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39A -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 Google Patents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439A
KR20120106439A KR1020110024548A KR20110024548A KR20120106439A KR 20120106439 A KR20120106439 A KR 20120106439A KR 1020110024548 A KR1020110024548 A KR 1020110024548A KR 20110024548 A KR20110024548 A KR 20110024548A KR 20120106439 A KR20120106439 A KR 20120106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wall
water supply
hot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984B1 (ko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102011002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수도밸브) 연결구 및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벽면에 매설된 배관에 대해 연결시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및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일측 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측 단은 벽면 외부에 마련되는 수전(1)과 결합되어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전(1)을 연결시키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10)에 있어서, 단일의 본체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마련되는 연통공1,2(11)(12); 상기 연통공1,2(11)(12)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동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연결구가 벽면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에 기울어지거나 높이 차이 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전의 연결 상태 역시 기울어짐 없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전의 기울어짐에 의해 설치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과 결합되는 연통공1,2을 단일의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치수와 관련하여 정밀가공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한 치수의 부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부품 내지는 간격 보정부품 없이 규격화된 수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부품으로 수전과 냉/온수공급배관의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전과 냉/온수공급배관과의 연결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 외부에 별도의 연결암 연결을 배제시킴으로써, 벽면에 설치된 수전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가 냉/온수공급배관의 선단부에 각각 독립적 부품으로 연결되지 않고, 좁은 간격을 가지며 동일체로 이루어져 연결되므로, 수전의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킬 수 있어, 한정된 벽면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전의 전방 돌출 정도와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키고, 이를 통해, 수전의 소형화 유도 내지는 소형의 수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WATER SUPPLY VALVE CONNECTER FOR WATER PIPE IN WALL}
본 발명은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수도밸브)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벽면에 매설된 배관에 대해 연결시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Water Supply Valve)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수전은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전(1)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하우징(2)의 내부에 밸브카트리지(3)를 구비하고, 수도밸브하우징(2)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카트리지(3)를 개폐 동작시켜, 상기 배출구(5)로 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설계 변경에 따라서는 샤워기 호스가 배출구(5) 또는 수도밸브하우징(2)에 더 연결될 수도 있음.)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2)은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에 암수 나사(일측 단에 결합된 너트와 타측 단 외주면의 나사산)가 마련되고 내부가 연통된 "S"자 타입의 연결암(6)을 통해, 벽면에 매설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배관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암(6)와 냉/온수공급배관의 연결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엘보우 타입의 연결구(7, 8 ; 커넥터)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1)의 연결구(7,8)는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에 각각 연결되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여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1)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된 상태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7,8)이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서로 독립된 별개의 물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시공시 높이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냉/온수공급배관이 기울어지는 등 유동에 의해서 일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1)은 설치 폭(W ; 통상 120mm ~ 150mm)이 넓어 한정된 벽면의 활용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수전(1)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6)에 의해 수전(1)이 벽면에 고정되므로, 설치되면서 돌출 정도(T)를 많이 차지 즉, 상기 수전(1)이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당히 돌출 설치되므로, 한정된 공간의 활용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전(1)이 벽면 전방으로 상당히 돌출됨으로 인해, 인체 또는 주변에서 이동되어지는 물품의 움직임과 자주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욕실에서는 인체와 접촉 내지는 충돌하여 부상을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벽면에 매설된 상기 냉/온수공급경로(7)(8)의 간격이 정확하게 시공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연결구(6)를 통한 수전(1) 연결 고정 시, 수도밸브하우징(2) 및 연결구(6)가 기울어져 설치되므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공급경로(7)(8)가 매설되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서로 달라, 이 역시 수도밸브하우징(2)이 비뚫어져 설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동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연결구가 벽면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에 기울어지거나 높이 차이 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전의 연결 상태 역시 기울어짐 없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치수와 관련하여 정밀가공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한 치수의 부품을 제공하며, 이와 더불어, 적은 부품으로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전과 냉/온수공급배관과의 연결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벽면에 설치된 수전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특히, 수전의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켜 수전의 소형화를 유도하거나, 소형의 수전을 설치 설치 가능하게 하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일측 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측 단은 벽면 외부에 마련되는 수전(1)과 결합되어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전(1)을 연결시키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10)에 있어서, 단일의 본체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마련되는 연통공1,2(11)(12); 상기 연통공1,2(11)(12)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동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연결구가 벽면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에 기울어지거나 높이 차이 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전의 연결 상태 역시 기울어짐 없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전의 기울어짐에 의해 설치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과 결합되는 연통공1,2을 단일의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치수와 관련하여 정밀가공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한 치수의 부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부품 내지는 간격 보정부품 없이 규격화된 수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부품으로 수전과 냉/온수공급배관의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전과 냉/온수공급배관과의 연결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 외부에 별도의 연결암 연결을 배제시킴으로써, 벽면에 설치된 수전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가 냉/온수공급배관의 선단부에 각각 독립적 부품으로 연결되지 않고, 좁은 간격을 가지며 동일체로 이루어져 연결되므로, 수전의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킬 수 있어, 한정된 벽면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전의 전방 돌출 정도와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키고, 이를 통해, 수전의 소형화 유도 내지는 소형의 수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수전의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연결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일측 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측 단은 벽면 외부에 마련되는 수전(1)과 결합되어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전(1)을 연결시키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10)에 있어서, 단일의 본체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마련되는 연통공1,2(11)(12); 상기 연통공1,2(11)(12)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구(10)의 본체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블럭체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엘보우 타입일 수도 있고, 장축과 단축을 갖는 블럭체가 "-"자 형상으로 된 일직선 타입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10) 본체가 엘보우 타입일 경우, 절곡된 각도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시공 상태 및 벽면의 두께 정도에 따라서 90도 이상 160도 이하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통공1(11)과 연통공2(12)는 간격을 두고 좌우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공1(11)과 연통공2(12)의 간격은 예시적으로 5mm ~ 15mm 일 수 있으며, 상기 연통공1(11)과 연통공2(12) 중심의 간격은 예시적으로 30mm ~ 50mm 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결합부재(13)는 연통공1,2(11)(12)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일 수도 있고, 상기 연통공1,2(11)(12)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과 상기 나사탭에 결합되도록 파이프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니플(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1,2(11)(12)의 양단 선단부 또는 일측 선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벽면으로 향하는 수전(1)의 일측 단 부분에 결합되면서 벽면(w)에 위치하는 연결구(10)의 연결상태를 감싸서 차단하는 커버(1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15)는 환형의 캡으로서, 내주연 부분에 나사탭이 마련되어 수전(1)의 일측 단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과 결합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연결구(10)의 연통공1,2(11)(12) 일측 단, 즉, 하단부분을 벽면(w)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후, 연결구(10)의 상단 부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된 벽면(w)은 타일 또는 기타 내장재로 마감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벽면(w)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구(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통공1,2(11)(12) 각각에 수전(1)의 냉/온수유입구(1a,1b)를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통공1,2(11)(12)에 마련되는 결합부재(13) 즉,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에 니플(14)을 연결하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니플(14)에 각각 밀접시키고 너트를 통해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커버(15)를 벽면 방향으로 밀착시켜 설치를 마무리한다.
상기, 벽면(W)에 매설되는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을 작업자가 높이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등 유동에 의해서 간격 즉, 상호 간의 설치 폭이 사전에 설계된 치수 또는 규격에 어긋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냉/온수공급배관(C,H)과 결합되는 연통공1,2(11)(12)이 단일의 본체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마련되므로,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오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냉/온수공급배관(C,H)과 결합되는 연통공1,2(11)(12)을 단일의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치수와 관련하여 정밀가공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한 치수의 부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부품 내지는 간격 보정부품 없이 규격화된 수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 차이로 인해, 수전(1)을 연결구(10) 타측에 결합 고정함에 있어서도 기울어지거나 비뚤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다수의 배관과 결합부품들로 이루어져 연결 내지는 결합 시공이 복잡하고 용이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나, 본 발명은 연결구(10)에 별도의 부품없이 직접 수전(1)의 냉/온수유입구(1a,1b)를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전(1)이 벽면(w)으로부터 심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 즉, 수전(1)을 벽면(w)에 최대한 근접시켜서 설치할 수 있어, 수전(1) 전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설치 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10)가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독립적 부품으로 연결되지 않고, 좁은 간격을 가지며 동일체로 이루어져 연결되므로, 수전의 설치 폭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축소시킬 수 있어, 한정된 벽면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연결구 11,12 : 연결공1,2
13 : 결합부재 14 : 니플
15 : 커버 1 : 수전
1a,1b : 냉/온수유입구 W : 벽면
C,H : 냉/온수공급배관

Claims (2)

  1.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일측 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측 단은 벽면 외부에 마련되는 수전(1)과 결합되어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전(1)을 연결시키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10)에 있어서,
    단일의 본체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마련되는 연통공1,2(11)(12); 상기 연통공1,2(11)(12)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3)는 연통공1,2(11)(12)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 또는 상기 연통공1,2(11)(12)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과 상기 나사탭에 결합되도록 파이프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니플(14)을 포함하는 것 또는 연통공1,2(11)(12)의 양단 선단부 또는 일측 선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020110024548A 2011-03-18 2011-03-18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0123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48A KR101237984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48A KR101237984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39A true KR20120106439A (ko) 2012-09-26
KR101237984B1 KR101237984B1 (ko) 2013-02-27

Family

ID=4711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48A KR101237984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6059A1 (en) * 2017-01-10 2018-07-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Adapter for a basin mounted sanitary fitting
KR20200121724A (ko) * 2019-04-16 2020-10-26 김종구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323B1 (ko) * 2014-05-12 2016-04-11 주식회사 동명 냉온수 분배 시스템용 이중 배관 연결체
DE202018103768U1 (de) * 2018-07-02 2019-10-09 Keuco Gmbh & Co. Kg Armatureneinheit mit axialer Ausrichtung von Bedien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271B2 (ja) * 1995-06-19 2004-03-02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栓取付具
KR100416382B1 (ko) 2003-07-16 2004-01-31 주식회사 동남 다용도 코크
KR100863982B1 (ko) 2006-11-21 2008-10-16 이상기 수전 연결구
KR20080055754A (ko) * 2008-04-08 2008-06-19 이봉주 관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6059A1 (en) * 2017-01-10 2018-07-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Adapter for a basin mounted sanitary fitting
KR20200121724A (ko) * 2019-04-16 2020-10-26 김종구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84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7058A (en) Plumbing fixture
EA010654B1 (ru) Вмонтированная в стену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одоснабжения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GB2435077A (en) radially adjustable joint for pipe connections to mixer taps
EP2508683B1 (en) Sectional modular system for making sanitary plumbing fixtures
CN111133238B (zh) 电子可控阀和混合阀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US20220186473A1 (en) Fluid distribution unit for sanitary changeover fittings
US20120292901A1 (en) Plumbing fitting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EP3390732A1 (en) Plumbing fixtures
KR20130125564A (ko) 수도꼭지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120095077A (ko) 벽면설치용 수전
JP7457451B2 (ja) 管部材
JP7237599B2 (ja) 水栓の接続構造
JP2007031993A (ja) 水栓
EP3144432B1 (en) Assembly for a concealed sanitary fitting
JP4916937B2 (ja) シャワー水栓のエルボの回動規制構造
JP3174766B2 (ja) ガス栓一体型水栓
JPH08232309A (ja) 湯水混合栓
KR200457794Y1 (ko) 냉온수 혼합밸브의 분기구조
JP4594676B2 (ja) 水栓
KR101496284B1 (ko) 벽붙이 수전
CN111664279A (zh) 具有集成的阀的可壁装的卫生管路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