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185A - 절수 밸브 - Google Patents

절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185A
KR20120101185A KR1020107018351A KR20107018351A KR20120101185A KR 20120101185 A KR20120101185 A KR 20120101185A KR 1020107018351 A KR1020107018351 A KR 1020107018351A KR 20107018351 A KR20107018351 A KR 20107018351A KR 20120101185 A KR20120101185 A KR 2012010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duit
sleeve
saving valve
aper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오누키
Original Assignee
오시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코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코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오시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adding the flowing main component by suction means, e.g. using an e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lace of introduction of the main flow
    • B01F25/31243Eductor or eductor-type venturi, i.e. the main flow being injected through the venturi with high speed in the form of a j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11Water saving techniques at user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Nozzles (AREA)
  • Check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節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나 수도관에 장착하여 물에 기포(氣泡)를 혼입시킨다. 받이수통 부분(18)이 수도관(12)으로부터 수도수를 받아들인다. 조리개공 부분(20)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로 축소시킨다. 도관(導管) 부분(32)은 대경부(大徑部)(56)와 소경부(小徑部)(57)을 가진다. 대경부(56)가 조리개공 부분(20)과 연결된다. 도관 부분(32)은 축부에 대략 균일한 단면적의 유로(流路)(38)를 가진다. 대경부(56)는, 축부의 유로(38)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30)를 가진다. 공기 흡입구(30)에는 체크 밸브(64)를 삽입한다. 슬리브(50)는, 축공(90)의 일부에 설치한 지지체(44)에 의해 도관 부분(32)에 고정된다. 슬리브(50)는, 차양형부(46)를 구비한다. 차양형부(46)는, 대경부(56)의 외주면을 간극(48)을 두고 포위한다. 슬리브(50)는, 도관 부분(32)의 타단 주위를 공간을 설치하여 포위한다. 간극(48)으로부터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역방향으로 수압이 가해져도 물이 새지 않는다.

Description

절수 밸브{WATER SAVING VALVE}
본 발명은, 호스나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 기포(氣泡)를 혼입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절수(節水) 밸브에 관한 것이다.
키친(kitchen) 유닛이나 샤워 헤드에 장착하여, 공급되는 수도수에 다량의 기포를 혼입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 장치는, 세탁 작업에서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거나, 샤워의 수류가 피부에 닿을 때의 사용감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5-20532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8-237601호 공보
기존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있었다.
샤워 헤드에 물을 공급할 때, 물에 다량의 기포를 혼입시키면, 사용감이 양호해질뿐아니라,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혼입되는 기포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절수 효과가 작고, 혼입되는 기포의 양이 너무 많으면 수류가 피부에 닿을 때의 사용감이 악화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최적 비율의 공기를 혼입시킬 수 있는 기구가 요구된다. 또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을 것, 견고할 것, 염가일 것 등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절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나 수도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을 것
(2) 견고할 것
(3) 유지보수가 용이할 것
이하의 구성은 각각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성 1〉
수도관에 연결을 행하기 위한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수도수를 받아들이는 받이수통 부분과; 이 받이수통 부분의 하류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을 향해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로 축소되는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이 일단 측에 외경이 큰 대경부(大徑部)를 가지고, 타단측에 외경이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가지고, 그 축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의 유로(流路)를 가지고, 상기 대경부에, 상기 축부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를 가지는 도관(導管) 부분과; 축공의 일부를 상기 도관 부분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부분을 가지고, 상기 공기 흡입구를 설치한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공기를 넣기 위한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차양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도관 부분의 타단 주위에 공간을 설치한 상태로 도관 부분을 포위하는 슬리브(sleeve)와; 상기 슬리브를 하류측의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2〉
구성 1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은 공통의 축을 가지도록 종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은 모두,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대략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경계에서는 상기 받이수통 부분의 단면적이 넓고, 상기 도관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경계에서는 상기 도관 부분의 단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3〉
구성 1 또는 구성 2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관 부분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슬리브의 축공(軸孔)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상기 도관 부분에 상기 슬리브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4〉
구성 1 또는 구성 2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개공 부분이, 상기 받이수통 부분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지는 별개의 구조로 되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이 이 도관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은 투과공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도관 부분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슬리브의 축공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상기 도관 부분에 상기 슬리브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5〉
구성 1 내지 구성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도관 부분의 유로 단면적을,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타단의 유로 단면적과 상기 공기 흡입구의 단면적의 합 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6〉
구성 1 내지 구성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의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방향에 대한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고, 상기 도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 방향에 대한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하는 체크 밸브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7〉
구성 6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흡입구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공기 흡입구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면적이 축공의 면적에 비해 충분히 좁은 통형부와, 이 통형부의 단부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차양과 상기 도관 부분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형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부분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방향에 대한 공기가 흡입될 때는, 상기 통형부의 축공의 끝을 상기 슬리브의 차양과 상기 도관 부분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개방하고, 상기 도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 방향에 대한 수도수의 유출 압력에 의해, 상기 통형부의 축공의 끝을 상기 차양으로 가압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통형부의 축공을 통한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8〉
구성 1 내지 구성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받이수통 부분에, 수도수 중에 혼입된 이물질을 트랩(trap)하는 필터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9〉
구성 1 내지 구성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하류측에, 수류의 방향으로 병행인 다수의 투과공을 배열한 정류통(整流筒)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10〉
구성 1 내지 구성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수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수나사 구조로 하고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암나사 구조로 하거나, 또는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암나사 구조로 하고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수나사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밸브.
〈구성 1의 효과〉
상기 절수 밸브는, 수도수 배관의 중간에 장착하여 수도수에 공기를 혼입할 수 있다. 받이수통 부분으로부터 조리개공을 통해 받아들인 수도수와,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도관 부분에서 혼합하여, 수도수와 공기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적은 물의 양으로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구성 2의 효과〉
복잡한 내부 구조의 절수 밸브를 절삭 가공에 의해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구멍의 크기를 선택하여, 구멍 구조를 최적화했다.
〈구성 3의 효과〉
전체를 2피스 구조로 하면, 대경부를 포위하는 차양형 부분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성 4의 효과〉
받이수통 부분에 조리개공 부분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지므로, 조리개공 부분을 용도에 따라 교환하여, 물의 양 등을 조정할 수 있다.
〈구성 5의 효과〉
도관 부분의 유로 단면적을 충분히 넓게 설정함으로써, 조리개공 부분에 가속(加速)된 물을 도관 부분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강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구성 6의 효과〉
하류측으로 물의 출구가 막혀 수도수의 흐름이 정지하면, 도관 부분의 내부의 수압이 높아져, 상기 도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 방향으로, 수도수가 유출된다. 체크 밸브를 설치하면, 하류측에 멈춤 기능을 가지는 샤워 헤드나 수도의 수도꼭지를 장착할 수 있다.
〈구성 7의 효과〉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방향에 대한 공기가 흡입될 때는, 통형부의 축공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간다. 도관 부분으로부터 공기 흡입구 방향으로 수도수가 흐른다고 하면, 통형부의 축공의 끝이 차양을 막아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구성 8의 효과〉
상기 절수 밸브의 하류측에 수도수 중에 혼입된 이물질이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필터를 설치한다. 이로써, 절수 밸브 자체에 필터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유지보수도 용이하다.
〈구성 9의 효과〉
도관으로부터 수도수가 단면적이 큰 하류측으로 방출되는 부분에서, 복잡한 난류가 생긴다. 이 난류에 의해 소음이나 진동이 생긴다. 그래서, 수류의 방향을 정돈하는 정류통을 설치하였다.
〈구성 10의 효과〉
상류측과 하류측을 나사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절수 밸브를 표준적인 수도관의 접속부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절수 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샤워 헤드에 절수 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수도의 수도꼭지 배관에 절수 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절수 밸브를 2피스 구조로 했을 때의 상류측의 피스 측면도이며, (b)는 그 A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상류측의 피스의 단면도, (b)는 그 B-B선 종단면도, (c)는 그 C-C선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슬리브의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측면도, (b)는 그 E-E선 종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하류측 단면도, (b)는 상류측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b)는 그 F-F선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절수 밸브를 나타내고, (a)는 조리개공 유닛(86)의 사시도, (b)~(d)는 조리개공 유닛의 각종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e)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에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f)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일부를 변형시킨 것에 조리개공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체크 밸브를 나타내고, (a)는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필터를 나타내고, (a)는 필터의 종단면도, (b)는 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5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정류통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6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절수 밸브 주요부 종단면도와 그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4의 실시예에 사용한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볼록부의 형상을 바꾼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체크 밸브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도로서, (a)~(d)는, 절수 밸브의 각각 다른 상태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절수 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상기 절수 밸브(10)는 호스나 수도관의 도중에 삽입하도록 장착된다. 도시한 절수 밸브(10)는, 상류단(11)을 수도관(12)과 연결하고, 하류단(13)을 배관(15)과 연결하고 있다. 배관(15)은, 샤워의 호스나 수도의 수도꼭지 배관이다. 예를 들면, 배관(15)의 하류측에는, 샤워 헤드(16)가 연결된다. 또는, 키친의 수도의 수도꼭지(17)가 접속된다. 상기 절수 밸브(10)는, 도 1에 나타낸 단면 구조에 의해, 수도수에 공기의 거품을 혼입시킨다. 동시에 물의 유속을 높여, 이용자의 손이나 피부에 닿았을을 때의 충격을 높인다. 이로써, 물의 양을 감소시켜도 사용감이 변함이 없다. 따라서, 수도수의 사용료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절수 밸브(10)의 축부를 수도수가 통과한다. 절수 밸브(10)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받이수통 부분(18)과, 조리개공 부분(20)과, 도관 부분(32)이 설치되어 있다. 받이수통 부분(18)은, 수도관(12)으로부터 수도수를 받아들인다. 조리개공 부분(20)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로 축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관 부분(32)은 대경부(56)와 소경부(57)를 가진다. 대경부(56)가 조리개공 부분(20)과 연결된다.
도관 부분(32)은 축부에 대략 균일한 단면적의 유로(38)를 가진다. 대경부(56)는, 축부의 유로(38)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30)를 가진다. 공기 흡입구(30)에는 체크 밸브(64)를 삽입하고 있다. 슬리브(50)는, 축공의 일부에 설치한 지지체(44)에 의해 도관 부분(32)에 고정된다. 슬리브(50)는, 차양형부(46)를 구비한다. 차양형부(46)는, 대경부(56)의 외주면을 간극(48)을 두고 포위한다. 슬리브(50)는, 도관 부분(32)의 타단 주위를 공간을 두고 포위한다
도 1의 일점 쇄선의 원 A 중에는, 체크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의 일점 쇄선의 원 B 중에는 필터의 종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절수 밸브(10)의 상세한 구성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2는 샤워 헤드(86)에 절수 밸브(1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수도의 수도꼭지(17)의 배관(15)에 절수 밸브(1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절수 밸브(10)의 슬리브(50)를 샤워 헤드(86)에 나사삽입시켜 연결할 수 있다. 연결에는 표준 규격의 나사를 사용한다. 즉, 절수 밸브(10)의 일단에는 표준 규격의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표준 규격의 수나사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표준 규격의 수나사와 암나사로 연결된 배관 등에 절수 밸브(10)를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나사의 구성은 도 4 이하에서 설명한다. 절수 밸브(10)는 직경이 2cm, 전체 길이가 3 ~ 4cm 정도의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사이즈는 배관의 사이즈에 따라서 조정한다.
도 4의 (a)는 절수 밸브(10)를 2피스 구조로 했을 때의 상류측의 피스 측면도이며, (b)는 그 A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상류측의 피스의 단면도, (b)는 그 B-B선 종단면도, (c)는 그 C-C선 종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피스에는, 상류측의 외측면에 수나사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이, 상류측의 배관 등과 연결된다. 수나사부(76)를 포함하는 부분이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14)으로 된다. 수나사부(76)는, 표준 규격의 수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슬리브(50)가 다른 한쪽의 피스이다.
도 4에 나타낸 상류측의 피스의 하류측에는, 도관 부분(32)이 설치되어 있다. 도관 부분(32)은 대경부(56)와 소경부(57)를 가진다. 대경부(56)에는 공기 흡입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소경부(5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78)가 슬리브(50)(도 1)의 지지체(44)에 나사삽입된다. 이로써, 상류측의 피스와 하류측의 피스가 일체화된다. 상류측과 하류측의 피스는 철 등의 금속이나 경질 플라스틱을 절삭 가공하여, 각각 일체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부(76)의 축부에 받이수통 부분(18)이 설치되어 있다. 받이수통 부분(18)은 상류로부터 수도수를 받아들인다. 조리개공 부분(20)은, 받이수통 부분(18)의 하류측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을 향해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로 축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리개공 부분(20)의 타단에 도관 부분(32)의 일단(34)이 연결되어 있다. 도관 부분(32)의 일단(34) 측에 외경이 큰 대경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도관 부분(32)의 타단(36) 측에 외경이 작은 소경부(57)가 설치되어 있다.
도관 부분(32)의 축부에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의 유로(38)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56)에는, 축부의 유로(38)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받이수통 부분(18)과 조리개공 부분(20)과 도관 부분(32)은, 공통의 축을 가지도록 종렬 접속되어 있다. 받이수통 부분(18)으로부터 수도수가 유입되면, 조리개공 부분(20)의 부분에서 유로가 좁아지므로, 유속을 높일 수 있다. 높은 유속의 수도수가, 좁은 조리개공 부분(20)으로부터 넓은 도관 부분(32)의 유로(38)로 분출되었을 때, 도관 부분(32)의 유로(38)의 내부가 부압으로 된다. 따라서, 공기 흡입구(30)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도관 부분(32)의 유로(38)를 흐르는 물과 서로 섞인다.
상기 상류측 피스의 받이수통 부분(18)과 도관 부분(32)은 모두,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대략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가진다. 받이수통 부분(18)과 조리개공 부분(20)의 경계에서는 받이수통 부분(18)의 단면적이 넓다. 도관 부분(32)과 조리개공 부분(20)의 경계에서는 도관 부분(32)의 단면적이 넓다. 이렇게 하면, 가장 가는 드릴로 조리개공 부분(20)의 가장 좁은 구멍 부분을 뚫고, 그 양측에 굵은 드릴로 받이수통 부분(18)과 도관 부분의 유로(38)를 뚫고, 받이수통 부분(18)과 조리개공 부분(20)의 경계를 테이퍼 가공하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구조의 상류측 피스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복잡한 절삭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관 부분(32)의 유로 단면적과 조리개공 부분(20)의 가장 좁은 구멍 부분(조리개공 부분(20)의 타단)의 단면적과 공기 흡입구(30)의 단면적과의 관계를 적절히 선택하면, 조리개공 부분(20)에서 가속된 물을 도관 부분(32)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강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드릴의 굵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정밀도 양호하게 최적화를 행할 수 있다. 도관 부분(32)의 유로 단면적을, 조리개공 부분(20)의 타단의 유로 단면적과 공기 흡입구(30)의 단면적의 합 이상으로 설정하면, 도관 부분(32)의 유로(38)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감압할 수 있다.
또한, 대경부(56)에 공기 흡입구(30)를 설치하였으므로, 소경부(57)에 설치하는 것보다 공기 흡입구(30)를 도관 부분의 유로(38)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30)의 내부에 체크 밸브(64)(도 1)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경부(57)와 대경부(56)의 경계 외주에는, O링(80)을 끼워넣었다. O링(80)은, 슬리브(50)(도 1)와 대경부(56)의 경계선으로부터의 물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6의 (a)는 슬리브(50)의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슬리브(50)의 축공에는, 축공의 일부를 도관 부분(32)(도 5)에 고정하는 지지체(4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관 부분(32)에는, 수나사부(78)가 설치되고, 지지체(44)의 내면에는, 암나사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나사부(78)가 암나사부(82)에 나사삽입되어, 슬리브(50)가 도관 부분(32)과 일체화된다. 차양형부(46)는, 공기 흡입구(30)를 설치한 도관 부분(32)의 대경부(56)(도 5)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통형의 부분이다. 차양형부(46)는, 대경부(56)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는다. 외부로부터 공기를 넣기 위한 간극을 두고 포위한다.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14)(도 4)을 수나사 구조로 하고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54)을 암나사 구조로 하거나, 또는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14)를 암나사 구조로 하고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54)을 수나사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류측과 하류측을 나사 구조로 함으로써, 이 절수 밸브(10)를 표준적인 수도관(12)의 접속부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측면도, (b)는 그 E-E선 종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하류측 단면도, (b)는 상류측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를 별개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b)는 그 F-F선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의 (b)는, 도관 부분의 유로(38)에 대하여 정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공기 흡입구(30)를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9의 (b)는, 공기 흡입구(30)를 통하지 않는 면에서 절단을 행한 곳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14)과 받이수통 부분(18)과 조리개공 부분(20)과 도관 부분(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슬리브(50)와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관 부분(32)의 소경부(57)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8)(도 5)와 슬리브(50)의 축공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84)(도 6)에 의해, 도관 부분(32)에 슬리브(5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2피스 구조로 하면, 공기 흡입구(30)를 보호하기 위한 차양형부(46)를, 대경부(56)와 별체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경부(56)를 가공하여 공기 흡입구(30)를 드릴 등으로 형성할 때, 차양형부(46)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 흡입구(30)를 설치한 대경부(56)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공기를 넣기 위한 필요 최소한의 간극(48)을 두고 포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침입을 막아,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실시예 2의 절수 밸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조리개공 유닛(86)의 사시도, (b)~(d)는 조리개공 유닛(86)의 각종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e)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에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f)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일부를 변형시킨 것에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는, 공기 흡입구(30)를 1개만 설치하였다. 공기 흡입구(30)는 필요한 수만큼 설치하면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절수 밸브의 조리개공 부분(2O)(도 1)이, 다른 부분과 별개의 유닛 구조로 되어 있다. 조리개공 유닛(86)은, 절수 밸브의 받이수통 부분(18)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진다. 도 10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공 유닛(86)은, 축부에 조리개공(87)을 구비한 통형의 본체 단부에 플랜지(88)를 설치한 것이다. 조리개공(87)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로 축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리개공 유닛(86)의 외주에는, 고무링(89)이 끼워져 있다.
도 10의 (b)~(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공 유닛(86)은, 상류측의 개구면적이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까지, 여러 종류 제조하여 둔다. 일정한 수압으로 수도수가 공급될 때, 개구면적이 작은 조리개공 유닛(86)을 그 유로에 배치하면, 하류측으로 보내는 수도수의 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면적이 큰 조리개공 유닛(86)을 그 유로에 배치하면, 하류측으로 보내는 수도수의 유량이 많아지게 할 수 있다. 세발용의 샤워에는 물의 양을 적게 공급하면 된다. 몸을 씻는 샤워에는 물의 양을 여유있게 공급하면 된다. 용도에 따른 조리개공 유닛(86)을 선택할 수 있다. 조리개공 유닛(86) 이외의 부분의 절수 밸브 구조를, 용도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하면, 대량 생산을 하는 데 바람직하다.
도 10의 (e)의 예는, 실시예 1과 같은 절수 밸브에,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의 (b)~(d) 중 어느 하나의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하면, 물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f)의 예에서는, 받이수통 부분(18)과 도관 부분의 유로(38)와의 사이에 형성한 조리개공 부분(20)을, 상류에서 하류까지 유로 단면적이 일정한 투과공(21)으로 했다. 조리개공 유닛(86)을 장착하면, 유속을 부여한 수도수를 도관 부분의 유로(38)에 보내, 도관 부분의 유로(38)의 내부를 감압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관 부분의 유로(38)의 내부에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와 물이 서로 섞여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조리개공 유닛(86)을 받이수통 부분(18)에 장착했을 때, 고무링(89)은 받이수통 부분(18)의 내벽과 조리개공 유닛(86)의 외벽과의 사이에 협지되어, 양자에 탄력을 미친다. 이로써, 조리개공 유닛(86)이 받이수통 부분(18)에 꼭맞게 삽입되어,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한편, 받이수통 부분(18)에 장착된 조리개공 유닛(86)을 인출할 때는, 플랜지(88)를 잡고 빼낸다. 고무링(89)이나 플랜지(88)는 이러한 장착 및 분리 조작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10의 (f)에 나타낸 실시예 2의 절수 밸브는,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14)과 받이수통 부분(18)과 도관 부분(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슬리브(50)와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이수통 부분(18)과 도관 부분(32)이 이 도관 부분(32)보다 단면적이 작은 투과공(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나머지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관 부분(32)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슬리브(50)의 축공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도관 부분(32)에 슬리브(50)가 고정되어 있다. 조리개공 유닛(86)을 받이수통 부분(18)에 고정하는 데는, 고무링(89)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조리개공 유닛(86)을 받이수통 부분(18)에 나사삽입 고정시켜도 상관없다.
[실시예 3]
도 11은 실시예 3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체크 밸브를 나타내고, (a)는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 (b)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체크 밸브(64)는, 절수 밸브(도 1)의 공기 흡입구(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것은, 일단에 테이퍼공(68)을 가지는 통형체로서, 볼(66)을 수용하고, 스토퍼(70)를 끼워넣고 있다. 테이퍼공(68)은 한쪽이 볼(66)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다른 쪽은 테이퍼공(68)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볼(66)이 테이퍼공(68)의 내면에 가압되면 체크 밸브(64)의 테이퍼공(68) 측을 덮는다. 스토퍼(70)는 공기나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투과공을 가지고, 볼(66)의 탈락을 방지하는 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체크 밸브(64)는, 절수 밸브(도 1)의 공기 흡입구(30)로부터 도관 부분(32) 방향에 대한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고, 도관 부분(32)으로부터 공기 흡입구(3O) 방향에 대한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한다. 즉, 화살표 R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는, 이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절수 밸브의 하류측으로 물의 출구가 막혀 수도수의 흐름이 정지하면, 도관 부분(32)의 내부의 수압이 높아져, 도관 부분(32)으로부터 공기 흡입구(30) 방향으로, 물이 흐르기 시작하려고 한다. 화살표 W 방향으로 수압이 걸리면, 볼(66)이 테이퍼공(68)에 가압되어 물의 흐름을 막는다. 따라서, 공기 흡입구(30)로부터 물이 분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기 흡입로(30) 중에 체크 밸브(64)를 설치하면, 하류측에 멈춤 기능을 가지는 샤워 헤드(86)나 수도의 수도꼭지를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실시예 4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필터를 나타내고, (a)는 필터의 종단면도, (b)는 그 사시도이다.
실시예 4에서는, 절수 밸브(도 1)의 받이수통 부분(18)에, 필터(72)를 수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필터(72)는, 수도수 중에 혼입된 이물질을 트랩하는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는, 배관의 접속 부분에 망형의 필터를 끼워넣지만, 본 발명의 절수 밸브(10)에서는, 받이수통 부분(18)에 수용한다. 이로써, 절수 밸브(10) 자체에 필터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필터(72)는 다리(7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받이수통 부분(18)으로부터 간단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도 용이하다. 또한, 이로써, 공기 흡입구(30) 등으로의 이물질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3은 실시예 5의 절수 밸브에 장착하는 정류통의 사시도이다.
이 정류통(96)은, 도관의 하류측에 배치한다. 도 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가 적합하다. 슬리브(50)만을 하류 방향으로 연장시켜, 슬리브(50)의 내면에 이 정류통(96)을 지지 고정하면 된다. 정류통(96)은, 수류의 방향으로 병행하는 다수의 투과공(98)을 배열한 것이다. 도관으로부터 수도수가 단면적이 큰 하류측으로 방출되는 부분에서, 복잡한 난류가 생긴다. 이 난류에 의해 소음이나 진동이 생긴다. 정류통(96)은, 수류의 방향을 정돈하는 기능을 가지고, 하류측에 소음이나 진동을 전하지 않는다.
[실시예 6]
도 14는 실시예 6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절수 밸브 주요부 종단면도와 그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실시예 6의 체크 밸브는, 체크 밸브(64)는, 공기 흡입구(30)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통형의 것이다. 금속이나 플라스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통형부(92)와 볼록부(94)를 구비한다. 통형부(92)와 공기 흡입로(30)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88)의 면적은, 축공(90)의 면적에 비해 충분히 좁다. 볼록부(94)는, 통형부(92)의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50)의 차양형부(46)와 도관 부분(32)의 대경부(56)의 표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통형부(92)의 공기 흡입구(30)로부터 도관 부분(32)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R의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30)로부터 도관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는, 공기의 흐름에 가압되어 통형부(92) 전체가 공기 흡입구(30)에 삽입된다. 이로써, 통형부(92)의 축공(90)의 끝을 간극(48) 측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도관 부분(32)으로부터 공기 흡입구(30) 방향에 대한 수도수가 유출되도록 하면, 그 장력에 의해, 통형부(92)의 축공(90)의 끝이 차양형부(46)에 강하게 가압된다. 이로써, 통형부(92)의 축공(90)을 막아, 공기 흡입구(30)로부터 통형부(92)의 축공(90)을 통한 수도수의 유출이 저지된다.
도 15의 (a)는, 도 14의 실시예에 사용한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볼록부의 형상을 변경한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와 같이, 통형부(92)는, 통의 끝에 외경이 약간 커지도록 가공을 행하고, 또한 내경이 약간 작아지도록 가공을 행하면 된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통의 끝을 가열하고 연화(軟化)시켜 외력을 가하면 간단하게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체크 밸브로서 기능하므로, 체크 밸브를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 수지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동작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체크 밸브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도이며, 모두, 절수 밸브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미 도 14의 (a)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30)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는,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부(92) 전체가 공기 흡입구(30)의 내부에 꼭맞게 삽입되고, 축공(90)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 흡입구(30)에 도 16의 (a)에 나타낸 일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물의 흐름이 생기면, 통형부(92)는 물의 흐름에 가압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94)를 차양형부(46)에 강하게 누른 상태로 된다. 차양형부(46) 측의 축공(90)의 내경이 약간 작아지도록 가공되어 있으므로, 통형부(92)를 차양형부(46)에 강하게 가압하는 힘으로 기능한다.
여기서, 볼록부(94)의 부분이 연질의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볼록부(94)의 부분이 변형되어, 차양형부(46)에 간극없이 밀착된다. 한편, 통형부(92)의 부분이 연질의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수압에 의해 통형부(92)의 부분이 팽창하여, 공기 흡입구(30)의 내벽에 강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부(92)와 볼록부(94)가 거의 완전히 공기 흡입구(30)를 막아, 물의 유출을 저지한다.
한편, 공기 흡입구(30)의 내부가 감압되면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압에 의해, 통형부(92)가 수축되어, 공기 흡입구(30)와 통형부(92)와의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통형부(92)는 공기 흡입구(30)의 내부에 인입되어, 도 16의 (d)에 나타낸 상태로 돌아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공기 흡입구(30)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여,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수도수가 유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나 도 16의 실시예의 체크 밸브는 구조가 간단하며, 수밀리미터밖에 되지 않는 공기 흡입구(30)에 장착하는 부품으로서 최적이다. 비용도 저가이고, 유지보수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수도수용으로서 개발한 것은, 인공적으로 설치된 설비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절수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수도수에 적당량의 공기를 혼입시키는 동시에 수류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수도수가, 수도꼭지나 샤워 헤드나 그 외의 물 방출용의 노즐 등으로부터 나와, 사람의 손이나 그 외의 피부에 닿을 때의 감촉을 크게 바꾸지 않고, 사용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한 절수 효과는, 호텔, 목욕탕, 풀, 스포츠 클럽 등의 넓은 분야에 있어서 수도사용료의 절감으로 연결되어, 온실 효과 가스 배출량의 저감에도 이어진다. 따라서, 필요 최소 한도의 물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세정하는 분야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 절수 밸브
11: 상류단
12: 수도관
13: 하류단
14: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
15: 배관
16: 샤워 헤드
17: 수도꼭지
18: 받이수통 부분
20: 조리개공 부분
21: 투과공
30: 공기 흡입구
32: 도관 부분
34: 도관 부분의 일단
36: 도관 부분의 타단
38: 도관 부분의 유로
44: 지지체
46: 차양형부
48: 간극
50: 슬리브
54: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
56: 대경부
57: 소경부,
64: 체크 밸브
66: 볼
68: 테이퍼공
70: 스토퍼
72: 필터
74: 다리
76: 수나사부
78: 수나사부
80: O링
82: 암나사부
84: 암나사부
86: 조리개공 유닛
87: 조리개공
88: 플랜지
89: 고무링
90: 축공
92: 통형부
93: 간극
94: 볼록부
96: 정류통
98: 투과공

Claims (10)

  1. 수도관에 연결을 행하기 위한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수도수를 받아들이는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받이수통 부분의 하류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을 향해 유로(流路)의 단면적이 점차로 축소되는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 측에 외경이 큰 대경부(大徑部)를 가지고, 타단측에 외경이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가지고, 그 축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의 유로를 가지고, 상기 대경부에, 상기 축부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를 가지는 도관(導管) 부분과,
    축공(軸孔)의 일부를 상기 도관 부분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부분을 가지고, 상기 공기 흡입구를 설치한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공기를 넣기 위한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차양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도관 부분의 타단 주위에 공간을 설치한 상태로 도관 부분을 포위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하류측의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
    을 포함하는, 절수(節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은 공통의 축을 가지도록 종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은 모두,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대략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경계에서는 상기 받이수통 부분의 단면적이 넓고, 상기 도관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경계에서는 상기 도관 부분의 단면적이 넓은, 절수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조리개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관 부분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슬리브의 축공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상기 도관 부분에 상기 슬리브가 고정되어 있는, 절수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과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개공 부분은, 상기 받이수통 부분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지는 별개 구조로 되고,
    상기 받이수통 부분과 상기 도관 부분은 이 도관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은 투과공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도관 부분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슬리브의 축공의 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상기 도관 부분에 상기 슬리브가 고정되어 있는, 절수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부분의 유로 단면적을, 상기 조리개공 부분의 타단의 유로 단면적과 상기 공기 흡입구의 단면적의 합 이상으로 설정한, 절수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의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방향에 대한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고, 상기 도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 방향에 대한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하는 체크 밸브를 수용한, 절수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흡입구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공기 흡입구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면적이 축공의 면적에 비해 충분히 좁은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의 단부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차양과 상기 도관 부분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형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부분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도관 방향에 대한 공기가 흡입될 때는, 상기 통형부의 축공의 끝을 상기 슬리브의 차양과 상기 도관 부분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개방하고, 상기 도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 방향에 대한 수도수의 유출 압력에 의해, 상기 통형부의 축공의 끝을 상기 차양으로 가압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통형부의 축공을 통한 수도수의 유출을 저지하는, 절수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수통 부분에, 수도수 중에 혼입된 이물질을 트랩(trap)하는 필터를 수용한, 절수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하류측에, 수류의 방향으로 병행하는 다수의 투과공을 배열한 정류통(整流筒)을 설치한, 절수 밸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수나사 구조로 하고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암나사 구조로 하거나, 또는 상기 상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암나사 구조로 하고 상기 하류측 연결 기구 부분을 수나사 구조로 한, 절수 밸브.
KR1020107018351A 2009-10-26 2009-10-26 절수 밸브 KR20120101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5634 WO2011051998A1 (ja) 2009-10-26 2009-10-26 節水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185A true KR20120101185A (ko) 2012-09-13

Family

ID=4392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351A KR20120101185A (ko) 2009-10-26 2009-10-26 절수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5331B2 (ko)
JP (1) JP5007769B2 (ko)
KR (1) KR20120101185A (ko)
CN (1) CN102216535B (ko)
TW (1) TWI414366B (ko)
WO (1) WO2011051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11Y1 (ko) * 2016-10-12 2017-08-23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진공청소기 필터청소용 에어분사장치의 이중속도제어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130004A1 (it) * 2013-01-22 2014-07-23 Nikles Tec Italia Srl Organo aeratore, e doccia comprendente tale aeratore
CN103967081B (zh) * 2013-02-06 2017-03-08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用在水路领域的吸气防爆机构
JP6343918B2 (ja) * 2013-12-09 2018-06-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CN104971833B (zh) * 2015-06-18 2017-06-09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双功能按键切换花洒
DE202015004825U1 (de) * 2015-07-07 2016-10-10 Neoperl Gmbh Sanitäre Kupplung
JP6534177B1 (ja) * 2018-04-17 2019-06-26 株式会社ユーワ 空気混入構造
CN108704499B (zh) * 2018-08-02 2023-07-07 上海捷乔纳米科技有限公司 微气泡产生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7908B (en) * 1985-07-19 1988-05-11 Casper Cuschera Drain fitting with detented open position
US5154355A (en) * 1987-07-30 1992-10-13 Emhart Inc. Flow booster apparatus
JPH0313633A (ja) * 1989-06-08 1991-01-22 Toto Ltd 定流量泡沫吐水口
JPH089253Y2 (ja) * 1990-10-11 1996-03-13 株式会社環境科学センター カラン取付用節水器具
JPH089253A (ja) 1994-06-17 1996-01-12 Rhythm Watch Co Ltd ヘッド分離型ccdカメラのカメラヘッド部及びカメラヘッドの制御方法
JPH11300234A (ja) 1998-04-22 1999-11-02 Mjp Kaihatsu Kk 活性水形成装置
CN1174812C (zh) * 2000-03-17 2004-11-10 东陶机器株式会社 起泡沫喷水口
JP4438209B2 (ja) 2000-10-04 2010-03-24 Toto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RU2184619C1 (ru) * 2001-03-22 2002-07-10 Душкин Андрей Леонидович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JP4107241B2 (ja) * 2004-01-23 2008-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ノズル
JP3747323B1 (ja) * 2005-03-03 2006-02-22 有限会社田中金属製作所 シャワーノズル
TWM289083U (en) * 2005-08-29 2006-04-01 Ind Tech Res Inst Structure of wave-saving shower head
CN2851370Y (zh) * 2005-11-02 2006-12-27 深圳市联港达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节水嘴
TWI284563B (en) * 2006-04-20 2007-08-01 Hsin-Fa Wang Flow rate control structure of waterjet gun
DE102006018734B3 (de) * 2006-04-20 2007-10-11 American Standard Europe B.V.B.A. Sanitäre Wasserleitungsarmatur mit Strahlregler
CN2931589Y (zh) * 2006-06-15 2007-08-08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龙头两段式柔水器
JP4925310B2 (ja) * 2007-03-27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CN201124132Y (zh) * 2007-11-16 2008-10-01 浩瀚国际有限公司 节水起泡头装置
CN201276727Y (zh) * 2008-10-10 2009-07-22 福州金源泉科技有限公司 供水装置的节水龙头
DE102009037828A1 (de) * 2008-11-11 2010-05-20 Wurz, Dieter, Prof. Dr. Zweistoffdüse, Bündeldüse und Verfahren zum Zerstäuben von Fluid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11Y1 (ko) * 2016-10-12 2017-08-23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진공청소기 필터청소용 에어분사장치의 이중속도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6535A (zh) 2011-10-12
TWI414366B (zh) 2013-11-11
TW201114497A (en) 2011-05-01
US20120248221A1 (en) 2012-10-04
US8905331B2 (en) 2014-12-09
CN102216535B (zh) 2014-01-01
WO2011051998A1 (ja) 2011-05-05
JPWO2011051998A1 (ja) 2013-03-14
JP5007769B2 (ja)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185A (ko) 절수 밸브
US20090202293A1 (en) Air induction showerhead ball joint
EP1789636B1 (de) Sanitäre auslaufeinheit
US9211357B1 (en) Pump type aroma diffuser
CN102458673B (zh) 空气引导器
US9844788B2 (en) Joint connector
EP3208390B1 (en) A concealed flow regulator
US20090266430A1 (en) Air injection assembly for showers
US8695898B2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KR20140033345A (ko) 샤워 헤드
JP3208970U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アスピレータ装置
EP2756878B1 (en) Aerator device and shower comprising such aerator
JP2011504800A (ja) シャワー流用の通気装置
US8453667B2 (en) Cleaning water supply device
CN201720146U (zh) 节水型手持式淋浴头
US20100294857A1 (en) Arrangement for ventilating shower streams
WO2021068774A1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JP7203538B2 (ja) シャワーヘッド装置
CN112647246A (zh) 微气泡发生器及具有该微气泡发生器的洗涤设备
KR20150014583A (ko) 절수샤워기
CN217663974U (zh) 空气注入式节水器
JP3720708B2 (ja) 水道用節水具
CN115463757A (zh) 空气注入式节水器
JP2019208634A (ja) 吐水装置
KR20160001467U (ko) 수전용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