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267A -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267A
KR20130117267A KR1020120040293A KR20120040293A KR20130117267A KR 20130117267 A KR20130117267 A KR 20130117267A KR 1020120040293 A KR1020120040293 A KR 1020120040293A KR 20120040293 A KR20120040293 A KR 20120040293A KR 20130117267 A KR20130117267 A KR 2013011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eam
peripheral
signal
signal streng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김선애
김태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267A/ko
Priority to US13/616,911 priority patent/US20130281026A1/en
Publication of KR2013011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기 인식 장치는 메인빔과 사이드빔을 형성하는 무선부, 메인빔의 방향을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메인빔과 사이드빔들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들에 근거하여 메인빔과 사이드빔들 간의 신호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에서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DEVICE 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GNI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빔 형성을 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기기를 인식하는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 중에서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등의 무선 집적 통신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무선 집적 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기기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해서 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있는 검색 가능한 모든 기기들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 즉, 주 기기를 통해 제공된 리스트를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여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모든 기기들을 검색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주 기기 주변에 주변 기기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기기들의 검색하는 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기기들이 증가하면 사용자가 기기를 선택하기 불편하고, 기기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사용자가 응용 서비스에 따른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이름을 모르는 상황에서는 기기들 간에 통신 링크 설정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주 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이나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해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로부터 블루투스(Bluetooth) 연결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 기기는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 기기와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즉, 기기들 간의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해 두 가지 이상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기기를 탐색할 수 있다. 하지만, 근거리 통신은 기기들 간의 통신 거리의 제약에 의해 주변 기기들의 검색을 위한 충분한 통신 거리를 확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기기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기기들의 탐색을 위한 거리 확보를 할 수 있는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기 인식 장치는 메인빔과 사이드빔을 형성하는 무선부, 상기 메인빔의 방향을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들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간의 신호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에서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을 인식하기 위한 주변 기기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메인빔을 통해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차이 계산을 통해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간의 신호 세기 차이들을 계산하는 신호 세기 계산부, 상기 계산된 신호 세기들 간의 차이가 최소가되는 주변 기기를 상기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상기 주변 기기로 인식하는 기기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주변 기기에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못하는 주변 기기를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 선택에서 제외시킨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주변 기기의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생성을 위한 배열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무선부로 메인빔과 사이드빔 형성 시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인식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기 인식 장치의 기기 인식 방법은 메인빔과 사이드빔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빔 형성에 따라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간의 신호 세기 차이를 통해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최소가 되는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주변 기기와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과 상기 사이드빔들을 형성을 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을 원하는 주변 기기 방향으로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빔들은 상기 메인빔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들 각각에서 상기 메인빔과 상기 좌측 사이드빔 간의 제 1 신호 세기 차이와 상기 메인빔과 상기 우측 사이드빔 간의 제 2 신호 세기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기기들 각각에서 상기 제 1 신호 세기 차이와 상기 제 2 신호 세기 차이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들 중에서 상기 절대값이 최소가 되는 주변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기 인식 장치는 형성된 빔들 간의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주변 기기를 인식함에 따라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기기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빔 형성을 통해 주변 기기를 인식함에 따라 기기 인식 장치는 주변 기기 탐색을 위한 주변 기기와의 거리 확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를 인식하는 기기 인식 장치를 포함한 기기 인식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인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인식 장치의 주변 기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를 인식하는 기기 인식 장치를 포함한 기기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기 인식 시스템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기기 인식 장치(100)와 기기 인식 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복수개의 주변 기기들(210, 220, 230)을 포함한다.
기기 인식 장치(100)는 사용자 기기일 수 있고, 주변 기기(210, 220, 230)들 중 하나와 통신 링크 설정을 원하는 기기이다. 기기 인식 장치(100)는 통신 링크 설정 시스템에서 통신 주체가 된다. 기기 인식 장치(100)는 통신 링크 설정이 가능한 가시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0, 220, 230) 중에서 통신 링크 설정을 원하는 주변 기기(220)로 메인빔(101)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기기 인식 장치(100)의 안테나 방향 등을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기기(220)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인식 장치(100)는 메인빔(101) 주변에 사이드빔들(102, 103)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빔(101)의 좌측에 제 1 사이드빔(102)이 위치하고, 메인빔(101)의 우측에 제 2 사이드빔(103)이 위치할 수 있다.
메인빔(101)은 메인빔(101)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선(11)을 기준으로 형성되고, 제 1 사이드빔(102)은 제 1 사이드빔(102)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선(12)를 기준으로 형성되고, 제 2 사이드빔(103)은 제 2 사이드빔(103)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선(13)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제 1 사이드빔(102)은 메인빔(101)의 중심선(11)과 제 1 사이드빔(102)의 중심선(12)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10)만큼 좌측에 위치하고, 제 2 사이드빔(103)은 메인빔(101)의 중심선(11)과 제 2 사이드빔(103)의 중심선(13)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20)만큼 우측에 위치한다. 이때, 각도들(10, 20)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기 인식 장치(100)는 하나의 메인빔(101)과, 메인빔(101)을 중심으로 하는 두 개의 사이드빔들(102, 10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인식 장치(100)는 기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기기 또는 주 기기가 될 수 있고, 주변 기기들(210, 220, 230)은 인식을 위한 대상이 되는 대상 기기들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인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기 인식 장치(100)는 무선부(110), 송신 신호 처리부(120), 수신 신호 처리부(130), 제어부(14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무선부(110)는 빔 형성을 위한 안테나, 일예로 배열 안테나 또는 빔형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부(110)는 송신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 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한다.
한편, 무선부(110)는 송신 신호 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송신을 위한 빔 형성을 할 수 있다. 이때, 무선부(110)는 메인빔(101)을 송신 신호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메인빔(101)의 중심선(11)을 통신을 원하는 주변 기기(20)로 포인팅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부(110)를 통해 송신하기 위해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제어부(140)로부터 빔 형성에 필요한 계수들과 파라미터들을 입력받는다.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기기 인식 장치의 임시 식별자인 인식 기기 식별자를 입력받는다. 이때,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빔 형성에 필요한 계수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빔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무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빔 형성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 신호에 인식 기기 식별자를 포함시켜 무선부(110)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인식된 주변 기기로 페이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처리부(130)는 무선부(110)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각 주변 기기들로부터 송신된 신호이고, 각 주변 기기들의 임시 식별자인 주변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 신호는 각 주변 기기에서 세 개의 빔들(즉, 메인빔(101)과 사이드빔들(102, 103))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포함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130)는 주변 기기 식별자와 수신 신호 세기들을 복조를 통해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 신호 처리부(130)는 무선부(110)를 통해 인식된 주변 기기로부터 페이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통신을 원하는 기기를 결정하면, 해당 기기기 위치한 방향으로 빔 형성을 위해 빔 형성에 필요한 계수들 및 파라미터들을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빔 형성에 필요한 계수들 및 파라미터들을 송신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기 인식 장치(100)의 식별 및 기기 인식 장치(100)로의 신호 세기 전송을 위해 인식 기기 식별자를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인식 기기 식별자를 빔 형성을 통해 송신하기 위해 송신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신호 세기 계산을 위한 신호 세기 계산부(141), 기기 인식을 위한 기기 인식부(142), 및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수신 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주변 기기 식별자와 주변 기기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각 주변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들은 각 빔들에 대한 신호 세기들이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메인빔(101)을 기준으로 메인빔(101)과 제 1 사이드빔(102) 간의 제 1 신호 세기 차이(DIF1)와 메인빔(101)과 제 2 사이드빔(103) 간의 제 2 신호 세기 차이(DIF2)를 계산한다. 그리고,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계산된 신호 세기 차이들 각각에 대한 절대 차이 값(ABS)을 계산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에서 계산되는 절대 차이값(ABS)은 일예로 하기의 수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제 1 신호 세기 차이(DIF1)에서 제 2 신호 세기 차이(DIF2)를 감산한 절대값으로부터 절대 차이값(ABS)을 획득하거나, 제 2 신호 세기 차이(DIF2)에서 제 1 신호 차이 세기(DIF1)를 감산한 절대값으로부터 절대 차이값(ABS)을 획득할 수 있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수신된 모든 주변 기기들의 절대 차이값(ABS)들을 해당 주변 기기의 주변 기기 식별자, 메인빔(101)의 신호 세기와 함께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한편,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신호 세기 차이들(DIF1, DIF2)을 계산하기 이전에 메인빔(101)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신 신호 세기 미만인 주변 기기에 대해서는 신호 세기 차이 계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빔(10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주변 기기들을 제외시켜 신호 세기 계산부(141)에서의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기 인식부(142)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주변 기기들에 대해 메인빔(101)의 수신 신호 세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인식부(142)는 메인빔(101)의 수신 신호 세기가 큰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주변 기기만을 선택한다. 기기 인식부(142)는 선택된 기기들의 리스트들 중에서 절대 차이값(ABS)이 최소가 되는 주변 기기를 통신 대상 기기로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메인빔(101) 방향에 위치한 주변 기기(210)가 기기 인식부(142)에 의해 통신 대상 기기로 인식될 수 있다. 기기 인식부(142)는 선택된 기기들의 리스트를 메모리(150)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기기 인식부(142)는 통신 대상 기기를 인식하면, 인식된 통신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기기 인식부(142)는 사용자 입력 기기(미도시), 일예로, 터치 패드, 키패드, 및 버튼 등을 통해서 인식된 기기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설정부(143)는 인식된 주변 기기로 페이징을 위해 주변 기기 식별자를 상위 계층을 통해 페이징 하도록 제어한다. 링크 설정부(143)는 페이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하고, 페이징을 위한 신호를 수신 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수신하면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설정부(143)는 페이징을 통해 주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기 인식 장치(100)는 빔 형성을 통해 통신을 원하는 기기로 빔 형성을 통해 기기를 인식함으로서 주변 기기들의 탐색을 위한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인식 장치(100)는 형성된 빔을 통한 신호 세기 계산을 통해 주변 기기를 인식함으로써 기기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무선부(110)는 선택을 원하는 기기로 메인빔(102)과 사이드빔들(102, 103)을 형성한다(S101단계).
수신 신호 처리부(130)는 형성된 빔들(101, 102, 103)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 세기를 무선부(110)를 통해 주변 기기들로부터 수신한다(S103단계). 수신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를 신호 처리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기기의 메인빔 신호 세기가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인지 판단한다(S105단계). 판단결과,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기기의 메인 빔 신호 세기가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이면, S107단계로 진행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메인빔과 사이드빔들 간의 수신 신호 차이를 계산한다(S107단계). 즉,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제 1 신호 세기 차이(DIF1)(메인빔(101)과 제 1 사이드빔(102) 간의 차이)와 제 2 신호 세기 차이(DIF2)(메인빔(101)과 제 2 사이드 빔(102)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S111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 기기의 신호 세기 차이가 계산되면,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판단결과,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기기에서 측정된 메인빔(101)의 신호 세기가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이면, S109단계로 진행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메인빔의 신호 세기가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인 단말을 인식을 위한 주변 기기에서 제외시키고 S111단계로 진행한다.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모든 주변 기기의 신호 세기 차이를 계산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한다(S111단계). 모확인결과,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기기들에 대한 신호 세기 차이 계산을 완료하지 않았으면, S105단계로 진행한다.
확인결과, 신호 세기 계산부(141)는 주변기기들에 대한 신호 세기 차이 계산을 완료하였으면, S113단계로 진행한다.
기기 인식부(142)는 각 주변기기들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주변기기를 선택한다(S113단계). 기기 인식부(142)는 절대 차이값(ABS)가 최소가 되는 주변기기를 인식한다.
기기 인식부(142)는 페이징을 위해 인식된 주변 기기의 임시 식별자인 주변 기기 식별자를 획득한다(S115단계). 이때, 기기 인식부(142)는 인식된 주변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주변 기기에 대해 확인을 받을 수도 있다.
링크 설정부(142)는 페이징을 통해 주변 기기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S117단계). 일예로, 링크 설정부(143)는 인식된 주변 기기로 페이징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페이징 응답 신호 수신 등을 통해 페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페이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링크 설정부(142)는 인식된 주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인식 장치의 주변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변 기기(210)는 무선부(211), 송신 신호 처리부(212), 수신 신호 처리부(213), 및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무선부(211)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무선부(211)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부(211)는 송신 신호 처리부(21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 신호 처리부(213)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212)는 제어부(21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부(211)를 통해 송신하기 위해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212)는 제어부(214)에 의해 생성된 주변 기기의 임시 식별자인 주변 기기 식별자를 입력받는다. 송신 신호 처리부(212)는 형성된 빔들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입력받는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부(212)는 송신 신호에 주변 기기 식별자와 수신 신호 세기들을 포함시켜 무선부(211)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무선부(211)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수신 신호에는 기기 인식 장치의 인식 기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인식 기기 식별자의 복조를 통해 제어부(214)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세 개의 빔(즉, 메인빔(101)과 사이드빔(102, 103))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측정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제어부(214)로 출력한다.
제어부(214)는 수신 신호 처리부로부터 인식 기기 식별자와 수신 신호 세기가 수신되면, 송신 신호 처리부(212)로 주변 기기 식별자와 수신 신호 세기들을 출력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부(211)는 신호를 수신한다(S201단계). 무선부(211)는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 신호 처리부(213)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빔 형성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S203단계).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메인 빔과 사이드 빔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제어부(214)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 신호 처리부(213)는 수신 신호에 포함된 인식 기기 식별자를 복조하여 제어부로 출력한다. 제어부(214)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면, 자신의 임시 식별자인 주변 기기 식별자를 송신 신호 처리부(212)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212)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과 자신의 임시 식별자를 무선부(211)를 통해 기기 인식 장치(100)로 송신한다(S205단계).
제어부(214)는 무선부(211) 및 수신 신호 처리부(213)를 통해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207단계). 확인결과, 제어부(214)는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한다. 확인결과, 제어부(214)는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면, S209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14)는 기기 인식 장치(100)와의 페이징을 통한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S209단계). 이를 위해, 제어부(214)는 페이징 응답을 위한 신호 등의 전송을 통해 기기 인식 장치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는 일예로 주변 기기(210)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주변 기기(220, 230)들도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갖고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을 원하는 주변 기기(210)의 경우에는 S207단계 이후에 S209단계로 진행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주변 기기(220, 230)의 경우에는 S207단계 이후에 종료 단계로 진행하여 종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기기 인식 장치 110: 무선부
120: 송신 신호 처리부 130: 수신 신호 처리부
140: 제어부 141: 신호 세기 계산부
142: 기기 인식부 143: 링크 설정부
150: 메모리 210, 220, 230: 주변기기들
211: 무선부 212: 송신 신호 처리부
213: 수신 신호 처리부 214: 제어부

Claims (12)

  1. 메인빔과 사이드빔을 형성하는 무선부;
    상기 메인빔의 방향을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들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간의 신호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에서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을 인식하기 위한 주변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기기 인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메인빔을 통해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는 기기 인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차이 계산을 통해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간의 신호 세기 차이들을 계산하는 신호 세기 계산부;
    상기 계산된 신호 세기 차이들 간의 차이가 최소가되는 주변 기기를 상기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상기 주변 기기로 인식하는 기기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주변 기기에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부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못하는 주변 기기를 링크 설정을 위한 주변 기기 선택에서 제외시키는 기기 인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주변 기기의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기기 인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생성을 위한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무선부로 메인빔과 사이드빔 형성 시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인식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인식 장치.
  9. 기기 인식 장치의 기기 인식 방법에 있어서,
    메인빔과 사이드빔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빔 형성에 따라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간의 신호 세기 차이를 통해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최소가 되는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주변 기기와 페이징을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과 상기 사이드빔들을 형성을 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을 원하는 주변 기기 방향으로 상기 메인빔과 상기 사이드빔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빔들은 상기 메인빔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기기 인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들 각각에서 상기 메인빔과 상기 좌측 사이드빔 간의 제 1 신호 세기 차이와 상기 메인빔과 상기 우측 사이드빔 간의 제 2 신호 세기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기기들 각각에서 상기 제 1 신호 세기 차이와 상기 제 2 신호 세기 차이 간의 절대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들 중에서 상기 절대 차이값이 최소가 되는 주변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인식 방법.
KR1020120040293A 2012-04-18 2012-04-18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KR2013011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93A KR20130117267A (ko) 2012-04-18 2012-04-18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US13/616,911 US20130281026A1 (en) 2012-04-18 2012-09-14 Device 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gnizing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93A KR20130117267A (ko) 2012-04-18 2012-04-18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67A true KR20130117267A (ko) 2013-10-25

Family

ID=4938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93A KR20130117267A (ko) 2012-04-18 2012-04-18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81026A1 (ko)
KR (1) KR20130117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856A (ko) * 2014-07-29 2016-02-12 (주)유비더스시스템 무선신호 발신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06371B1 (ko) * 2015-10-08 2017-02-28 이영신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6593B (zh) * 2015-04-27 2017-09-12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配电环网柜无线核相仪辅助通信装置
KR102623349B1 (ko) * 2019-04-05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 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4422A1 (en) * 2002-07-19 2004-0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s using service description data
US20060128310A1 (en) * 2004-12-14 2006-06-15 Michael Leabman Transmit/receive compensation in smart antenna systems
JP2012511276A (ja) * 2008-12-05 2012-05-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バイスを認識する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856A (ko) * 2014-07-29 2016-02-12 (주)유비더스시스템 무선신호 발신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06371B1 (ko) * 2015-10-08 2017-02-28 이영신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81026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882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44448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55560B1 (ko) 근거리 장애물 감지를 통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EP3439144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097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55563A1 (en)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KR20140117060A (ko) 식별자 없이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한 매체접근제어계층 프로토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122125A (ja) 移動局測位方法、測位基地局選択方法、移動局測位システム
KR20130117267A (ko) 기기 인식 장치 및 그것의 기기 인식 방법
RU2016145915A (ru)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олучающая содействие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от соседн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2392887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539668B2 (en) Position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for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US10164469B1 (en) 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2146889B1 (ko) 음파의 도달 시간과 삼각 측위를 이용하여 차량과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 또는 각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311408B (zh) 用于车辆的无线便携式设备
JP2010087896A (ja) 受信強度検出器および移動局測位システム
US2016015728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5665657A (zh) 无线配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321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596761B1 (ko)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JP7245836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算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6551611B2 (ja) 位置推定用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US10894320B2 (en)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TW201604844A (zh) 尋物定位系統及其目標裝置
JP6785567B2 (ja) 移動体自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