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471A -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471A
KR20120112471A KR1020127015930A KR20127015930A KR20120112471A KR 20120112471 A KR20120112471 A KR 20120112471A KR 1020127015930 A KR1020127015930 A KR 1020127015930A KR 20127015930 A KR20127015930 A KR 20127015930A KR 20120112471 A KR20120112471 A KR 20120112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heet
eva
layer
mixed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나 템첸코
데이비드 윌리암 아비손
브래들리 죤 포레스트
Original Assignee
마디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디코, 인크. filed Critical 마디코,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11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성능 이면 시트는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혼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한다.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그 자체로 하나의 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층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는 다층 라미네이트의 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이면 시트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사용 필요성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HIGH PERFORMANCE BACKSHEET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전지 모듈의 보호용 이면 시트(backsheet 또는 backing sheet) 및 캡슐화재(encapsulants)에 관한 것이다.
광전지(photovoltaic: PV) 모듈에 의하여 이용되는 태양 에너지는 현 세기에 고갈되고 있는 화석 연료의 가장 유망한 대체물이다. 그러나, 광전지 모듈의 제조 및 설치는 고가의 프로세스로 남아 있다. 일반적인 광전지 모듈은 유리 또는 가요성의(flexible) 투명 전면 시트(front sheet), 태양 전지, 캡슐화재, 보호형 이면 시트, 모듈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보호형 씰(seal) 및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씰을 커버하는 주변(perimeter)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캡슐화재(30, 30')는 기상 요소, 습기, 기계적 부하 및 충격으로부터 전지(cells)의 어레이(array)를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들은 사람들의 안전 및 전기 손실을 위한 전기적 격리를 제공한다. 보호형 이면 시트(20)는 광전지 모듈의 수명 주기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광전지 전기의 와트 당 비용을 감소시킨다. 전면 시트(10) 및 캡슐화재(30, 30')은 높은 광 투과성을 위하여 투명해야 하고, 이면 시트는 일반적으로 심미적 목적의 높은 불투명성(opacity) 및 기능적 목적의 높은 반사성을 갖는다. 가볍고 얇은 태양 전지 모듈은 무게 감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유로 인하여, 특히 건축학적(PV 통합형 건물) 및 공간 분야뿐 아니라 군용 분야(군사 장비 등에 포함되는)에 바람직하다. 또한, 가볍고 얇은 모듈은 비용 감소에 기여한다. 또한, 소비되는 재료의 양적인 감소는 기술을 더욱 "환경보호형(greener)"으로 만들어, 더 많은 자연 자원을 절약한다.
가볍고 얇은 태양 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한 가지 수단은 가볍고 얇은 이면 시트를 삽입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면 커버 재료는 또한 광전지 요소, 와이어 및 전극과 같은 기초 부품의 부식을 야기하고 태양전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증기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높은 항습성(moisture resistance)을 가져야 한다. 또한, 이면 시트는 전기 절연, 기계적 보호, UV 보호, 캡슐화재에 대한 접착성 및 출력 리드(lead)를 부착시킬 능력을 제공해야 한다.
광전지(PV) 모듈은 암모니아-생성 바이오-폐기물이 풍부한 농업 환경을 포함하는 "적대적(hostile)인" 화학적 환경에서 빈번하게 이용된다. 대부분의 상업적 광전지(PV) 모듈은 습기 유입, UV 열하 및 물리적 손상으로부터의 환경적 보호 및 전기 절연의 제공을 위한 폴리머 이면 시트를 이용한다. 현재, 시장에서의 거의 모든 고분자 이면 시트는 탁월한 유전체적(dielectric) 특성 및 기계적 강도를 위하여 조성에서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가수 분해 열하(hydrolytic degradation) 뿐만 아니라 다른 환경적 저화 메커니즘에 민감하다. 이러한 가수 분해 열화는 높은 pH(염기성) 및 낮은 pH(산성) 조건 하에서 촉진된다. 높은 pH 노출 조건은, 예를 들어 농업 환경에서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다. 낮은 pH 노출 조건은, 예를 들어 "산성비"에의 노출, 또는 심지어 극적인 환경 조건 없이도, 광전지(PV) 모듈의 내부 요소(예를 들어, EVA 캡슐화재)의 점진적 열화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요소가 화학적으로 열화됨에 따라, 그의 유전체적 효과 및 기계적 특성도 열화되어, 복합 이면 시트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광전지 모듈 고장 위험을 증가시킨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공급자는, 기본 폴리머(예를 들어, PEN, PBT)의 변형, 올리고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합 프로세스 또는 후속의 정제 프로세스 또는 다른 적절한 첨가제와의 혼합에 의하여, 가수 분해 안정성뿐만 아니라 다른 잠재적 열화 메커니즘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하여 왔다. 이러한 변형들은 효율적인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상당한 비용이 든다.
태양 전지 이면 시트의 가수 분해 안정성뿐만 아니라 다른 잠재적 열화 메커니즘을 개선하는 더욱 비용 효율적인 수단을 현재 이용가능한 것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의 부정적인 특성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의 기능을 수행하는 더욱 비용 효율적인 재료를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성능 이면 시트는 혼합된(compounded)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혼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한다.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그 자체로 하나의 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층 내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층 라미네이트 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이면 시트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사용 필요성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
"혼합" 이란 기본 폴리머 시스템에 첨가제를 삽입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첨가제와 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시아녹스(Cyanox) 2777(Cytec)은 필름 압출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상승 온도에서 폴리머 체인의 열적 열화를 최소화한다. 유기 UV 흡수제 및 TiO2와 같은 UV 차단 무기 안료(pigments)는 최종 사용 분야에서 이면 시트의 내후성(weatherability)을 강화하고, 또한 종래의 항산화제가 없는 경우에도 열적 산화 안정성(thermal oxidative stability)을 강화한다. 모듈 성능의 강화는 (상변경 재료 및 열전도성 무기 안료의 사용을 통해) 이면 시트의 광-반사성 및/또는 광-발광(luminescence)과 열-방산(heat-dissipation)을 증가시키는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에스테르 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면 시트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면 시트는 라미네이트이고, 일반적인 라미네이트의 폴리에스테르 층은 혼합된 EVA로 대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EVA는 항산화제와 광안정제의 조합과 혼합된다.
본 발명의 더 우수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전지 모듈 요소의 확장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면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는 감소된 비용으로 일반적인 이면 시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새로운 이면 시트는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혼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혼합된 폴리머 층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은 그 자체로서 넓은 범위의 분야에 제공하는 매우 다용도의 저비용 분류의 중합 재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은 모노머로서 간단한 올레핀(또는 일반식 CnH2n을 갖는 알켄이라 지칭됨)으로부터 얻어진 폴리머를 의미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 EPDM, TPX(폴리메틸 펜텐), 올레핀 코폴리머, 올레핀-아크릴 코폴리머, 올레핀-비닐 코폴리머 및 기타 다수의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된 올레핀은 단일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폴리올레핀, 또는 2개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조합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고유하게 가수 분해 및 화학적 공격의 다른 수단에 의한 열화에 저항성이 있으며,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UV- 및 산화성-열화)에 의한 열화를 최소화하도록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일반적으로 이면 시트에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그들이 더 높은 온도 및 UV 광에의 노출 시에 쉽게 열화되기 때문이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는 매우 우수한 유전체 특성 및 탁월한 내습성을 갖는다. 또한, EVA는 폴리에스테르 정도로 가수 분해에 민감하지 않다. 그러나, 혼합되지 않은 EVA는 열적으로 안정적이지 않으며, 열에 노출될 때에는 산성 산(acidic acid)을 방출한다. 아세트산은 이면 시트의 인장 강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혼합 EVA는 EVA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고, UV 및 열적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혼합은 기본 폴리머계 내로의 첨가제의 삽입을 지칭한다. 사용된 특정 첨가제는 최종 산물의 바람직한 특성이나 제조에 도움이 되는 특성 중 어느 하나에 의존할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의 예는, 외부-등급(exterior grade) Ti02 (또는 BaS04, CaCO3), UVAs, HALs, 광안정제, AOs, 열 전도성/전기 저항성 안료, 광학증백제(optical brightener)/광 발광제(photo-luminescent agent), 가시광 안료, IR 반사성 안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면 시트는 혼합된 폴리머의 단일 시트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각각의 층이 이면 시트의 가격 요건 및 성능 요건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다층 구조물(라미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면 시트는 외부 내후성(weatherable) 층에 부착된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내부 층을 갖는 라미네이트이다. 다른 실례로,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층은, 전지 또는 캡슐화재에 접착성을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또는 이면 시트의 반사성 강화를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내부 층 및 외부 내후성 층을 포함하는, 3층 라미네이트의 중간층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의 층들은 이면 시트 구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또는 EVA 또는 다른 재료에 혼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광전지 모듈에서, 태양 전지에 인접한 이면 시트 라미네이트 층은 열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방염성(flame resistant)이어야 한다. 내부 층은 매우 유전성이어야 한다. 이것은 2층 또는 3층 라미네이트의 개별 층으로서 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층에 모든 특성들을 조합한 단 하나의 층일 수 있다. 즉,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하나의 시트에 모든 요구 특성을 갖도록 혼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르게 혼합된 개별 층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면 시트는, 필요하다면, 전체 이면 시트에 기계적 강도를 추가하도록, 혼합된 EVA 및 혼합된 폴리프로필렌 층을 가질 수 있다.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이면 시트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사용 필요성을 제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이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하게 혼합된 폴리올레핀계 또는 EVA계 필름의 압출 또는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혼합 프로세스는, 후속 프로세스나 최종 사용 분야를 위한 특성을 변형하도록, 폴리머 매트릭스 전체에서 첨가제의 균일한 분포를 수반한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일반적으로 혼합물(compound), 또는 혼합기, 압출기에서 용융점보다 매우 높게 가열함으로써 혼합된다; 압출기는 혼합 섹션의 기능이 강조되는 압출기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오염 위험성, 열적-산화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불활성 분위기의 이용 및 연속적인 혼합/블렌딩 프로세스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외부 내후성 층 또는 층들과 결합할 때, 추가의 층들을 갖는 필름의 후속 인-라인 코팅이 수행된다. 제조 프로세스는 과도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형태는 기판(혼합된 폴리올레핀 층)에 대한 용융 압출/공압출 기술, 그 뒤를 이어서, 보조 층(예를 들어, 외부 내후성 층, 내부 접착성 촉진 및/또는 광반사성 층)의 인-라인 무용매 코팅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외부 내후성 층은 무용매 방사성-메커니즘 또는 이중-메커니즘(방사성 및 열적) 경화로서 코팅되지만,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면 시트가 라미네이트일 때, 추가 층 또는 층들은 폴리머 필름 및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a) 내후성 필름의 제1 외부 층; (b)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및 (c) 제2 외부 층(대안으로, 내부 층이라 지칭됨)을 포함한다. 광전지 모듈에서 사용되는 경우, 라미네이트의 제1 외부 층은 환경에 노출되고, 내부 층은 태양 전지 및 태양 방사에 노출되거나 대면한다. 내부 층은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 제조된다.
대안으로, 이면 시트는 바람직한 모든 특성이 하나의 층에 결합된 단일 층일 수 있다. 하나의 층은 혼합된 폴리올레핀, EV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외부 내후성 필름은 플루오로폴리머(예를 들어, Tedlar), 아크릴, 폴리실록산, 우레탄 및 알키드(alkyds)와 같은 다양한 내후성 폴리머, 또는 혼합된 폴리올레핀 또는 EVA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내후성 층은 유기 용매 용해성의 가교형 비결정질(amorphous) 플루오로폴리머이다. 플루오로폴리머는, 반응성 OH 기능기를 갖는 알킬 비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킬 비닐 에테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의 플루오로폴리머일 수도 있다. 이면 시트는 플루오로폴리머와 혼합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루오로코폴리머 층은 반응성 OH 기능기를 갖는 하이드로카본 올레핀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의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면 시트는 플루오로코폴리머와 혼합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의 플루오로코폴리머 층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에 접착제로 또는 접착제 없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코폴리머 층은 단일 층 또는 다층으로서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루오로코폴리머는 실리카,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실리카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내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무용매 경화로서 코팅된다. 적절한 모노머/반응성 희석제에서 고체 플루오로폴리머 수지(예를 들어, Lumiflon, Zeffle 및 Arkema 9301)의 용해는 넓은 범위의 통상적인 혼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다양한 액체 모노머 또는 반응성 희석제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비닐 할라이드, 에폭시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알파-올레핀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그 후, 생성된 플루오로폴리머 수지 용액은 통상의 습식-도포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판,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그 후, 액체 상태는 고강도 방사, 예를 들어 UV-빔, 또는 전자 빔에의 노출 및/또는 가열을 통하여 "경화"되거나 또는 인-시츄(in-situ) 중합되어, 현존하는 플루오로코폴리머 수지 및 인-시츄 중합화된 폴리머의 상호침투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플루오로폴리머 수지를 위한 적절한 모노머/반응성 희석제의 선택은 다음과 같은 다수의 반응 메커니즘을 통하여 제어 네트워크(controlled network) 또는 가교 형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 및 비닐-에테르 기능기의 UV-빔 또는 전자 빔 개시(initiated) 자유-라디칼 중합/공중합; 비닐-에테르 및 에폭시 기능기의 UV-빔 또는 전자 빔 개시 양이온 중합/공중합; 및 우레탄, 우레아, 또는 에폭시드 형성에 의한 열적 구동 가교.
고체 플루오로폴리머 수지의 무용매 경화는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은 용매 사용의 제거를 통한 친환경 제품의 생성을 포함한다. 경화는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어, 더 높은 라인-속도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는 더 넓은 범위의 코폴리머 후보: 아크릴, 비닐-에테르, 기타 비닐 수지, 에폭시드 등의 이용에 의하여 생산 성능을 확대한다.
무용매 경화는 생성된 라미네이트의 기계적 특성 및 그 밖의 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무용매 경화는 상호침투 폴리머 네트워크(inter penetrating polymeric network; IPN)을 생성할 수 있다. 플루오로폴리머에 존재하는 모노머계의 무용매 경화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각각이 가교(또는 네트워크)되는 2개의 폴리머로 구성된 재료들을 지칭하는 IPN 또는 세미-IPN을 생성할 것이다. 폴리머는 서로 다른 존재에 가교되어야 하고, 가교 시에는 전체 상분리(gross phase sepsration)를 나타내어서는 안 된다(그들이 분리된 경우, 일반적으로 상태 사이의 불량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불만족스러운 특성을 갖는 2개의 개별 재료의 코스(course) 블렌딩이 발생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대한 이점은, 석출(deposition)을 위한 유기 용매의 사용을 제거하여, 단일 코팅 시에 유사하지 않은 폴리머 재료의 고유 특성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IPN 및 세미-IPN은 가교/경화 이전에 분자 레벨 블렌딩으로 인해 유사하지 않은 폴리머 재료의 상승 조합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이점은 폴리비닐부틸 에테르,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다양한 Tg-조정(tailored)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a-올레핀 코폴리머와 같은 낮은 Tg 재료의 매트릭스와 높은 Tg(예를 들어 Lumiflon계) 재료의 매트릭스 사이에서의 IPN 생성에 의하여 열 사이클링 성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3층 라미네이트의 일 실시형태에서, 내부 층은 기판(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또는 EVA의 중간층)의 특성을 갖지만, 또한 통상의 캡슐화재에 대한 필요한 접착성을 갖는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내부 층은, 조성면에서 중간층과는 상이하고, 베이스 필름과 동시에 공압출될 수 있는 혼합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 대안으로, 내부 층은 후속 코팅/압출 프로세스에서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층은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고, 상이한 타입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층은 혼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제조된다. EVA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33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층은 높은 레벨의 반사성을 제공한다. 이 반사성은 광반사성 재료의 코팅 또는 안료로 제공될 수 있다.
안료는 임의의 타입일 수 있지만, 백색 안료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티타늄 디옥사이드(TiO2) 및 바륨 설페이트(BaSO4)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중, 티타늄 디옥사이드는 준비된 가용성에 의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색(pigmentation)은 또한 마이카(mica) 또는 진주정(pearlescence)을 추가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 안료는 라미네이트화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여, 라미네이트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의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백색 안료는 라미네이트의 광학 밀도 및 반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것은, 차례로, 라미네이트가 보호층에 사용되는 광전지의 전력 생성을 증가시킨다. 이 층은, 예를 들어 광안정제, 항산화제 또는 양측 모두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티이트를 형성하는 특정 수단은 층들의 조성 및 생성된 라미네이트의 요구되는 특성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의 최종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층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무용매 코팅으로서 적절하게 도포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층들은 접착제를 하나의 층에 도포하고 다른 층을 접착시킴으로써, 그리고 층들의 개수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그 프로세스를 반복함으로써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접착제가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공지되고 다른 라미네이트의 층들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접착제는 층들의 조성 및 라미네이트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서 변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다양한 공보, 특허 및 특허출원의 개시는 그들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실시예 1
금속화된 PP(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라미네이트가 준비되고 습기 투과도(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금속화된 PP는 금속화된(알루미늄 층) 폴리프로필렌이다. 엑손모빌(ExxonMobil)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상이한 등급을 이용하여 샘플이 마련되었다: 18XM882 및 40UBM-E5. Protekt/금속화된 PP/EVA의 라미네이트 및 금속화된 PP의 샘플이 서던 미시시피 유니버시티(Southern Mississippi University)에서 MVTR 테스트 처리되었다. 라미네이트는 13 ㎛ 두께의 Protekt® (Lumiflon®계 플루오로코폴리머 코팅) 층 및 100 ㎛ 두께인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층을 갖는다. 제조자(ExxonMobil)는 MVTR 테스트를 0.02g/㎡/day 로서 보고한다. 그러나, 라미네이트는 하기의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10배 더 낮은 MVTR을 나타내었으며, 표에서 SL081809-1 및 SL081809-2는 라미네이트의 상이한 샘플이다.
샘플 WVTR: g/㎡/day
SL081809-1 0.0014
SL081809-2 0.0026
18XM882 0.0262
40UBM-E5 0.0240
시간에 따른 결과가 도 3에 표시된다.
MVTR은 일반적으로 두께의 함수이므로, 100 ㎛ EVA가 MVTR의 감소 이유인 것으로 의심되었다. Protekt 층의 기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Protekt로 코팅된(EVA가 아닌) 금속화된 PP의 샘플이 테스트되었다. 그 Protekt 코팅이 중요한 MVTR 감소의 원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추가 샘플이 마련되고 테스트되었다. Protekt® 13 ㎛/40UBM-E5 및 Protekt® 13 ㎛/18XM88의 샘플이 마련되고 테스트되었다. 그 결과는 표 1에서 3층 라미네이트에 대해 획득된 것과 유사하였다. 2층 라미네이트들은 약 10배 더 낮은 MVTR을 갖고 있었다. 얇은 필름 도포에 대해서, MVTR이 1x10-3g/㎡/day로 요구되고, 1x10-2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오로지 스퍼터링된 필름(고가임) 또는 알루미늄(금속이며, 요구되는 전기 절연을 달성하기 위하여 더 두꺼운 주변 폴리머 층을 요구함)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상부에 Protekt® 코팅을 갖는 저렴한 금속화된 PP가 습기 보호에 요구되는 레벨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EVA 및 다른 폴리올레핀의 단점은 열적 산화 열화에 대한 그들의 민감성이다. 그것은 광전지(PV) 분야에서 이면 시트로서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UL 1703 상태, 이면 시트의 RTI(Relative Thermal Index)는 적어도 90℃ 이어야 한다. 또한, RTI는 모듈의 측정된 동작 온도보다 20℃ 이상 낮아서는 안 된다. 모듈은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함으로, 105℃의 RTI가 공통 등급이다. 폴리머가 분해될 때, 분해 산물은 방출(가스 배출)되며, 이러한 산물은 헤드 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Head Space Gas Chromatograph: HSGC)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및 정량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다수의 혼합된 EVA 샘플이 마련되고 가스 배출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특정 분해 산물은 식별되지 않았지만, 160-500 시간 동안 155℃에서 가열된 후, 폴리머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재료의 양이 분석되었다. Mylar A(폴리에스테르)가 대조로서 기능하였다. 혼합되지 않은 EVA(어떠한 첨가제도 없는 EVA)가 또한 대조로서 이용되었다.
Uvitex OB(형광성 광학증점제), Cyasorb UV 1164 UVA(UV 광 흡수제), Cyanox 2777 항산화제, Cyasorb UV 6408 광안정제, Cyasorb UV 2908 광안정제 및 이들 첨가제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첨가제를 갖는 샘플이 마련되었다.
샘플이 다음과 같이 마련되었다. EVA는 먼저 고체 함량 18.7%로 MEK에 가열 및 교반하에 용해되었다. 각각의 첨가제는 농도 1%로 MEK에 용해되었고, 액체 형태로 EVA 용액에 첨가되었다. 그 후, 준비된 제제(formulation)는 로드 #50으로 Mylar A 5mil에 코팅되었다. 코팅은 용매를 증발시키도록 75℃에서 20분 동안 가열되었다. 그 후, 이들은 4 평방인치 샘플로 절개되고, GC 바이알(vials)에 넣어져 캡핑되었다. 샘플은 160시간 동안 155℃의 오븐에 놓인다. 오븐에서 160 시간 이후 HSGC가 샘플에 대해 시행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재료의 초기 "가스 배출"은 무시될 수 있다(약 400000 ng/4sq 인치). 실링된 바이알에서 160 시간 동안 155℃에 노출된 후, "혼합된" EVA의 "가스 배출"은 가열되지 않은 것과 거의 동일한 채로 유지되었지만, 혼합되지 않은 EVA는 약 15000000 ng/4sq 인치의 휘발성 물질을 가스 배출한다. 이것은, EVA 혼합에 의하여 열적 분해 프로세스가 상당히 억제되어, 폴리에스테르 층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이면 시트에서 훨씬 더 많이 이용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3
i) 열적 안정성; ii) UV 안정성에 관한 혼합된 EVA의 강성(robustness) 증가는 다음의 실시예에 예시된다. 예시 필름이 다음과 같이 준비되고 평가되었다: 1) 대조-EVA-; 및 2) R105 Ti02(DuPont), Cytec Cyasorb® UV-2908 광안정제 (자유 라디칼 포촉제(scavenger) 방지 벤조에이트) 0.1 중량%, Cytec Cyanox® 2777 항산화제 0.1% 및 R105 Ti02, UVOB Ciba 0.1중량%)와 혼합된 EVA.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혼합된 EVA는 압출, 블로잉(blowing)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필름으로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기판상에 직접 압출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다음과 같이 준비되었다: 1) 플루오로코폴리머 코팅(Lumiflon®계)/5mil Mylar A/EVA; 및 2) 플루오로코폴리머/5mil Mylar A/EVA 0.1% 첨가제.
테스팅 방법 및 결과:
샘플은 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수의 테스트로 처리되었다.
산소 유도 시간( oxygen induction time : OIT ) 테스트는 폴리머의 산화 안정성 및/또는 열화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 이것은, 산화 가능 폴리머의 안정성에 대한 항산화제의 상대적 이용을 검사하는 데 특히 효율적이다. 이것은 또한 항산화제가 폴리머로부터 침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들의 효율성을 부인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테스트는 냉동식 냉각 시스템이 장착된 DSC Q200(TA Instruments)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샘플(2-3 ㎎)은 개방된(커버가 없는) 알루미늄 팬에서 50℃ 내지 200℃의 질소 분위기에서 가열되었다. 샘플은 5분 동안 200℃에서 유지되었다. 그 후, 가스가 산소로 교환되고, 재료는 계속해서 100분 동안 산소 분위기에서 200℃에서 유지된다. OIT는 열적 안정성 EVA 및 첨가제의 효과의 신속한 스크리닝에 이용될 수 있다.
획득된 결과는, EVA 대조(첨가제 없음)는 10분의 노출 후에 200℃의 산소 분위기에서 산화하기 시작한다는 것이었다. 반면, 첨가제를 갖는 EVA는 50분의 테스트 후에 산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첨가제가 있는 EVA가 열적으로 더 안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UV 노출:
샘플은 기상 측정기 Xenon CI 4000 (Atlas)에서 유지됨으로써, UL 746C에 따라 DI 물을 사용한 주기적 스프레잉과 함께 UV에 노출되었다. 컬러, 필름 무결성은 매 100 시간마다 평가된다. 인장 강도는 초기와 테스트 말미에 측정된다.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하여, 재료는 초기 특성의 적어도 70%를 유지해야 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는 700 시간의 노출 후에 균열을 나타내었다. 혼합된 EVA는 균열 없이 초기 인장 세기의 70%를 유지하고 1600 시간의 직접적인 UV 노출을 통과했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된 EVA가 혼합되지 않은 EVA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라는 것을 예시한다. 이것은, 태양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태양 전지의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UL 746C는 태양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태양 모듈의 부품이 1000 시간의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혼합된 EVA는 이러한 요건을 용이하게 충족시킨다.
실시예 4
혼합된 폴리프로필렌계 이면 시트 샘플은 교차-해치(hatch) 접착 대 습열(damp heat) 노출로 처리되었다. 교차-해치 접착 값은 200 시간 동안 습열에서 일정하게(약 5) 유지되었다. 혼합된 폴리프로필렌계 이면 시트 샘플은 또한 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습열 처리되었다. 인장 강도는 2000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조정 및 응용이 존재하며, 본 출원은 그러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이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내용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의 전체 범주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를 참조하여 판단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다양한 공보, 특허 및 특허출원의 개시는 그들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20)

  1.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compounded thermoplastic polyolefin)을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적어도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고,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내부 층 내에 삽입되며, 이면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층을 제외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층은 하나 이상의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은 내후성(weatherable) 층인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a) 내후성 필름의 제1 외부 층; (b)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및 (c) 내부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고, 상기 EVA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2 내지 33 중량%인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층 및/또는 중간층은 열 전도성 충진제(fillers)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층은, 반응성 OH 기능기를 갖는 알킬 비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킬 비닐 에테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플루오로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광안정제와 혼합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추가로 안료와 혼합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층을 제외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2. 혼합된 EVA를 포함하며, 폴리에스테르 층을 제외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VA는 광안정제와 혼합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VA는 추가로 항산화제와 혼합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반응성 OH 기능기를 갖는 알킬 비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킬 비닐 에테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플루오로코폴리머의 내후성 층을 더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16. 광전지; 및
    하나 이상의 혼합된 폴리올레핀 또는 혼합된 EV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지는 EVA로 캡슐화되는 광전지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EVA 캡슐화재와 접촉하는 혼합된 EVA 층을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또는 EVA는 0.1 중량%와 1중량% 사이로 광안정제, 항산화제, 또는 이들 모두와 혼합되는 광전지 모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 및 광안정제는 각각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
KR1020127015930A 2009-12-23 2010-12-23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12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964609P 2009-12-23 2009-12-23
US61/289,646 2009-12-23
US35326410P 2010-06-10 2010-06-10
US61/353,264 2010-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471A true KR20120112471A (ko) 2012-10-11

Family

ID=4414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930A KR20120112471A (ko) 2009-12-23 2010-12-23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10146762A1 (ko)
EP (1) EP2517258A4 (ko)
JP (1) JP2013516073A (ko)
KR (1) KR20120112471A (ko)
CN (1) CN102687278A (ko)
WO (1) WO2011079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5712B2 (en) 2012-04-19 2019-05-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acksheets for photovoltaic modules using infrared reflective pigments
JP6417320B2 (ja) * 2012-05-16 2018-11-07 ボレアリス アーゲーBorealis Ag ポリマーシート
US9812590B2 (en) 2012-10-25 2017-11-07 Sunpower Corporation Bifacial solar cell module with backside reflector
US20140326294A1 (en) * 2012-10-25 2014-11-06 Panasonic Corporation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unit and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6034756B2 (ja) * 2013-06-21 2016-11-30 三井化学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用シート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139284A1 (en) * 2014-03-21 2015-09-24 Dupont (China) Research & Development And Management Co., Ltd. Integrated back-sheets for back-contact solar cell modules
US9842951B2 (en) * 2014-06-27 2017-12-12 Sunpower Corporation Encapsulants for photovoltaic modules
WO2016115479A1 (en) * 2015-01-16 2016-07-21 W.F. Taylor Co., Inc. Sound reducing underlayment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ES2892084T3 (es) * 2016-11-11 2022-02-02 Endurance Solar Solutions B V Lámina posterior que comprende una capa funcional a base de poliolefina que se enfrenta al encapsulante posterior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645A (en) * 1973-05-29 1976-11-23 Sterling Drug Inc. Stilbene optical brighteners and compositions brightened therewith
US4414960A (en) * 1982-05-10 1983-11-15 Insolar, Inc. Solar collection mat element
US4456547A (en) * 1982-10-21 1984-06-26 Fuentes Jr Ricardo Catalyst prepared from organomagnesium compound, organic hydroxyl-containing compound, reducing halide source and complex formed from admixture of a transition metal compound and an organozinc compound
JPS6032352A (ja) * 1983-08-01 1985-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
EP0500073B1 (en) * 1991-02-19 1997-05-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gricultural film
JP3057671B2 (ja) * 1993-06-14 2000-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3170105B2 (ja) * 1993-07-01 2001-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3267452B2 (ja) * 1993-08-31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997831B2 (ja) * 1993-09-06 2000-01-11 グンゼ株式会社 積層体
JP2756082B2 (ja) * 1994-04-28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3397443B2 (ja) * 1994-04-30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345674B2 (ja) * 1994-05-26 2002-1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フィルム
CN1105756C (zh) * 1996-06-19 2003-04-16 大金工业株式会社 涂布用混合料、涂布膜及其制备方法
EP0992518B1 (en) * 1997-06-23 2004-09-01 Daikin Industries, Limited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and use thereof
US6353042B1 (en) * 1997-07-24 2002-03-05 Evergreen Solar, Inc. UV-light stabilization additive package for solar cell module and laminated glass applications
US6320116B1 (en) * 1997-09-26 2001-11-20 Evergreen Solar, Inc. Methods for improving polymeric materials for use in solar cell applications
WO1999049522A1 (en) * 1998-03-25 1999-09-30 Tdk Corporation Solar cell module
US6335479B1 (en) * 1998-10-13 2002-01-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solar battery module
US6194098B1 (en) * 1998-12-17 2001-02-27 Moltech Corporation Protective coating for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6319596B1 (en) * 1999-06-03 2001-11-20 Madico, Inc. Barrier laminate
US6422777B1 (en) * 2000-08-24 2002-07-23 Foster-Miller, Inc. Protective coating underwater applicator
JP2003152215A (ja) * 2001-11-13 2003-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US20040202866A1 (en) * 2003-04-11 2004-10-14 Kernander Carl P. Bright white protective laminates
US20040244829A1 (en) * 2003-06-04 2004-12-09 Rearick Brian K. Coatings for encapsulation of photovoltaic cells
US20060057392A1 (en) * 2003-10-07 2006-03-16 Smillie Benjamin A Multi-layer sheet having a weatherable surface layer
US7902452B2 (en) * 2004-06-17 2011-03-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ionomer films for use as encapsulant layers for photovoltaic cell modules
DE102004035709A1 (de) * 2004-07-23 2006-03-16 Wacker Chemie Ag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JP2006179557A (ja) * 2004-12-21 2006-07-06 Toyo Aluminium Kk 太陽電池用シート部材
KR20080022172A (ko) * 2005-06-13 2008-03-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플루오로중합체 함유 라미네이트
US7553540B2 (en) * 2005-12-30 2009-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coated films useful for photovoltaic modules
US20070283996A1 (en) * 2006-06-13 2007-12-13 Miasole Photovoltaic module with insulating interconnect carrier
ATE518255T1 (de) * 2006-08-30 2011-08-15 Keiwa Inc Benutzung einer rückplatte für photovoltaikmodule und photovoltaikmodule damit
US20080135091A1 (en) * 2006-12-08 2008-06-12 Lap Kin Cheng Process and device to produce a solar panel with enhanced light capture
US20080264484A1 (en) * 2007-02-16 2008-10-30 Marina Temchenko Backing sheet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repairing same
JP2011508984A (ja) * 2008-01-03 2011-03-17 マディ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太陽電池用光ルミネッセンスバックシート
CN102202885B (zh) * 2008-11-06 2013-11-1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电子器件组件用的共挤出的、多层的基于聚烯烃的背板
TW201034218A (en) * 2008-12-26 2010-09-16 Lintec Corp Rear surface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US20120006401A1 (en) * 2009-03-06 2012-01-12 Mitsubishi Plastics, Inc.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EP2413377A4 (en) * 2009-03-26 2013-09-18 Lintec Corp PROTECTIVE CASE FOR A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THEREWITH
EP2413378A4 (en) * 2009-03-27 2013-09-11 Lintec Corp PROTECTIVE LOWER FRAM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OLAR CELL MODULE
JP2010238815A (ja) * 2009-03-30 2010-10-21 Linte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271497B1 (ko) * 2009-03-30 2013-06-05 린텍 코포레이션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태양전지 모듈
JP5297249B2 (ja) * 2009-03-30 2013-09-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0232588A (ja) * 2009-03-30 2010-10-14 Linte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44329B2 (ja) * 2009-03-30 2014-03-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277693A1 (en) * 2009-07-23 2011-01-26 RENOLIT Belgium N.V. Photovoltaic modules with polypropylene based backsheet
JP2011238817A (ja) * 2010-05-12 2011-11-24 Toyo Aluminium Kk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とそれ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617568A1 (en) * 2010-08-16 2013-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olefin-based solar back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09956A1 (en) 2014-04-24
CN102687278A (zh) 2012-09-19
EP2517258A4 (en) 2014-11-26
JP2013516073A (ja) 2013-05-09
US20110146762A1 (en) 2011-06-23
WO2011079292A1 (en) 2011-06-30
EP2517258A1 (en)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471A (ko) 광전지용 고성능 이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5882937B2 (ja)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背面シートを有する光起電モジュール
KR101358364B1 (ko) 태양전지용 적층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US9034470B2 (en) Resin composition, multi-layered film an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00097196A (ko) 광기전 모듈용 광발광 백킹 시트
US20130068279A1 (en) Photovoltaic module interlayer
JP2015513478A (ja) フレキシブルな薄膜光起電力デバイス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デバイスのための耐候性複合材
US20110256392A1 (en) Protective sheet for back surface of solar cell module
JP201051974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の修理方法
JP4992530B2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US20110114148A1 (en) Bright white protective laminates
JP51561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10209755A1 (en) Liquid crystal polymer barrier films for optoelectronics
KR20130097426A (ko) 태양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762476B1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JP2022501814A (ja) 脂肪族ポリアミドを含む、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のためのバックシート
KR101793773B1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20140059197A (ko)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태양 전지 이면 밀봉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KR20200077154A (ko) 태양전지용 폴리올레핀계 백시트의 실리콘 부착 강도 개선 방법
JP2016096324A (ja)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60012524A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20160012522A (ko) 광 모듈용 백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