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182A -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82A
KR20120108182A KR1020110025787A KR20110025787A KR20120108182A KR 20120108182 A KR20120108182 A KR 20120108182A KR 1020110025787 A KR1020110025787 A KR 1020110025787A KR 20110025787 A KR20110025787 A KR 20110025787A KR 20120108182 A KR20120108182 A KR 2012010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lief
coupling
shift
inn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356B1 (ko
Inventor
신현호
박중환
전욱배
정종규
김정환
송철기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35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구조적인 개선과 더불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와의 새로운 결합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가공성과 조립성을 향상하고, 나아가 조립성 향상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A Assembly Structure of Relief Lever and Operation Lever Shift Operating Device for Automotive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구조적 개선과 더불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와의 새로운 결합 타입을 적용하게 됨으로써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가공성과 조립성을 향상하고, 나아가 조립성 향상에 의해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는 기어 포지션을 맞추는 셀렉트 동작과 기어의 단수를 올리거나 내리게 될 때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면서 선택된 기어 단수의 동력을 전달하는 일련의 동력전달 기구이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10)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도 2의 인너 샤프트(12)에 핀 구멍(46)과 연장홈(48)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오퍼레이션 레버(50)가 아웃 샤프트(12)와 연동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종래의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10)는 인너 샤프트(12)에 인너 샤프트(12)의 길이보다 짧고 중공 구조로 형성된 아웃 샤프트(14)가 인너 샤프트(12)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샤프트(14)에는 고정 뭉치(16)가 아웃 샤프트(14)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뭉치(16)는 고정 뭉치(16)와 함께 아웃 및 인너 샤프트(14, 12)를 각각 관통하고 있는 고정핀(18)에 의해 서로 연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고정핀(18)이 통과하는 아웃 샤프트(14)에는 셀렉트 시 고정 뭉치(16)와 인너 샤프트(12)가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뭉치(16)에는 셀렉트 레버(20)를 회전축(22)에 구비한 레버 수단(24)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 수단(24)에는 돌기(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26)는 고정 뭉치(16)의 홈부(28)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셀렉터 레버(20)는 셀렉트 케이블 장치(30)에 의해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32)과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웃 샤프트(14)에는 회전 롤러(34)를 레버부(36)의 단부에 채용하고 있는 릴리프 레버(38)가 아웃 샤프트(14)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아웃 및 인너 샤프트(14, 12)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릴리프 레버(38)가 아웃 및 인너 샤프트(14, 12)와 연동하는 구조를 취하도록 릴리프 레버(38)의 상하부에는 고정핀(40)을 각각 수용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홀(4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고정핀(40)이 아웃 샤프트(14)를 통과하기 위한 장공(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핀(40)이 인너 샤프트(12)에 결합 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핀 구멍(46)과, 이 핀 구멍(46)의 일측과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연장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참조)
상기 릴리프 레버(38)의 일 옆에는 오퍼레이션 레버(50)가 아웃 샤프트(14)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연동 결합 되며, 이러한 연동 결합을 위해 오퍼레이션 레버(50)에는 장공(44)으로 삽입 결합되는 돌기(52)와, 장공(44)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슬롯(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참조)
상기 인너 샤프트(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 결합부(56)에는 쉬프트 레버(58)가 결합 되어 있다. 이러한 쉬프트 레버(58)는 쉬프트 케이블 장치(60)를 통해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32)와 연동하도록 연결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2는 고정핀(40)의 외주 연을 감싸는 일반적인 부시 베어링(62)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32)를 이용하여 기어의 단수를 올리거나 내리게 되는 초기 쉬프트 동작을 취하게 되면, 쉬프트 케이블 장치(60)의 연동에 의해 쉬프트 레버(58)가 회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쉬프트 레버(58)의 회동과 함께 인너 및 아웃 샤프트(12, 14)가 연동하는 상태로 초기 회동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인너 및 아웃 샤프트(12, 14)가 초기 회동을 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는 릴리프 레버(38)도 회동을 하게 되면서 릴리프 레버(38)의 회전 롤러(34)가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도시되지 아니한 에어분사구의 개폐 레버를 회전 방향으로 밀어 에어분사구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에어가 오퍼레이션 레버(50)를 회전 방향으로 밀어주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12, 14)가 완전한 회동을 하게 되면서 선택된 기어 단으로 들어가는 쉬프트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릴리프 레버(38)가 아웃 및 인너 샤프트(14, 12)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핀(40)과, 이 고정핀(40)을 감싸는 부시 베어링(62)의 장착이 요구되어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0)을 삽입하기 위한 결합홀(42)이 릴리프 레버(38)의 상하부에 각각 가공되어야 하고, 아울러 아웃 샤프트(14)를 통과하기 위한 장공(44)과 함께 인너 샤프트(12)에 핀 구멍(46) 및 연장홈(48)이 각각 가공되어야 한다. 또한, 오퍼레이션 레버(50)가 아웃 샤프트(14)와 확실한 연동을 위해 오퍼레이션 레버(50)에 돌기(52) 및 슬롯(54)도 가공되어야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릴리프 레버(38), 오퍼레이션 레버(50), 인너 및 아웃 샤프트(12, 14)에 대한 가공량이 많아 가공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0)과 부시 베어링(62)을 이용한 내부적인 끼움식 고정과 함께 부품 간에 끼움 결합을 위한 맞춤 개소가 많아 조립성이 신속 용이하지 못하여 조립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구조적인 개선과 더불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와의 새로운 결합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가공성과 조립성을 향상하고, 나아가 조립성 향상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동 기어 레버의 셀렉트 조작에 의해 수평 이동 또는 쉬프트 조작에 의해 회동을 하게 되는 인너 샤프트의 일단에는 외면 일부를 평면부로 형성한 돌출 결합부가 연장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면 일부가 평면부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 쉬프트 레버를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커넥팅 레버 및, 상기 커넥팅 레버의 내부에 돌출 결합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커넥팅 레버에는 릴리프 레버의 결합공이 평면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레버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전부 면 접촉하는 상태로 결합 되고, 상기 인너 샤프트에서 돌출 결합부의 경계인 되는 단턱 지점과 커넥팅 레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오퍼레이션 레버의 결합공은 평면부를 포함하는 돌출 결합부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전부 면 접촉하는 상태로 결합 되는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릴리프 레버의 레버부 단부는 곡면부로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구조적 개선과 더불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와의 새로운 결합 타입이 제공됨으로써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의 가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끼움식 결합에 따른 맞춤 개소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어 조립 작업은 물론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립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너 샤프트에 핀 구멍과 연장홈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오퍼레이션 레버가 아웃 샤프트와 연동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인너 샤프트와 레버 커넥팅 및 릴리프 레버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b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인너 샤프트와 레버 커넥팅 및 오퍼레이션 레버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7b는 7a의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70)의 릴리프 레버 (104) 및 오퍼레이션 레버(114)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인너 샤프트(72)와 커넥팅 레버(98) 및 릴리프 레버(104)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b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인너 샤프트(72)와 커넥팅 레버(98) 및 오퍼레이션 레버(114)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에서는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서는 7a의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설명 상 혼동이 없도록 도면 부호를 달리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70)의 릴리프 레버(104) 및 오퍼레이션 레버(114)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너 샤프트(72)에는 인너 샤프트(72)의 길이보다 짧고 중공구조로 이루어진 아웃 샤프트(74)가 인너 샤프트(72)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샤프트(74)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정 뭉치(76)가 아웃 샤프트(74)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된다. 이때 고정 뭉치(76)는 고정 뭉치(76)와 함께 아웃 및 인너 샤프트(74, 72)를 각각 관통하고 있는 고정핀(78)에 의해 서로 연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고정핀(78)이 통과하는 아웃 샤프트(74)에는 셀렉트 시 고정 뭉치(76)와 인너 샤프트(72)가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뭉치(76)에는 셀렉트 레버(80)를 회전축(82)에 구비한 레버 수단(84)이 배치되며, 이 레버 수단(84)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86)는 고정 뭉치(76)의 홈부(88)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셀렉터 레버(8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셀렉트 케이블 장치(90)에 의해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92)와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5참조)
여기서, 본 발명은 인너 샤프트(72)의 일단에 인너 샤프트(72)의 외경보다 작은 돌출 결합부(94)가 연장되는 연결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결합부(94)의 양측 외면에는 밋밋한 면을 이루는 평면부(9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a 참조)
또한, 상기 돌출 결합부(94)에는 일 측면에 돌출 결합부(134)를 돌출 형성한 커넥팅 레버(98)가 연동하는 상태로 결합 되는데, 이때 인너 샤프트(72)와 돌출 결합부(94)가 경계하는 단턱 지점(S)으로부터 이격 되는 상태로 결합 된다. (도 6b 참조)
상기 커넥팅 레버(98)의 내부에는 돌출 결합부(94)가 측면 방향에서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10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레버(98)의 양측 외면에는 후술하는 릴리프 레버(104)가 연동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평면부(10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팅 레버(98)에는 릴리프 레버(104)의 결합공(106)이 평면부(100)을 포함하는 커넥팅 레버(98)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된다. 이때 커넥팅 레버(98)의 외면에 형성된 평면부(100)와 면 접촉하는 상태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결합공(106)에 평면부(108)가 형성되며, 이러한 평면부(100, 108)의 면 접촉구조에 의해 서로 연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레버(98)의 외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110)에는 고정핀(112)이 릴리프 레버(104)를 관통하여 홈부(110)로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릴리프 레버(104)가 커넥팅 레버(98)의 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릴리프 레버(104)의 레버부(115) 단부는 도시되지 아니한 에어분사구의 개폐 레버를 밀게 되는데, 이때 종래에는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 롤러(34)가 채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120)로 형성된다. (도 6a ~ 도 6c 참조)
한편, 상기 커넥팅 레버(98)와 돌출 결합부(94)의 단턱 지점(S) 사이에는 오퍼레이션 레버(114)가 돌출 결합부(94)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연동 결합 되는데, 이때 이러한 연동 결합을 위해 오퍼레인션 레버(114)의 결합공(116)은 돌출 결합부(94)의 형상 구조와 동일한 형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 참조)
상기 커넥팅 레버(98)의 돌출 결합부(94)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쉬프트 레버(130)가 결합 되어 있으며, 이러한 쉬프트 레버(130)는 쉬프트 케이블 장치(132)를 통해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92)와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 기어 레버(수동 기어봉)(92)을 이용하여 기어의 단수를 올리거나 내리게 되는 초기 쉬프트 동작을 하게 되면, 쉬프트 케이블 장치(132)의 연동에 의해 쉬프트 레버(130)가 회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쉬프트 레버(13)의 회동과 함께 인너 및 아웃 샤프트(72, 74), 커넥팅 레버(98)가 연동하는 상태로 초기 회동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인너 샤프트(72) 및 커넥팅 레버(98)가 초기 회동을 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는 릴리프 레버(104)도 회동을 하게 되면서 릴리프 레버(104)의 곡면부(120)가 도시되지 아니한 에어분사구의 개폐레버를 밀어 에어분사구를 오픈시키게 되고, 그와 동시에 에어분사구로 부터 분사되는 에어가 오퍼레이션 레버(114)를 회전 방향으로 밀어주어 인너 및 아웃 샤프트(72, 74)가 완전한 회동을 하게 되면서 선택된 기어 단으로 들어가는 쉬프트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릴리프 레버가 아웃 및 인너 샤프트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핀(40)과, 이 고정핀(40)을 감싸는 부시 베어링(62)과, 도시되지 아니한 에어분사구의 개폐 레버를 밀어주게 될 때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오퍼레이션 레버에 구비되는 회전 롤러(34)가 모두 삭제됨으로써 이에 따른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릴리프 레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홀(42)의 가공 작업과, 아웃 샤프트를 통과하기 위한 장공(44) 및 인너 샤프트에 핀 구멍(46)과 연장홈(48)에 대한 가공 작업과, 아울러 오퍼레이션 레버가 아웃 샤프트와 연동할 수 있도록 오퍼레이션 레버에 돌기(52) 및 슬롯(54)에 대한 가공 작업이 본 발명에서는 모두 삭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릴리프 레버(104), 오퍼레이션 레버(114), 인너 및 아웃 샤프트(72, 74)에 대한 가공량이 줄어들고 그에 따른 가공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품 간 끼움 결합에 대한 맞춤 개소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어 조립 작업은 물론 조립성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립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10, 70 : 수동 변속 조작 기구 12, 72 : 인너 샤프트
14, 74 : 아웃 샤프트 16, 76 : 고정 뭉치
18, 40, 78, 112 : 고정핀 20, 80 : 셀렉트 레버
22, 82 : 회전축 24, 84 : 레버 수단
26, 52, 86 : 돌기 28, 88, 110 : 홈부
30, 90 : 셀렉트 케이블 장치 32, 92 : 수동 기어 레버
34 : 회전 롤러 36, 115 : 레버부
38, 104 : 릴리프 레버 42 : 결합홀
44 : 장공 46 : 핀 구멍
48 : 연장홈 50, 114 : 오퍼레이션 레버
54 : 슬롯 56, 94, 134 : 돌출 결합부
58, 130 : 쉬프트 레버 60, 132 : 쉬프트 케이블 장치
62 : 부시 베어링 96, 100, 108 : 평면부
98 : 컨넥팅 레버 102 : 결합홈
106, 116 : 결합공 120 : 곡면부

Claims (2)

  1. 수동 기어 레버(92)의 셀렉트 조작에 의해 수평 이동 또는 쉬프트 조작에 의해 회동을 하게 되는 인너 샤프트(72)의 일단에는 외면 일부를 평면부(96)로 형성한 돌출 결합부(94)가 연장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면 일부가 평면부(100)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 쉬프트 레버(103)를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 결합부(134)가 구비된 커넥팅 레버(98) 및, 상기 커넥팅 레버(98)의 내부에 돌출 결합부(94)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커넥팅 레버(98)에는 릴리프 레버(104)의 결합공(106)이 평면부(100)를 포함하는 커넥팅 레버(98)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전부 면 접촉하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인너 샤프트(72)에서 돌출 결합부(94)의 경계인 단턱 지점(S)과 커넥팅 레버(98)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오퍼레이션 레버(114)의 결합공(116)은 평면부(96)를 포함하는 돌출 결합부(94)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전부 면 접촉하는 상태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레버(104)의 레버부(115) 단부는 곡면부(1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KR1020110025787A 2011-03-23 2011-03-23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KR10122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7A KR101223356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7A KR101223356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82A true KR20120108182A (ko) 2012-10-05
KR101223356B1 KR101223356B1 (ko) 2013-01-21

Family

ID=4727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87A KR101223356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2712A (zh) * 2015-04-20 2018-01-02 康斯博格汽车股份公司 杆轴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338A (ja) 2000-12-06 2002-06-21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変速機操作装置
KR100783539B1 (ko) 2006-11-21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2712A (zh) * 2015-04-20 2018-01-02 康斯博格汽车股份公司 杆轴组件
CN107532712B (zh) * 2015-04-20 2019-05-28 康斯博格汽车股份公司 杆轴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356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968B2 (ja) 車両用手動変速機
EP3287671B1 (en) Transmission
JP2009079601A (ja) 手動変速機の変速用ケーブル調整機構
KR101223356B1 (ko) 차량용 수동 변속 조작기구의 릴리프 레버 및 오퍼레이션 레버 결합구조
CN101592223B (zh) 用于变速器的换档机构
CN104520614A (zh) 用于变速器、尤其是用于机动车变速器的止动装置
JP6376103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20160044630A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장치
JP6568472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EP3249265A1 (en) Shift fork module
KR1013940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6413849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6115141B2 (ja) 手動変速機
JP2018017373A (ja) シャフトアッセンブリ
JP6304322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EP4224039A1 (en) Vehicle transmission
EP4309990A1 (en) Multi-speed transmission
KR20070034300A (ko) 수동 변속기용 변속 조작장치
JP2017048844A (ja)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20070036367A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6372482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100906864B1 (ko) 차량의 수동 변속기
KR100289149B1 (ko) 슬라이드식 변속기구
KR20130108933A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