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296A -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296A
KR20210025296A KR1020190105136A KR20190105136A KR20210025296A KR 20210025296 A KR20210025296 A KR 20210025296A KR 1020190105136 A KR1020190105136 A KR 1020190105136A KR 20190105136 A KR20190105136 A KR 20190105136A KR 20210025296 A KR20210025296 A KR 2021002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roduct
user terminal
objects
key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786B1 (ko
Inventor
백선하
신동주
유지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애드 (주)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애드 (주),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애드 (주)
Priority to KR102019010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7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K9/46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기 및 통신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웹 페이지들 중 제 1 웹 페이지들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제 1 웹 페이지들에 포함된 상품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로부터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웹 페이지들 중 제 2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NETWORK SERVER AND METHOD TO PROVIDE WEB PAGE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에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인터넷 이용의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쇼핑몰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품들을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상품이 배송되도록 지원하여 현재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몰 서버는 다양한 상품 사진들 및 그와 연관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 욕구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 페이지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메시지는 해당 상품의 사진 및/또는 그 상품 사진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광고 메시지를 클릭하면 사용자는 해당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웹 페이지 혹은 해당 상품의 상세 사진들 및 그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광고 메시지가 사용자와 무관하거나 낮은 관련성을 갖는다면, 광고 메시지를 통한 광고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몰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천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및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1 웹 페이지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 포함된 상품 오브젝트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컬러 코드들은 HTML 컬러 코드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코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연관 정보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인덱스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 정보들 각각을 상기 인덱스 리스트 내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연관 키워드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은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들 및 보조 오브젝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상기 팝업창의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은 텍스트 및 버튼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및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1 웹 페이지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 포함된 상품 오브젝트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코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컬러 코드들은 HTML 컬러 코드들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연관 정보들을 더 저장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관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인덱스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정보들 각각을 상기 인덱스 리스트 내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연관 키워드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 식별자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은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들 및 보조 오브젝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팝업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상기 팝업창의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은 텍스트 및 버튼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몰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다른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웹 페이지와 함께 제공되는 팝업창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컬러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도 5b의 컬러 키워드 및 서브 컬러 키워드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인덱스 리스트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몰 서버에서 컬러 식별자들을 수집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 서버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S250단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몰 서버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다른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웹 페이지와 함께 제공되는 팝업창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5), 사용자 단말기(110), 몰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장치들, 서버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은 다른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들 및 서비스들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위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수 혹은 더 적은 수의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은 동일 혹은 상이한 기업체들에 의해 구동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네트워크(105)는 사용자 단말기(110), 몰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80)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100) 내 구성 요소들을 연결한다. 네트워크(105)는 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다른 적절한 타입의 네트워크, 및 그것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100) 내 구성 요소들 각각은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호 간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몰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몰 서버(120)와 통신하여 사용자 아이디를 생성한 후 사용자 아이디를 통해 몰 서버(120)에 액세스하여 몰 서비스를 위한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의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몰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의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쿠키 정보로서 몰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은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몰 서버(120)는 네트워크 서버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10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웹 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몰 서버(120)는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적절한 상품 오브젝트 및 그 연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할 수 있다.
몰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8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80)가 몰 서버(12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데이터베이스(180)의 적어도 일부는 몰 서버(12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80)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과 연관된 정보들(AI, 이하 연관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연관 정보들(AI) 각각은 상품의 명칭, 컬러, 가격 등 상품 오브젝트와 연관된 다양한 종류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80)는 웹 페이지 소스들(WPS)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소스들(WPS)은 웹 페이지들 각각의 레이아웃들, 아이템들, 아이콘들 등과 같은 그래픽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의 적어도 하나 및 연관 정보들(AI)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들(예를 들면, 130 내 저장된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몰 서버(120)는 웹 페이지 제공기(130),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 및 상품 추천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웹 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웹 페이지가 요청될 때, 해당 웹 페이지 소스와 함께 그것이 링크하는 상품 오브젝트 및 연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각각 상품 오브젝트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내지 제 6 영역들(210~260)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200)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스크롤 아이템(205)을 스크롤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웹 페이지(200) 내 추가적인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영역(210)은 제 1 상품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211)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영역(212)을 포함한다. 제 2 영역(220)은 제 2 상품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221)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영역(222)을 포함한다. 제 3 내지 제 6 영역들(230~260)들 각각도 마찬가지로 상품 오브젝트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영역들(210~260)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요청 신호를 웹 페이지 제공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2 영역(220)이 선택된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품 오브젝트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웹 페이지(300)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웹 페이지(300)는 제 2 상품 오브젝트를 구매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웹 페이지(300)는 제 2 상품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310)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320)의 연관 정보는 상품의 명칭, 컬러, 가격 등 상품 오브젝트와 연관된 다양한 종류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품 오브젝트의 연관 정보는 해당 상품 오브젝트가 다양한 컬러들을 가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상품 오브젝트의 연관 정보가 다양한 컬러들의 관련 상품 오브젝트들이 존재함을 나타낼 때, 그 컬러들(혹은 그 컬러들의 관련 상품 오브젝트들)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더 많은 연관 정보 및/또는 제 2 상품 오브젝트와 연관된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 경우, 스크롤 아이템(305)을 스크롤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웹 페이지(300)에 다른 연관 정보 및 오브젝트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의 웹 페이지(200)는 서로 다른 상품 오브젝트들을 병렬적으로 표시하는 제 1 깊이(depth)의 웹 페이지이고, 도 3의 웹 페이지(300)는 서로 다른 상품 오브젝트들 중 선택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 2 깊이(depth)의 웹 페이지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CID)을 생성하고, 생성된 컬러 식별자들(CID)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컬러 식별자들(CID)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컬러 식별자들(CID)은 다양한 형식들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각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는 소정의 컬러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상품 오브젝트에 대해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을 수행하여 컬러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컬러 코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컬러 코드들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각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는 소정의 컬러 키워드(keyword)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연관 정보들(AI) 중 해당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컬러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품 추천기(150)는 웹 페이지 제공기(13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측되는 컬러를 판별하고, 상품 오브젝트들(PDOB) 중 판별된 컬러의 상품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할 수 있다. 상품 추천기(150)는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 컬러 선택기(152), 및 상품 선택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는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는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180)의 컬러 식별자들(CID)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은 컬러 코드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은 컬러 키워드들일 수 있다.
컬러 선택기(152)는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컬러 선택기(152)는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품 선택기(153)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 중 컬러 선택기(152)에 의해 선택된 컬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품 선택기(153)는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웹 페이지 제공기(130)에 알릴 것이다.
이후,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웹 페이지를 제공할 때,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에 웹 페이지(400)를 제공한다. 웹 페이지(400)는 각각 상품 오브젝트 및 그 연관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영역들(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상품 선택기(153)에 의해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PUW)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팝업창(PUW)은 웹 페이지(400)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팝업창(PUW)은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401) 및 보조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팝업창(PUW)의 보조 오브젝트들은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401)의 연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텍스트(402), 그리고 버튼 아이템(403), 스크롤 아이템(404)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팝업창(PUW)은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도 3과 같은 웹 페이지로의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버튼 아이템(403)은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웹 페이지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가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구매 결정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상품, 온라인 배너, 버튼 등이 노출될 때 컬러에 따라 사용자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며, 예를 들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컬러는 국적, 문화, 연령, 성별,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 서버(120)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CID)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컬러를 판별하고, 판별된 컬러의 상품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에 대한 추천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광고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품 추천기(150)는 그래픽 제어기(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제어기(154)는 컬러 선택기(152)에 의해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팝업창(PUW)의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도록 웹 페이지 제공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그래픽 제어기(154)의 제어에 응답하여 도 4의 텍스트(402), 버튼 아이템(403), 및 스크롤 아이템(404)과 같은 팝업창(PUW)의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된 컬러 및/또는 그와 유사한 컬러로 페인팅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창(PUW)은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컬러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고 효과의 향상을 더욱 기대할 수 있다.
그래픽 제어기(154)는 컬러 선택기(152)에 의해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팝업창(PUW)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400)의 다양한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도록 웹 페이지 제공기(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웹 페이지(400)의 스크롤 아이템(405)은 선택된 컬러 혹은 그와 유사한 컬러를 가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웹 페이지 제공기(130),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 컬러 선택기(152), 상품 선택기(153), 및 그래픽 제어기(154)는 실시 예들에 따라 더 적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통합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분리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웹 페이지 제공기(130),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 컬러 선택기(152), 상품 선택기(153), 및 그래픽 제어기(154) 각각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그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컬러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 및 도 5a를 참조하면, 컬러 식별자(CID’)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각 상품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컬러 코드는 HTML 컬러 코드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a에서, 상품 오브젝트(501, 도 1의 PDOB 참조)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는 “#FFFFFF”이다. 또한, 상품 오브젝트(501)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컬러 코드(이하, 서브 컬러 코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서브 컬러 코드는 “#000000”이다.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컬러 코드 “#FFFFFF”의 컬러(예를 들면 White) 및 서브 컬러 코드 “#000000”의 컬러(예를 들면 Black)의 상품 오브젝트에서의 비중들 “85%”, “15%”을 컬러 식별자(CID’)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컬러 식별자(CID’’)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정보가 상품의 컬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b에서, 연관 정보(502, 도 1의 AI 참조)로부터 추출된 컬러 키워드는 “White”이다. 연관 정보(502)로부터 추가적인 컬러 키워드(이하, 서브 컬러 키워드)가 더 추출될 수 있다. 서브 컬러 키워드는 “Black”이다.
실시 예들에서, 도 1의 컬러 식별자들(CID) 각각은 도 5a의 컬러 코드와 도 5b의 컬러 키워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b의 컬러 키워드 및 서브 컬러 키워드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인덱스 리스트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덱스 리스트(IDXLST)는 컬러 키워드들 및 그 컬러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컬러 키워드 “White”의 연관 키워드들, 컬러 키워드 “Gray”의 연관 키워드들, 컬러 키워드 “Red”의 연관 키워드들이 예시적으로 리스팅되어 있다. 이러한 인덱스 리스트(IDXLST)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고,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연관 정보(502, 도 5b 참조)에 포함된 상품의 컬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다양한 이름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컬러의 이름은 컬러 키워드에 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인덱스 리스트(IDXLST)는 각 컬러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제공한다.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연관 정보(502)를 인덱스 리스트(IDXLST) 내 컬러 키워드들 및 연관 키워드들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연관 정보(502)에 포함된 컬러의 이름이 인덱스 리스트(IDXLST)의 컬러 키워드들 중 어느 하나와 매치될 때, 매치된 컬러 키워드가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컬러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연관 정보(502)에 포함된 컬러의 이름이 인덱스 리스트(IDXLST)의 연관 키워드들 중 어느 하나와 매치될 때, 매치된 연관 키워드의 컬러 키워드가 상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컬러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인덱스 리스트(IDXLST) 내 컬러 키워드들은 HTML 컬러 코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들의 이름들일 수 있다. 인덱스 리스트(IDXLST)는 컬러 키워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HTML 컬러 코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웹 크롤링(web crawling) 방식을 통해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HTML 컬러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HTML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컬러 키워드에 그 연관 키워드를 매핑함으로써, 연관 키워드는 인덱스 리스트(IDXLST)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록한 연관 정보가 새로운 컬러의 이름을 포함할 때마다 그 새로운 컬러의 이름은 연관 키워드로서 인덱스 리스트(IDXLST)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컬러의 이름은 지속적으로 학습되고 인덱스 리스트(IDXLST)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몰 서버에서 컬러 식별자들을 수집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CID)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몰 서버(120)는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 각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코드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컬러 코드들을 컬러 식별자들(CID)로서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몰 서버(120)는 연관 정보들(AI)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컬러 키워드들을 컬러 식별자들(CID)로서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 서버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각각 상품 오브젝트들 및 그 연관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 웹 페이지들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S22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는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한다. 사용자 액션 트래커(151)는 제 1 웹 페이지들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을 트래킹하고, 데이터베이스(180)의 컬러 식별자들(CID) 중 트래킹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트래킹되는 상품 오브젝트 별 컬러 코드 및 서브 컬러 코드(도 5a 참조)가 추출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트래킹되는 상품 오브젝트 별 컬러 키워드 및 서브 컬러 키워드(도 5b 참조)가 추출될 수 있다.
S23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컬러 선택기(152)는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한다. 실시 예들에서, 컬러 선택기(152)는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갖는 컬러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컬러 선택기(152)는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갖는 2 이상의 컬러 식별자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S24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상품 선택기(153)는 상품 오브젝트들(PDOB) 중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한다.
S25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할 때,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방법은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CID)을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웹 페이지들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컬러를 판별하고, 판별된 컬러의 상품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에 대한 추천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광고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S250단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몰 서버(120)의 그래픽 제어기(154)는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팝업창의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도록 웹 페이지 제공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기(130)는 그래픽 제어기(154)의 제어에 응답하여, 텍스트, 버튼 아이템, 스크롤 아이템 등의 오브젝트들이 선택된 컬러 및/또는 그와 유사한 컬러로 페인팅된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창은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컬러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품, 온라인 배너, 버튼 등이 노출될 때 사용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광고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몰 서버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1000)는 버스(110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0), 시스템 메모리(1300),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I/F)(1400), 통신 인터페이스(1500), 저장 매체(1600), 및 통신기(1700)를 포함한다.
버스(1100)는 컴퓨터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 및 정보를 전달한다. 프로세서(1200)는 범용 혹은 전용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1000)의 제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실행될 때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명령어들을 시스템 메모리(1300)에 로딩하고,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명령어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메모리(1300)는 프로세서(1200)의 워킹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시스템 메모리(130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및 다른 타입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프로세서(1200)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의 웹 페이지 제공기(130)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 모듈(1310), 도 1의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컬러 식별자 생성 모듈(1320), 및 도 1의 상품 추천기(150)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상품 추천 모듈(1330)을 시스템 메모리(1300)에 로딩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은 프로세서(1200)에 의해 실행되어 도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웹 페이지 제공기(130),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 및 상품 추천기(150)의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은 별도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인 저장 매체(1600)로부터 시스템 메모리(1300)에 로딩될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은 컴퓨터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통신기(1700)을 통해 시스템 메모리(130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시스템 메모리(1300)는 웹 페이지 제공기(130), 컬러 식별자 생성기(140), 및 상품 추천기(150)를 위한 버퍼 메모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 연관 정보들(AI), 컬러 식별자들(CID), 및 웹 페이지 소스들(WPS)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스템 메모리(1300)에 로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시스템 메모리(1300)는 프로세서(1200)와 구분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시스템 메모리(1300)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1300)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메모리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400)는 저장 매체(1600)에 연결된다.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400)는 버스(1100)에 연결된 프로세서(1200) 및 시스템 메모리(1300)와 같은 구성 요소들과 저장 매체(160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통신기(1700)에 연결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버스(1100)에 연결된 구성 요소들과 통신기(170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버스(1100), 프로세서(1200), 및 시스템 메모리(1300)는 하나의 보드(1050)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1100), 프로세서(1200), 및 시스템 메모리(1300)는 하나의 반도체 칩에 실장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보드(1050)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400) 및 통신 인터페이스(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6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불휘발성 저장 매체들,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600)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180)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 매체(1600)는 도 1의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PDOB), 연관 정보들(AI), 컬러 식별자들(CID), 및 웹 페이지 소스들(WPS)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기(1700, 혹은 트랜시버)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0)와 네트워크 시스템(100, 도 1 참조) 내 다른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 사이의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몰 서버
130: 웹 페이지 제공기
140: 컬러 식별자 생성기
150: 상품 추천기

Claims (18)

  1.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및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1 웹 페이지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 포함된 상품 오브젝트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컬러 코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컬러 코드들인 네트워크 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코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연관 정보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인덱스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 정보들 각각을 상기 인덱스 리스트 내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연관 키워드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은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들 및 보조 오브젝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상기 팝업창의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은 텍스트 및 버튼 아이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11.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및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1 웹 페이지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들을 트래킹하여 상기 제 1 웹 페이지들에 포함된 상품 오브젝트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액션들과 연관되는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식별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 중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때,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코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컬러 코드들은 HTML 컬러 코드들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식별자들 각각은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연관 정보들을 더 저장하며,
    상기 연관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인덱스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정보들 각각을 상기 인덱스 리스트 내 상기 소정의 컬러 키워드들 및 상기 연관 키워드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품 오브젝트들의 상기 컬러 키워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컬러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 식별자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 식별자가 선택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은 상기 결정된 상품 오브젝트들 및 보조 오브젝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팝업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컬러 식별자의 컬러에 따라 상기 팝업창의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페인팅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오브젝트들은 텍스트 및 버튼 아이템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05136A 2019-08-27 2019-08-27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KR10226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36A KR102268786B1 (ko) 2019-08-27 2019-08-27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36A KR102268786B1 (ko) 2019-08-27 2019-08-27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296A true KR20210025296A (ko) 2021-03-09
KR102268786B1 KR102268786B1 (ko) 2021-06-24

Family

ID=7517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136A KR102268786B1 (ko) 2019-08-27 2019-08-27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7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96A (ko) * 2007-05-31 2009-01-09 엔에이치엔(주) 상품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27722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사색상 상품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검색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20105346A (ko)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28454A (ko) * 2013-08-26 2016-03-11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온라인 제품들을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8536A (ko) * 2018-04-30 2018-05-10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 검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96A (ko) * 2007-05-31 2009-01-09 엔에이치엔(주) 상품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27722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사색상 상품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검색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20105346A (ko)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28454A (ko) * 2013-08-26 2016-03-11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온라인 제품들을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8536A (ko) * 2018-04-30 2018-05-10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 검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786B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3894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180341990A1 (en) Universal Ad Creative
US10230672B2 (en) Inserting a search box into a mobile terminal dialog messaging protocol
US9141702B2 (e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US20080215416A1 (en) Searchable interactive internet advertisements
US2012022141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intent and providing targeted content according to intent
US962162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etwork system
US201802537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40351052A1 (en) Contextual Product Recommendation Engine
JP7440654B2 (ja) デジタルアクション実行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モード選択
US10146559B2 (en) In-application recommendation of deep states of native applications
AU2014240210A1 (en) Accessing location-based content
KR20210021120A (ko) 설치-후 어플리케이션 인터렉션 개선하기
US2012020386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behavioral retargeting of content from partner websites
US20100241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dvertising with computer enabled maps
WO2017050261A1 (zh) 一种云计算方法、云服务器及终端
KR20210116854A (ko) 검색 키워드 기반의 동적 랜딩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1716227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8786B1 (ko)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JP202300830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9956B1 (ko) 상품 사진들 및 상기 상품 사진들과 연관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11663632B2 (en)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pages to user terminals
AU2015255328B2 (en) Accessing location-based content
JP7402260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913717B2 (ja) ユーザ端末にウェブページを提供するネットワークサーバ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