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71B1 -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 Google Patents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71B1
KR101706371B1 KR1020150141713A KR20150141713A KR101706371B1 KR 101706371 B1 KR101706371 B1 KR 101706371B1 KR 1020150141713 A KR1020150141713 A KR 1020150141713A KR 20150141713 A KR20150141713 A KR 20150141713A KR 101706371 B1 KR101706371 B1 KR 10170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mobile terminal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신
Original Assignee
이영신
이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신, 이재선 filed Critical 이영신
Priority to KR102015014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 간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LIFELOG SERVICE AND A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라이프로깅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파트너 사용자간의 함께하는 순간의 의미를 공유하고 인지할 수 있는 라이프로깅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 및 이동 단말기 등의 정보 기기의 증가 추세 및 데이터 저장 공간이 늘어나면서 라이프 로그(life-log)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라이프 로그 서비스는 개인의 일상 생활 속의 경험을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요한 경우 이들을 검색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MyLifeBits"가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서비스에 해당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하여, 카메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조도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계 등의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취득, 기록하고 저장된 정보를 종합하여 이후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라이프로그 방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되거나 휴대된 센서들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정보들만 기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눈앞에 펼쳐진 모습만을 기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1인칭 시점의 기록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 간에 적절한 시점에서의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 간의 공간적 관련성 여부에 따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 간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프 로그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제1영상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항목 및 제2항목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된 항목에 기반하여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 중 하나를 상기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분석된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과 관련하여 분류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항목이 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감정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된 상기 제1영상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각각 제1이동 단말기 및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전자기기 및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들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각각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영상 정보, 상기 제2영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감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감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제2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카메라는, 기기 간 식별을 위한 제1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라이프로그 카메라로부터 제2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식별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식별 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다른 라이프로그 카메라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2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영상 정보 송신 과정;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과정; 및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각각 제1이동 단말기 및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과정; 상기 제1전자기기 및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들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각각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 과정; 및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메시지 수신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 간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카메라 또는 이동 단말기 간의 근접 여부에 따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라이프 로그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분류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을 도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그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로그 시스템(100)은 제1전자기기(100), 제2전자기기(200), 제1이동 단말기(300), 제2이동 단말기(400) 및 서버(5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자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기기(200)는 각각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한다.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는 각각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해당한다.
상기 서버(500)는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와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자기기(200)의 세부 구성은 상기 제1전자기기(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1전자기기(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제2이동 단말기(400)의 세부 구성은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기기 간 식별을 위한 제1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라이프로그 카메라에 해당하는 상기 제2전자기기(200)로부터 제2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및 무선랜(WL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식별 정보는 맥 어드레스 또는 고유키 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키 값은 가입 시 또는 서버에 기기를 등록 시에 서버에서 기기 별로 할당하는 키 값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식별 정보는 비콘 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페어링된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은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수행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시간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촬영된 영상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촬영된 영상을 압축한 영상 또는 썸네일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식별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메시지지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가 수신하지 못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식별 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식별 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제1사용자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서버(500)로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제1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100)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200)의 제2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전술한 무선랜(WLAN)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전자기기(100)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200)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서버(500)로 송신한다.
이는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제2이동 단말기(400)의 제1 사용자 및 제2사용자가 근접 거리에 따른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근접 여부에 따라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공유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자기기(100) 및 제2전자기기(200)간의 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뿐만 아니라,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제2이동 단말기(400)간의 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제2이동 단말기(400)내의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반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인 제1영상 정보를 상기 서버(500)로 송신할 뿐만 아니라,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5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전자기기(200)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영상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영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근접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자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기기(200)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제1 및 제2사용자 각각의 타임 라인에 상기 제1전자 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 기기(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커플 모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 라인은 동일한 화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임 라인에는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버(500)로 수신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이동 단말기(300)로부터의 위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500)는 제2이동 단말기(400)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의 화면에 상기 제1 및 제2이동 단말기(300, 400)의 위치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 단말기(300, 400)의 위치들은 실외에서는 GPS 또는 실내에서는 Wi-Fi AP 위치를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요청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사용자가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카메라 또는 이동 단말기 간의 근접 여부에 따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요청 모드에서는 상기 GPS 또는 Wi-Fi AP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바로가기 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라이프 로그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제1영상 정보 및 제2영상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은 날짜 또는 시간별로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제2영상 정보 또는 이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는 사진 및 영상들을 공유하기로 선택한 경우, 자신 및 상대방에 대한 사진 및 영상들 및 이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b는 제1사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이는,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자신의 기기인 제1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항목 및 제2항목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상에 터치된 항목에 기반하여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 중 하나를 상기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인 Jason이 제2사용자인 Christina에 대한 영상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자 제1항목을 터치한 경우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제2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Christina의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촬영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상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분류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분류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무선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는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상기 서버(500)로부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분석된 감정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감정과 관련하여 분류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상의 항목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수신된 감정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된 영상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정보는 컨텐츠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61N 항목은 웨어러블 카메라가 일정 간격으로 (예를 들어, 하루에 61장의 사진을 자동으로 촬영) 촬영한 컨텐츠이다. 또한, Photo 항목 및 Movie 항목은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Notification 항목은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또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로부터의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정보는 감정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감정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된 감정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를 감정 타입에 따라 분류한다. 사용자가 상기 감정 타입에 따른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감정 타입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500)는 무선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51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100)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200)의 제2식별정보를 각각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제2이동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1전자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기기(200)로부터 촬영된 영상들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각각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5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200)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5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자기기(200)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510)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이는, 영상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이 근접함에 따라 유사한 영상 정보를 수신한 서버가 상기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전자 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 기기(200)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타임 라인을 생성한다. 상기 타임 라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520)는 유사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한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이동 단말기(300, 4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제1 및 제2사용자 각각의 타임 라인에 상기 제1전자 기기(100) 및 상기 제2전자 기기(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커플 모드 UI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 라인은 동일한 화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 단말기(300)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30)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530)는 상기 제1영상 정보, 상기 제2영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시간을 저장한다. 상기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타임 라인이 생성되고, 이에 기반하여, 유사한 영상 정보가 함께 표시되거나 또는 이들이 편집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하루 동안의 영상을 가공하여 데일리 라이프 클립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데일리 라이프 클립 영상을 상기 저장부(5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감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감정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분석된 감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510)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제2이동 단말기(300, 400)로 송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라이프 로그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라이프 로그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서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라이프 로그 카메라,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서 전술된 기능 및 절차는 아래의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방법의 기능 및 절차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은 영상 정보 송신 과정(S510), 식별 정보 수신 과정(S520) 및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S5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은 영상 정보 수신 과정(S540) 및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정보 송신 과정(S510)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상기 식별 정보 수신 과정(S520)은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S530)은 식별정보 확인 과정(S531) 및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S532)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 확인 과정(S531)은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S532)은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한다.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정보 수신 과정(S540)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은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은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는 유사한 영상 정보로 함께 표시되거나 또는 편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가 같은 공간 내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뷰에 따른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은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항목 및 제2항목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정보 표시 과정(S550)은 터치된 항목에 기반하여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 중 하나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라이프로 로그 수행 방법은 식별 정보 수신 과정(S610), 영상 정보 수신 과정(S620) 및 제어 메시지 수신 과정(S6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이프로 로그 수행 방법은 영상 정보 송신 과정(S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 수신 과정(S610)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각각 제1이동 단말기 및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영상 정보 수신 과정(S620)은 영상 정보 수신 과정(S621) 및 감정 정보 연산/송신 과정(S6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 수신 과정(S621)은 상기 제1전자기기 및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들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각각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감정 정보 연산/송신 과정(S622)은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감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감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제2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수신 과정(S630)은 상기 제2식별정보가 기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1전자기기가 근접함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 송신 과정(S640)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된 시간에서의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사용자가 같은 공간 내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뷰에서의 영상을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사용자들 간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카메라 또는 이동 단말기 간의 근접 여부에 따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제어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의 세부 구성 모듈 또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0, 200: 제1 및 제2전자기기
300, 400: 이동 단말기
500: 서버

Claims (15)

  1.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2전자기기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와 페어링된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1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2식별정보가 상기 제1식별정보와 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1전자기기에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하였음을 의미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송신한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사용자의 타임라인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타임라인은, 상기 서버 상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을 기초로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시간 동안만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제2영상 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커플 모드 UI로 생성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하고 있지 않다는 판단하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각각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별로 각각 생성된 타임라인인 것인,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로그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제1영상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항목 및 제2항목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된 항목에 기반하여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 중 하나를 상기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분석된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과 관련하여 분류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항목이 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감정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된 상기 제1영상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7.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를 제1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제2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2전자기기와 페어링된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제2 영상 정보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각각 수신되면, 상기 제1 영상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타임 라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만 생성되는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2영상 정보가 결합된 단일의 타임라인을 생성하여 이를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타임라인에 공통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타임라인을 각각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기기와 상기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시간 동안만 상기 제1영상 정보와 제2영상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타임라인을 커플 모드 UI로 생성하여 상기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2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 기기 및 상기 제2전자 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 및 상기 제2영상 정보를 촬영된 시간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타임 라인을 생성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정보, 상기 제2영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내의 사용자의 표정에 기반하여 감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감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제2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
  12. 삭제
  13. 삭제
  14. 이동 단말기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관련된 제1 영상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영상 정보 송신 과정;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2전자기기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와 페어링된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과정;
    수신된 상기 제2식별정보가 제1식별정보와 페어링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1전자기기에 상기 제2전자기기가 근접하였음을 의미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 메시지 송신 과정; 및
    상기 서버로 송신한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사용자의 타임라인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라인은, 상기 서버 상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을 기초로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시간 동안만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제2 영상 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커플 모드 UI로 생성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하고 있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각각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별로 각각 생성된 타임라인인 것인,
    이동 단말기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
  15. 서버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1전자기기의 제1식별정보를 제1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제2 사용자의 웨어러블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2전자기기의 제2식별정보를 상기 제2전자기기와 페어링된 제2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 과정;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만 생성되는 제어메시지가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메시지 수신 과정; 및
    상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제2 영상 정보가 결합된 단일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타임라인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제1이동 단말기 및 제2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정보 송신 과정;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라인은, 상기 서버 상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을 기초로 상기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서로 인접해 있는 시간 동안만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2영상 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커플 모드 UI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라이프 로그 수행 방법.
KR1020150141713A 2015-10-08 2015-10-08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10170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713A KR101706371B1 (ko) 2015-10-08 2015-10-08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713A KR101706371B1 (ko) 2015-10-08 2015-10-08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371B1 true KR101706371B1 (ko) 2017-02-28

Family

ID=5854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713A KR101706371B1 (ko) 2015-10-08 2015-10-08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51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96805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옷깃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443A (ja) * 2007-07-20 2010-11-04 ネーデルランデ オルガニサティー ヴール トゥーヘパストナツールウェテンスハペライク オンデルズーク テーエヌオー 近接する携帯装置の識別方法
KR20120105341A (ko)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130018468A (ko) * 2011-08-08 201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프로깅 및 메모리 공유 방법
KR20130117267A (ko) * 2012-04-18 2013-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443A (ja) * 2007-07-20 2010-11-04 ネーデルランデ オルガニサティー ヴール トゥーヘパストナツールウェテンスハペライク オンデルズーク テーエヌオー 近接する携帯装置の識別方法
KR20120105341A (ko)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130018468A (ko) * 2011-08-08 201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프로깅 및 메모리 공유 방법
KR20130117267A (ko) * 2012-04-18 2013-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51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151689A1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521424B2 (en) 2018-01-31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76619B1 (ko) * 2018-01-31 202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96805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옷깃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
KR20230096806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옷깃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7165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1020995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47768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setting method thereof
US99678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IFI list
US9654942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KR20150138735A (ko) 전자 장치의 비콘 부가 서비스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460578B (zh) 建立关联关系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48313B (zh) 一种多人拍照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5512534B (zh) 远程设备的发现和连接
US20230284000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KR20160035753A (ko)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EP3046352A1 (en) Method by which portabl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wear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US20170171706A1 (en) Device display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70249513A1 (en) Picture acquir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7008965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843129A (zh) 分享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664701B1 (ko)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트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372201A (zh) 信息通知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WO2016087614A1 (en) Dynamic feedback for wearable devices
KR101706371B1 (ko)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US97063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JP669970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1378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11372026A (zh) 一种获取视频数据方法
CN105657322B (zh) 图像提供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