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517A - 음식 준비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 준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517A
KR20120109517A KR1020127016222A KR20127016222A KR20120109517A KR 20120109517 A KR20120109517 A KR 20120109517A KR 1020127016222 A KR1020127016222 A KR 1020127016222A KR 20127016222 A KR20127016222 A KR 20127016222A KR 20120109517 A KR20120109517 A KR 2012010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ermanent
selectable
element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니어 모리스 더블유. 리
3세 모리스 더블유. 리
Original Assignee
일렉트라 웨이브 코포레이션
3세 모리스 더블유. 리
쥬니어 모리스 더블유.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라 웨이브 코포레이션, 3세 모리스 더블유. 리, 쥬니어 모리스 더블유. 리 filed Critical 일렉트라 웨이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0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47J36/22Wir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독창적인 선반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음식 준비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적어도 또한 비한정적으로,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영구 선반(102)을 포함하는 그 프레임 어셈블리(102); 상기 영구 선반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프레임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 및 상기 영구 선반으로 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비영구 선반(10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영구 선반은 풍미 주입 영역(118)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 준비 장치{FOOD PREPARATION APPARATUS}
많은 상이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선반(shelving) 시스템이 이용가능하다. 일부 선반 시스템은 오븐 랙(oven rack)의 경우와 같은 요리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해하겠지만, 선반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 조작하고 구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많은 선반 시스템은 한 선반 또는 모든 선반의 움직임과 빼냄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기구의 요소와 결합하는 독립적인 선반을 사용한다. 또한, 독립적인 선반은 종종 다자인이 균일하여, 선반 또는 장애물이 근접하게 존재함으로 인해 많은 양의 공간이 사용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선반 시스템이 구성 가능성이 종종 사용자에게 해로울 정도로 이용가능한 공간과 경쟁한다.
이들 및 다른 종류의 선반 시스템에서, 다른 크기를 지닌 다양한 물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특히 가능한 구성의 증가에 대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례적인 실시 형태는 일반적으로 독창적인 선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식 준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적어도 또한 비한정적으로,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영구 선반을 포함하는 그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영구 선반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프레임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 및 상기 영구 선반으로 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비영구 선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영구 선반은 풍미 주입 영역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를 형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은 적어도 또한 비한정적으로, 프레임 어셈블리에 부착된 영구 선반을 포함하는 자기 지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영구 선반은 풍미 주입 영역을 제공함);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는 단계; 및 비영구 선반을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와 결합시켜 적어도 하나의 비영구 선반을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 준비 장치의 실시 형태를 형성하고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은 적어도 또한 비한정적으로, 음식 준비 챔버안에 있는 풍미 주입 요소에 풍미 향상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음식 준비 챔버와 풍미 주입 구성품 각각은 독립적인 기부와 상호 작용하는 독립적인 원통형 벽으로 형성된다. 다음 예시적인 단계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된 비영구 선반상에 소정량의 음식물을 두는 단계; 및 음식 준비 챔버의 원통형 벽과의 접촉이 없도록 또한 음식 준비 챔버의 원통형 벽의 풍미 주입 영역이 풍미 주입 구성품의 원통형 벽의 중간 영역에 비접촉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되는 음식을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상기 음식 준비 챔버안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식을 지지하는 랙이 최종적으로 음식 준비 챔버안에 위치되면, 음식 준비 챔버의 환경을 조절하여, 풍미 향상 물질로부터 얻어지는 소정의 풍미를 음식에 주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특징이 되는 이들 및 다른 특징적인 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예시적인 선반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선반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선반 시스템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예시적인 선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도 4 의 선반 시스템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선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도 6 의 환경에서 선반 시스템의 예시적인 작동을 나타낸다.
도 9 는 고체 선반을 나타내는 독창적인 선반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상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실행되는 예시적인 음식 준비 과정을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은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정면도를 나타내는데, 이 장치에는 음식 제품의 준비를 위해 프레임 어셈블리(101)와 영구 선반(102) 및 다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이 조합되어 있다.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는 하나 이상의 비영구 선반(들)(108)을 영구 선반(10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고정시켜 음식 준비를 위한 다양한 선반 구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선반 구성은 선택된 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와 결합하는 비영구 선반(108)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영구 선반(108)은 몇개의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및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6)와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는 비영구 선반(108)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상향 지지 구성품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6)는 하향 지지 구성품에 의해 수직 및 수평 방향 지지가 제공되도록 제 1 선택가능한 요소(104)에 대해 역으로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작동에서, 비영구 선반(108)은 어떤 수의 상이한 수평면에서도 어떤 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와도 결합하여 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수의 비영구 선반 요소(108)라도 프레임 어셈블리(101)에 부착되어 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비영구 선반(108)이 여러 상이한 수평면에서 모든 이용가능한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영구 선반 구성이 요구되거나 제한적인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어떤 수의 비영구 선반(108)도 프레임 어셈블리(101)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에는 또한 레일(110)이 설계될 수 있는데, 이 레일은 영구 선반(102)의 둘레 주위에 부분적으로만 연장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레일(110)은 하향 부분(112)을 포함하는데, 이 하향 부분에 의해 레일(110)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배향에서 영구 선반(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레일(110) 및 하향 부분(112)의 존재 및 배향은 프레임 어셈블리(101)의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또한 일부 실시 형태에서, 영구 선반(102)을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01)은 다수의 다리부(114)에 의해 기준면에 대해 상승될 수 있다. 그 다리부(114)의 수 및 배향은 도 1 및 2 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도 2 의 측면도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는 영구 선반(102)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을 갖는다.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는 각기 영구 선반(102)에 평행한 여러 상이한 공통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공통면 및 영구 선반(1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각도로 비영구 선반(108)이 상기 선택가능한 요소에 의해 완전히 지지되도록, 선택된 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요소(104, 106)는 공통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는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프레임 어셈블리(101)의 외측 가장자리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는 영구 선반(102)의 중심으로부터 편위되어 있는 수직면을 따라 배향된다.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의 예시적인 작동에서, 각 비영구 선반(108)은 비수직 각도로 경사지며, 특정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가 결합한다. 이어서,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6)가 결합함에 따라 비영구 선반(108)이 수직 각도에 대해 경사지며, 따라서 음식물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각도에서 비영구 선반(1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 는 또한 예시적인 다리부 구성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다리부의 일 부분이 비수직 각도로 영구 선반(102)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리부(116)를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 지지 칼럼으로 형성하여 프레임 어셈블리(101)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수의 다리부에도 비수직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러한 비수직 지지부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배향으로 수직 다리부(11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영구 선반(102)은 풍미 주입 영역(11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풍미 주입 영역(118)은 영구 선반(102)에서 구멍을 형성한다. 그러나, 풍미 주입 영역(118)의 형상과 배향은 제한되어 있지 않고, 필요한 경우 프레임 어셈블리(101)의 구성 가능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비영구 선반(108)이 영구 선반(102)과 수평으로 정렬되어 상이한 공통면에서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요소(104, 106)에 의해 고정된다. 보는 바와같이, 영구 선반(102)과 비영구 선반(108)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는데, 하지만 이들 선반은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남이 없이 어떤 대칭 또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도 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디자인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반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을 사용하면,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의 역결합이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비영구 선반(108)은 원래의 배향으로 부터 또는 원래의 배향에 대해 역인 배향으로 부터 영구 선반(102)에 평행한 공통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 ? 3 은 다수의 비영구 선반(108)이 다양한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04, 106)에 고정되어 있는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를 나타내지만,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사실, 도 4 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비영구 선반도 없는 음식 준비 선반 장치(12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 어셈블리(121)는 영구 선반(122)에 고정되고, 그 영구 선반은 다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 126)에 부착된다. 프레임 어셈블리(121)는 하나 이상의 하향 부분(130)을 갖는 레일(1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하향 부분에 의해 레일(128)은 영구 선반(122)에 평행한 공통면으로부터 그 공통면 및 영구 선반(10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는 상향 지지 구성품으로 되어 있는데, 이 지지 구성품은 영구 선반(1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을 특징으로 한다. 반대로,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6)는 영구 선반(122)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의 존재로 인해 하향 지지 구성품으로 되어 있다. 도 1 ? 3 의 음식 준비 선반 장치(100)의 경우 처럼, 음식 준비 선반 장치(120)에서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는 제 1 칼럼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6)는 제 2 칼럼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는, 비영구 선반(도 1 ? 3 의 108 과 같은)의 잠재적인 고정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수의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6)와 수평으로 정렬되는 선택된 수의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를 갖는다. 프레임 어셈블리(121)는 또한 영구 선반(122)과 기준면(132) 사이에 다리부(134)를 부착하여 영구 선반(122)을 기준면의 위쪽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리부(134)의 수직 또는 비수직 부분을 사용하여 기준면(132) 위쪽에서 영구 선반(122)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리부(134)의 위치와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된 음식 준비 선반 장치(12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풍미 주입 영역(118)은 영구 선반(122)의 일측에서 접근가능한 구멍으로 나타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는 영구 선반(122)의 직경 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갖는 코드선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24)는 영구 선반(122)의 중심으로부터 편위된 평면을 따라 수평으로 정렬된다. 또한,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요소(124, 126)는 프레임 어셈블리(121) 및 영구 선반(122)의 외곽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하지만 영구 선반(122)의 둘레 내측의 지점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에서,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작동도는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환경에서 나타나 있는 것이다.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는 원통형 측벽(144)을 갖는 음식 준비 챔버(142) 안에 위치되는데, 하지만 챔버(142)의 측벽(144)에는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어떤 부분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그 장치는 자기 지지(self-supporting)되어 유지된다. 즉,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는 챔버(142)의 기부(146) 외의 어떤 것에 의해서도 지지되지 않고 음식 준비 챔버(142) 안에 음식물(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지지 특성은 영구 선반(150)의 풍미 주입 영역에 풍미 주입 구성품(148)을 설치하는 것에도 해당된다. 따라서, 풍미 주입 구성품(148)은 영구 선반(150)의 둘레의 내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그 영구 선반(150)은 풍미 주입 구성품(148)과 접촉함이 없이 그 구성품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된다. 풍미 주입 구성품(148)의 디자인, 위치 및 배향은 제한되어 있지 않고 원하는 경우 도 6 으로부터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형태에서, 풍미 주입 구성품(148)은 풍미 주입 요소(152)를 포함하는데, 이 요소는 음식물 안으로 주입될 수 있는 풍미 향상 물질로부터 소정의 풍미를 제공한다. 풍미 주입 구성품(148)의 배향은 제한되어 있지 않지만, 풍미 주입 구성품(148)을 수평으로 하기 위해 에너지 전달 부재(155)가 음식 준비 챔버(142)의 바닥부(14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풍미 주입 구성품(148)의 작용은 선택된 양의 풍미 주입 액체(154)가 바닥부(146)를 따라 존재함으로써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풍미 주입 액체(154)으로서는 물이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복수개의 비영구 선반(156)이 평행하게 지지되면서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58, 160)에 의해 영구 선반(15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선반의 수와 위치는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비영구 선반(156)은 없을 수도 있고 영구 선반(150)이 음식물을 지지하는데 이용가능한 유일한 곳이 될 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 준비 선반 장치(140)는 립(162)의 아래에서 음식 준비 챔버(142) 안에 배치되며, 따라서 뚜껑(미도시)이 챔버(142) 위에 배치되어 챔버(142)내의 압력과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음식 준비 챔버(142)에 대한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위치와 작동은 도 7 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다. 풍미 주입 영역(164)과 풍미 주입 구성품(148) 사이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되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는 원통형 측벽(144)의 어떤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풍미 주입 영역(164)은 풍미 주입 구성품(148)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형상과 배향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하지만 한 구성만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또는 그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다른 예시적인 작동은 일반적으로 도 8 의 측면도에 나타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선반(156)에 평행하게 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는 공통면을 실질적으로 따라 선반(156)을 지지하기 위해 단일의 비영구 선반(156)이 선택된 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58, 160)에 고정되어 있다. 서로에 대해 역으로 된 여러 개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로 비영구 선반(156)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한 이점은,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부주의한 움직임에 대한 염려 없이 음식물(166)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다른 이점은, 상이한 크기의 음식물(166)을 수용하기 위해 어떤 원하는 수의 비영구 선반(156)도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비영구 선반(156)이 존재하고 음식물(166)이 영구 선반(150)과 비영구 선반(156) 모두에 동시에 있다. 또한, 음식 준비 선반 장치(140)의 자기 지지 설계로 인해, 음식물은 음식 준비 챔버(142)의 측벽(144) 또는 풍미 주입 구성품(148)과 접촉하지 않고 상이한 선반들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나 있는 환경의 예시적인 작동에서, 챔버(142)의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음식 준비 챔버(142)는 밀봉된다. 그 결과, 풍미 주입 액체(154)와 조합된 풍미 향상 물질로부터 풍미가 음식물(166)에 완전히 쉽게 침투할 수 있는 반액체, 반기체 상태로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음식 준비 챔버(142)내의 압력과 온도의 양은 원하는 양의 풍미를 음식물(166) 안으로 주입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제어 및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는 음식 준비 장치(170)의 등각 투상도를 나타내는 도 9 를 참조한다. 풍미 주입 영역(174)을 포함하는 영구 선반(172)이 프레임 어셈블리(176) 및 다수의 제 1 및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78, 180)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선반 요소는 영구 선반(172)에 평행하게 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다. 다수의 비영구 선반(182)이 선택된 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178, 180)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비영구 선반(182)은 고체 편으로 구성된다. 제한하거나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비영구 선반(182)은 고체 표면이 음식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체 표면은 단일 재료편에 한정되지 않고 음식물은 음식물이 하나 이상의 크로스 바에 걸쳐 있는 격자창형 표면과 반대인 균일한 표면상에 놓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비영구 선반(182)의 디자인과 형상은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남이 없이 더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천공된 구멍 및/또는 비점착성 코팅이 비영구 선반(182) 전체에 또는 그의 일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비영구 선반(182)은 동일한 요소를 가질 필요는 없고, 일부는 격자창형 표면을 가질 수 있고 기타 부분은 코팅 또는 고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구 선반의 표면은 제한되어 있지 않고 비영구 선반(182)의 표면과 다를 수 있다.
음식 준비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이 포괄적으로 도 10 의 음식 준비 루틴(190)에 나타나 있다. 단계 192 에서, 풍미 주입 영역을 갖는 영구 선반에 고정되는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 프레임 어셈블리는 또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선반 요소는 단계 194 에서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영구 선반으로부터 편위돤다. 비영구 선반이 단계 196 에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와 결합하여 그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비영구 선반은 영구 선반에 평행하게 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는 공통면에서 실질적으로 지지된다.
그런 다음, 풍미 향상 요소가 단계 198 에서 풍미 주입 구성품에 배치되며 이는 음식 준비 챔버안에 있다. 풍미 향상 요소는 다양한 형태의 다양한 물질일 수 있다. 단계 200 에서, 선택된 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는 적어도 비영구 선반에 소정량의 음식을 놓는다. 이어서, 단계 202 에서 프레임 어셈블리와 음식은 음식 준비 챔버 또는 풍미 주입 챔버의 원통형 벽과 접촉함이 없이 음식 준비 챔버 안에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204 에서, 음식 준비 챔버내의 환경을 조절하여 풍미 향상 요소로부터 나오는 소정량의 풍미를 음식에 주입한다. 음식 준비 루틴(190)의 여러 단계들은 필요한 경우 쉽게 변경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프레임 어셈블리가 음식 준비 챔버안에 위치된 후에 음식이 비영구 선반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식 준비 루틴(190)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음식 준비 장치의 잠재적인 사용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해를 높히기 위해, 본 발명에 대한 사용의 실시 형태를 도 6 ? 8 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 특정의 사용 실시 형태는 실례를 들기 위한 것이고 사용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용에 제한을 두거나 원래 두지 않으며 또한 이용가능한 모든 준비 사이클 변형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리 조질된 음식물을 준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주어진 도시적인 예의 경우, 음식물 준비 장치의 작동은 음식물의 풍미 향상이 요망되는 상황에 사용되는 경우에 설명될 것이다.
다음 도시적인 개시 예의 경우(본 발명을 위한 다수의 사용 중의 하나), 향상된 풍미, 특히 연기 풍미를 음식물에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목재 칩이나 다른 풍미 물질이 음식 준비 챔버 안으로 도입된다. 풍미 향상 물질로서 목재 칩이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목재에 추가하여, 허브, 스피시즈, 추출물, 와인 또는 증류주와 같은(몇가지를 언급하면) 대안적인 풍미 향상 물질이 음식 준비 챔버내로 도입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압력 또는 증기가 없는 경우 음식 준비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음식물은 에너지를 받은 풍미 향상 요소와 접촉하는 목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음식 준비 챔버는 연기 풍미가 음식물 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촉진하며, 음식물은 나중에 음식 준비 챔버 또는 다른 수단으로 요리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이크나 생선 또는 다른 음식이 그릴상에서 냉간 훈제된 다음에 숯불로 구워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즈, 너트 및 기타 음식이 섭취를 위해 냉간 훈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안적으로 압력과 열의 순차적인 조합을 사용하여 음식물에 연기 풍미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요리시 소량의 물과 인가열을 갖는 밀봉된 챔버안에 음식물을 둘 수 있다. 이는 음식물의 즙과 풍미가 주변 환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된 압력 용기내에 음식물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상세와 함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많은 특징과 이점을 전술하였으나, 이 상세한 설명은 단지 실례를 들기 위한 것 뿐이고, 본 발명의 원리내에서 특히 부품들의 구조와 배치에 관한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용어의 넓은 일반적인 의미에 의해 지시되는 완전한 정도로 상세히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구조적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는 평평한 음식물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영구 선반;
    상기 영구 선반으로부터 편위되어 있고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 및
    상기 영구 선반으로 부터 편위되어 있고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비영구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적 주변부는 이 구조적 주변부의 제 1, 2 및 3 부재로 형성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이 공간부는 상기 평평한 음식물 지지 표면과 동일 평면내에서 그 지지 표면에 인접해 있고, 상기 공간부는 풍미 주입 구성품을 위한 여유를 제공하는 음식 준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의 선택되는 수는 하나 보다 많고 공통면에위치하는 일군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공통면은 실질적으로 영구 선반에 평행하게 있는 음식 준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영구 선반의 주변부에 구멍을 제공하며, 이 구멍은 풍미 주입 요소의 통과를 허용하는 음식 준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주입 요소는 횡측벽으로 연결된 적어도 상부 및 바닥 표면을 포함하며, 풍미 주입 요소는 음식 준비 챔버내에 있으며, 풍미 주입 요소의 횡측이 영구 선반의 면을 넘어 있어 상기 공간부는 풍미 주입 요소와 접촉함이 없이 그 풍미 주입 요소의 횡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프레임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음식 준비 챔버를 더 포함하는 음식 준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선반은 다수의 다리 부재에 의해 기준면 위쪽으로 상승될 수 있고, 비영구 선반은 연속적인 고체 지지 표면을 갖는 음식 준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기부에 의해 지지되는 연속적인 측벽으로 형성되는 음식 준비 챔버; 및
    상기 영구 선반으로부터 편위되어 있고, 상기 제 1 비영구 선반에 비접촉으로 인접해 있으며, 공통면에 위치하는 일군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로 지지되는 제 2 비영구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면은 실질적으로 영구 선반에 평행하며, 상기 영구 선반, 제 1 및 2 비영구 선반 각각은 상기 연속적인 측벽에 비접촉으로 인접하여 유지되면서 상기 음식 준비 챔버내에서 음식물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음식 준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는 다수의 상향 및 하향 지지 요소로 형성되며, 이들 지지 요소는 영구 선반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편위되어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으로 인접하여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음식 준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선반은 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 지지 요소들 중의 적어도 두개는 코드선의 범위에 위치되며, 이 코드선은 상기 영구 선반의 직경 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갖는 음식 준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영구 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비 원주방향 레일을 더 포함하고, 이 레일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의 부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음식 준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영구 선반은 영구 선반에 대해 경사져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의 지지를 받게 되며, 영구 선반은 연속직인 고체 지지 표면을 갖는 음식 준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영구 선반은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 및 다수의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는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의 배향에 대해 역배향을 갖는 음식 준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영구 선반은 상기 영구 선반에 대한 제 1 및 2 배향 모두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제 2 배향은 제 1 배향의 역인 음식 준비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어셈블리 및 영구 선반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되어 있고, 영구 선반의 실질적 원형 형상은 공간부로 인해 단절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는 다각형인 음식 준비 장치.
  14. 영구 선반을 포함하는 자기 지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영구 선반은 구조적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는 평평한 음식물 지지 표면을 제공하며,상기 구조적 주변부는 상기 자기 지지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영구 선반은 상기 구조적 주변부의 제 1, 2 및 3 부재로 형성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이 공간부는 상기 평평한 음식물 지지 표면과 동일 평면내에서 그 지지 표면에 인접해 있고, 상기 공간부는 풍미 주입 구성품을 위한 여유를 제공함;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는 단계; 및
    비영구 선반을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와 결합시켜 적어도 하나의 비영구 선반을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음식 준비 챔버안에 있는 풍미 주입 요소에 풍미 향상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음식 준비 챔버와 풍미 주입 요소 각각은 별개의 독립적인 기부와 상호 작용하는 별개의 독립적인 벽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된 비영구 선반상에 소정량의 음식물을 두는 단계;
    음식 준비 챔버의 벽과의 접촉이 없도록 또한 음식 준비 챔버의 벽의 풍미 주입 영역이 풍미 주입 요소의 벽의 중간 영역에 비접촉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되는 음식을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상기 음식 준비 챔버안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음식 준비 챔버의 환경을 조절하여, 풍미 향상 물질로부터 얻어지는 소정의 풍미를 음식에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영구 선반의 주변부에 구멍을 제공하며, 이 구멍은 풍임 주입 요소의 통과를 허용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공된 구멍을 배치하여, 풍미 주입 요소와 접촉함이 없이 그 풍미 주입 요소의 횡측벽의 중간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구 선반은 적어도 하나의 음식물을 지지하며, 풍미 주입 요소의 횡측벽은 영구 선반 면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비영구 선반을 영구 선반과 평행하지 않는 면으로 경사시키는 단계; 및
    비영구 선반을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선택된 수의 선반 요소와 접촉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에 의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방법.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영구 선반으로 지지되는 제 1 비 원주방향 레일에 인접하는 제 1 배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제 1 배향으로 위치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제 1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영구 선반으로 지지되는 제 1 비 원주방향 레일에 부착시키는 단계;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영구 선반으로 지지되는 제 2 비 원주방향 레일에 인접하는 제 2 배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 여기서 제 2 배향은 제 1 배향의 역임; 및
    제 2 배향으로 위치된 다수의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들 중의 제 2 선택가능한 선반 요소를 영구 선반으로 지지되는 제 2 비 원주방향 레일에 고정시키는 단계.
  20. 제 15 항에 있어서,
    음식 준비 챔버의 환경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조절되는 방법.
    풍미 주입 요소내에 있는 풍미 향상 요소의 온도를 높여, 그 풍이 주입 요소에 있는 풍미 향상 물질이 연기를 발생시키게 하는 단계;
    음식 주위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증대시켜 연기를 음식내로 주입시키는 단계; 및
    음식에 연기가 주입되는 동안에 영구 선반과 비영구 선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단계.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선반은 다각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 지지 요소들 중의 적어도 두개는 코드선의 범위에 위치되며, 이 코드선은 상기 영구 선반의 직경 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갖는 음식 준비 장치.
KR1020127016222A 2009-11-23 2010-11-22 음식 준비 장치 KR20120109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24,051 2009-11-23
US12/624,051 US8869685B2 (en) 2009-11-23 2009-11-23 Food prepa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517A true KR20120109517A (ko) 2012-10-08

Family

ID=4406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222A KR20120109517A (ko) 2009-11-23 2010-11-22 음식 준비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69685B2 (ko)
EP (1) EP2504627B1 (ko)
JP (1) JP2013511290A (ko)
KR (1) KR20120109517A (ko)
CN (1) CN103097820B (ko)
AU (1) AU2010321713A1 (ko)
BR (1) BR112012012364A2 (ko)
CA (1) CA2803655C (ko)
MX (1) MX2012005911A (ko)
WO (1) WO2011063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2107B2 (ja) * 2018-07-12 2020-11-25 日色 晋一 冷燻製機
CN110537849B (zh) * 2019-08-29 2021-04-30 中山市高通电器有限公司 多功能烤箱
JP7126717B2 (ja) * 2020-09-25 2022-08-29 日色 晋一 冷燻製機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542A (en) * 1883-08-07 Cooking-utensil
US604252A (en) * 1898-05-17 Roasting-pan
US931533A (en) * 1908-10-16 1909-08-17 Minerva A Warner Food-tray for steam-cockers.
US1093450A (en) 1913-06-12 1914-04-14 Helena Grace Mclaughlin Ice-cream packer.
US2842043A (en) * 1954-10-04 1958-07-08 Howard R Renland Food smoking appliance
US3057671A (en) 1960-12-21 1962-10-09 Forman Ella Mae Stack-a-pie rack
US3224357A (en) 1964-01-10 1965-12-21 George J Rubens Food smoker attachment for hooded braziers
US3327617A (en) * 1965-03-03 1967-06-27 Tiffin Art Metal Company Barbecue apparatus
US3592668A (en) * 1968-03-11 1971-07-13 Food Masters Inc Pressure induced heat transfer cooking apparatus
US3583307A (en) * 1969-03-21 1971-06-08 Leefac Inc Cooking apparatus
GB2006424A (en) 1977-10-22 1979-05-02 Smith Ltd Herman Oven Racks
JPS5483639U (ko) * 1977-11-25 1979-06-13
US4191160A (en) * 1977-12-19 1980-03-04 Roger's Plating Limited Collapsible barbecue
JPS60785Y2 (ja) * 1982-04-27 1985-01-10 与喜雄 石塚 水産物等のくん製炉
EP0109267B1 (en) 1982-11-10 1988-06-29 BELLING & COMPANY LIMITED Oven having a rotary multi-level food support
JPS59189232A (ja) 1984-03-28 1984-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ブン用食品載置台
US4686896A (en) * 1986-05-15 1987-08-18 Henny Penny Corporation Pressure smoker
JPS6314657A (ja) * 1986-07-08 1988-01-21 Nippon Light Metal Co Ltd 食品の燻製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256339A (ja) * 1988-04-04 1989-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燻製機
US5070777A (en) * 1990-12-03 1991-12-10 Michael Novak Smoking grate for domestic charcoal barbeque grills
US5320028A (en) * 1993-10-01 1994-06-14 Daniel Grunberg Cooking utensil
CA2243805A1 (en) * 1997-10-06 1999-04-06 Yu-Jeub Ha Microwave oven
US6050177A (en) * 1998-12-02 2000-04-18 Lassig, Jr.; O. L. Multi-fuel, fuel isolated cooker
JP2001120167A (ja) * 1999-10-26 2001-05-08 Shigeru Kuramochi 焼却容器兼用薫煙調理装置
US6644302B1 (en) 2000-05-09 2003-11-11 Barson Enterprises, Inc. Oven rack
US6349717B1 (en) 2000-10-05 2002-02-26 Whirlpool Corporation Oven rack system having cutout area and insert rack
CA2411298C (en) 2002-11-06 2007-01-09 Candaplan Resources Inc. Indoor barbecue
US6903310B1 (en) 2003-04-30 2005-06-07 Electra Wave Corporation Independent control of a flavor enhancement chamber and a food preparation chamber for a food preparation device
US7347198B2 (en) 2004-03-19 2008-03-25 Whirlpool Corporation Oven rack
JP3151800U (ja) * 2009-03-17 2009-07-09 青木 章 燻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7820B (zh) 2016-06-22
MX2012005911A (es) 2013-03-21
CA2803655C (en) 2018-01-02
US20110174164A1 (en) 2011-07-21
EP2504627B1 (en) 2018-09-26
AU2010321713A1 (en) 2012-06-07
JP2013511290A (ja) 2013-04-04
CN103097820A (zh) 2013-05-08
CA2803655A1 (en) 2011-05-26
BR112012012364A2 (pt) 2019-09-24
EP2504627A1 (en) 2012-10-03
US8869685B2 (en) 2014-10-28
WO2011063341A1 (en) 2011-05-26
EP2504627A4 (en)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2318A (en) Utensil for oven cooking
CA2140839C (en) Cooking grid
US20200260911A1 (en) Tiered Rack for Cooking Apparatus
EP2032005B1 (en) Rack assembly
US20090020491A1 (en) BBQ Grill
US6945161B1 (en) Vertical cooking rack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ES2338732B8 (es) Parrilla para cocinar.
US2910930A (en) Table grill
KR20120109517A (ko) 음식 준비 장치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FR3049449A3 (fr) Brasero portatif
KR101093321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육류 구이기
KR101857206B1 (ko)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육면체형 그릴
JP2001057939A (ja) グリルの焼物載置台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200494611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기
KR200179422Y1 (ko) 테이블식 숯불구이 요리기구
JPH0512645Y2 (ko)
KR200427540Y1 (ko) 테이블
KR200323023Y1 (ko) 숯불구이기의 선반 구조
JP2006055436A (ja) 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装置
JP2001245795A (ja) 調理網
KR19990035464U (ko) 테이블식숯불구이요리기구
JP2001252177A (ja) 炊飯器利用調理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