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17B1 -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17B1
KR102562917B1 KR1020220181511A KR20220181511A KR102562917B1 KR 102562917 B1 KR102562917 B1 KR 102562917B1 KR 1020220181511 A KR1020220181511 A KR 1020220181511A KR 20220181511 A KR20220181511 A KR 20220181511A KR 102562917 B1 KR102562917 B1 KR 10256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dentification code
wired
unit
pi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22018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각 다른 제어식별코드를 발신하는 무선통신단말과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다종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다종의 전자기기에 대해 유무선방식이 통합된 원격 개별 및 그룹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다종의 전자기기를 개별 또는 동시에 동작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다종의 전자기기의 무선 개별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와 유선 개별제어를 위한 핀 번호, 다종의 전자기기의 그룹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식별코드와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내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에 대한 제어순서정보가 각각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단말;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다종의 전자기기에 따라 각 전자기기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라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DEVICE FOR INTEGRATED CONTROL OF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종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식별코드를 활용하여 개별제어 및 그룹제어를 포함한 통합제어가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발전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각 가정에서는 TV, 오디오, 녹화기, 에어컨,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자기기는 각각의 전용 리모컨(110)이 적용되어 해당 전자기기를 제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들의 개수만큼 전용 리모컨(110)이 필요한데, 전자기기의 수가 늘어난 만큼 그에 따른 전용 리모컨(110)의 수도 늘어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수 많은 전용 리모컨(110)을 관리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전용 리모컨(110)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TV,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조명시설이 모두 하나의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사물 인터넷 관련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 각종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하는 방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037호(등록일자: 2013년01월02일)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685호(등록일자: 2012년12월21일)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자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카메라로 전자기기를 촬영하여 등록하고, 휴대용 단말기로 식별하여 선택된 전자기기를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프로그램으로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037호 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685호에서 제안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전자기기의 내부에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부가 내장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무선 수신부가 없는 전자기기의 경우 무선 원격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근거리에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해서 추가로 무선 수신부를 내장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또한 무선 수신부의 설치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 각종 전자기기의 무선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5613호(공개일자: 2007년09월13일)에서는 여러 장비 각각에 대해 정확한 원격 제어를 보장해주는 원격 제어장치를 제안하고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8290호(공개일자: 2010년11월25일)에서는 전자기기의 리모컨 송신장치를 연결하는 리모컨 케이블 커넥터에 리모컨 케이블로 연결하고 리모컨 송신장치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광 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한 외부 리모컨 센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5613호(공개일자: 2007년09월13일)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8290호(공개일자: 2010년11월25일)에서 제안된 전자기기의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5V'의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논리적으로 'HIGH', '0V' 근처의 낮은 전압을 'LOW' 라고 인식하는데 이때, 'HIGH'는 디지털 연산 값으로 '1'으로 계산하고, 'LOW'는 '0'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히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성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누르면 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흘러 전자기기의 프로세서 보드의 입력 핀에 '+5V'가 인가되는 것이 아니고, '0V'인 상태도 아닌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된다. 즉, 스위치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프로세서 보드의 입력 핀에 인가되는 전압이 플로팅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남은 잔여 전류가 흘러 들어갈 수도 있거나, 회로의 노이즈로 인해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노이즈에 취약한 상태가 되어 프로세서는 신호를 정확하게 잡아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결국, 이러한 방식에서는 스위치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순히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프로세서 보드의 입력단에서 발생되는 플로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풀-업 저항(pull-up resistor)이나 풀-다운 저항(pull-down resistor)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플로팅 현상은 회로 내의 스위치와 전압 측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여 해결할 수 있는데, 보통 10KΩ의 저항을 전압 측에 연결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을 풀-업 저항이라 하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낮은 전위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을 풀-다운 저항이라 한다.
이와 같이, 단순히 1개의 수신기로 각각 다른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기존의 연결방식에서는 수신기와 각각 다른 전자기기가 오작동하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전자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무선 수신부가 설치됨에 따라 무선 수신부가 고장 나면 부품이 단종되어 수리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전자기기를 버려야 한다.
또한, 리모컨으로 제어도 불가능하고, 모뎀 또는 공유기가 고장이 나면 무선 수신기에 데이터 코드와 전용 리모컨(110)의 데이터 코드가 서로 달라 해당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전자기기에서의 플로팅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 '-(GND)'가 따로 따로 연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5613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8290호에서 제안된 전자기기의 연결 방식에서는 '+'는 접속 상태가 아니지만, '-'는 수신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들과 모두 연결되고, 이로 인해 수신기에 연결된 전자기기는 플로팅 상태가 된다. 또한, 정상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노이즈로 인해 오작동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신기가 전용 리모컨(110)의 제어식별코드를 복사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 또한 수신기 전용 또는 전용 전용 리모컨(110)이 아니면 제어식별코드를 입력할 방법이 없다.
또한, 수신기가 고장이 나면 전용 리모컨(110)을 버려야 하고, 전용 리모컨(110)이 고장이 나면 전용 리모컨(110) 없이 수신기를 사용해야 하며, 수신기에 제어 스위치가 없으면 수신기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버려야 한다.
한편, IR 전용 리모컨(110)은 IR 신호를 발신하고, RF 전용 리모컨(110)은 RF 신호(주파수)를 방사하여 방사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RF 전용 리모컨(110)은 RF 주파수를 이용한 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기후 및 환경의 영향이 적어 안정성이 IR 방식에 비해 우수한 이점이 있고, 음성 및 기타 부가기능을 연동할 수 있으며,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주로 하이패스와 BIS(버스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작은 출력으로 전파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RF 전용 리모컨(110) 또한 주파수를 발신하는 방법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더라도 무조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IR 전용 리모컨(110)은 쉽게 구입할 수는 있지만 수신 센서가 물체로 가려지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 RF 전용 리모컨(110)은 사용하는데 편리하지만 구하기 어렵고 가격이 IR 전용 리모컨(110)에 비해 많이 비싸다. 보통 가격이 비싸서 구하지 못하는 것보다 RF 전용 리모컨(110)과 수신기의 제어식별코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구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수신기나 RF 전용 리모컨(110)의 제어식별코드를 알 수 없어 동일한 RF 전용 리모컨(110)을 구입하더라도 RF 전용 리모컨(110)은 사용할 수가 없는데, 이는 수신기나 RF 전용 리모컨(110)에 제어식별코드가 동일해야 동작하는데 수신기나 RF 전용 리모컨(110)에 제어식별코드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037호(등록일자: 2013년01월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685호(등록일자: 2012년12월21일)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5613호(공개일자: 2007년09월13일)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8290호(공개일자: 2010년11월2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 다른 제어식별코드를 발신하는 무선통신단말과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다종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다종의 전자기기에 대해 유무선방식이 통합된 원격 개별 및 그룹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다종의 전자기기를 개별 또는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는, 다종의 전자기기의 무선 개별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와 유선 개별제어를 위한 핀 번호, 다종의 전자기기의 그룹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내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에 대한 제어순서정보가 각각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단말;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다종의 전자기기에 따라 각 전자기기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라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연결되고, 다종의 전자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전파방식의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기기로 송신하거나, 수신된 상기 핀 번호를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을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유무선 리피터(repea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리피터는,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전자기기와 무선 연결되고,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전용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전용 리모컨은, IR(infrared ray) 및 RF(radio frequency) 통신방식 중 하나를 선택 받고,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키 값을 입력 받는 입력 버튼부;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상기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설정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입력된 키 값을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에 대한 키 값을 입력 받고, RF 통신의 주파수 값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상기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단말 데이터 설정부; IR 송신 기능, RF 송신 기능, 블루투스 기능, 지그비 기능 및 와이파이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을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능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부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는, IR 수신모듈, RF 수신모듈,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부; 상기 핀 번호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 또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일치하는 데이터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 또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해당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송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기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기 통신부는,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 유선 전자기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상기 핀 번호에 따라 상기 기기 제어 회로부의 기능 제어를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스위치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어 스위치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핀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CCTV의 촬영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CCTV의 모터제어 값을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모터제어 값에 따른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CCTV 제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를 통해 CCTV와 무선 연결되어 CCTV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CCTV 제어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CCTV로 전송하는 CCTV 드라이버 모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 및 CCTV에 무선 연결되고, 상기 CCTV 제어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 또는 CCTV로 송신하고, CCTV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는 IoT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는, 숫자와 문자에 대한 키 값을 입력 받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 데이터 설정부에 저장된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되,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다수의 핀 번호, 및 다수의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를 상기 제어순서정보에 따라 정렬된 다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그룹제어정보 표시부; 상기 다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제어식별코드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 그룹제어정보 수정부; 상기 다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에 대한 사용이 일시 정지되고, 일시 정지된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면 해당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에 대한 사용 일시 정지를 해지하는 제어식별코드 활성화 설정부; 상기 다수의 아이콘의 정렬 순서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변경되면, 변경된 상기 제어순서정보를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저장하는 제어순서정보 변경부; 상기 그룹제어정보 간을 비교하여 모두 동일한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를 포함하는 중복 그룹제어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하는 중복 그룹제어정보 관리부; 및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그룹제어정보의 사용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사용빈도 미만인 경우 해당 그룹제어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하는 미사용 그룹제어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다른 제어식별코드를 발신하는 무선통신단말과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다종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다종의 전자기기에 대해 유무선방식이 통합된 원격 개별 및 그룹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다종의 전자기기를 개별 또는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컨에서 입력 버튼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서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신부에서 제어 스위치부와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컨에서 입력 버튼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서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신부에서 제어 스위치부와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장치(1000)는, 무선통신단말(100), 유무선 송수신기(200), 유무선 리피터(300), 기기 통신부(400) 및 IoT 리모컨(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단말(100)은, 다종의 전자기기의 무선 개별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와 유선 개별제어를 위한 핀 번호, 다종의 전자기기의 그룹제어를 위해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정보, 및 그룹제어정보 내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에 대한 제어순서정보가 각각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식별코드는 문자나 숫자 또는 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8자리 이하 또는 이상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제어할 대상 즉 전자기기(10)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식별코드에 의해 해당 전자기기(10)의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핀 번호는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전자기기(10a)와 달리 무선통신기능이 없는 유선 전자기기(10b)의 제어를 위해 별도로 설치되는 유선 제어수단 즉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번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핀 번호에 의해 해당 릴레이의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그룹제어정보는 다수의 제어식별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로서 각 제어식별코드의 제어순서 또는 실행순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제어정보에는 TV, 세탁기, 조명 각각에 대한 제어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TV, 세탁기, 조명 순서로 제어하라는 순서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각 전자기기(10)의 제어 시간차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단말(100)은 전용 리모컨(110)과 이동통신단말기(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 리모컨(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버튼부(111),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112), 무선 통신 모듈부(113) 및 리모컨 제어부(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부(111)는, IR(infrared ray) 및 RF(radio frequency) 통신방식 중 하나를 선택 받고,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및 제어순서정보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키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설정버튼, 셋톱박스 선택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선택버튼이 선택되면 TV 설정 및 해당 셋톱박스 브랜드에 맞게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부(111)는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입력버튼, 음량조절버튼, 채널조절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버튼들은 독립적으로 제어할 전자기기(10)의 제어식별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부(111)는 다양한 버튼들을 통해 IR 제어식별코드, RF 제어식별코드 등을 신규로 입력 받거나, 미리 입력된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IR 사용자 버튼과 RF 사용자 버튼에는 각각 4개의 갱신버튼(사용자1~사용자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축소 및 확장도 가능하다. 이러한 갱신버튼(사용자1~사용자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식별코드, 각 제어식별코드의 주파수, 제어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전자기기(10)에 대한 그룹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를 각각 입력 받거나, 미리 입력된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부(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수의 전자기기(10)들에 대한 일괄 동작 처리가 가능하도록 그룹화된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그룹화된 다수의 핀 번호, 또는 그룹화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로 구성된 그룹제어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112)는, 입력 버튼부(111)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및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설정된 제어식별코드 및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112)는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통해 1㎒에서 700㎒ 범위 내에서 RF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과 같이 RF 제어식별코드, IR 제어식별코드 및 릴레이 핀 번호가 입력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표 2와 같이, 제어식별코드 또는 릴레이 핀 번호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제어 대상의 전자기기(10)들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를 그룹화할 수 있으며, 그룹화된 데이터는 각각의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표 2와 같이,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를 입력하여 그룹제어 제어순서(또는 동작순서) 메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그룹제어 제어순서(또는 동작순서) 메뉴에서 제어식별코드를 바로 입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IR 제어식별코드, RF 제어식별코드, 블루투스 제어식별코드, 지그비 제어식별코드 등을 입력, 수정 또는 시간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이 제어식별코드가 각각 입력된 상태에서 '그룹제어3'의 제어순서(또는 동작순서)에서 RF3-R2-IR2만 입력하면 되고, 사용할 제어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그룹제어 제어순서(또는 동작순서)에서 사용할 통신모듈을 선택한 후, 제어식별코드 또는 제어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를 추가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 수행하여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고, 불필요한 부분은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표 2와 같이, '그룹제어1'에서는 수신 제어식별코드를 미리 입력하고, 수신 제어식별코드는 전용 리모컨(110)에 다수의 버튼 중에서 사용할 RF 제어식별코드, IR 제어식별코드, 블루투스 제어식별코드, 지그비 제어식별코드, 와이파이 제어식별코드 등을 입력해야 하며, '메모'에는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표 2에서 '그룹제어1'은 순서(또는 전자기기(10)의 동작순서) 1(RF1 - 0.5초 발신) - 2(R3 - 계속 작동) - 3(IR4 - 0.5초 발신) - 4 (IR1 - 0.5초 발신)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제어정보이고,'그룹제어2'는 순서(또는 전자기기(10)의 동작순서) 1(RF3 - 0.5초 발신) - 2(R2 - 0.5초릴레이 작동) - 3(IR2 - 0.5초 발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제어정보이고, '그룹제어3'운 순서(또는 전자기기(10)의 동작순서) 1(RF4 - 0.5초 발신) - 2(R2 - 0.5초릴레이 작동) - 3(IR2 - 0.5초 발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제어정보일 수 있다.그룹화된 제어정보들은 각 그룹 별로 일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가 각각 할당되어 있고,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에서 발신되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에 의해 해당 그룹의 전자기기(10)들의 동작이 각각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식별코드는 중복 입력이 가능하며 그룹제어순서(또는 전자기기(10)의 동작순서)에서 동일한 제어식별코드를 중복 입력하는 것은 무방하나 수신 측에는 동일한 제어식별코드의 중복 입력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그룹제어정보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는 수신 측과 발신 측에 모두 동일하게 등록되어 있어야 다종의 전자기기(10)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는 전용 리모컨(110) 및 이동통신단말기(120)를 통해 발신 측 즉,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113)는,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입력 버튼부(111)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IR, RF,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에 따라 입력된 키 값(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을 유무선 송수신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제어부(114)는,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입력 버튼부(11)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IR, RF,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부(113)의 전반적인 데이터 처리 또는 신호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컨(110)에는 USB 커넥터가 설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120) 또는 PC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20) 또는 PC 등을 통해 제어식별코드, 그룹제어정보, 제어순서정보, RF 주파수정보 등을 입력 및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21), 단말 데이터 설정부(122), 무선 통신 기능부(123), 단말 제어부(124) 및 CCTV 제어 입력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21)는, 이동통신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및 제어순서정보에 대한 키 값을 입력 받고, RF 통신의 주파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21)는, 가상의 TV 설정버튼, 셋톱박스 선택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선택버튼이 선택(터치)되면 TV 설정 및 해당 셋톱박스 브랜드에 맞게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121)는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가상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채널입력버튼, 음량조절버튼, 채널조절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상 버튼들은 독립적으로 제어할 전자기기(10)의 제어식별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121)는 다양한 가상 버튼들을 통해 IR 제어식별코드, RF 제어식별코드 등을 신규로 입력 받거나, 미리 입력된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IR 사용자 버튼과 RF 사용자 버튼에는 각각 4개의 갱신버튼(사용자1~사용자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축소 및 확장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상의 갱신버튼(사용자1~사용자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식별코드, 각 제어식별코드의 주파수, 제어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전자기기(10)에 대한 그룹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를 각각 입력 받거나, 미리 입력된 제어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수의 전자기기(10)들에 대한 일괄 동작 처리가 가능하도록 그룹화된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그룹화된 다수의 핀 번호, 또는 그룹화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식별코드 및 핀 번호로 구성된 그룹제어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가상 버튼들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21)는, 설정된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121a), 그룹제어정보 표시부(121b), 그룹제어정보 수정부(121c), 제어식별코드 활성화 설정부(121d), 제어순서정보 변경부(121e), 중복 그룹제어정보 관리부(121f) 및 미사용 그룹제어정보 관리부(121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121a)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자판을 통해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숫자와 문자의 선택을 통해 키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그룹제어정보 표시부(121b)는, 단말 데이터 설정부(122)에 저장된 그룹제어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되, 그룹제어정보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다수의 핀 번호, 및 다수의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를 제어순서정보에 따라 정렬된 다수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개의 그룹제어정보를 설정해 놓은 경우, '그룹제어정보1', '그룹제어정보2', ..., '그룹제어정보5'가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즉,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다수의 핀 번호, 또는 다수의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를 각각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은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가 상이하게 디자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은 제어순서정보에 따라 가정 먼저 실행되는 코드나 번호가 가장 앞에 보이도록 하고, 가장 마지막에 실행되는 코드나 번호가 가장 뒤에 보이도록 하여 제어순서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룹제어정보 수정부(121c)는, 다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1 제어식별코드, IR2 제어식별코드, P3 핀 번호, RF4 제어식별코드, P5 핀 번호' 각각이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IR2 제어식별코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약 2초 이상 터치하고 있으면, IR2 제어식별코드 아이콘 안에 해당 코드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창이 플로팅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식별코드 활성화 설정부(121d)는, 다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에 대한 사용이 일시 정지되고, 일시 정지된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면 해당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에 대한 사용 일시 정지를 해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1 제어식별코드, IR2 제어식별코드, R3 핀 번호, RF4 제어식별코드, R 5 핀 번호' 각각이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IR2 제어식별코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3회 이상 연속으로 터치하면, IR2 제어식별코드에 대한 사용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즉, 해당 그룹제어정보 안에 IR2 제어식별코드의 실행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며, 해당 아이콘을 다시 3회 이상 연속으로 터치하면 IR2 제어식별코드의 실행이 활성화되어 해당 그룹제어정보 안에 IR2 제어식별코드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어순서정보 변경부(121e)는, 다수의 아이콘의 정렬 순서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변경되면, 변경된 제어순서정보를 그룹제어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그룹제어정보 안에 'RF1 제어식별코드, IR2 제어식별코드, R3 핀 번호, RF4 제어식별코드, R5 핀 번호'의 순서로 아이콘들이 정렬되어 있는 경우, 'RF1 제어식별코드'를 드래그한 후 'R5 핀 번호' 뒤로 드랍하면 해당 그룹제어정보가 'IR2 제어식별코드, R3 핀 번호, RF4 제어식별코드, R5 핀 번호, RF1 제어식별코드'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중복 그룹제어정보 관리부(121f)는, 그룹제어정보 간을 비교하여 모두 동일한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를 포함하는 중복 그룹제어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제어정보1에 'RF1 제어식별코드, IR2 제어식별코드, R3 핀 번호, RF4 제어식별코드, R5 핀 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그룹제어정보3에 'IR1 제어식별코드, R2 핀 번호, RF3 제어식별코드, R4 핀 번호, RF5 제어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순서만 상이할 뿐 제어 대상 즉 제어할 전자기기(10)들이 동일하므로, 이러한 경우 그룹제어정보1과 그룹제어정보3를 중복 그룹제어정보로 표시하여 그룹제어정보1과 그룹제어정보3 중 하나를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메뉴 창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미사용 그룹제어정보 관리부(121g)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그룹제어정보의 사용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사용빈도 미만인 경우 해당 그룹제어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그룹제어정보 1 내지 5가 존재하고, 약 1개월 내지 3개월 동안 각 그룹제어정보에 대한 사용 횟수를 검출한 후, 그룹제어정보4가 1회만 사용하였다면 기준치인 3회 미만이 되므로, 그룹제어정보4를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메뉴 창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 설정부(122)는, 키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 및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기능부(123)는, IR 송신 기능, RF 송신 기능, 블루투스 기능, 지그비 기능 및 와이파이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키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키 값을 IR, RF,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 중 선택된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유무선 송수신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124)는,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키 입력부(121)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IR, RF,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에 따라 무선 통신 기능부(123)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CTV 제어 입력부(125)는, CCTV(20)의 촬영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CCTV(20)의 모터제어 값을 입력 받고, 입력된 모터제어 값에 따른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유무선 송수신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200)는,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다종의 전자기기(10)에 따라 각 전자기기(10)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고,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라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듈부(210), 유선 통신 모듈부(220), 송수신 제어부(230) 및 CCTV 드라이버 모듈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210)는, IR 수신모듈, RF 수신모듈,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다종의 전자기기(10)(즉, 무선 전자기기(10a)) 및 무선통신단말(100)과 무선 통신하여 각각의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제어식별코드 및 그룹제어정보를 무선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통신신호를 전자기기(10)(즉, 무선 전자기기(10a))로 송신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 모듈부(220)는, 릴레이 핀 번호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릴레이, 및 각 릴레이와 다종의 전자기기(10)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즉, 유선 전자기기(10b)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설치된 릴레이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10)의 종류에 따라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스위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필요한데, 예를 들어,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 전원 온/오프용 릴레이(1개), 채널 조정용 릴레이(+/-, 2개), 볼륨 조정용 릴레이(+/-, 2개)을 포함하여 총 5개가 필요하며, 전자기기(10)가 에어컨인 경우에는 전원 온/오프용 릴레이(1개)와 온도 조정용 릴레이(+/-, 2개)를 포함해 총 3개가 필요하다.
한편,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의 각 버튼을 누르면, 눌려진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가 유무선 송수신기(200)의 IR 수신모듈 또는 RF 수신모듈로 수신되고, 연결 케이블 또는 분배 케이블(C3)을 통해 유무선 송수신기(20)의 릴레이로 핀 번호가 수신되면 그에 해당하는 유선 전자기기(10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이며, 접점 릴레이, 서멀 릴레이, 압력 릴레이 또는 광 릴레이 중 어느 하나로,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입력되어 있는 유선 전자기기(10b)의 핀 번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제어부(230)는, 제어식별코드, 릴레이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통신 모듈부(210) 또는 유선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또는 그룹제어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일치하는 데이터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부(210) 또는 유선 통신부(220)를 통해 해당 제어식별코드 또는 핀 번호를 전송하거나, 그룹제어정보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제어정보에 따른 데이터 전송은 그룹제어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다수의 핀 번호 또는 다수의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를 제어순서 또는 동작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전송함을 의미한다.
상기 CCTV 드라이버 모듈부(240)는, 무선 통신 모듈부(210)를 통해 CCTV(20)와 무선 연결되어 CCTV(20)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고, CCTV 제어 입력부(125)로부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CCTV(20)로 전송할 수 있다. CCTV 드라이버 모듈부(240)는 CCTV(2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촬영영상데이터를 별도의 관리서버(미도시), PC, 외장하드 등으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터제어신호는 CCTV(20)의 촬영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선통신단말(100)을 통해 입력되어 CCTV(20)로 전송됨으로써 CCTV(20)의 촬영 각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도 가능하다.
한편, 유무선 송수신기(200)는 전용 리모컨(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무선통신신호(IR, RF,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수신 하고, 각종 전자기기(1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는 형태가 아니라, 통합 리모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자기기(1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유무선 송수신기(200)에는 표시패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패널에는 전용 리모컨(110)이나 이동통신단말기(120)와는 별도로 전자기기(10)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통합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표시패널에는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10)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각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식별코드(또는 릴레이 핀 번호)와 해당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부(210) 또는 유선 통신부(220)를 통해 해당 전자기기(10)로 제어식별코드(또는 릴레이 핀 번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송수신기(200)는 접속포트(USB)를 통해 PC 또는 노트북 등과 연결되어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를 수집 또는 수정하여 해당 코드나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리피터(300)는,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유무선 송수신기(200)와 무선 연결되고, 다종의 전자기기(10)(제어위치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설치된 전자기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송수신기(200)로부터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또는 그룹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식별코드 또는 그룹제어정보를 전파방식의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무선 전자기기(10a)로 송신하거나, 수신된 릴레이 핀 번호를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을 통해 유선 전자기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리피터(300)는, 다종의 전자기기(10)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전자기기(10a)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10b)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및 그룹제어정보를 전자기기(10)들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 통신부(400)는, 다종의 전자기기(10)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10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통신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수신부(410), 제어 스위치부(420) 및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410)는, 유무선 송수신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식별코드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410)는 유무선 송수신기(200)로부터 발신되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IR 센서 또는 RF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무선 송수신기(200)로부터 발신되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는 연장 케이블 또는 분배 케이블(C2)과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를 매개로 제어 스위치부(420)로 전송되어 각 기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기부(410)에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방법도 각기 다른 전자기기(10)의 제어 스위치부(420)에 포토 커플러를 연결하고, 무선 수신기부(410)를 연결하더라도 일시적인 정상 동작은 가능하나, 시간이 지나면 무선 수신기부(410)가 동작하지 않거나 오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기부(410)에 설치된 복수의 포토 커플러를 1개의 전자기기(10)에 구비된 다수의 제어 스위치(420a, 420b)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전자기기(10)도 존재할 수 있으나, 정상 동작하지 않는 전자기기(10)도 존재할 수 있다. 전자기기(10)에 복수 개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저항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무선 수신기부(410)에 모두 연결하게 되면 각각의 저항이 한번에 연결되기 때문에 플로팅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플로팅(float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가 항상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를 연결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하면 각기 다른 전자기기(10)에 다수의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는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가 항상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로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를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에 각각 납땜 연결하고,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에 연결하여 무선 수신부(410)나 유무선 송수신기(200)를 통해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로 무선 수신부(410)나 유무선 송수신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부(420)는, 유선 전자기기(10b)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릴레이 핀 번호에 따라 기기 제어 회로부의 각종 기능 제어를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420a, 42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회로부는, 전자기기(10)에 따라 마이컴이나 메인보드 또는 AD 보드일 수 있고, 전자기기(10)의 주요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회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 기기 제어 회로부는 AD 보드일 수 있고, 각각의 기능부는 표시패널(액정패널/PDP 패널/유기 EL 패널), 인버터(TV의 백라이트 전원부 등), 스피커, HD 튜너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스위치부(420)는 TV 채널을 조정하는 채널 조정 스위치와 TV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볼륨 조정 스위치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스위치부(420)는, 각각의 기능부를 제어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어 스위치(420a, 420b)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기기(10)의 각 기능부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를 매개로 유무선 송수신기(200), 무선 수신부(410) 및/또는 유선 리모컨(유선 스위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리모컨(유선 스위치)는 전자기기(10)를 개별적으로 유선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연장 케이블 또는 분배 케이블(C4)을 통해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과 연결되고,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1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스위치부(420)에는 다수의 스위치(420a, 420b)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스위치(420a, 420b)는 각각 저항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저항을 연결하지 않고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오동작하거나 동작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는, 무선 수신부(410)와 제어 스위치부(4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칭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유무선 송수신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릴레이 핀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핀 번호에 해당하는 제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는 연결 케이블(C1)을 통해 각 스위치(420a, 420b)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스위치(420a, 420b)의 '+' 단자와 '-' 단자에 연결 케이블(c1)을 각각 납땜 방식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C1)의 개수는 해당 전자기기의 구성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즉, 연결 케이블(C1)은 전자기기(10)의 온/오프 동작, 그리고 다수의 기능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제어 스위치(420a, 420b)에 대응하도록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에는 연결 케이블(C1~C4)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커넥터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에 구비되는 커넥터 핀의 개수는 연결 케이블(C1~C4)의 개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a, 430b)의 커넥터 핀은 확장이 가능하도록 최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케이블(C1~C4)은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 전원 온/오프용 케이블(1개), 채널 조정용 케이블(+/-, 2개) 및 볼륨 조정용 케이블(+/-, 2개)을 포함하여 총 5개의 케이블이 필요하고, 전자기기(10)가 에어컨인 경우 전원 온/오프용 케이블(1개) 및 온도 조정용(+/-, 2개) 케이블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한편, 무선 수신부(410)는 길이 연장 또는 분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 케이블 또는 분배 케이블(C2)을 통해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 케이블 또는 분배 케이블(C2)에는 일단에 접속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되어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4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에 유선 스위치(미도시) 또는 무선 수신부(410)가 납땜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430)의 접속 방식과 동일하게 커넥터 및 플러그 접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IoT 리모컨(500)는, 이동통신단말기(120), 유무선 송수신기(200) 및 CCTV(20)에 무선 연결되고, CCTV 제어 입력부(125)로부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유무선 송수신기(200) 또는 CCTV(20)로 송신하고, CCTV(20)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장치(1000)는, 무선통신단말(100)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10)와 근거리에 있는 경우 근거리용 코드가 선택되면, 무선통신단말(10)에 있는 발신센서 또는 발신기로 근거리용 코드가 발신되어 인터넷 공유기 없이 근거리에서 유무선 송수신기(200), 무선 수신부(410) 또는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무선 리모컨이 고장 나면, 전자기기로 코드를 학습 또는 코드 복사를 시키거나 별도의 발신기 없이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10),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에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가 숫자 또는 문자로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전자기기(10),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에 IR 제어식별코드 및 RF 제어식별코드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전용 발신기 고장 시, 발신기 구입 수신기에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를 발신기에 입력하거나, 발신기 전용 수신기 고장 시에는 수신기 구입 발신기에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를 수신기에 입력하거나, 유무선 송수신기(200), 무선 수신부(410) 또는 전자기기(10)에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가 간섭되어 전자기기(10)가 동시에 제어되면 수신기와 발신기에 중복되는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를 다른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를 수신기와 발신기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송수신기(200)로 수집된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와 릴레이의 동작시간 및 동작순서 등은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저장되고, 유무선 송수신기(2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무선통신단말(100)에 연결하여 저장된 파일(제어식별코드, 핀 번호, 그룹제어정보)을 수정 및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무선 수신부(410),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를 새로운 기기로 교체하면 저장된 파일을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식별코드와 핀 번호는 유무선 송수신기(200)에서 실행번호를 부여 받아 숫자나 문자로 저장된다. 이때,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동일한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가 존재하면 실행번호는 부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에 IR 제어식별코드 또는 RF 제어식별코드 중 '실행번호1 IR 제어식별코드 1234', '실행번호2 RF 제어식별코드 1235', '실행번호3 RF 제어식별코드 B1236', '실행번호4 IR 제어식별코드 A1237'가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이미 실행번호를 부여 받아 저장(또는 입력)이 되어 있는 경우,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더 이상 저장되지 않는다. 그리고, 새로운 제어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실행번호를 부여 받아 저장될 수 있으며, 유무선 송수신기(200)로 수집된 제어식별코드는 PC나 노트북 등을 연결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식별코드는 사용자가 직접 문자나 숫자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식별코드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제품일 경우에는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수의 무선통신단말(100)의 제어식별코드는 유무선 송수신기(20)나 무선 수신부(410)에 입력된 제어식별코드와 동일한 제어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1개의 무선통신단말(100)로 유무선 송수신기(200), 무선 수신부(410) 또는 각기 다른 전자기기(10)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더라도 사용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유무선 송수신기(200)나 무선 수신기(410)에 제어식별코드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유무선 송수신부(200)나 무선 수신부(410)가 1번 방에 설치되고, 2번 방, 3번 방, 4번 방에서 1번 방의 유무선 송수신부(200)나 무선 수신부(410)를 무선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송수신부(200)나 무선 수신부(410)의 제어식별코드가 동일한 다수의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가 필요하고, 동일한 방 안에서도 유무선 송수신부(200)나 무선 수신부(410)의 제어식별코드가 동일한 다수의 전용 리모컨(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를 사용해야 유무선 송수신부(200), 무선 수신부(410) 또는 각기 다른 전자기기(10)를 편리하게 무선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의 그룹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용 리모컨(110)에 복수의 버튼(제어식별코드) 중 1개에 버튼은 1개의 제어식별코드에 해당되는데, 만약 전용 리모컨(110)에 21개의 버튼(제어식별코드)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리모컨(110)의 각 버튼에 21개의 제어식별코드가 필요하며, 8개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룹제어 8개를 만들어야 하고, 전용 리모컨(110)의 버튼들 중 사용할 버튼에 제어식별코드를 각각 1개씩 8개에 입력해야 한다. 새로운 전용 리모컨(110)이 생겼다면 새로운 전용 리모컨(110)에 복수의 버튼들 중 사용할 버튼에 제어식별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사용자가 사용할 복수의 그룹제어가 만들어졌다면 각 그룹제어에 동작순서(제어순서)와 동작 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하나의 그룹제어에 1개만 동작하게 만들었다면 1개만 동작하고 5개를 동작하게 만들었다면 5개만 동작하며 해당 제어식별코드가 입력되면 동작순서대로 작동하기 때문에 복수의 전자기기를 무선 또는 유선(송수신기에 릴레이)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의 제어순서 또는 동작순서는 IR 제어식별코드, RF 제어식별코드, 릴레이를 동작순서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순서 또는 동작순서에 입력할 때 IR 발신번호, RF 발신번호, 릴레이 번호만 입력하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제어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5개의 전자기기(10)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들면, 직장에서 일을 마치고 집에 들어가기 위해 디지털 도어락의 RF 무선 리모컨으로 문을 열고 집에 들어와서 방에 조명을 스위치로 켜고 모니터 전원을 켠 다음 TV에 전원을 켜고, 컴퓨터에 전원을 켜는 동작 즉 5개의 전자기기의 전원을 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3개의 전자기기는 무선 리모컨으로 제어 불가능하고, 1개는 전용 RF 리모컨이 필요하고 1개는 IR 전용 리모컨이 필요하다. 즉, 5개의 전자기기가 무선 리모컨으로 제어 가능하더라도 5개의 무선 리모컨 5개가 필요하고, 5개의 무선 리모컨에 사용할 스위치 찾아 각각 눌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리모컨(110)에 1개의 버튼(제어식별코드)으로 유무선 송수신기(200)에 1개의 그룹제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5개의 전자기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제어순서 또는 동작순서에서 릴레이, IR 제어식별코드, RF 제어식별코드를 입력, 수정, 추가, 삭제, 시간변경 등의 설정이 가능다. 또한, 제어순서 또는 동작순서 설정 시 릴레이 번호 또는 IR 발신번호, RF 발신번호는 중복해서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수의 제어식별코드 또는 복수의 그룹제어정보를 메모리 카드에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무선 전자기기의 제어식별코드는 최대 8자리까지만 입력할 수 있다.
IR 무선 수신기 또는 IR 발신기는 제어 식별코드는 몇 개의 문자만 입력이 가능하며 전부 문자로는 입력이 불가능하며 최대 8자리까지만 입력이 가능하다.
RF 무선 수신기 또는 RF 발신기는 제어 식별코드를 문자 입력은 불가능하며 숫자로만 최대 8자리까지만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식별코드는 전부 문자 또는 숫자로만 입력이 가능하며 원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같이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다종의 전자장치에 대한 통합 제어 장치
100: 무선통신단말
110: 전용 리모컨
111: 입력 버튼부
112: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
113: 무선 통신 모듈부
114: 리모컨 제어부
120: 이동통신단말
121: 키 입력부
121a: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
121b: 그룹제어정보 표시부
121c: 그룹제어정보 수정부
121d: 제어식별코드 활성화 설정부
121e: 제어순서정보 변경부
121f: 중복 그룹제어정보 관리부
121g: 미사용 그룹제어정보 관리부
122: 단말 데이터 설정부
123: 무선 통신 기능부
124: 단말 제어부
125: CCTV 제어 입력부
200: 유무선 송수신기
210: 무선 통신 모듈부
220: 유선 통신 모듈부
230: 송수신 제어부
240: CCTV 드라이버 모듈부
300: 유무선 리피터
400: 기기 통신부
410: 무선 수신부
420: 제어 스위치부
420a, 420b: 제어 스위치
430: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
430a, 430b: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
500: IoT 리모컨
10: 전자기기
10a: 무선 전자기기
10b: 유선 전자기기
20: CCTV

Claims (7)

  1. 다종의 전자기기의 무선 개별제어를 위한 제어식별코드와 유선 개별제어를 위한 핀 번호, 다종의 전자기기의 그룹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식별코드와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내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핀 번호에서 선택된 다수의 대상에 대한 제어순서정보가 각각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단말;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다종의 전자기기에 따라 각 전자기기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라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가 기 저장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연결되고, 다종의 전자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전파방식의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기기로 송신하거나, 수신된 상기 핀 번호를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을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유무선 리피터(repea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리피터는,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전자기기와 무선 연결되고,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와 유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전용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전용 리모컨은,
    IR(infrared ray) 및 RF(radio frequency) 통신방식 중 하나를 선택 받고,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키 값을 입력 받는 입력 버튼부;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상기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설정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리모컨 데이터 설정부;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입력된 키 값을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에 대한 키 값을 입력 받고, RF 통신의 주파수 값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으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상기 그룹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순서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 설정 기능, 및 상기 RF 통신의 주파수 값의 설정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단말 데이터 설정부;
    IR 송신 기능, RF 송신 기능, 블루투스 기능, 지그비 기능 및 와이파이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값을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능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부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는,
    IR 수신모듈, RF 수신모듈, IR 발신모듈, RF 발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부;
    상기 핀 번호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및 상기 그룹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 또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 상기 핀 번호 또는 상기 그룹제어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일치하는 데이터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 또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해당 제어식별코드, 핀 번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그룹제어정보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송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다종의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기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기 통신부는,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제어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식별코드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
    유선 전자기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상기 핀 번호에 따라 상기 기기 제어 회로부의 기능 제어를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스위치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어 스위치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핀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외장 스위치용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CCTV의 촬영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CCTV의 모터제어 값을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모터제어 값에 따른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CCTV 제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부를 통해 CCTV와 무선 연결되어 CCTV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CCTV 제어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CCTV로 전송하는 CCTV 드라이버 모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 및 CCTV에 무선 연결되고, 상기 CCTV 제어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 송수신기 또는 CCTV로 송신하고, CCTV로부터 촬영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는 IoT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KR1020220181511A 2022-12-22 2022-12-22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KR10256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11A KR102562917B1 (ko) 2022-12-22 2022-12-22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11A KR102562917B1 (ko) 2022-12-22 2022-12-22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917B1 true KR102562917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511A KR102562917B1 (ko) 2022-12-22 2022-12-22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1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613A (ja) 2006-03-01 2007-09-13 Murata Mach Ltd 遠隔制御装置
JP2010268290A (ja) 2009-05-15 2010-11-25 Sanyo Electric Co Ltd 外付けリモコン受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16685B1 (ko) 2012-03-05 2012-12-28 김종용 릴레이 방식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1220037B1 (ko) 2011-03-15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130035716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KR20140148289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장치, 제어장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제어장치의 구동방법 및 제어대상장치의 제어시스템
JP2016500238A (ja) * 2013-07-26 2016-01-07 エムテック シーアンドケ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機器の制御方法
KR20160109053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613A (ja) 2006-03-01 2007-09-13 Murata Mach Ltd 遠隔制御装置
JP2010268290A (ja) 2009-05-15 2010-11-25 Sanyo Electric Co Ltd 外付けリモコン受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20037B1 (ko) 2011-03-15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130035716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KR101216685B1 (ko) 2012-03-05 2012-12-28 김종용 릴레이 방식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140148289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장치, 제어장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제어장치의 구동방법 및 제어대상장치의 제어시스템
JP2016500238A (ja) * 2013-07-26 2016-01-07 エムテック シーアンドケ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機器の制御方法
KR20160109053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847A (en) Configurable remote control device
US972058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93260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tion of an entertainment system controlling device
KR100546674B1 (ko) 통합 리모컨 구현장치 및 그 방법
JPH06319177A (ja) 適応遠隔制御システム
US201302858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rogramming of a remote control
US200700500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irtual remote control
CN104113772A (zh) 显示设备、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US11868588B2 (en)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KR20040071705A (ko)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TWI747520B (zh) 多功能遙控器
US6834374B1 (en) Audio-video control system
CN114422836A (zh) 遥控器按键更新方法、装置、遥控器及存储介质
KR100710353B1 (ko) 통합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통합리모컨 설정방법
KR102562917B1 (ko) 다종의 전자기기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KR10107894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메뉴 구현장치 및 방법
US20170178493A1 (en) Wireless pairing system
EP3599768B1 (en) Remote controller for locking or unlocking of tv channels
KR19990048990A (ko) 각 가전기기에 맞는 기능키들을 액정화면에 터치패널로표시하는 통합 리모콘과 통합 원격 제어방법
KR20240027214A (ko) 복수의 그룹 제어 저장 또는 복수의 그룹 제어 수신부, 동작 순서(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KR20230129279A (ko) 수신부, 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US20220035518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on-screen display control mechanism and on-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same
TWI639111B (zh) Method of simulating a remote controller
KR20070028833A (ko)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CN105359198B (zh) 用于通用控制装置的快速配置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