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143A -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143A
KR20120112143A KR1020120031792A KR20120031792A KR20120112143A KR 20120112143 A KR20120112143 A KR 20120112143A KR 1020120031792 A KR1020120031792 A KR 1020120031792A KR 20120031792 A KR20120031792 A KR 20120031792A KR 20120112143 A KR20120112143 A KR 2012011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treatment
membrane
treatment tank
bio
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고마츠
시게키 후지시마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1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과제)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플럭스를 높게 유지하고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킨다.
(해결 수단)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와, 그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와,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 (5) 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생물 고정상 (4) 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Description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METHOD FOR TREATMENT OF ORGANIC SUBSTANCE-CONTAIN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혐기성 생물 처리조 이후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로서, 막분리 활성 슬러지식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를 채용한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의 투과 수량 (플럭스) 을 개선시키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 호기성 생물 처리수의 고액 분리 수단으로서, 막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활성 슬러지를 농축하는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호기성 생물 처리수의 고액 분리 수단으로서 막분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혐기성 생물 처리는, 막슬러지의 원인이 되는 대사 산물의 생성량이, 호기성 생물 처리보다 적기 때문에, 유기물 함유 배수 (원수) 를 직접 호기성 생물 처리한 후에 막분리 처리하는 경우보다, 호기성 생물 처리의 전단 (前段) 에 혐기성 생물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편이, 막오염이 저감되어 막의 약품 세정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세균의 고위에 위치하는 원생 동물이나 후생 동물 등의 미소 동물의 포식 작용을 이용한 다단 활성 슬러지법도 알려져 있고,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다단 활성 슬러지법에서는, 유기물 함유 배수를 먼저 제 1 생물 처리조에서 세균 처리하고, 배수에 함유되는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비응집성의 세균의 균체로 변환한 후, 제 2 생물 처리조에서 고착 미소 동물에게 포식 제거시킴으로써,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와 고부하 운전이 가능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755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976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1414호
전술한 바와 같이,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장치로 고액 분리하는 경우, 호기성 생물 처리의 전단에서 혐기성 생물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대사 산물에 의한 막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데, 혐기성 생물 처리에서는, 호기성 생물 처리에 비해, 점질물의 생성량이 적고, 플록의 형성력이 약하기 때문에, 직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혐기성 생물 처리수, 나아가서는 호기성 생물 처리수에 함유되게 된다. 이들 미세한 SS 성분은, 막분리 처리에 있어서, 막표면에 치밀한 케이크층을 형성하여, 막간 차압을 상승시키기 쉽다. 이 때문에,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막분리 장치에 의해 고액 분리를 실시하여, SS 성분이 없는 청징한 처리수를 얻고자 한 경우에는, 막플럭스를 높게 취할 수 없고, 빈번하게 약품 세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플럭스를 높게 유지하고,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키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막분리 활성 슬러지식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생물 고정상 (固定床) 을 형성함으로써, 미세 SS 성분을 포식하는 미소 동물, 특히, 그 제거 능력이 높은 질형목류와 같은 여과 포식성 미소 동물의 비계를 공급하고, 이들 미소 동물을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우선적으로 증가시켜, 이들 미소 동물에 의해 혐기성 생물 처리로 생성된 미세한 SS 를 효율적으로 포식시킴으로써,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이 개선되어, 후단의 막분리 장치의 막플럭스가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달성된 것으로, 이하를 요지로 한다.
[1]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혐기성 생물 처리조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생물 고정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2][1]에 있어서, 상기 생물 고정상의 용적이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용적에 대해 1 ? 3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3][1]또는[2]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수단은,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침지된 침지형 막분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4][3]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의 일반측 (一半側) 에 상기 생물 고정상이, 타반측 (他半側) 에 상기 침지형 막분리 장치가 각각 침지 배치되고, 그 침지형 막분리 장치의 하방에 폭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생물 고정상을 형성함으로써, 미세 SS 성분을 포식하는 미소 동물, 특히, 그 제거 능력이 높은 질형목류와 같은 여과 포식성 미소 동물의 비계가 공급되고, 이들 미소 동물을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우선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이들의 미소 동물에 의해 혐기성 생물 처리로 생성된 미세한 SS 가 효율적으로 포식됨으로써,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후단의 막분리 장치의 막플럭스를 높게 유지하고,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켜 효율적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막간 차압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이고, 도 1 에 있어서, 1 은 혐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이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내에는 담체 (3) 가 충전되어 있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의 일반측에는 생물 고정상 (4) 이, 또, 타반측에는 침지형 막모듈 (5) 이 각각 침지 배치되고, 막모듈 (5) 의 하방에는 산기관 (폭기 수단) (6) 이 형성되어 있다. P1, P2 는 펌프이고, PI 는 압력계이다.
도 1 에 있어서, 유기물 함유 배수 (원수) 는, 배관 (11) 으로부터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의 바닥부에 도입되어,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내를 상향류로 흐르는 동안에 혐기성 생물 처리되고, 혐기성 생물 처리수는 배관 (12) 으로부터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도입된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는, 막모듈 (5) 에 의해 고액 분리되고, 막투과수가 처리수로서 배관 (13) 으로부터 취출된다. 잉여 슬러지는 배관 (14) 으로부터 발출된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의 처리 방식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동성 담체 (3) 를 충전한 유동상식 (流動床式) 이외에, 고정상식 처리조여도 되고, 또, 조 내에 고밀도이고 침강성이 큰 그래뉼 슬러지의 슬러지 블랭킷을 형성하고, 원수를 상향류 통액시켜 고부하 고속 처리를 실시하는 UASB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상향류 혐기성 슬러지 블랭킷) 법이나, 이 UASB 법보다 더욱 높이가 높은 반응조를 사용하여 고유속으로 원수를 통액시켜, 슬러지 블랭킷을 고전개율로 전개시켜 추가적인 고부하에 의해 혐기성 처리를 실시하는 EGSB (Expanded Granule Sludge Blanket) 법이어도 된다.
또, 산생성 반응과 메탄 생성 반응을 동일한 처리조 내에서 실시하는 1 상식 (相式) 이어도 되고, 각 반응을 다른 처리조에서 실시하는 2 상식이어도 된다.
담체를 사용한 유동상식 처리조, 고정상식 처리조나, UASB, EGSB 와 같은 그래뉼을 사용한 처리조는, CODCr 부하 5 ㎏/㎥?d 이상의 고부하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조 내에 막모듈 (5) 을 침지 배치한 침지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 처리조인데, 막모듈은 이와 같이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외에 막모듈을 형성하는 조외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을 채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조외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의 경우, 처리조 (2) 와는 별도로 형성한 폭기조 내에 막모듈을 침지시켜 막투과수를 얻고, 막농축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순환시켜도 된다.
침지형 막모듈이 아니라, 통상적인 막모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력이 비교적 작아도 된다는 점, 및 전단력이 비교적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슬러지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아, 막의 로딩이 발생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침지형 막모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의 종류로는, SS 의 고액 분리성이 우수한 MF (정밀 여과) 막이나 UF (한외 여과) 막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형식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평막, 튜뷸러막, 중공사막 중 아무거나 채용할 수 있다.
도 1 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는, 막모듈 (5) 의 하방에 산기관 (6)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막모듈 (5) 의 하방에 산기관 (6) 을 형성함으로써, 막모듈 (5) 의 막면 부착물이 산기에 의한 폭기류의 세정 작용으로 일부 박리 제거되어 막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형성하는 생물 고정상 (4) 으로는, 미세 SS 성분을 포식하는 미소 동물, 특히, 그 제거 능력이 높은 질형목류와 같은 여과 포식성 미소 동물의 비계가 되는 것이면 되고, 일반적으로 접촉 폭기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골함석, 망, 허니컴 형상인 것, 섬유나 로프에 리본을 부착한 것, 스펀지판 등, 처리조에 고정된 담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공질의 구멍에 미소 동물이 서식하고, 이들이 혐기성 생물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한 SS 를 효율적으로 포식한다. 다공질의 세공 직경으로는, 미소 동물의 서식면에서 200 ? 10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형성하는 생물 고정상의 용적은, 처리조 (2) 내의 막모듈의 유무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처리조 (2) 의 용적에 대해 1 ? 30 %, 특히 5 ? 10 % 가 바람직하다.
생물 고정상의 용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미소 동물을 충분히 증식시킬 수 없고, 지나치게 크면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 이외에, 생물 처리조의 교반 혼합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여기서, 생물 고정상의 용적이란, 다공질의 구멍을 감안하지 않는 외관상의 용적이며, 처리조의 용적이란 조 내에 침지된 막모듈의 용적을 제외한 용적을 가리킨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형성하는 생물 고정상 (4) 은, 처리조 (2) 내의 폭기에 의한 유동이 적은 영역, 즉, 산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슬러지가 하향류로서 가라앉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미세한 SS 를 처리하는 미소 동물이 고정상에 보다 서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 1 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는, 처리조 (2) 내의 일반측에 생물 고정상 (4) 을 침지 배치하고, 타반측에 막모듈 (5) 을 침지 배치하고, 막모듈 (5) 의 하방에 산기관 (6) 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다단으로 형성하고, 예를 들어, 전단을 탈질조로 하고, 후단을 질화조로 하여, 질화조로부터 탈질조에 슬러지를 순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생물 고정상은 질화조에 형성하고, 막모듈은 질화조 또는 질화조의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다른 폭기조 (막침지조) 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처리 조건으로는, CODCr 부하 0.7 ? 5 ㎏/㎥?d, 특히 1 ? 2.5 ㎏/㎥/d, BOD 부하 0.3 ? 3 ㎏/㎥?d, 특히 0.5 ? 2 ㎏/㎥?d 이고, MLSS 농도 2,000 ? 20,000 ㎎/ℓ, 특히 4,000 ? 12,000 ㎎/ℓ 인 것이 막여과성, 처리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로는, 통상적으로 생물 처리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전자 산업 배수, 화학 공장 배수, 식품 공장 배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현상 공정, 박리 공정, 에칭 공정, 세정 공정 등으로부터 각종 유기성 배수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또한 배수를 회수하여 순수 레벨로 정화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배수는 본 발명의 처리 대상 배수로서 적합하고,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의 처리수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도 처리함으로써 고순도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성 배수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 모노에탄올아민 (MEA),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TMAH) 등의 유기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 등의 유기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수질의 전자 부품 제조 공장의 배수를 원수로 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원수 수질>
CODCr:1,500 ? 3,000 ㎎/ℓ (평균 2,000 ㎎/ℓ)
T-N:30 ? 70 ㎎/ℓ (평균 50 ㎎/ℓ)
T-P:3.0 ㎎/ℓ (Ca, Mg, K, 그 밖의 미량 금속과 함께 영양제로서 첨가)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로는, 조 용량 10 ℓ (φ16 ㎝ × H 60 ㎝ 의 원통상) 인 것을 사용하고, 수리학적 체류 시간:4.8 hr, 온도:35 ℃ 로 가온시켜 처리를 실시하였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는, 폴리프로필렌제 원통상 담체 (φ3 ㎜ × 5 ㎜) 를 4 ℓ 충전하고, 맥주 공장의 배수 처리 시설의 그래뉼을 종 슬러지로 하여 500 ㎖ 투입하고 2 개월 순양 (馴養) 한 후, 처리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도입하였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로는, 조 용량 1.5 ℓ 인 것을 사용하고, 생물 고정상 (4) 으로서, 세공 직경:500 ㎛, 두께:1 ㎝ 의 스펀지판 (외관 용적:100 ㎖ (호기성 생물 처리조 용적의 7 %)) 을 사용하고, 막모듈 (5) 의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 (6) 으로부터의 폭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슬러지가 가라 앉는 위치에 고정시켰다.
막모듈 (5) 로는, 중공사 형식의 MF 막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 (주) 제조 「마이크로자 MF 레버러토리 모듈」, 폴리불화비닐리덴제, 구멍 직경 0.10 ㎛) 을 산기관 (6) 의 상방에 침지 배치하였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전자 부품 제조 공장 배수 처리 설비의 활성 슬러지를 종 슬러지로 하여 시동하고, 막모듈 (5) 에서는, 6 min 흡인 여과/2 min 정지의 사이클, 여과시의 플럭스 0.4 m/d 로 흡인함으로써 막분리 처리하고, 한편, 75 ㎖/d 로 잉여 슬러지를 인발하였다 (SRT20d).
또, 막간 차압이 30 kPa 까지 상승된 시점에서, 막모듈 (5) 을 끌어 올려, 약품 세정 (유효 염소 0.3 % NaClO + NaOH (pH 12 로 조정) 용액에 6 시간 침지) 을 실시하였다.
운전 개시 2 주일 후 (운전 개시 2 주일 후를 운전 일수 0 일로 한다) 부터 막간 차압의 추이를 측정하고, 막간 차압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도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생물 고정상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처리를 실시하여, 막간 차압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도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모두,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서는, 10 ㎏/㎥?d 의 CODCr 부하에 대해, 시험 기간을 통해서 90 % 전후의 제거율이 안정적으로 얻어지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처리수 CODCr 은 10 ㎎/ℓ 이하 (비교예 1:평균 5.4 ㎎/ℓ, 실시예 1:평균 5.0 ㎎/ℓ) 에서 안정적으로 추이되었다.
운전이 안정적이었다고 보여지는 기간의 막간 차압의 상승 속도는, 비교예 1:1.3 kPa/d, 실시예 1:0.54 kPa/d 이고, 비교예 1 에서는 대략 1 회/20 일의 빈도로 약품 세정이 필요했던 것에 반해, 실시예 1 에서는 약품 세정 빈도를 1 회/50 일 정도로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여과시의 플럭스를 0.7 m/d 로 높인 결과, 비교예 1 에서는 막간 차압의 상승 속도가 2.8 kPa/d 로 오르고, 1 회/10 일을 초과하는 빈도로의 약품 세정이 필요해진 것에 반해, 실시예 1 에서는 막간 차압의 상승 속도의 증가는 근소하고, 1 회/50 일 정도의 세정 빈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 혐기성 생물 처리수의 SS 를 분석한 결과, 혐기성 생물 처리수에는 60 ? 100 ㎎/ℓ 의 SS 가 함유되어 있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로 항상 유입되고 있었다. 혐기성 생물 처리수 및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의 SS 성분의 입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 혐기성 생물 처리수에서는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40 % 를 차지하고 있고, 비교예 1 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에서도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약 10 % 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에서는,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약 0.3 % 로 현저하게 적어져 있어,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서 미세 SS 성분이 분해되어, 막여과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혐기성 생물 처리와 막분리 활성 슬러지 처리를 조합한 처리에 있어서, 혐기성 생물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한 SS 성분에 의한 막오염을 저감시켜, 막의 세정 빈도를 줄임과 함께 막플럭스를 높게 하여 운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 혐기성 생물 처리조
2 … 호기성 생물 처리조
3 … 담체
4 … 생물 고정상
5 … 막모듈
6 … 산기관

Claims (4)

  1.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혐기성 생물 처리조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생물 고정상 (固定床) 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고정상의 용적이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용적에 대해 1 ? 3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수단은,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침지된 침지형 막분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의 일반측 (一半側) 에 상기 생물 고정상이, 타반측 (他半側) 에 상기 침지형 막분리 장치가 각각 침지 배치되고, 그 침지형 막분리 장치의 하방에 폭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KR1020120031792A 2011-03-30 2012-03-28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KR20120112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4612 2011-03-30
JP2011074612A JP2012206039A (ja) 2011-03-30 2011-03-30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43A true KR20120112143A (ko) 2012-10-11

Family

ID=4698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92A KR20120112143A (ko) 2011-03-30 2012-03-28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206039A (ko)
KR (1) KR20120112143A (ko)
CN (1) CN102730903A (ko)
TW (1) TWI585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2597B2 (ja) * 2013-04-08 2016-02-16 栗田工業株式会社 有機性排水の生物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60627A (ko) * 2013-09-27 2016-05-30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성 배수의 생물 처리 방법
JP6612195B2 (ja) * 2016-07-26 2019-11-27 水ing株式会社 有機性廃水の処理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CN115448459A (zh) * 2022-10-14 2022-12-09 河北工程大学 一种城市污水自养-异养颗粒污泥mbr脱氮系统膜污染控制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577A (ja) * 1995-03-09 1996-09-24 Mitsubishi Rayon Eng Co Ltd 廃水の処理方法
JP3350353B2 (ja) * 1996-05-28 2002-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2001104990A (ja) * 1999-10-13 2001-04-17 Mitsubishi Heavy Ind Ltd 湖沼浄化装置
JP2003211184A (ja) * 2002-01-17 2003-07-29 Kobe Steel Ltd 難分解性化合物の分解方法
CN1208262C (zh) * 2003-04-02 2005-06-29 董红敏 高浓度有机污水处理组合方法及其设备
JP2005143454A (ja) * 2003-11-19 2005-06-09 Mitsubishi Rayon Co Ltd 排水処理用微生物の選択方法及びこれにより選択された微生物を用いた排水処理方法
TWI313187B (en) * 2003-11-21 2009-08-11 Ind Tech Res Inst System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containing waste water
JP2007069091A (ja) * 2005-09-06 2007-03-22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
JP5315587B2 (ja) * 2005-12-27 2013-10-16 栗田工業株式会社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8264772A (ja) * 2007-03-27 2008-11-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膜分離活性汚泥装置及び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
TWI346651B (en) * 2007-03-27 2011-08-11 Juimin Hung Autothermal thermophilic aerobic membrane system for processing liqui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0903A (zh) 2012-10-17
TWI585048B (zh) 2017-06-01
JP2012206039A (ja) 2012-10-25
TW201307215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Performance of a hybrid membrane bioreactor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TWI494281B (zh) 有機性排水的處理裝置
TWI596063B (zh)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and treating waste containing organic matter
JP2008264772A (ja) 膜分離活性汚泥装置及び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
JP5889328B2 (ja) 汚水に含まれた有機物質および窒素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汚水処理装置
Thanh et al. Fouling characterization and nitrogen removal in a batch granulation membrane bioreactor
CN1907883B (zh) 有机性排水的处理方法
KR101956383B1 (ko) 막분리 활성 오니 장치에 의한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
KR20120112143A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JP6084150B2 (ja) 脱窒処理方法及び脱窒処理装置
JP6184541B2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JP2014000495A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WO2003043941A1 (fr)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eaux usees organiques
KR19980083279A (ko) 침지형 정밀여과막-활성슬러지 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 및 영양물질 처리방법
WO2011136043A1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廃水処理方法
CN101516790A (zh) 废水的处理方法
JP5105608B2 (ja) 廃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4213265A (ja) 有機物含有水の生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Alberti et al. Hydrocarbon removal from industrial wastewater by hollow-fibre membrane bioreactors
JP5817177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TW201500298A (zh) 有機性排水之處理方法及處理裝置
KR102108870B1 (ko) 질소, 인 제거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JP2012125745A (ja)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RU2644904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азотно-фосфорных и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WO2015002121A1 (ja) 汚水浄化処理方法及び汚水浄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