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667A -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667A
KR20120100667A KR1020110051030A KR20110051030A KR20120100667A KR 20120100667 A KR20120100667 A KR 20120100667A KR 1020110051030 A KR1020110051030 A KR 1020110051030A KR 20110051030 A KR20110051030 A KR 20110051030A KR 20120100667 A KR20120100667 A KR 2012010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unting plate
shaped
transmission path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675B1 (ko
Inventor
잉-성 펭
옌-치 린
친-롱 한
Original Assignee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0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62Relative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 및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밀대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검측구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 각도로 자전할 수 있게 하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검측구역으로 들어온 막대형태 부품의 내역을 판독하여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과 장치를 말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PROCESS FOR READING BARCODES ON CYLINDRICAL ELEMENT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막대형태 부품의 자전을 통해 상기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말하며, 또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일정한 높이로 맞춘 후 다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자전시켜 바코드를 판독하며, 또한 상기 부품의 탑재판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코드의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은 건전지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전자 기계, 광전자 기계 및 기계 등을 구성하는 조립 부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조립 부품들 표면에 식별 용도의 바코드를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해 인공 방식으로 부품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부품의 식별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상술한 바코드가 부착된 조립 부품은 흔히 뭉치 형태 혹은 막대 형태로 구성되며, 건전지의 예를 들어보면 타이완 공개 제201010160호 및 제201010161호 특허안에는 일반 운반대(혹은 탑재판) 상에 복수 개의 뭉치형태 건전지를 올려두고 상기 건전지 상에는 모두 바코드가 부착 설치되며, 판독기를 이용해 바코드 정보를 판독 및 저장하게 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나 바코드를 판독하는 세부 기술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또한 중국 제200620063148호 특허공개안에서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막대형태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 작업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인력에 의지하여 상기 판독기를 조작해 상기 막대형태 건전지 상의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바코드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방식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판독된 자료 상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제20062006634호 특허안에서는 이러한 인력에 의지해 판독기를 조작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판독기를 슬라이드 레일 상에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의 판독기를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전자 기계로 이동을 시키는 방법과 수직 혹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 개로 배열된 막대형태의 건전지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바코드는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의 막대형태 부품 상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코드 길이가 특정 아크 길이 범위 내에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판독기를 이동하는 방법이나 혹은 인력에 의지하지 않고 기타 막대형태 건전지를 상기 판독기 상에 조준하여 상기 원형 혹은 막대 형태 표면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별도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 역시 완벽하게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바코드가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에 부착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판독기의 유효 판독 범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인 판독기가 이동하여 막대형태 부품의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를 설치하고 상기 전송경로 상에 검측구역을 설치하며,
밀대기를 사용해 복수 개의 서있는 막대형태 부품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 경로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으로 들어가게 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는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검측구역으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일정한 특정 회전 각도로 자전하게 하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의 내용을 판독 및 기록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작업대, 밀대기, 캡쳐기, 전동기, 부품 판독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작업대는 전송경로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전송경로 상에는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상기 밀대기는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기를 이용해 복수 개의 서 있는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가게 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는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캡쳐기는 상기 검측구역 꼭대기부에 설치하며, 상기 캡쳐기를 이용해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고도위치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전동기는 상기 검측구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와 상기 캡쳐기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캡쳐기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일정한 회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부품 판독기는 상기 검측구역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판독 및 기록하게 되며, 상기 캡쳐기는 상기 부품 판독기 상에서 상기 부품 바코드를 판독한 후, 특정고도위치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원래 위치로 복구시키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판독기는 고정적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내용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부품 바코드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 상에서 상기 부품 판독기의 스캔 범위 내에서 특정 회전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는 동안 상기 부품 판독기의 스캔 작업으로 인해 상기 부품 판독기가 상기 부품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자동으로 상기 부품 판독기의 스캔을 받게 함으로써 상기 바코드의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예의 부가 실시 방법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부가 실시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하나의 부가 실시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감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국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탑재판과 지지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7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6의 부품 판독기과 막대형태 부품 사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a에서 도 5까지의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들과 함께 참조해보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순서 S10 중에서는 상기 작업대(1)에 상에 직선 형태의 전송경로(10;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를 형성하고, 상기 전송경로(10) 상에는 검측구역(13)을 설치한다.
순서 S20 중에서는 상기 작업대(1) 상에 밀대기(3;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을 설치하고, 상기 밀대기(3)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터의 구동력에 영향을 받는 벨트, 약간의 롤러 혹은 나사 등과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밀대기(3)를 사용해 상기 복수 개의 서 있는 형태의 막대형태 부품(9)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게 하고,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은 본 실시예에서 건전지를 예로 들어 사용하였으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외벽에는 원호면(91)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원호면(91) 상에는 부품 바코드(2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부품 바코드(22)에 기록된 정보로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코드, 종류, 제조업체 혹은 제조일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순서 S30 중에서는 상기 검측구역(13) 내에 전동기(6;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6)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게 되는 벨트 등과 같은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동기(6)를 사용하여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9)을 특정 회전각도로 자전시키게 되고(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특정 회전각도는 실제로 720도 각도 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일 수 있다.
순서 S40 중에서는 상기 검측구역(13) 내에 부품 판독기(7;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부품 판독기(7)를 사용하여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9) 상의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하게 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은 특정 회전각도로 자전하기 때문에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원호면(91) 및 상기 부품 바코드(22)가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 범위(도 16에서와 같이)를 지날 때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부품 바코드(22)의 정보를 완벽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상기 검측구역(13)의 막대형태 부품(9)을 자동으로 판독하여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720도보다 작은 각도로 자전할 때 상기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하기 때문에 상기 특정 각도는 720도보다 작은 각도가 된다.
순서 S50 중에서는 상기 전송경로(10) 상에 판독해야 할 막대형태 부품(9)이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본 실시예 상에서는 상기 작업대(1) 상의 센서(도면에는 미표시)를 사용해 상기 전송경로(10) 및 검측구역(13) 내에 아직 판독을 마치지 않은 막대형태 부품(9)이 존재하는 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만약 아직 판독을 마치지 않은 막대형태 부품(9)이 존재할 경우(도 14에서와 같이), 순서 S20을 반복 실행하게 된다. 또한 더 이상 판독할 막대형태 부품(9)이 없을 경우 순서 S60를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서 S20에서 순서S50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면서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간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부품 바코드(22)를 계속 판독하여 기록하게 된다.
순서 S60 중에서는 상기 밀대기(3)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9; 도 15에서와 같이)를 구동시켜 미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 상에서는 순서 S10과 순서 S20(도 3에서와 같이)사이에 다음과 같은 순서를 포함하게 된다.
순서 S11 중에서는 탑재판(8; 도 11에서와 같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탑재판(8)의 끝 측면에 탑재판 바코드(21)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탑재판 바코드(21)에는 판독이 가능한 필요한 정보들을 기재하며, 상기 탑재판(8) 상에는 상기 전송경로(1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용치구멍(81;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은 각각 상기 탑재판(8)의 용치구멍(81) 내에 용치됨으로써 서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그 결과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탑재판(8) 상에서 상기 전송경로(1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탑재판(8)의 끝 측면에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용 걸림홈(82)이 설치된다.
순서 S12 중에서는 상기 밀대기(3) 상에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되는 지지판(30;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이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1) 양 끝단에는 각각 전송경로(10)의 제1단(11) 및 제2단(12)이 설치되고, 상기 검측구역(13)은 상기 제1단(11) 및 제2단(12) 사이, 작업대(1) 상에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두 개의 슬라이드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30) 양측 바닥부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레일(14) 상에 슬라이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4)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탑재판(8)은 상기 제1단(11)을 거쳐 상기 전송경로(10)로 들어가(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30) 상에 놓이게 되고, 또한 상기 탑재판(8)의 끝 측면의 탑재판 바코드(21)는 상기 제2단(12)을 향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30) 측단에 설치된 신축성있는 걸림발(31)이 걸림홈(82) 내로 들어가게 되며(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탑재판(8)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순서 S13 중에서는 상기 밀대기(3)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판(30)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8)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상기 제1단(11)에서 상기 제2단(12) 이동시키게 되고(도 7 및 도 12에서와 같이), 또한 전송경로(10)의 제2단(12)의 탑재판 판독기(4)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경로(10) 상의 상기 탑재판(8)의 탑재판 바코드(21)를 판독하여 상기 전송경로(10) 상의 상기 탑재판(8)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순서 S20 상에서 밀대기(3)를 사용해 지지판(30)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8)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상기 제2단(12)에서 서서히 상기 제1단(11)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도 15에서와 같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지지판(30)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게 하고, 그 결과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차츰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간 후 상기 제1단(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순서 S20과 S50 사이에(도 4에서와 같이), 다음과 같은 순서가 포함된다.
상기 순서 S21 중에서는 상기 검측구역(13)의 꼭대기부에 캡쳐기(5)를 걸쳐서 설치하고(도 6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집게발(51)을 제공하며, 상기 캡쳐기(5)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터의 구동력에 영향을 받는 벨트, 약간의 롤러 혹은 나사 등과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제1단(11) 방향으로 점차 상기 검측구역(13)을 지나갈 때, 상기 캡쳐기(5)를 사용해 상기 집게발(51)을 구동시켜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오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상하로 모두 캡쳐하게 되며(도 12와 도 13에서와 같이), 또한 상기 검측구역(13)의 꼭대기부 방향으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특정고도위치(131)까지 이동시키게 된다(도 14에서와 같이).
이어서 상기 순서 S30 중에서 상기 전동기(6)는 상기 검측구역(13)의 꼭대기부에 걸쳐 설치되고(도 6에서 도 8까지와 같이),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캡쳐기(5)의 집게발(51)과 서로 연결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집게발(51)을 따라 상하 이동을(도 13에서와 같이) 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전동기(6)가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에서 상기 캡쳐기(5)의 집게발(51)을 구동시켜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상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일정한 회전각도로 자전시키게 된다(도 15와 도 16에서와 같이).
이어서 상기 S40 중에서,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 부에 걸쳐 설치되고(도 6에서 도 8까지와 같이), 이를 통해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9) 상의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순서 S41 중에서는 상기 캡쳐기(5)가 상기 집게발(51)을 구동시켜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아래로 이동시켜 원위치로 돌아가게 한다(도 13에서와 같이). 이어서 상기 순서 S50을 계속해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부품 바코드(22)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따라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 범위 내에서 특정회전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시간 동안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을 받으며, 그 결과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부품 바코드(22)의 정보를 완전하게 판독 및 기록하게 된다. 상술된 종래의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판독기을 이동시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에 바코드를 판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더 나아가 자동으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부품 바코드(22)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이 건전지일 경우, 상기 탑재판(8)을 이용하여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상의 상기 바코드를 자동으로 판독한 후, 계속해서 바인딩(binding) 작업을 통해 건전지 세트를 제작 완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 중의 집게발(51) 및 부품 판독기(7)는 동시에 복수 개의 세트를(도 5에서 도 8까지와 같이)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집게발(51)을 실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집게발(51)을 동시에 자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탑재판(8) 상의 상기 용치구멍(81)은 또한 동시에 복수 개의 세트를 한번에 실시할 수 있으며(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용치구멍(81)이 매트릭스 형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역시 매트릭스 형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일한 열에 놓여진 상기 막대형태 부품(9, 9a, 9b)이 한 번에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점차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을 받게 된다(도 2b에서와 같이).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입체도이며, 도 5의 내용과 도 6에서 도 8까지의 내용을 함께 참조해보면, 본 발명인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 장치를 판독하는 장치는 작업대(1), 밀대기(3), 캡쳐기(5), 전동기(6), 부품 판독기(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대(1) 상에는 직선 형태로 전송경로(10)가 형성되고, 상기 전송경로(10) 상에는 검측구역(13)이 설치되며, 상기 전송경로(10) 상에는 탑재판 판독기(4)가 설치된다.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작업대(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작업대(1) 꼭대기부의 지지판(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판(30) 측단에는 신축이 가능한 걸림발(31)이 설치되고(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발(31)을 실제로 상기 지지판(30) 측단에 설치한 실린더(32)의 구동력을 받아 신축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30) 상에는 상기 탑재판(8)을 설치할 수 있고(도 10에서 도 11과 같이), 상기 탑재판(8) 상에 복수 개의 서 있는 형태의 막대형태 부품(9)이 설치되고, 상기 탑재판(8) 측단에는 탑재판 바코드(21)가 설치되고, 상기 탑재판 판독기(4)는 상기 탑재판(8)의 상기 탑재판 바코드(21)를 판독하여(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전송경로(10) 상의 상기 탑재판(8) 내용을 판독 및 기록하게 된다. 상기 탑재판(8)의 끝 측면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걸림홈(82)이 설치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외벽에는 원호면(91)이 포함되며, 상기 원호면(91) 상에는 부품 바코드(22)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걸림발(31)은 상기 걸림홈(82) 내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지지판(30)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8)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 작업대(1) 상에 상기 전송경로(10)의 상측에는 지지대(50)가 걸쳐 설치되고,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지지대(5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검측구역(13) 꼭대부까지 걸쳐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지지대(50) 상에서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며(도 13에서와 같이), 이를 통해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온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캡쳐하여 스캔하게 되고, 또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특정고도위치(131)까지 이동시키게 된다(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캡쳐기(5) 상에 연결되어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캡쳐기(5)를 구동시켜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9)에 삽입 설치되어 특정회전각도로 자전될 수 있게 한다(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1) 상에 상기 전송경로(10)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지지막대(70)를 설치하고,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지지막대(7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부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에 위치한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9) 상의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하게 됨으로써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오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게 된다. 상기 캡쳐기(5)는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한 후에, 다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 외에도 상기 탑재판(8)과 상기 지지판(30) 사이에는 보호 시스템이 설치되며, 상기 보호 시스템은 조합 방지 혹은 조작 실수 방지 등과 같은 강제성 안전 설비 장치이며, 상기 보호 시스템은 상기 탑재판(8) 끝 측에 형성된 경사면(83; 도 11에서와 같이)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지지판(30) 측 끝에 상기 경사면(83)과 서로 부합되는 기울어진 지지면(3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을 향하는 방향이 정확할 때, 상기 기울어진 지지면(33)이 상기 경사면(83)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 꼭대기부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을 향한 방향이 잘못되었을 때, 상기 기울어진 지지면(33)은 상기 탑재판(8) 외벽을 저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탑재판(8)이 완전히 지지판(30) 꼭대기부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에 의거해보면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상의 상기 부품 바코드(22)는 자동으로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을 받게 되며 더 나아가 자동으로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되고, 그 나머지 구조와 실시 방법은 상기 실시예 1의 내용과 동일하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작업대
10 전송경로
11 제1단
12 제2단
13 검측구역
131 특정고도위치
14 슬라이드레일
21 탑재판 바코드
22 부품 바코드
3 밀대기
30 지지판
31 걸림발
32 실린더
33 기울어진 지지면
4 탑재판 판독기
5 캡쳐기
50 지지대
51 집게발
6 전동기
7 부품 판독기
70 지지막대
8 탑재판
81 용치구멍
82 걸림홈
83 경사면
9、9a、9b 막대형태 부품
91 원호면

Claims (12)

  1.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 밀대기, 전동기, 부품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 및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상기 밀대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검측구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 각도로 자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검측구역으로 들어온 막대형태 부품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캡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쳐기를 이용해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고도위치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전동기는 특정고도위치에서 캡쳐기를 전동시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이 자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부품 판독기가 부품 바코드를 판독한 후, 상기 캡쳐기가 특정고도위치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원래 위치로 복구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탑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 세트가 상기 탑재판 상에 용치(聳峙)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탑재판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에는 탑재판 바코드를 설치하고 상기 전송경로 상의 상기 탑재판 판독기를 통해 상기 탑재판의 탑재판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전송경로 상의 탑재판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기는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판은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지지판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을 이동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상기 탑재판을 이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지지판 상에 신축이 가능한 걸림발이 상기 탑재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7.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 밀대기, 캡쳐기, 전동기, 부품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 및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상기 밀대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검측구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캡쳐기는 상기 검측구역의 꼭대기 부에 설치되고,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고도위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 각도로 자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검측구역으로 들어온 막대형태 부품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하며,
    상기 캡쳐기가 상기 부품 판독기를 통해 상기 부품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특정고도위치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 세트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태 부품 세트가 상기 탑재판 상에 용치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탑재판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에는 탑재판 바코드를 설치하고 상기 전송경로 상의 상기 탑재판 판독기를 통해 상기 탑재판의 탑재판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전송경로 상의 탑재판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기는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판은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지지판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상기 탑재판을 이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지지판 상에 신축이 가능한 걸림발이 상기 탑재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 측단에 설치된 걸림홈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발이 상기 걸림홈 내로 들어가 상기 탑재판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KR1020110051030A 2011-03-04 2011-05-30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209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07259A TWI426455B (zh) 2011-03-04 2011-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 of battery pack element
TW100107259 2011-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667A true KR20120100667A (ko) 2012-09-12
KR101209675B1 KR101209675B1 (ko) 2012-12-07

Family

ID=4673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030A KR101209675B1 (ko) 2011-03-04 2011-05-30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2182B1 (ko)
JP (1) JP5501291B2 (ko)
KR (1) KR101209675B1 (ko)
CN (1) CN102654901B (ko)
TW (1) TWI426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2793B2 (en) 2014-01-14 2020-03-17 Labcyte Inc. Sample containers having identification marks embedded therein and being adapted for acoustic ejections
JP2016130889A (ja) * 2015-01-13 2016-07-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コード読取装置
EP3104306B2 (en) * 2015-06-11 2023-11-01 Scantrust SA Two dimensional barcode
CN105648198B (zh) * 2016-01-11 2017-06-30 安徽工业大学 一种具有拆分与读码功能的火车车轮钢坯推钢机
CN106629015A (zh) * 2016-08-31 2017-05-10 苏州朗坤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amt屏幕组件单行多个自动排放装置
CN106624317B (zh) * 2016-09-28 2018-11-09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芯扫码机构及电阻焊组装机
CN106993389B (zh) * 2017-05-26 2018-04-03 银川华信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采集器
JP7009291B2 (ja) * 2018-04-13 2022-01-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読取システム
TWI663414B (zh) * 2018-07-25 2019-06-2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柱狀電池檢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648A (ja) * 1988-08-26 1990-03-01 Central Unie:Kk 注射剤自動払出し装置
JPH02158890A (ja) * 1988-12-12 1990-06-19 Fuji Photo Film Co Ltd バーコードラベル読取装置
JP2564924Y2 (ja) * 1993-06-14 1998-03-11 アロカ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886787A (ja) * 1994-09-16 1996-04-02 Sankyo Co Ltd 血液などのサンプル搬送装置
FR2764704B1 (fr) * 1997-06-16 1999-08-20 Stago Diagnostica Dispositif pour la lecture automatique d'un code d'identification porte par des recipients tubulaires
JP2003285841A (ja) * 2002-03-28 2003-10-07 Itoki Crebio Corp 自動的に識別可能な試料類封入用容器
JP3908744B2 (ja) * 2004-03-08 2007-04-25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試験管の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CN200944131Y (zh) 2006-08-21 2007-09-05 广东省电子技术研究所 电池测试机
CN200962137Y (zh) 2006-08-31 2007-10-17 广东省电子技术研究所 电池测试机
WO2008067845A1 (en) * 2006-12-04 2008-06-12 Inpeco Ip Ltd. Container carrier turning device for a container carrier conveyor
KR101004006B1 (ko) 2008-08-06 2010-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 공정 점검 시스템
KR101004252B1 (ko) 2008-08-06 2011-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동장치를 이용한 전지팩 제조방법
US8028843B2 (en) * 2009-05-15 2011-10-04 Hamilton Company Shift and scan test tube rack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92182B1 (en) 2012-10-23
TW201236949A (en) 2012-09-16
CN102654901A (zh) 2012-09-05
CN102654901B (zh) 2014-07-30
JP5501291B2 (ja) 2014-05-21
KR101209675B1 (ko) 2012-12-07
TWI426455B (zh) 2014-02-11
JP2012185793A (ja)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675B1 (ko)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CN103716620A (zh) 摄像头模组自动功能测试机
CN107009114B (zh) 一种产品转移组装装置
US9091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emote control tester
CN103512904A (zh) 工件外观测量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00027873A1 (en) Board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TW201437624A (zh) 鍵盤測試機
CN102252608B (zh) 光学测量方法和装置
CN107303668A (zh) 具有位置确定装置的装配工作台
KR200464046Y1 (ko)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US20050169733A1 (en) Automated tube handler system
JP5762514B2 (ja) 工具マガジン装置
CN207351385U (zh) 手机配件激光检测设备
US117516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quipment cabinet leveling
CN106056022A (zh) 一种避免误判相同条形码的自动遮挡装置
CN210005856U (zh) 一种循环式扫描曝光机
CN110657762A (zh) 一种视觉检测片状物平整度系统的图像获取装置及方法
CN209502309U (zh) 读码分拣设备
EP1076831A2 (en) Circuit board assembly inspection
CN110207593B (zh) 尺寸测量装置
JP440121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217770162U (zh) 扫描装置
US8688262B1 (en) Semi-automated lab tube selection apparatus for rack contained tubes
CN214289531U (zh) 一种计算机软件测试装置
CN209894446U (zh) 光学模块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