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346A -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346A
KR20120107346A KR1020110024982A KR20110024982A KR20120107346A KR 20120107346 A KR20120107346 A KR 20120107346A KR 1020110024982 A KR1020110024982 A KR 1020110024982A KR 20110024982 A KR20110024982 A KR 20110024982A KR 20120107346 A KR20120107346 A KR 2012010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connection
connecting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회
Original Assignee
구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성회 filed Critical 구성회
Priority to KR102011002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346A/ko
Publication of KR2012010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을 연결배관으로 연결할 때, 연결배관의 두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연결배관을 한 쌍의 보호부재로 감싸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배관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배관 및 연결배관으로 이동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과 동일한 재질이면서 배관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배관으로 배관을 수용하여 성질변형이 없으므로 이음부위에 녹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재료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이 결합된 연결배관을 배관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한 보호부재로 감싸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연결장치의 밀폐성을 유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장치{Pi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배관으로 연결할 때, 연결배관의 두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연결배관을 한 쌍의 보호부재로 감싸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배관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배관 및 연결배관으로 이동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배관은, 화동으로 구성되어 증발기가 설치된 실내기, 응축기와 압축기 및 팽창장치가 설치된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간격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연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배관의 연결장치로 본 건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0448487호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체결부재와 가압부재 및 밀폐부재를 배관에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배관 단부의 절곡부를 소켓 내부의 단턱에 걸리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소켓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가압에 따라 가압부재의 가압으로 밀폐부재가 절곡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밀폐부재의 변형으로 배관의 외주면과 소켓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므로 냉매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의 소켓은, 배관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하여 성질변형이 없도록 해야하나, 상기 배관과 동일한 재료로 소켓을 제작할 경우, 배관보다 두께가 두껍게 제작되는 소켓의 원재료 가격이 높아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는 소켓의 강도가 금속보다 약해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으로 소켓과 배관 사이의 틈이 발생함과 아울러 냉매가스의 누출을 방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과 동일한 재질이면서 배관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배관으로 배관을 수용함으로 성질변형이 없으면서 원재료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이 결합된 연결배관을 배관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한 보호부재로 감싸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밀폐성을 유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배관 연결장치는,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로서,
상기 배관이 각각 결합되도록 단부에 확관부가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에 결합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으로 연결배관과 배관에 압착되면서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체결부재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연결배관을 감싸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에 체결되면서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과 동일한 재질이면서 배관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배관으로 배관을 수용하여 성질변형이 없으므로 이음부위에 녹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재료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이 결합된 연결배관을 배관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한 보호부재로 감싸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연결장치의 밀폐성을 유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배관 연결장치는, 한 쌍의 배관(10)(10')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100)로서, 상기 배관(10)(10')이 각각 결합되도록 단부에 확관부(111)가 구비되는 연결배관(110)이 구성되고, 상기 배관(10)(10')에 결합되어 가압부재(130)의 가압력으로 연결배관(110)과 배관(10)(10')에 압착되면서 밀폐시키는 밀폐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밀폐부재(120)를 체결부재(150)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배관(110)을 감싸는 보호부재(140)가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재(140)에 체결되면서 가압부재(130)를 가압하는 체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배관(110)은, 상기 배관(10)(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배관(110)은 직선이나 'ㄴ' 및 'T'자 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140) 내부에 연결배관(110)을 수용하는 수용홈(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연결배관(110)과 이질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연결배관(110)을 감싸도록 대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결배관(110)을 감싸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10')의 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배관(110)의 단부에 확관부(111)를 형성하는데, 상기 확관부(111)는 상기 배관(10)(10')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20)와 가압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관(10)(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연결배관(110)은 직선이나, 'ㄴ' 및 'T'자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배관(110)은 상기 배관(10)(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배관(10)(10')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보호부재(140)가 연결배관(110)을 감싸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110)을 감쌀 수 있도록 수용홈(141)이 형성되면서 대향하게 한 쌍으로 보호부재(140)(140')를 사출하는데, 상기 보호부재(140)(140')는 연결배관(110)과 이질이면서 연결배관(110)의 원가보다 값싼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연결배관(110)과 보호부재(140)(140')가 제작되면, 상기 배관(10)(10')에 체결부재(150)와 가압부재(130) 및 밀폐부재(1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배관(110)의 확관부(111)에 배관(10)(10')이 이동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10)(10')과 연결배관(110)은 같은 재질로 성질변형이 일어나지 않음으로 이음부위에 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배관(10)(10')의 단부는 확관부(111)의 단부 즉, 확관되지 않은 연결배관(110)에 밀착되면서 배관(10)(1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연결배관(110)의 외주면에 보호부재(140)(140')를 밀착시키는데, 상기 보호부재(140)(1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방사상으로 밀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배관(110) 외주면에 보호부재(140)(140')가 밀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10')의 외주면을 따라 체결부재(150)를 이동시켜 보호부재(140)(140')의 나사산에 체결하는데, 상기 보호부재(140)(140')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50)가 가압부재(130)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130)는 밀폐부재(120)를 가압하면서 배관 연결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20)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압착 및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압착 및 확장되도록 변형되는 밀폐부재(120)가 배관(10)(10')의 외주면 및 연결배관(110)의 확관부(111)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기밀을 유지함에 따라 배관(10)(10')과 연결배관(110)으로 이동하는 냉매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배관 연결장치(100)는, 체결부재(150)의 체결력을 보호부재(140)(140')에서 해제시킬 수 경우, 부품의 손상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재활용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관(10)(10')과 연결배관(110)으로 이동되는 냉매가스는 이동매체의 하나 일 뿐, 배관 연결장치(100)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다른 재질의 배관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배관 연결장치 110: 연결배관
111: 확관부 120: 밀폐부재
130: 가압부재 140: 보호부재
141: 수용홈 150: 체결부재

Claims (7)

  1.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로서,
    상기 배관이 각각 결합되도록 단부에 확관부가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에 결합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으로 연결배관과 배관에 압착되면서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체결부재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연결배관을 감싸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에 체결되면서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배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직선이나 'ㄴ' 및 'T'자 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내부에 연결배관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연결배관과 이질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을 감싸도록 대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을 감싸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KR1020110024982A 2011-03-21 2011-03-21 배관 연결장치 KR20120107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82A KR20120107346A (ko) 2011-03-21 2011-03-21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82A KR20120107346A (ko) 2011-03-21 2011-03-21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46A true KR20120107346A (ko) 2012-10-02

Family

ID=4727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82A KR20120107346A (ko) 2011-03-21 2011-03-21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672A1 (ko) * 2017-11-30 2019-06-06 김봉관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672A1 (ko) * 2017-11-30 2019-06-06 김봉관 연결장치
CN110392803A (zh) * 2017-11-30 2019-10-29 金奉宽 连接装置
CN110392803B (zh) * 2017-11-30 2021-02-09 金奉宽 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6718B2 (en) Unwelded explosion-proof drain cable gland assembly
US20100226805A1 (en) Refrigerant compressor
WO2007015434A1 (ja) 配管継手
KR200448487Y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20120107346A (ko) 배관 연결장치
CN204628854U (zh) 改进型空气管道快速连接头
KR101055938B1 (ko)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피복관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190117297A (ko)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KR20120059028A (ko) 파이프 접속 조인트
KR20090059092A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460236Y1 (ko) 가스배관 연결장치
KR20100096974A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JP2003254475A (ja) フレア管継手
KR20110001999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구조
KR101498237B1 (ko) 에어컨용 압력계 고정장치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KR20170032168A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101548113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KR101660475B1 (ko) 에어컨 냉매 이송관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20100033561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101885831B1 (ko) 밀봉형 개스킷 장치
KR101544977B1 (ko) 에어컨 매립배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