접 팁부와 회전하는 커터부를 향하게 배치되며, 용접 팁부의 연마 중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커터부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수신부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원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면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는, 표시부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경고음 발생 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팁 드레싱 장치{TIP DR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팁 드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 작업 중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고 커터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팁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팁 드레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 차체의 조립에 스폿(SPOT) 용접 방식이 이용된다. 이때 용접 작업을 반복하면 전극 팁의 선단에 산화피막이 부착되고, 계속해서 용접을 행하면 용접부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팁 드레서(TIP DRESSER)에 의해 정기적으로 전극 팁의 선단을 절삭하여 산화피막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팁 드레서로 전극 팁을 절삭할 시에 발생되는 절삭 찌꺼기인 슬러지는 비산되어 다른 장치의 구동부 등에 부착되면 해당 구동부의 부하를 높이고, 고장을 유발시킨다.
종래 팁 드레서에서 커터부 내에 슬러지가 누적되어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용접 팁 연마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8199호(2016. 11. 07 공개, 발명의 명칭: 팁 드레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부가 연마 작업 시 커터부 내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고, 커터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슬러지로 인한 팁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팁 드레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접 팁부와 접촉 시 상기 용접 팁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커터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 팁부의 연마 시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가 슬러지를 감지 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서 하측을 향하는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는, 상기 설치부의 중공된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치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고, 상측의 상기 용접 팁부와 회전하는 상기 커터부를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용접 팁부의 연마 중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상기 커터부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수신부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원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경고음 발생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설치부 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용접 팁부를 둘러싸며 접촉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되는 커터홀더부; 및 상기 커터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 팁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터홀더부의 회전 시 상기 용접 팁부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터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홀더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터날부는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기 커터홀더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는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센서부가 용접 팁부의 연마 시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용접 팁부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의 과량 생성을 감지하여 슬러지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터홀더부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용접 팁부 연마 작업 중 생성되는 슬러지를 외측으로 유도하고, 슬러지로 인하여 설치부 및 커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로 인해 작업자가 슬러지의 과량 생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부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광원 방출 시 제어부가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연마 작업이 중단되도록 하고, 슬러지로 인하여 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용접 팁부 절삭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슬러지 생성 시 커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의 일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용접 팁부 절삭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슬러지 생성 시 커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1)는 베이스부(100), 커터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표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구동부(50)가 설치되고, 베이스부(100) 상에서 커터부(200)가 회전되며 용접 팁부(10)가 연마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에는 설치부(110)가 형성되고, 설치부(110) 상에서 커터부(200)가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설치부(11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터부(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부(110)가 베이스부(100)의 일면 상에서 하측을 향해 내부가 중공인 원기둥 형상의 홈부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커터부(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2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200)는 용접 팁부(10)와 접촉되고, 접촉된 상태에서 커터부(200)가 회전됨으로 인하여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가공하는 연마 작업이 진행된다. 커터부(200)는 커터홀더부(210), 커터날부(220)를 포함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홀더부(210)는 베이스부(100), 구체적으로 설치부(110) 상에서 회전하며, 용접 팁부(10)를 둘러싸며 접촉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211)가 구비된다.
커터홀더부(210)는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커터홀더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뒤에 설명할 커터날부(220)가 용접 팁부(10)와 접촉되어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절삭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날부(220)는 커터홀더부(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커터홀더부(210)와 함께 회전된다. 커터날부(220)는 용접 팁부(10)와 접촉되어 커터홀더부(210)의 회전 시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절삭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홀더부(2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측에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커터날부(220)는 개방부(213)가 형성되는 커터홀더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터홀더부(210)와, 커터홀더부(21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커터날부(220)가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절삭함에 따라 커터홀더부(210)의 개방부(213)에는 절삭찌꺼기에 해당하는 슬러지(5)(SLUDGE)가 형성된다.
커터홀더부(210)는 설치부(110) 상에서 회전되며, 슬러지(5) 생성 시 슬러지(5)를 제거하기 전까지는 슬러지(5)가 생성된 채로 회전된다.
도 1,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용접 팁부(10) 연마 작업 시 생성되는 슬러지(5)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에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베이스부(100), 구체적으로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고, 상측(도 1 기준)에서 회전하는 커터부(200)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센서부(300)는 빔 센서로 형성될 수 있고, 설치부(110) 상에 생성되는 슬러지(5)로 광원을 방출하고, 슬러지(5)에 반사되는 광원을 측정하여, 측정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300)가 빔 센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치부(110) 상에서 형성되는 슬러지(5)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센서부(3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표시부(5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부(500)에서 광원이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표시부(500)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광원 방출 시 구동부(5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커터부(200)에 슬러지(5)가 과량 생성 시 작업자가 표시부(500)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부(50)의 구동을 정지시켜 용접 팁부(10) 연마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광원을 방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1)에서 연마 작업 시 슬러지(5)가 과량 생성 시 작업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500)는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을 방출하여 작업자가 슬러지(5) 과량 생성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슬러지(5) 과량 생성여부를 알리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표시부(500)는 센서부(300)가 슬러지(5)를 감지 시에는 광원이 방출되어 점등되고, 센서부(300)가 슬러지(5)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원이 방출되지 않으며 소등된다.
센서부(300)는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고, 설치부(110) 상에서 커터부(200)가 회전 시 커터홀더부(210)에 형성되는 개방부(213)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커터홀더부(210)의 개방부(213) 측에 적재되는 슬러지(5)의 위치가 변경되며 센서부(3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표시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받게 되고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센서부(300)가 설치되는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 상에 슬러지(5)가 없을 때에는 표시부(500)가 소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접합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싱 장치(1)는 베이스부(100), 커터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커터부(200)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되는 설치부(110) 상에서 회전되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접 팁부(10)가 커터부(200) 상에 배치되어 커터부(200), 구체적으로 접촉부(211)에 용접 팁부(10)가 접촉되고, 커터부(200)가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커터날부(220)가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절삭 가공한다.
커터부(200)가 용접 팁부(10)의 표면을 연마함으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터부(200)는 커터홀더부(210), 커터날부(220)를 포함한다.
커터홀더부(210)가 구동부(50)에 연결되어 설치부(110) 상에서 회전되고, 커터날부(220)가 커터홀더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커터날부(220)와 커터홀더부(210)는 체결부재(600)에 의해 결합되고, 본 발명에서는 볼트 등으로 나사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커터홀더부(210)는 소정 각도만큼 일측에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커터날부(220)는 개방부(213)가 형성되는 커터홀더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에 설치된다. 센서부(300)는 설치부(110)의 소정 지점에서 용접 팁부(10)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설치부(110) 상에서 커터부(200)가 회전되고, 커터부(200)의 회전에 따라 용접 팁부(10)의 연마 작업에 의해 슬러지(5)가 생성되어 설치부(110) 상에 쌓이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터홀더부(210)에서 개방부(213)가 형성되는 부분에 슬러지(5)게 쌓이게 되며, 커터홀더부(210)가 회전됨에 커터홀더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하며 이동된다.
센서부(300)는 설치부(110) 상에 소정 지점 만에서 슬러지(5)를 감지할 수 있으며 커터홀더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소정 지점을 지나가는 슬러지(5)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빔 센서로 형성되고, 센서부(300)가 설치부(110) 상에 적재되는 슬러지(5)로 광원을 방출하고, 광원은 슬러지(5)에 반사되어 다시 센서부(300)가 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00)에 구비되는 수신부(도면 미도시)가 슬러지(5)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원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300)가 설치부(110) 상에 소정 지점에 설치되어, 설치부(110) 상에서 회전 시 주기적으로 슬러지(5)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300), 구체적으로 수신부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원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면 이를 제어부(40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한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센서부(3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표시부(500)로 전달한다. 표시부(5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광원을 방출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슬러지(5)가 설치부(110) 상에 과량으로 생성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커터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용접 팁부(10)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슬러지(5) 과량 생성 시 커터부(2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슬러지(5)로 인하여 팁 드레싱 장치(1) 등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표시부(500)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광원 방출 시 구동부(5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표시부(500)가 점등되었음에도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커터부(2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 팁부(10)의 연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슬러지(5)로 인해 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팁 드레싱 장치 5: 슬러지
10: 용접 팁부 50: 구동부
100: 베이스부 110: 설치부
200: 커터부 210: 커터홀더부
211: 접촉부 213: 개방부
220: 커터날부 300: 센서부
400: 제어부 500: 표시부
600: 체결부재

Claims (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접 팁부와 접촉 시 상기 용접 팁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커터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 팁부의 연마 시 생성되는 슬러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가 슬러지를 감지 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서 하측을 향하는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는, 상기 설치부의 중공된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치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고, 상측의 상기 용접 팁부와 회전하는 상기 커터부를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용접 팁부의 연마 중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상기 커터부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수신부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원 값이 설정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경고음 발생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설치부 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용접 팁부를 둘러싸며 접촉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되는 커터홀더부; 및
    상기 커터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 팁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터홀더부의 회전 시 상기 용접 팁부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터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홀더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터날부는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기 커터홀더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싱 장치.
KR1020190018565A 2019-02-18 2019-02-18 팁 드레싱 장치 KR101972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65A KR101972812B1 (ko) 2019-02-18 2019-02-18 팁 드레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65A KR101972812B1 (ko) 2019-02-18 2019-02-18 팁 드레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24A Division KR101952090B1 (ko) 2017-08-11 2017-08-11 팁 드레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83A KR20190021283A (ko) 2019-03-05
KR101972812B1 true KR101972812B1 (ko) 2019-04-30

Family

ID=6576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65A KR101972812B1 (ko) 2019-02-18 2019-02-18 팁 드레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237A (ja) * 2002-08-20 2004-03-11 Kyokutoh Co Ltd チップドレッサ
JP2015030000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安川電機 研磨システムおよびスポット溶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237A (ja) * 2002-08-20 2004-03-11 Kyokutoh Co Ltd チップドレッサ
JP2015030000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安川電機 研磨システムおよびスポット溶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83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420B2 (ja) 携帯用丸のこ
US20170106520A1 (en) System at least comprising an Electronically Commutated Electric Motor of a Defined Construction Size, and a Rechargeable Battery of at least one Voltage Class
KR101972811B1 (ko) 팁 드레싱 장치
JP2008284681A (ja) ねじ回し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2008111334A (ja) ロードカッタ装置
KR101972812B1 (ko) 팁 드레싱 장치
KR101972813B1 (ko) 팁 드레싱 장치
US20220111478A1 (en) Power tool blade type detection and automatic speed adjustment
KR20190018096A (ko) 팁 드레싱 장치
JP2006075980A (ja) 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切断装置、ワイヤ移送システム及びワイヤ電極の切断方法
JP2003136419A (ja) 回転式工具
US20090165615A1 (en) Table saws
JP3173500B2 (ja) 溶接トーチ用コンタクトチップの交換装置
JP2006281402A (ja) 研削作業の状態を判定する方法及び同装置、並びに研削作業の制御方法
KR20100000194A (ko) 거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6548B1 (ko)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KR101965116B1 (ko) 팁 드레서용 정.역회전 판별장치
JP7182720B2 (ja) 可搬型工作機
US11981018B2 (en) Power tool
JP3082501B2 (ja) 溶接トーチ用コンタクトチップの交換装置
JP2008023645A (ja) 電動工具
JPH0774201A (ja) ワイヤの供給および消費を監視する装置
KR20100025092A (ko) 스폿용접 로봇의 용접건 팁 드레싱기의 오동작 감지장치
US202204021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KR100786191B1 (ko) 용접팁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