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724A -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 Google Patents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724A
KR20200121724A KR1020200029993A KR20200029993A KR20200121724A KR 20200121724 A KR20200121724 A KR 20200121724A KR 1020200029993 A KR1020200029993 A KR 1020200029993A KR 20200029993 A KR20200029993 A KR 20200029993A KR 20200121724 A KR20200121724 A KR 20200121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pipe
fauc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280B1 (ko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ublication of KR2020012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이 설치될 벽에 고정되어,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 각각과 수전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협소 영역 내에 냉온수공급관 각각을 이중관 또는 단일관으로 선택적 연결 가능하고, 다양한 건식 벽 또는 콘크리트 타설 벽 또는 조적 벽에 선택적 시공이 가능하도록 된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Multipurpose water supply valve box with integrated cold and hot water}
본 발명은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이 설치될 벽에 고정되어, 벽에 매립되는 냉온수공급관 각각과 수전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협소 영역 내에 냉온수공급관 각각을 이중관 또는 단일관으로 선택적 연결 가능하고, 다양한 건식 벽 또는 콘크리트 타설 벽 또는 조적 벽에 선택적 시공이 가능하도록 된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Water Supply Valve)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수전은 수도밸브하우징(a)의 내부에 밸브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수도밸브하우징(a)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카트리지를 개폐 동작시켜, 배출구로 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첨부 도면 도 1 및 도 2 참조).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a)은 양측 단에 암수 나사(일측 단에 결합된 너트와 타측 단 외주면의 나사산)가 마련되고 내부가 연통된 "S"자 타입의 연결암(b ; S커넥터)을 통해, 벽에 매설된 냉/온수 공급배관(C,H)과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은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 경우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전체가 벽 전방으로 많이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수전이 기울어져 설치되며, 이로 인해, 설치된 상태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수전과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을 각각 연결하는 수전함을 별도로 벽에 설치하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수전과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을 각각 연결하는 수전함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4731호(이하 문헌 1 ; 도 3 참조)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566호(이하 문헌 2 ; 도 4 참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문헌 1은 냉,온수 배관을 유입, 내장하는 케이스(2)와 메탈라스(9)를 형성한 분리형 개폐문(3)으로 이루어진 매립식 오픈 수전함(1)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3)에 밸브소켓본체(12)를 통과, 고정시키고, 이중관연결 조임너트(8)를 통해, 상기 케이스(2) 내부로 유입되는 이중관(7)의 일단을 상기 밸브소켓본체(12)와 결합하고, 연질관 조임너트(13)를 통해, 상기 이중관(7)내부의 연질관(6)의 일단을 밸브소켓(14)과 결속한 다음, 수전(18)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 및 배관의 교체가 용이한 매립식 오픈 수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1은 냉수와 온수를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이중관(7)과 연질관(6)이 케이스(2) 전방을 덮어 차단하는 메탈라스(9)에 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조임너트(8)와 밸브소켓본체(12)에 의해 냉수와 온수 한 쌍의 수전(18)에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수전(18)이 요구될 뿐 아니라, 간격을 두고 수전(18)이 위치하게 되므로 욕실과 같이 한정된 설치 면적에 대해 수전(18) 설치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1은 적용되는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되는 벽에 매립 설치되는 부분에 한정되어, 다양한 벽 구조(예 : 다양한 건식 벽, 콘크리트 타설 벽, 조적 벽 등)에 호환성 있게 적용되지 못하는 적용 한계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1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이중관(7)이 케이스(2)를 관통한 통공 부위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수전함(1)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1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에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어 케이스(2) 사방을 거푸집 자체에 나사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고 거푸집 해체 시 나사를 일일이 풀어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벽체 내에 매설되며 전면이 트인 사각형상의 함체(20)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40)와, 상기 속커버의 전면에 밸브 및 토출구와 같은 금구가 고정 결합되는 겉커버(50)와, 파이프배관(3)이 함체 내외부로 통할 수 있도록 함체 측면 혹은 상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이중관과 함체를 연결하는 이중관커넥터(10)로 구성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20)와 이중관을 연결하는 이중관커넥터(10)의 내부에 상기 파이프배관(3)과 밀착하여 상기 함체(20) 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파이프배관(3) 외측면으로 통해 누수가 침투할 수 없도록 하는 연질밀착부(400,2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밀폐 커넥터를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2는 문헌 1과 마찬가지로 냉수와 온수를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주름관(2)과 파이프배관(3)이 함체(20) 측면에 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연결부(200)와 함체고정부(300)에 의해 냉수와 온수로 독립된 한 쌍의 수전(미도시)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수전이 요구될 뿐 아니라, 간격을 두고 수전이 위치하게 되므로 욕실과 같이 한정된 설치 면적에 대해 수전 설치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2는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되는 벽에 매립 설치되는 부분에 한정되어, 다양한 벽 구조(예 : 다양한 건식 벽, 콘크리트 타설 벽, 조적 벽 등)에 호환성 있게 적용되지 못하는 적용 한계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2는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에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어 함체(20) 사방을 거푸집 자체에 나사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고 거푸집 해체 시 나사를 일일이 풀어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문헌 1,2에 부여된 도면 부호는 각 문헌의 공보상 청구범위에 기재된 부호로서, 참고용으로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수전과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을 각각 연결하는 수전함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4731호(명칭 : 매립식 오픈 수전함 ; 출원일 : 2002년 06월 07일)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566호(명칭 : 이중관 밀폐 커넥터를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 출원일 : 2013년 09월 1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수전이 설치될 벽에 고정되어,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 각각과 수전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협소 영역 내에 냉온수공급관 각각을 이중관 또는 단일관으로 선택적 연결 가능하고, 다양한 건식 벽 또는 콘크리트 타설 벽 또는 조적 벽에 선택적 시공 가능하도록 된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C)(H)과 벽 외부에 위치한 수전(1)을 연결시키도록 벽(W)에 설치되는 수전함(100)에 있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관체인입경로(12)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일측은 관체인입경로(12) 측으로 연장되어 냉온수공급관(C)(H)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고, 타측은 수전(1)의 결합 고정부위를 제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통시키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에 결합 고정된 수전(1)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의 타측 부분을 덮어 차단하는 마감부(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는 단일 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공 그 자체 또는 관통공으로부터 관 형태로 연장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에 관통된 상태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 부위 일측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 상기 함체(15)의 하부면에서 관통공 또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양 측단이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재차 절곡된 측면판체(1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판체(112)는 전면판체(111)로부터 절곡된 평면부위(112a)와 별도로 슬라이드 및 고정구조를 가지며 결합되어, 내외벽의 폭에 대응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체(112b)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판체(11) 또는 함체(15)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체가 나사 결합 마련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이중관연결체(14)가 더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은 상기 판체(11)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21); 상기 연결체(21)를 관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의 냉온수공(1C)(1H)을 각각 연통시키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상기 연결체(21)의 일측 냉온수연통공(21C)(21H) 부분에 동일체 또는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인입경로(12)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상호 근접한 상태로 연결체(21)에서 독립적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 관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체(21)에서 통합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연결 관체에 각각 경로를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이 관통된 상태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 부위 일측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0); 상기 함체(150)의 하부면에서 관통공 또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확장면 중 관통공과 인접한 사방에 형성되어, 거푸집에 대해 또는 타일가이드캡(200)을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1(111a) 및 상기 확장면의 양측 변을 따라 형성되어, 조적벽을 포한한 피고정부위에 대해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2(111b);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은 상기 함체(150) 내 공간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이물질 유입방지 및 수압 체크용 차단캡(300) 또는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21); 상기 연결체(21)를 관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의 냉온수공(1C)(1H)을 각각 연통시키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상기 연결체(21)의 일측 냉온수연통공(21C)(21H) 부분에 동일체 또는 결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인입경로(12)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타일가이드캡(200)은 타일 시공 전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체(111)의 중간 부분인 관통부위를 차단하는 결합판체(210); 상기 결합판체(21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면이 외압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체(22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차단캡(300)은 연결부(20)에 대해 수전(1) 연결 시 탈리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통공(21H)(21C)이 형성되는 선단부의 테두리면 및 선단부 내경과 대응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310)가 중앙에 마련된 차단판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20)를 본체부(10)에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를 벽(W)에 고정하고, 벽(W) 내측으로 유도되는 냉온수공급관(C)(H)을 연결부(20) 일측에 연결한 후, 상기 연결부(20) 타측에 수전(1)을 직접 연결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S커넥션 연결에 의해 수전(1)이 벽(W) 외측 부분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전(1)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는 한편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결하는 연결부(20)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및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가 인입 유도되는 본체부(10)의 한 쌍의 관체인입경로(12)를 상호 근접 마련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폭이 넓은 수전을 적용하지 않고 폭이 좁은 소형 수전(1)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헙소 영역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가 판체(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측 단에 플랜지를 갖는 관체로 별도 마련되어, 상기 판체(11)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단일관을 적용할 경우 상기 판체(11)에서 관체인입경로(12)를 탈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CD관만 연결하고, 이중관을 적용할 경우 상기 판체(11)에 관체인입경로(12)가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CD관을 연결한 후 관체인입경로(12) 선단에 주름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관과 이중관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 방식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를 판체(11)와 별도 마련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를 사출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조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판체(112)가 판체(11)로부터 절곡된 평면부위(112a)에 대해 별도로 슬라이드 및 고정구조를 가지며 결합되는 간격조절체(112b)를 마련함으로써, 내외 벽의 폭(간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수전함(100) 그 자체가 구조 변경 없이 건식 벽과 콘크리트 타설 벽 및 조적 벽 등 다양한 벽 구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목적이면서 호환성이 향상된 수전함(100)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의 판체(11)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 중 돌출테두리(13)가 형성된 것과 달리,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된 전면판체(111)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체(111)의 나사공1(111a)에 거푸집이 고정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벽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테두리(13)가 형성된 실시예에 비해, 거푸집 해체 시 본체부(10)로 부터 거푸집을 제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 도중 본체부(10) 부분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일가이드캡(200)이 결합판체(21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콘크리트로 벽면이 타설된 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에 타일가이드캡(200)의 결합판체(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체(210)의 돌출된 부위의 일부 높이까지 모르타르를 형성하고, 남은 돌출 부위에 타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일이 정확한 높이와 위치에서 깔끔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통공(21H)(21C)이 형성되는 선단부의 테두리면 및 선단부 내경과 대응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310)가 중앙에 마련된 차단캡(300)을 연결부(20)의 전면에 사전 고정시켜, 상기 수전(1)을 연결하기 전에 누수 여부를 테스트하는 수압 체크 후,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제거하고 수전(1)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에서 부터 판매 유통 후 시공에 이르는 과정 중 연결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벽면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포함한 이물질이 연결부(20)로 유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실내 바닥과 천정에 대해 수직으로 새워지는 지주(F)의 소정 높이에 브래킷(B)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B)의 중앙에 상기 본체부(10)를 고정한 후 벽돌을 쌓고 타일을 시공하지 않고, 벽돌(B)을 쌓은 후 상기 본체부(10)를 벽돌(B)에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작업을 포함한 시공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벽돌 시공 과정에서 본체부(10)가 유동하는 것에 의해 부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수전이 S커넥터에 의해 벽에 돌출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이 S커넥터에 의해 벽에 돌출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수전함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수전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을 도시한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을 도시한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중 관체인입경로의 구성적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부적 구성을 도시한 정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세부적 구성을 도시한 배면 하방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중 측면판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이 벽에 설치된 예 중 이중관(CD관 및 주름관) 적용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이 벽에 설치된 예 중 단일관(CD관) 적용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이 건식벽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이 건식벽에 다른 방식으로 설치된 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이 거푸집에 너트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벽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이 거푸집에 나사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벽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이 조적벽에 설치되기 위해 수직바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본체부 구성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 단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 중 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 중 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 중 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타일가이드캡 및 차단캡이 더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 중 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타일가이드캡)의 구성 예 및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 중 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조적벽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100)는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C)(H)과 벽 외부에 위치한 수전(1)을 연결시키도록 벽(W)에 설치되는 수전함(100)에 있어서, 벽(W)에 대한 고정부위를 제공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관체인입경로(12)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일측은 관체인입경로(12) 측으로 연장되어 냉온수공급관(C)(H)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고, 타측은 수전(1)의 결합 고정부위를 제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통시키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에 결합 고정된 수전(1)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의 타측 부분을 덮어 차단하는 마감부(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부(10)는 단일 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공 그 자체 또는 관통공으로부터 관 형태로 연장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양 측단이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재차 절곡된 측면판체(1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최대 돌출테두리(13)의 내경과 동일한 단일의 원형구멍 또는 상호 근접하는 한 쌍의 원형구멍 또는 중앙에 장축과 단축을 갖는 단일의 장공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양 측면판체(112)의 상부는 상판에 의해 동일체로 덮여진 형태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판체(11) 또는 함체(15)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일측 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별도의 관체가 판체(11)에 나사 결합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냉온수공급관(C)(H)이 각각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판체(11)에 한 쌍이 상호 근접하여 마련되거나(도 8 및 도 9 참조), 냉온수공급관(C)(H)이 동시에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판체(11) 중앙에 장공관 형태로 1개가 마련(미도시)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향 경사 연장되거나, 하향 직각 절곡 연장되거나,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이중관연결체(14)가 더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는 환형 테두리로서,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체(1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체(111)로부터 절곡된 평면부위(112a)와 별도로 슬라이드 및 고정구조를 가지며 결합되어, 내외 벽의 폭(간격)에 대응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체(112b)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는 원형의 블록체로서, 블록체 일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 부분과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1(23)가 마련되고, 타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수전(1)을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2(24)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하향 경사지면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 선단에는 인입되는 냉온수공급관(C)(H)을 고정시키는 관연결체(25)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마감부(30)는 본체부(10) 전면을 덮어 차단하는 차단캡으로서, 상기 연결부(20)를 통해 본체부(10)에 고정된 수전(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C)(H)과 벽 외부에 위치한 수전(1)을 연결시키도록 벽(W)에 설치되는 수전함(100)에 있어서, 벽(W)에 대한 고정부위를 제공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관체인입경로(12)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일측은 관체인입경로(12) 측으로 연장되어 냉온수공급관(C)(H)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고, 타측은 수전(1)의 결합 고정부위를 제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통시키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에 결합 고정된 수전(1)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의 타측 부분을 덮어 차단하는 마감부(30); 를 포함하여서 된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100)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20)를 본체부(10)에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를 벽(W)에 고정하고, 벽(W) 내측으로 유도되는 냉온수공급관(C)(H)을 연결부(20) 일측에 연결한 후, 상기 연결부(20) 타측에 수전(1)을 직접 연결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S커넥션 연결에 의해 수전(1)이 벽(W) 외측 부분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전(1)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는 한편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결하는 연결부(20)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및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가 인입 유도되는 본체부(10)의 한 쌍의 관체인입경로(12)를 상호 근접 마련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폭이 넓은 수전을 적용하지 않고 폭이 좁은 소형 수전(1)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헙소 영역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부(10)는 단일 또는 복 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공 그 자체 또는 관통공으로부터 관 형태로 연장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양 측단이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재차 절곡된 측면판체(1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관체인입경로(12)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한 쌍의 원형구멍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나, 상기 관체인입경로(12)가 장축과 단축을 갖는 단일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단일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테두리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또한, 상기 판체(11)를 구성하는 전면판체(111)는 실시예적으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가 벽(W)을 이루는 외벽(W2)과 내벽(W1) 사이에서 실내 방향으로 내벽(W1)을 관통하면서 내벽에 밀착 고정(걸림부위를 제공하는 플랜지에 해당)되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측면판체(112)는 실시예적으로 벽(W)를 이루는 외벽(W2) 내에 고정되는 각목에 대해 고정되면서 내벽(W1) 방향으로 상기 전면판체(111)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양 측면판체(112)의 상부가 상판에 의해 동일체로 덮여진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본체부(10)의 후방이 함체 형태를 띠도록 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측면판체(112)가 외압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등 형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11)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나,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별도의 관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판체(11)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 플랜지가 밀착된 상태로 나사 결합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즉, 상기 관체인입경로(12)가 일측 단에 플랜지를 갖는 관체로 별도 마련되어, 상기 판체(11)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단일관을 적용할 경우 상기 판체(11)에서 관체인입경로(12)를 탈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CD관만 연결하고, 이중관을 적용할 경우 상기 판체(11)에 관체인입경로(12)가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CD관을 연결한 후 관체인입경로(12) 선단에 주름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관과 이중관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 방식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또한,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온수공급관(C)(H)이 각각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판체(11)를 구성하는 전면판체(111)의 면에 상호 근접하여 한 쌍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나, 상기 냉온수공급관(C)(H)이 동시에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전면판체(111) 중앙에 단일의 장공관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향 경사지면서 연장된 것으로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이중관연결체(14)가 더 결합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이중관연결체(14)를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는 환형 테두리로서,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며. 상기 나사탭은 콘크리트 타설 벽에 적용 시 거푸집에 대한 고정에 이용되기도 하며, 후술하게 될 조적 벽에 적용 시 지주(F)에 설치되는 브래킷(B)에 대한 고정에 이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체(1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체(111)로부터 절곡된 평면부위(112a)와 별도로 슬라이드 및 고정구조를 가지며 결합되어, 내외 벽의 폭(간격)에 대응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체(112b)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평면부위(112a)과 간격조절체(112b)는 대응 밀착되어 홈(슬릿 부위)과 돌기에 의해 직선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폭이 조절되고,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절된 폭은 각각의 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는 나사의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벽(W)을 이루는 외벽과 내벽 사이의 폭에 따라 판체(11)의 폭을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냉온수공급관(C)(H)이 단일관 또는 이중관 형태로 인입 또는 연결될 수 있는데, 이중관의 연결 예로는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한 쌍이 상기 관체인입경로(12)에 결합되는 이중관연결체(14)에 각각 끼워져 탄발적 걸림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주름관 내측으로 실질적 물공급경로인 냉수 온수 공급용 CD관이 유도되어, 상기 연결부(20)에 마련된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각각 연결 고정됨으로써, 냉수와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단일관의 연결 예로는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관체인입경로(12)가 판체(11)에서 탈리 제거된 상태에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한 쌍의 CD관이 상기 연결부(20)에 마련된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각각 연결 고정됨으로써, 냉수와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단일관과 이중관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 방식의 확장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는 원형의 블록체로서, 블록체 일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 부분과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1(23)가 마련되고, 타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수전(1)을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2(2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결합돌기1(23)에 형성되는 나사공은 실시예적으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전면판체(111)에 일측 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110)의 나사공과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각 결합돌기2(24)에 형성되는 나사공은 실시예적으로 상기 수전(1)의 일측 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재(2)의 나사공과 대응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부(20)가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부(10)와 수전(1)을 연결시키면서 물의 흐름 경로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중 수전(1)의 냉온수공(1C)(1H)과 연통되는 선단에는 O링이 인입되어, 연통되는 경로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벽(W) 내부 하방에서 연장되어 오는 냉온수공급관(C)(H)과 연결의 용이함을 위해, 상기 전면판체(111)의 일측 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면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전면판체(1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하향 절곡되거나, 상기 전면판체(1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는 벽 또는 냉온수공급관(C)(H)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벽 구조에 대해, 다목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고정 구조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수전함(100)이 건식벽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전함(100)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의 측면판체(112)가 외벽(W2)에 고정되는 각목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의 전면판체(111)가 내벽(W1)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돌출테두리(13)가 내벽(W1)을 관통하여 실내 방향으로 노출된다.
참고로, 상기 내벽(W1)은 내벽 본체와 내벽 본체에 도포되는 모르타르 및 모르타르에 의해 시공되는 타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내벽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벽(W1)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테두리(13)는 절단되어, 상기 내벽(W1) 내경에 인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로 인입된 냉온수공급관(C)(H)이 상기 본체부(10)에 미리 결합 고정된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연결된다.
이후,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타측에 수전(1)이 결합 고정된 후, 상기 마감부(30)가 본체부(10)에 덮여지면서 수전(1)의 결합 고정된 부분이 차단 마무리되는 것을 실시예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수전함(100)이 건식벽에 설치되는 다른 예를 하나 더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전함(100)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가 내벽(W1)을 관통하여 실내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판체(11)의 전면판체(111) 4방 모서리 부분이 나사에 의해 내벽(W1)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로 인입된 냉온수공급관(C)(H)이 본체부(10)에 미리 결합 고정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연결된다.
이후,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타측에 수전(1)이 결합 고정된 후, 상기 마감부(30)가 본체부(10)에 덮여지면서 수전(1)의 결합 고정된 부분이 차단 마무리되는 것을 실시예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건식벽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첨부 도면 도 13 및 도 1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수전(1)이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벽(W)에 수전함(100)을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는 상기 본체부(10) 전면에 연결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20) 전면에 차단체(40)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과정으로 설치를 하고 난 후, 상기 차단체(40)를 탈리시키고 수전(1)을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인 수전함(100)이 콘크리트 타설 벽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전함(100)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가 내외측 거푸집(U1)(U2) 중 내측 거푸집(U1)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실내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테두리(13) 외경에 너트(N)가 조여져 고정된다.
이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로 인입된 냉온수공급관(C)(H)이 본체부(10)에 미리 결합 고정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 전면은 차단체(40)가 나사 결합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내외측 거푸집(U1)(U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들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에서 차단체(40)를 탈리시키고 수전(1)을 결합 고정한 후, 상기 마감부(30)에 의해 수전(1)의 결합 고정된 부분이 차단 마무리하는 것을 실시예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수전함(100)이 콘크리트 타설 벽에 설치되는 다른 예를 하나 더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전함(100)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가 내측 거푸집(U1)을 관통하여 실내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의 전면판체(111) 4방 모서리 부분이 나사(P)에 의해 내측 거푸집(U1)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로 인입된 냉온수공급관(C)(H)이 본체부(10)에 미리 결합 고정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의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 전면은 차단체(40)가 나사 결합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내외측 거푸집(U1)(U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들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에서 차단체(40)를 탈리시키고 그 부위에 수전(1)을 결합 고정한 후, 상기 마감부(30)에 의해 수전(1)의 결합 고정된 부분이 차단 마무리하는 것을 실시예로 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인 수전함(100)이 조적 벽(벽돌을 쌓아 올려서 되는 벽)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과 천정에 대해 수직으로 새워지는 지주(F)의 소정 높이에 브래킷(B)이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B)의 중앙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의 전면판체(111) 4방 모서리 부분이 나사에 의해 브래킷(B)에 고정되거나, 상기 브래킷(B)을 관통한 돌출테두리(13)에 대한 너트(N)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벽돌이 쌓여지고 내부 미장을 통해 마무리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수전함(100) 그 자체가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벽 구조에 적용 가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일측 면에 관통공과 연통된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 상기 함체(15)의 하부면에서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함체(15)의 하부면에 동일체로 관통 연장 형성되는 관체 또는 함체(15)의 하부면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 그 자체 또는 함체(15)에 형성되는 통공 부위에 나사 결합 고정되도록 일측 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별도의 관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첨부 도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함체(15)의 하부면에 동일체로 관통 연장 형성되는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관체인입경로(12) 선단 부분에 이중관연결체(14)가 결합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부(20)의 연결체(21) 일측 단에 마련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실질적 냉온수공급관(C)(H)인 CD관이 연결되고, 상기 관체인입경로(12) 선단에 마련된 이중관연결체(14)에 주름관이 연결됨으로써, CD관과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함체(15)의 하부면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통공 그 자체인 관체인입경로(12)는 첨부 도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에 이중관연결체(14)가 나사 결합 또는 탄발 돌기에 의해 원터치 끼움 결합될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 그 자체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공 그 자체인 관체인입경로(12) 내경에 이중관연결체(14)가 끼움 결합될 경우, 상기 함체(15)를 포함한 본체부(10)의 제조가 용이하며, 상기 연결부(20)의 연결체(21) 일측 단에 마련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실질적 냉온수공급관(C)(H)인 CD관이 연결되고, 상기 관체인입경로(12) 선단에 마련된 이중관연결체(14)에 주름관이 연결됨으로써, CD관과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체인입경로(12)가 통공 그 자체로만 이루어진 경우, 상기 연결부(20)의 연결체(21) 일측 단에 마련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실질적 냉온수공급관(C)(H)인 CD관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냉온수공급관(C)(H)이 각각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함체(15) 하부면에 한 쌍이 상호 근접하여 마련되거나, 상기 냉온수공급관(C)(H)이 동시에 인입 또는 연결되도록 함체(15) 중앙에 단일의 원형 또는 장공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0)가 함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는 원형의 블록체로서, 첨부 도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 일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 부분과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1(23)가 마련되고, 타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수전(1)을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2(24)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결합돌기1(23)에 형성되는 나사공은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전면판체(111)에 일측 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110)의 나사공과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각 결합돌기2(24)에 형성되는 나사공은 수전(1)의 일측 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재(2)의 나사공과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연결체(21)는 원형의 블록체로서, 첨부 도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1)에 형성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외부에서 연장 돌출된 부분에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함체(15) 부분과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재3(26)와, 타측 단 테두리 부분 4방에 수전(1)을 나사 결합 고정시키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2(24)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됨으로써, 함체(15)가 냉온수공급관(C)(H)과 냉온수연결경로(22C)(22H)가 연결되는 부위를 외부와 격리시키면서 외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이 관통된 상태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 부위 일측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0); 상기 함체(150)의 하부면에서 관통공 또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확장면 중 관통공과 인접한 사방에 형성되어, 거푸집에 대해 또는 타일가이드캡(200)을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1(111a) 및 상기 확장면의 양측 변을 따라 형성되어, 조적벽을 포한한 피고정부위에 대해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2(111b);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의 판체(11)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 중 돌출테두리(13)가 형성된 것과 달리,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된 전면판체(111)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체(111)의 나사공1(111a)에 거푸집이 고정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벽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테두리(13)가 형성된 실시예에 비해, 거푸집 해체 시 본체부(10)로 부터 거푸집을 제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 도중 본체부(10) 부분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함체(150)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체가 나사 결합 마련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관체인입경로(12)의 선단 부분에 이중관연결체(14)가 결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은 상기 함체(150) 내 공간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이물질 유입방지 및 수압 체크용 차단캡(300) 또는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21); 상기 연결체(21)를 관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의 냉온수공(1C)(1H)을 각각 연통시키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상기 연결체(21)의 일측 냉온수연통공(21C)(21H) 부분에 동일체 또는 결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인입경로(12)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상호 근접한 상태로 연결체(21)에서 독립적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 관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체(21)에서 통합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연결 관체에 각각 경로를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된 벽면에 시공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건식 벽면에 시공되어, 상기 관체인입경로(12) 내로 유도된 냉온수연결경로(22C)(22H) 즉, 상기 연결부(20)의 연결체(21) 일측 단에 마련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에 실질적 냉온수공급관(C)(H)인 CD관이 연결되고, 상기 관체인입경로(12) 선단에 마련된 이중관연결체(14)에 주름관이 연결됨으로써, CD관과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중관연결체(14)는 관체인입경로(12)는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연결체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타일가이드캡(200)은 타일 시공 전 고정되는 것으로, 첨부 도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체(111)의 중간 부분인 관통부위를 차단하는 결합판체(210); 상기 결합판체(21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면이 외압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체(22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타일가이드캡(200)이 결합판체(21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콘크리트로 벽면이 타설된 후,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에 타일가이드캡(200)의 결합판체(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체(210)의 돌출된 부위의 일부 높이까지 모르타르를 형성하고, 남은 돌출 부위에 타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일이 정확한 높이와 위치에서 깔끔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첨부 도면 도 23 및 도 24 참조)..
이때, 상기 타일가이드캡(200)의 전반으로 돌출된 결합판체(211)에 형성된 개방체(220)는 첨부 도면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체(211)로부터 돌출된 환테의 전면에 일부분만 연결된 상태로 슬릿이 형성된 것으로, 타일 사공 후 상기 개방체(220)를 타격하여 결합판체(210)의 돌출 테두리로부터 탈리시킨 후, 수전(1)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에서 차단캡(300)은 연결부(20)에 대해 수전(1) 연결 시 탈리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통공(21H)(21C)이 형성되는 선단부의 테두리면 및 선단부 내경과 대응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310)가 중앙에 마련된 차단판체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통공(21H)(21C)이 형성되는 선단부의 테두리면 및 선단부 내경과 대응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310)가 중앙에 마련된 차단캡(300)을 연결부(20)의 전면에 사전 고정시켜, 상기 수전(1)을 연결하기 전에 누수 여부를 테스트하는 수압 체크 후,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제거하고 수전(1)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에서 부터 판매 유통 후 시공에 이르는 과정 중 연결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벽면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포함한 이물질이 연결부(20)로 유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특히, 조적벽에 적용함에 있어, 첨부 도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공급관(C,H)이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벽돌(B)을 쌓은 후, 설치 위치의 벽돌(B)에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전면판체(111)의 나사공2(1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한 후, 나사 또는 앵커를 포함한 고정수단을 통해 본체부(10)를 고정시키고, 벽돌(B) 전면에 대해 모르타르를 형성하고 타일을 시공하여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중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과 천정에 대해 수직으로 새워지는 지주(F)의 소정 높이에 브래킷(B)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B)의 중앙에 상기 본체부(10)를 고정한 후,벽돌을 쌓고 타일을 시공하는 것에 비해, 설치 작업을 포함한 시공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벽돌 시공 과정에서 본체부(10)가 유동하는 것에 의해 부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0 : 본체부
11 : 판체 111 : 전면판체
111a,111b : 나사공1,2 12 : 관체인입경로
13 : 돌출테두리 14 : 이중관연결체
15,150 : 함체 20 : 연결부
21 : 연결체 21C,21H : 냉온수연통공
22C,22H : 냉온수연결경로 30 : 마감수단
200 : 타일가이드캡 300 : 차단캡
1 : 수전 1C,1H : 냉온수공
C,H : 냉온수공급관

Claims (18)

  1. 벽 내에 위치하는 냉온수공급관(C)(H)과 벽 외부에 위치한 수전(1)을 연결시키도록 벽(W)에 설치되는 수전함(100)에 있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관체인입경로(12)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일측은 관체인입경로(12) 측으로 연장되어 냉온수공급관(C)(H)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고, 타측은 수전(1)의 결합 고정부위를 제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을 연통시키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에 결합 고정된 수전(1)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의 타측 부분을 덮어 차단하는 마감부(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단일 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공 그 자체 또는 관통공으로부터 관 형태로 연장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이 관통된 상태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 부위 일측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
    상기 함체(15)의 하부면에서 관통공 또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상기 판체(11) 타측면에 테 형태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테두리(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양 측단이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재차 절곡된 측면판체(1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체(112)는 전면판체(111)로부터 절곡된 평면부위(112a)와 별도로 슬라이드 및 고정구조를 가지며 결합되어, 내외벽의 폭에 대응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체(112b)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판체(11) 또는 함체(15)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체가 나사 결합 마련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이중관연결체(14)가 더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돌출테두리(13)는 환형 테두리로서,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은 상기 판체(11)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21);
    상기 연결체(21)를 관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의 냉온수공(1C)(1H)을 각각 연통시키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상기 연결체(21)의 일측 냉온수연통공(21C)(21H) 부분에 동일체 또는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인입경로(12)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상호 근접한 상태로 연결체(21)에서 독립적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 관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체(21)에서 통합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연결 관체에 각각 경로를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중앙이 관통된 상태로 벽(W)에 대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판체(11);
    상기 판체(11)의 관통 부위 일측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150);
    상기 함체(150)의 하부면에서 관통공 또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온수공급관(C)(H)이 인입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관체인입경로(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된 전면판체(111);
    상기 전면판체(111)의 확장면 중 관통공과 인접한 사방에 형성되어, 거푸집에 대해 또는 타일가이드캡(200)을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1(111a) 및 상기 확장면의 양측 변을 따라 형성되어, 조적벽을 포한한 피고정부위에 대해 고정시키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공2(111b);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관체인입경로(12)는 함체(150)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 면에서 동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체가 나사 결합 마련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체인입경로(12)는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탄발편이 방사상으로 마련된 너트 타입의 이중관연결체(14)가 더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는 일측은 상기 함체(150) 내 공간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이물질 유입방지 및 수압 체크용 차단캡(300) 또는 수전(1)이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21);
    상기 연결체(21)를 관통하여 냉온수공급관(C)(H)과 수전(1)의 냉온수공(1C)(1H)을 각각 연통시키는 냉온수연통공(21C)(21H);
    상기 연결체(21)의 일측 냉온수연통공(21C)(21H) 부분에 동일체 또는 결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인입경로(12)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냉온수공급관(C)(H)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냉온수연결경로(22C)(22H);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연결경로(22C)(22H)는 상호 근접한 상태로 연결체(21)에서 독립적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 관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체(21)에서 통합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연결 관체에 각각 경로를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일가이드캡(200)은 타일 시공 전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체(111)의 중간 부분인 관통부위를 차단하는 결합판체(210); 상기 결합판체(21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면이 외압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체(22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단캡(300)은 연결부(20)에 대해 수전(1) 연결 시 탈리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20)의 냉온수연통공(21H)(21C)이 형성되는 선단부의 테두리면 및 선단부 내경과 대응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310)가 중앙에 마련된 차단판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KR1020200029993A 2019-04-16 2020-03-11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KR10233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4435 2019-04-16
KR1020190044435 2019-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24A true KR20200121724A (ko) 2020-10-26
KR102339280B1 KR102339280B1 (ko) 2021-12-16

Family

ID=7300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93A KR102339280B1 (ko) 2019-04-16 2020-03-11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2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252A (ja) * 1992-09-16 1994-04-12 Hitachi Metals Ltd 水栓ボックス、水栓エルボ及び前面プレート
KR100571480B1 (ko) * 2006-01-23 2006-04-14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가변형 수전 브라켓트
KR100904508B1 (ko) * 2008-03-07 2009-06-25 유희원 수전용 밸브소켓과 그 밸브소켓을 이용한 수전결합 시스템
KR20120106439A (ko) * 2011-03-18 2012-09-26 김종구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252A (ja) * 1992-09-16 1994-04-12 Hitachi Metals Ltd 水栓ボックス、水栓エルボ及び前面プレート
KR100571480B1 (ko) * 2006-01-23 2006-04-14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가변형 수전 브라켓트
KR100904508B1 (ko) * 2008-03-07 2009-06-25 유희원 수전용 밸브소켓과 그 밸브소켓을 이용한 수전결합 시스템
KR20120106439A (ko) * 2011-03-18 2012-09-26 김종구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280B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287B2 (en) Service valve for a valve body
CA2588613C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US7204267B1 (en) Modular rough-in plumbing accessary
US20060231140A1 (en) Plaster guard for a wall mounted faucet valve assembly
US9334633B2 (en) Rough-in assembly for free-standing tub filler
US11674292B2 (en) Modular plumbing box system and methods of mounting the same
WO2015143848A1 (zh) 冷热分水水龙头暗装部及墙壁暗装式冷热分水水龙头
US10273665B2 (en) Cabinet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a cabinet
KR20200121724A (ko)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WO2021098283A1 (zh) 一种装配式淋浴房
KR20170064824A (ko) 슬라이드 조립식 환풍기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20060114487A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KR101897478B1 (ko) 슬라이드 조립식 환풍기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JP6840628B2 (ja) 継手収容ボックス、継手収容ボックスと配管保護カバーとの組付装置、及び混合水栓の設置構造
US20220090364A1 (en) Fitting connecting piece
KR102574742B1 (ko) 수전용 플러그의 설치 구조
ES1065338U (es) "caja de registro para obra en seco".
KR101650750B1 (ko) 벽체형 조절분배기
KR20210001184A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1663103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CN209847022U (zh) 淋浴结构
US20240003124A1 (en) A device for mounting sanitary equipment to a wall and a sanitary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