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346A -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346A
KR20120105346A KR1020110135195A KR20110135195A KR20120105346A KR 20120105346 A KR20120105346 A KR 20120105346A KR 1020110135195 A KR1020110135195 A KR 1020110135195A KR 20110135195 A KR20110135195 A KR 20110135195A KR 20120105346 A KR20120105346 A KR 2012010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597B1 (ko
Inventor
권희원
박근량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단계;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Method for searching object information and dispal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보다 우수한 신호 처리 및 저장 능력을 가진 디지털 TV 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개별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내의 다양한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1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오브젝트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특정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함으로써, 컨텐츠가 자연스럽게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내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 상세 정보 등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로부터 획득되는 오브젝트 영상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포함함으로써,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인식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컨텐츠 영상의 일부 영역을 일정 시간동안 캡쳐하여 오브젝트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은 영상 표시 장치(100), 원격 제어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뿐 아니라,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인터넷 서버(300)에 연결되어,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영화, 음악,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10)와 외부의 전자 기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10)와 상기 전자 기기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Fi(Wireless Lan), WiHD(Wireless 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iiVA(Digital Interactive Interface for Video & Audio)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10)는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 정보 등을 서버(300)를 통해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오브젝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너(13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31)는 상기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13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으며,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3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3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튜너(13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32)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3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를 위해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32)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3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를 위해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조부(132)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ATSC 복조부 및 DVB 복조부를 각각 별개로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32)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하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31) 또는 복조부(13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3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31)를 제어하며,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카메라(236)와 마이크(237)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3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36)를 획득된 영상은 저장부(270)에 저장되거나 RF 모듈(221)을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36)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마이크(237)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획득한 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 제어 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 제어 장치(200)가 영상 표시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225)는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또는 위치정보 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검색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는 컨텐츠를 재생하고(S500 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0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방송 수신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의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등을,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는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물체들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내의 오브젝트들 중에서 정보를 제공받기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상에 존재하는 특정 오브젝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오브젝트 영상을 획득한다(S52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t) 동안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캡쳐하여 저장부(140)에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입체적인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캡쳐된 오브젝트의 정지 영상(이는 어느 한 각도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형상만을 포함함)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브젝트가 추적되어 영상이 캡쳐되는 시간(t)은 미리 설정된 값을 가지거나,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 또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결과 등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 캡쳐 시간(t)이 증가할 수록, 상기 오브젝트의 입체 형상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 영상이 보다 다양한 각도들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식별한다(S530 단계).
상기 S53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서버(300)에서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명 또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상기 전송된 오브젝트 영상을 분석해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을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에서 검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1 이상의 제품들에 대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제품명 또는 썸네일 이미지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S54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S530 단계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상기 전송된 오브젝트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명)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상기 검색 결과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는 제품명, 판매 가격, 제조사, 판매사, 크기, 색상 및 확대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한 오브젝트의 식별 과정 및 식별 정보를 이용한 상세 정보 검색이 서버(3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식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오브젝트 상세 정보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한 오브젝트의 식별 과정과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한 상세 정보 검색 과정이 서로 다른 별도의 서버들에서 각각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 중 제1 오브젝트(700)가 표시된 영역(700R)을 선택함으로써, 정보를 검색하고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70)가 화면(600)을 캡쳐하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700 내지 730)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캡쳐' 버튼을 누르면, 해당 시점에서 화면(600)에 재생되고 있는 영상 내의 모든 오브젝트들이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제어부(17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선택되는 오브젝트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의도된 특정 오브젝트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600)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205)를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이동시켜 상기 검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700 내지 73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오브젝트(700)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이 외부 장치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전송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선택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영상을 화면(8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이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화면(800)에서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화면(8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고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캡쳐' 버튼을 누르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일시 정지되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는 화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화면(600) 가까이 이동시키면 화면(600)에 표시되는 영상이 확대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를 화면(600)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면 화면(6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축소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조정하여 제1 오브젝트(700)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 상에서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 및 크기로 표시되도록 한 후, 제1 오브젝트(700)를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오브젝트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컨텐츠 영상의 일부 영역을 일정 시간동안 캡쳐하여 오브젝트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화면(60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내에서 상기 선택된 제1 오브젝트(700)가 표시된 영역(700R)을 일정 시간(t) 동안 캡쳐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들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브젝트(700)가 표시된 영역(700R)이 10초 동안 캡쳐되는 경우, 화면(600)의 하단 영역(610)에 상기 캡쳐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래시브 바(progressive bar, 611)가 표시되고, 상기 10초 동안의 캡쳐가 완료되면 제1 오브젝트(700)의 다양한 입체적 형상들이 포함된 오브젝트 영상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쳐 시간 동안 제1 오브젝트(700)의 움직임이 많을수록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 영상이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보다 많은 입체적 형상 정보를 포함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고, 서버(300)는 상기 전송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제품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및 썸네일 이미지)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 식별 정보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300)에서 검색된 제1 오브젝트(700)의 제품명인 'Clara ABC2' 및 썸네일 이미지(621)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600) 중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 또는 제품의 썸네일 이미지(621)를 선택하여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 영상에 따라 서버(300)에서 검색된 제품이 2 이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화면(600)의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는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품들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오브젝트(700)가 추적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가 획득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되는 제품들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한 정보가 증가할수록, 제1 오브젝트(7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제품들의 범위가 좁혀지기 때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오브젝트(700)가 추적되기 시작하여 제1 시간(t1)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t1 시간 동안 추적된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버(300)에서 검색된 복수의 제품들이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은 상기 검색된 제품들에 각각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6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 내에서 제품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배열되는 순서는 상기 획득된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과의 유사도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과 가장 유사한 제품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최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오브젝트(700)가 추적되기 시작하여 제2 시간(t2, t2>t1)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t2 시간 동안 추적된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품들이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되는 제품들의 개수가 도 12에 도시된 경우보다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t1부터 t2까지의 시간 동안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획득되었기 때문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오브젝트(700)가 추적되기 시작하여 제3 시간(t3, t3>t12이 경과하는 경우, 제1 오브젝트(7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버(300)에서 검색된 제품이 하나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는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623)만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S520 단계에서 오브젝트를 추적하는 일정 시간(t)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으로 검색된 제품이 하나로 특정되는데 소모되는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에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및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식별 정보 표시 영역(620) 또는 그 내부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세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상기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되는 상세 정보는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구매 정보일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품명, 판매 가격, 제조사, 판매사, 크기, 색상 및 확대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버(300)로 전송되고, 서버(300)에서 상세 정보 검색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제품 정보가 검색 중이라는 메시지가 화면(600)의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버(300)에서의 상세 정보 검색이 완료된 후,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화면(600)의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에는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제품명 'Clara ABC2', 썸네일 이미지 및 판매 가격 '35,000원'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은 상기 표시된 정보 이외에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한 'More..' 버튼(631), 해당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 버튼(632), 해당 제품 관련 정보를 스크랩하기 위한 '스크랩' 버튼(633),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해당 제품의 캡쳐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SNS' 버튼(634) 및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닫기' 버튼(6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에서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서로 다른 2 이상의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세 정보는 서로 다른 판매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제품 정보(예를 들어, 판매 가격)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에서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의 판매 가격들을 확인한 후, 포인터를 이용해 원하는 판매자를 선택하여, 해당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쇼핑 사이트(shopping site)로의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8은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세 정보 표시 영역(630)을 통해 제1 오브젝트(7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제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가 상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사이트의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오브젝트(700)에 대응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화면(60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300)에서 검색된 오브젝트 상세 정보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를 위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오브젝트 상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오브젝트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의 오브젝트를 캡쳐하여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과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획득된 오브젝트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및 썸네일 이미지)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의 화면(800) 중 캡쳐 이미지 영역(820)에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캡쳐된 제1 오브젝트 영상(821)이 표시되고, 제품 정보 영역(830)에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들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831)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시간이 경과 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이미지 영역(820)에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추가 전송된 제2 오브젝트 영상(822)이 제1 오브젝트 영상(821)과 함께 표시되며, 제품 정보 영역(830)에 표시되는 제품들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오브젝트 영상(821)과 제2 오브젝트 영상(822)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시간이 더 경과 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추가 전송된 제3 오브젝트 영상(823)이 제1, 2 오브젝트 영상들(821, 822)과 함께 캡쳐 이미지 영역(820)에 표시되며, 제품 정보 영역(830)에 표시되는 제품들의 개수는 도 20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욱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오브젝트 영상(823)은 제1, 2 오브젝트 영상들(821, 822) 각각과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 정보 영역(830)에 표시되는 제품들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제품 이미지(832)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제1 제품 이미지(822)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시간이 더 경과 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추가 전송된 제4 오브젝트 영상(824)이 제1, 2, 3 오브젝트 영상들(821, 822, 823)과 함께 캡쳐 이미지 영역(820)에 표시되며, 제품 정보 영역(83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 영상들(821, 822, 823, 824)을 이용하여 검색된 어느 한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 예를 들어 제품명, 판매 가격, 제조사, 판매사, 크기, 색상 및 확대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화면(800)에 표시된 '쇼핑하기' 버튼(840)을 선택하여 제품 정보 영역(830)에 표시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 싸이트의 웹페이지가 화면(8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랩' 버튼(841)을 선택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스크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닫기' 버튼(842)을 선택하여 제품 검색 결과 창을 종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2)

  1.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선택 단계는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선택 단계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선택 단계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정지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영상 및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영상은 분할된 화면 영역들을 통해 동시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선택 단계는
    상기 전송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영상 획득 단계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캡쳐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영상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9. 제1항 중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명 및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품들은 상기 오브젝트 영상과의 유사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추적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품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제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명, 판매 가격, 제조사, 판매사, 크기, 색상 및 확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17.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일정 시간 동안 추적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1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오브젝트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캡쳐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여지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들을 획득하는 영상 표시 장치.
  19. 제17항 중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 영상을 제2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오브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검색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명 및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품명, 판매 가격, 제조사, 판매사, 크기, 색상 및 확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35195A 2011-03-15 2011-12-15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899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2646P 2011-03-15 2011-03-15
US61/452,646 2011-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346A true KR20120105346A (ko) 2012-09-25
KR101899597B1 KR101899597B1 (ko) 2018-09-18

Family

ID=471123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333A KR101220037B1 (ko) 2011-03-15 2011-10-12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104331A KR101284472B1 (ko) 2011-03-15 2011-10-12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135195A KR101899597B1 (ko) 2011-03-15 2011-12-15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333A KR101220037B1 (ko) 2011-03-15 2011-10-12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104331A KR101284472B1 (ko) 2011-03-15 2011-10-12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2200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45B1 (ko) * 2013-01-15 2015-01-26 네이버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영상 검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15174B1 (ko) * 2013-10-16 2015-04-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210025296A (ko) * 2019-08-27 2021-03-09 엔에이치엔애드 (주)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WO2021118097A1 (ko) * 2019-12-10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53639A1 (ko) * 2022-02-10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81B1 (ko) * 2013-04-29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37651B1 (ko) * 2013-05-09 2015-07-17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065405B1 (ko) * 2013-05-10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7524B1 (ko) * 2014-03-17 2014-12-01 (주)아이지솔루션즈 디지털 방송 신호 생성 장치
KR102246270B1 (ko) * 2014-05-09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102437104B1 (ko) * 2014-07-2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전자 기기와 페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86451B1 (ko) * 2015-08-28 2016-12-14 주식회사 앱포스터 스마트 워치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706371B1 (ko) * 2015-10-08 2017-02-28 이영신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102557735B1 (ko) * 2016-03-16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3044B1 (ko) * 2017-09-08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8972B1 (ko) * 2018-07-09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등록 방법
KR102145253B1 (ko) * 2019-10-11 2020-08-18 김용훈 Cctv 영상을 이용한 전자기기 동작 제어용 송수신기
KR20230129279A (ko) 2022-03-01 2023-09-08 김용훈 수신부, 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KR20240027214A (ko) 2022-08-23 2024-03-04 김용훈 복수의 그룹 제어 저장 또는 복수의 그룹 제어 수신부, 동작 순서(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KR102562917B1 (ko) 2022-12-22 2023-08-03 김용훈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279B2 (ja) * 2002-09-19 2008-10-29 日本放送協会 映像オブジェクト識別・追跡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235613A (ja) * 2006-03-01 2007-09-13 Murata Mach Ltd 遠隔制御装置
KR20090063459A (ko) * 2007-12-14 200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과 이를 이용한단말기 및 시스템
KR101200364B1 (ko) * 2008-08-27 2012-11-12 키위플 주식회사 객체기반 무선통신 서비스 방법
KR20100109686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626477B1 (ko) * 2009-05-28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45B1 (ko) * 2013-01-15 2015-01-26 네이버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영상 검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15174B1 (ko) * 2013-10-16 2015-04-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210025296A (ko) * 2019-08-27 2021-03-09 엔에이치엔애드 (주)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WO2021118097A1 (ko) * 2019-12-10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53639A1 (ko) * 2022-02-10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597B1 (ko) 2018-09-18
KR20120105341A (ko) 2012-09-25
KR20120105340A (ko) 2012-09-25
KR101284472B1 (ko) 2013-07-09
KR101220037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97B1 (ko)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681188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6037382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448107B2 (en) Display device
CN106973316B (zh) 显示设备
US10587910B2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e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014572A1 (en) Display device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2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07109A1 (en) Display device
US11924515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390570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04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KR202200828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900947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