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616A -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616A
KR20120110616A KR1020110028581A KR20110028581A KR20120110616A KR 20120110616 A KR20120110616 A KR 20120110616A KR 1020110028581 A KR1020110028581 A KR 1020110028581A KR 20110028581 A KR20110028581 A KR 20110028581A KR 20120110616 A KR20120110616 A KR 2012011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adium
water
plant
functional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315B1 (ko
Inventor
조주현
백순옥
김봉균
박성환
홍윤석
Original Assignee
(주)휴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럼 filed Critical (주)휴럼
Priority to KR102011002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1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지역 지하수(워터)를 이용하여 항 당뇨 효능을 가지는 식물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은,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여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Culturing Method of Functional Plants using Vanadium water and Functional materials of There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지역 지하수(워터)를 이용하여 항 당뇨 효능을 가지는 식물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의 지하수(물)는 화산 암반수라는 제주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의하여 바나듐의 함량이 다른 지역의 지하수(물)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허문헌에 기재된 (KR) 특허등록 제853205호의 고농도의 바나듐을 함유한 음용수의 제조방법 밀 이를 위한 장치에서 역삼투 공정으로 바나듐을 농축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당뇨병은 발생기전에 따라 크게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 1형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itus)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의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것으로 그 원인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하여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게 된다. 이에 비해 제 2형 당뇨병은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 당대사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하며 전체 당뇨환자의 약 90%가 이에 해당한다.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되면 인슐린 분비는 계속 증가되어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세포가 그 기능을 잃게 된다.
제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에 있어서 당뇨병 전증이라는 단계를 거치는데, 당뇨병전증(Predaibetes)는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를 말한다.
상기 내당능장애란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후 혈장 포도당 농도가 141~199㎎/㎗ 일 때를 말하며, 상기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장 포도당 농도가 111~125㎎/㎗ 일 때를 가리킨다.
당뇨전증(Predaibetes)은 당뇨병의 전단계로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인 동시에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소로서 그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해서는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저혈당의 유발 위험성 등으로 특별한 치료 대신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이 권해지고 있다.
이에 당뇨병에 이르기 전에 예방할 수 있거나 발생 후 치료를 예방할 수 있는 소재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식이요법 중의 하나가 바나듐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로, 바나듐에 대한 연구는 약 30년 전,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Yoram Shechter 교수는 조직실험에서 미량금속 원소인 바나듐(vanadium)이 인슐린의 대사효과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당뇨병에 바나듐을 투여하면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가지 대사결함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일본의 여러 공동연구팀이 미네랄의 일종인 바나듐을 포함한 천연수가 당뇨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등 바나듐이 당뇨질환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밖에도 바나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
VANADIUM ION-CONTAINING SUGAR, LIPID AND/OR NITROGEN METABOLIC DISEASE-IMPROVING AGENT(일본(JP)공개번호:2007-031282, (출원일 2003.11.19))가 당뇨병을 비롯한 당대사 질환, 또는 지방질 대사나 질소대사에 관련하는 질환의 개선, 치료제를 제공하는 기술로, 바나듐 이온(V)을 적어도 80㎍/L함유하는 음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질소, 및/또는 지방질 대사 질환의 개선제를 제공하며, 바나듐 이온(V)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300㎍/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50㎍/L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음료수가 미네랄 워터, 녹차, 홍차, 쥬스 또는 유산균 음료 등의 형태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라는 연구와,
VANADIUM ION-CONTAINING AGENT FOR AMELIORATING HYPERTENSION, HYPERLIPEMIA AND NEUTRAL-FAT LIPEMIA AND BLOOD SUGAR-LOWERING AGENT FOR HYPERLIPEMIA AND NEUTRAL-FAT LIPEMIA PATIENT(일본(JP)공개번호:2006-232679, (출원일 2005.02.22))는 성인병 질환을 가지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바나듐 이온수의 음용에 의한 효과를 검증해, 이들의 치료 결과에 근거하고, 성인병 질환에 대한 신뢰 생기는 바나듐 이온수의 용도를 제공하는 기술로, 바나듐 이온(V)을 적어도 80㎍/L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의 형태에 있어, 포유동물에서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고혈압 개선제 등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혈당 강하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
METHOD FOR PRODUCING VANADIUM-CONTAINING MYCELIUM OF AGARICUS AND FOOD HAVING AGARICUS FUNCTION(일본(JP)공개번호:2006-180716, (출원일 2004.12.24))는 항종양 작용 등을 가지는 버섯으로서 알려져 있는 아가리쿠스버섯에, 당뇨병의 예방 등에 효과적인 원소이라고 되고 있는 바나듐을 함유시킨 기능성 식품과, 그 기능성 식품을 효율 좋고 생산하는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탄소원, 질소원, 미네랄원, 물 등의 배양 성분과 함께 수용성 바나듐 화합물을 포함한 배양지에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의 종 배양액을 접종 해 육성해, 바나듐을 함유하는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를 얻는 기술로, 이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를 원심분리기 등의 분리 장치를 이용해 액체와 분리해, 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 장치로 분쇄하고, 바나듐 함유 균사체 분말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과,
VANADIUM-CONTAINING RADISH SPROUT AND METHOD FOR CULTURING THE SAME(일본(JP)공개번호:2006166833)는 당뇨병의 예방 등에 효과적인 원소이라고 되고 있는 바나듐을 함유해,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음식 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하는 어린 떡잎 무를 제공하는 것으로, 발아한 어린 떡잎 무의 종자를 수경재배 용수조에 넣어 그 수조 내에 물에 가용성의 칼리, 인, 질소 등을 포함한 소정 온도의 액체 비료를 공급하면서 육성하는 어린 떡잎 무의 재배 방법이며, 상기 액체 비료에 바나듐의 가용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육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 어린 떡잎 무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액체 비료 중의 바나듐 농도를 0.05 ~ 10㎎/ℓ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방법에 따라 생산되는 어린 떡잎 무의 바나듐 함유량은, 10~100 pp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수행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나듐을 이용한 소재 및 제품생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으로 본 기술도 당뇨병의 예방을 통한 발병률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치료보조역활이 가능한 기능성 소재 생산에 관한 기술이다.
(KR) 특허등록 제853205호 (2008.08.13. 등록)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당뇨질환 예방 및 치료효능을 갖는 바나듐을 함유한 식품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양액재배와 관련된 연구를 하던 중, 바나듐을 함유한 제주지역의 지하수를 이용한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을 확립하고, 이 양액재배방법을 이용하여 당뇨예방 및 치료효능을 갖는 바나듐이 축적되는 식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당뇨예방 및 치료를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제주지역의 지하수를 활용함으로써 제주지역의 경제에 이바지하는 동시에 당뇨예방 및 치료효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은,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여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은 감압농축기술로 농축하여 바나듐 수(농축수)를 만들며, 상기 단계(S20)에서는, 바나듐 수에 식물 종자를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한다.
상기 바나듐 수의 바나듐의 함량은 40~1500 ppb로 한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양액재배용 용기 내에 바나듐 수 또는 바나듐 수와 제주 송이를 넣어 불림된 식물 종자를 재배하며, 또한 상기 단계(S30)에서는, 양액재배시 식물에 1일에 2~12회 일정간격으로 분무기로 분무하여 재배를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인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로 사용한다.
다량의 바나듐을 함유하는 제주지역의 지하수(물)를 이용하여 식물을 양액재배를 하여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제주지역의 경제활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주지역의 지하수(물)에 포함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고, 농축된 바나듐 농축액을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사용하여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이 있는 바나듐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물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아주 유용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주지역 지하수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물을 양액재배하는 방법.
도 3은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단기작물인 새싹유채를 재배한 사진.
도 4는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단기작물인 순무싹을 재배한 사진.
도 5는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단기작물인 새싹배추를 재배한 사진.
도 6은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단기작물인 새싹완두를 재배한 사진.
본 발명은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지역 지하수를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이용하여 바나듐을 함유하여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을 얻어지며, 이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주지역 지하수를 이용한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제주지역 지하수를 이용한 바나듐 성분을 함유하는 양액재배용 양액을 사용하여 식물을 양액재배함으로써 바나듐을 축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은,
제주지역의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여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하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30)에서 재배된 식물을 수득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단계(S10)는, 제주지역의 지하수를 농축하는 단계로 보통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감압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도록 하며, 바나듐이 농축된 농축수는 pH농도가 5.5~6.8로 조절하고, 바나듐의 함량은 40~1500ppb로 조절하여 양액재배에 사용될 양액인 바나듐 수를 준비한다.
또한, 제주지역 지하수의 바나듐 함량이 40ppb 이상인 경우에는 농축하지 않고 바로 바나듐 수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주지역 지하수의 바나듐 함량이 40ppb 이상인 경우에는 농축하지 않고 바로 바나듐 수로 바로 이용하고, 40ppb 이하인 경우에는 감압농축기술을 이용하여 농축하여 바나듐 수를 획득한다. 이때, 바나듐 수의 바나듐 함량은 40ppb 이상이면 적합하나, 바람직하게는 바나듐 수의 바나듐 함량은 300±50ppb로 농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사용될 바나듐 수의 바나듐 함량이 40ppb 이하인 경우에는 재배되는 식물에 바나듐이 축적되는 함량이 적어 당뇨예방 및 치료효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바나듐 수의 바나듐 함량이 1500ppb 이상인 경우에는 재배되는 식물에 다량의 바나듐이 축적될 수 있으나, 식물의 발아율이 낮고, 고농축으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됨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의 함량을 고려할 때 경제성과 재배되는 식물에 축적되는 바나듐의 함량 등을 검토하여 볼 때에 바나듐 수의 바나듐 함량은 300±50ppb로 농축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단계(S20)는, 재배될 식물의 발아를 돕고, 재배되는 식물에 함유되는 바나듐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는 단계로, 식물의 종자를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에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한다. 보통 3.5~4.5 시간이 적당하다.
상기 식물 종자란 씨앗번식식물인 경우에는 씨앗이며, 줄기번식식물인 경우에는 줄기, 뿌리번식식물인 경우에는 뿌리로 식물의 번식을 위한 근원(매개체)을 칭한다.
상기 바나듐 수를 이용한 양액재배하는 단계(S30),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한 식물 종자를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하는 단계로, 양액재배되는 식물이 다량의 바나듐을 함유하도록 하여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을 제공하도록 한다.
바나듐 수를 이용한 양액재배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재배될 수 있다.
도 2의 (a)에서와 같이 양액재배용 용기(1) 내에 바나듐 수(3)를 담아 단계(S20)에서 불림된 종자(2)를 재배할 수 있으며,
도 2의 (b)에서와 같이 양액재배용 용기(1) 내에 바나듐 수(3)와 제주송이(4)를 담아 단계(S20)에서 불림된 종자(2)를 재배할 수 있으며,
도 2의 (c)에서와 같이 양액재배용 용기(1) 내에 바나듐 수(3)와 옥돌과 같은 일반 돌(5)을 담아 단계(S20)에서 불림된 종자(2)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액재배시 식물 위로 1일 2~12회 일정한 간격으로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해준다. 분무량은 1회당 4~11㎖/100㎠량으로 분무한다.
상기 수득하는 단계(S40)는, 양액재배된 식물을 수확하는 단계로, 식물(작물)의 종류에 따라 수확시기가 상이하다.
보통 새싹채소류와 같은 단기작물의 식물인 경우는 양액재배 기간이 4~9일 정도가 소요되며, 중기이상의 작물의 식물인 경우는 양액재배 기간이 10일 이상이 소요된다.
상기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은 (새싹)유채, (새싹)메밀, (새싹)보리, 다채싹, (새싹)브로콜리, (새싹)청경채, 스테비아, 적무싹, 순무싹, (새싹)완두, (새싹)배추, (새싹)새론무, (새싹)무순, 미나리, 비빔용새싹, 콩나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제주지역에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바나듐을 함유한 당뇨예방과 그 치료능력을 가지는 기능성 식물을 획(수)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기능성 식물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얻어진 바나듐이 함유된 기능성 식물은, 착즙, 추출 등을 통하여 건강음료를 포함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가 가능하며, 또한 가공하지 않고 직접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바나듐이 함유된 기능성 식물로 획득되는 조성물은 당뇨예방 및 당뇨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나듐이 함유된 기능성 식물로 획득되는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주지역 지하수의 바나듐 농축
제주(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소재)의 지하수를 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지하수인 원수를 각각 1/2, 1/4, 1/10, 1/20, 1/40로 농축하여 바나듐 함량이 농축된 바나듐 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기술은 농축기를 이용하였으며, 농축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인 원수를 증발시켜 농축시켰다.
제주지역의 지하수 농축배수에 따른 바나듐 함량(단위 : ㎎/ℓ)
구분 Mn Fe Zn Se V
지하수 원수 - - - - 0.03
1/2 농축수 - - - - 0.07
1/4 농축수 - - - - 0.13
1/10 농축수 - - - - 0.31
1/20 농축수 - - - - 0.61
1/40 농축수 - - - - 1.23
실시예 2. 양액으로 사용하는 바나듐 수의 바나듐 농도에 따른 식물(새싹유채)의 발아율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실시한 원수와 농축한 1/4 농축수, 1/10 농축수 및 1/20 농축수를 이용하여 새싹유채의 발아율을 시험하였다.
새싹유채를 각각의 농축수 별 2개의 Petri-dish(부직포+농축배수별)에 4종류(종류별 100개의 씨앗)를 넣는 후, 식물배양기(온도 20.0±3.0℃, 습도 50±10%)에 넣어서 발아율을 12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다.
제주의 지하수 농축수에 따른 새싹유채의 발아율
구분 12 시간 24 시간 36 시간 48 시간
지하수 원수 0 6±3 83±2 88±2
1/4 농축수 0 5±2 82±2 88±2
1/10 농축수 0 5±2 81±2 86±2
1/20 농축수 0 0 74±2 76±2
상기 표 2와 같이 농축수(바나듐 함량이 농축된 바나듐 수) 중 1/20 농축수에서 만이 76% 내외로 발아율이 다소 낮아보이나, 그 외인 1/4, 1/10 농축수에서는 제주 지하수인 원수 및 일반적인 발아율인 80~90%로 나타났다.
실시예 3 : 제주지하수 원수를 농축한 농축수를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이용하여 바나듐을 함유한 식물재배
- 제주지하수를 농축하여 양액재배에 필요한 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제주지하수를 양액재배에 적합한 바나듐의 함량을 300.0±50.0ppb 농도로 농축하고, 이 농축수의 pH를 6±0.3로 조절하여 양액재배에 필요한 바나듐 (농축)수를 준비한다.
-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바나듐 (농축)수)을 이용하여 식물을 불림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준비한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인 바나듐 수에 식물 종자를 4시간 동안 불림한다.
- 불림한 식물을 양액재배하는 단계
상기 불림한 식물 종자를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인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한다.
이때 재배되는 식물 위로 1일 6회 일정한 간격으로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해준다. 분무량은 1회당 4㎖/100㎠량으로 분무한다.
- 바나듐을 농축한 양액인 농축수로 양액재배된 식물의 수득하는 단계
단기식물(작물)의 경우 3~9일, 중장기 식물(작물)의 경우 10일 이상 재배하여 식물을 수확한다.
수확한 식물은 건조 후 그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래 실험에서와 같이 식물내의 바나듐함량을 분석한다.
실험 : 실시예3의 방법으로 양액재배한 식물의 바나듐함량분석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양액재배 한 식물을 건조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처리한 다음 ICP-AES으로 바나듐 함량을 분석하여 표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처리과장은 삼각플라스크나 비커에 시료 약 0.2500 ~ 2.000g을 취한 후 HNO3 용액 10 mL를 첨가하여 가열/교반 한다.
시료가 완전히 분해되면 가열하여 HNO3를 날려보낸 다음 다시 삼각플라스크에 HNO3 3 mL를 첨가 후 가열하면서 H2O2를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유기물과 반응하여 CO2발생), 반응이 끝나면 투명한 색이 되며, 거의 증발시킨 후 식혀 일정 부피까지 증류수로 채우고(희석배수가 50배가 넘지 않도록 한다) ICP-AES으로 바나듐을 분석하여 식물 중 유채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 함량이 2.32ppm으로 분석되었으며, 건조 전 수분함량이 91.8%의 식물으로 환산했을 경우 바나듐 함량이 0.19ppm 분석되었다. 또한 메밀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함량이 1.36ppm으로 분석되었으며, 건조 전 수분함량이 91.2%의 식물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바나듐함량이 0.120ppm으로 분석되었으며, 보리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함량이 0.98ppm으로 분석되었으며, 건조 전 수분함량이 91.3%의 식물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바나듐함량이 0.0825ppm으로 분석되었다.
양액재배된 식물의 바나듐 함량(단위 : ㎎/㎏)
구분 Cr Mn Fe Co Ni Zn As Pb Cd Se V
유채 - - - - - - - - - - 2.32
보리 - - - - - - - - - - 0.98
메밀 - - - - - - - - - - 1.36
상기와 같이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을 농축하여 이루어진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된 식물에는 당뇨예방 및 치료능력을 가지는 바나듐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지역의 물을 농축하여 양액재배한 식물에는 바나듐이 일정함량이상 함유하고 있어서 당뇨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식물은 당뇨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 양액재배용 용기 2 : 불림된 식물 종자
3 : 바나듐 수 4 : 제주송이
5 : 일반돌

Claims (10)

  1. 제주지역의 지하수에 함유된 바나듐 성분을 농축한 바나듐 수를 양액재배용 양액을 사용하여 식물을 양액재배함으로써 바나듐을 축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지역 지하수의 바나듐 함유량이 40ppb 이상인 경우 직접사용하고, 그 이하인 경우에는 40ppb 이상으로 농축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바나듐이 함유된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단계(S10)에서 준비된 바나듐 수를 이용하여 양액재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제주지역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 함량을 측정하여, 바나듐 함량이 40ppb 이하인 경우 바나듐 함량이 40ppb 이상으로 농축하여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는 제주지역 지하수를 농축하여 바나듐의 함량이 300±50ppb인 바나듐 수를 준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는, 바나듐 수에 식물 종자를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는, 양액재배용 용기 내에 바나듐 수 또는 바나듐 수과 제주 송이를 넣어 불림된 식물 종자를 재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는, 식물에 1일에 2~12회 일정간격으로 바나듐 수를 분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는, 식물에 1일에 2~12회 일정간격으로 바나듐 수를 분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KR1020110028581A 2011-03-30 2011-03-30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KR10131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581A KR101310315B1 (ko) 2011-03-30 2011-03-30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581A KR101310315B1 (ko) 2011-03-30 2011-03-30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16A true KR20120110616A (ko) 2012-10-10
KR101310315B1 KR101310315B1 (ko) 2013-09-23

Family

ID=4728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581A KR101310315B1 (ko) 2011-03-30 2011-03-30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72B1 (ko) * 2021-03-30 2021-06-28 김성배 바나듐을 이용한 콩나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407A (ko) * 2015-10-01 2017-04-11 (주)제주사랑농수산 화산석 송이를 이용한 새싹의 재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920A (ja) 2001-11-28 2003-06-03 Marine Bio Kk バナジウム含有キノコ類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機能性食品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166833A (ja) * 2004-12-17 2006-06-29 Taiyo Koko Co Ltd バナジウム含有カイワレ大根及びその栽培方法
JP2006180716A (ja) 2004-12-24 2006-07-13 Taiyo Koko Co Ltd バナジウム含有アガリクス菌糸体の生産方法及びアガリクス機能性食品。
KR100853205B1 (ko) * 2007-03-15 2008-08-20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고농도의 바나듐을 함유한 음용수의 제조 방법 및 이를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72B1 (ko) * 2021-03-30 2021-06-28 김성배 바나듐을 이용한 콩나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315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53B1 (ko) 복합 펩티드 셀레노프로테인 양액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CN102488281A (zh) 一种具有降血糖作用的新型纯植物复合浓缩饮液及其制法
CN103462133B (zh) 一种果糖刺梨汁饮料及其生产方法
KR20130041565A (ko)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1531B1 (ko) 바나듐을 함유하는 새싹유채의 재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유채와 이를 포함하는 당뇨용 기능성 조성물
KR101310315B1 (ko)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KR101264744B1 (ko) 미생물 발효로 추출되는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KR101264745B1 (ko)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CN106171334A (zh) 一种广西野生甜茶的扦插繁殖方法
KR20120123975A (ko) 선옥균과 산야초의 발효 조성물과 꿀벌 사양액 제조방법
KR101371079B1 (ko) 미생물 발효로 추출되는 제주송이 발효액을 이용한 항 당뇨를 가지는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 당뇨를 위한 기능성 식물과 소재
CN104860726A (zh) 一种元素平衡营养降糖茶
CN103815505A (zh) 一种咖啡果皮甜饮料
KR20130085576A (ko) 인삼열매 발효액의 제조방법
CN107624464A (zh) 利用远红外线栽培营养成分丰富的农作物的方法
KR101315362B1 (ko) 수경 인삼의 가공방법
KR101797088B1 (ko) 발아보리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851395B1 (ko) 상황버섯 발효 그라비올라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623181A (zh) 一种青钱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901444B (zh) 一种青梅保健饮料及其制造方法
KR20160058201A (ko)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
KR102414861B1 (ko) 아연 메가도스법에 의한 혈당 강하용 기능성 새싹보리 순 및 뿌리,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과 이의 재배방법
CN108503457A (zh) 一种茶树专用喷施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