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46Y1 -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46Y1
KR200464046Y1 KR2020110004684U KR20110004684U KR200464046Y1 KR 200464046 Y1 KR200464046 Y1 KR 200464046Y1 KR 2020110004684 U KR2020110004684 U KR 2020110004684U KR 20110004684 U KR20110004684 U KR 20110004684U KR 200464046 Y1 KR200464046 Y1 KR 200464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unting plate
shaped
transmission path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351U (ko
Inventor
잉-성 펭
옌-치 린
친-롱 한
Original Assignee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스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06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504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를 말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 및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 상에는 밀대기를 설치하며, 상기 밀대기를 이용해 상기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상기 검측 구역 내로 들어가게 하고, 상기 막대형태 부품 상에는 부품 바코드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검측구역 내에는 전동기 및 부품 판독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는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회전각도로 자전 시키며, 상기 부품 판독기는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온 막대형태 부품의 내역을 판독하고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를 말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SYSTEM FOR READING BARCODES ON CYLINDRICAL ELEMENTS}
본 고안은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막대형태 부품의 자전을 통해 상기 부품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말하며, 또한 부품의 탑재판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막대형태 부품은 건전지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전자 기계, 광전자 기계 및 기계 등을 구성하는 조립 부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조립 부품들 표면에 식별 용도의 바코드를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해 인공 방식으로 부품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부품의 식별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상술된 바코드가 부착된 조립 부품은 흔히 뭉치 형태 혹은 막대 형태로 구성되며, 건전지의 예를 들어보면 타이완 공개 제201010160호 및 제201010161호 특허안에는 일반 운반대(혹은 탑재판) 상에 복수 개의 뭉치형태 건전지를 올려두고 상기 건전지 상에는 모두 바코드가 부착 설치되며, 판독기를 이용해 바코드 정보를 판독 및 저장하게 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나 바코드를 판독하는 세부 기술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또한 중국 제200620063148호 특허공개안에서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막대형태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 작업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인력에 의지하여 상기 판독기를 조작해 상기 막대형태 건전지 상의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바코드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방식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판독된 자료 상에 오류가 발생할 확율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제20062006634호 특허안에서는 이러한 인력에 의지해 판독기를 조작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판독기를 슬라이드 레일 상에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의 판독기를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전자 기계로 이동시키는 방법과 수직 혹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 개로 배열된 막대형태의 건전지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바코드는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의 막대형태 부품 상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코드 길이가 특정 아크 길이 범위 내에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판독기를 이동하는 방법이나 혹은 인력에 의지하지 않고 기타 막대형태 건전지를 상기 판독기 상에 조준하여 상기 원형 혹은 막대 형태 표면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을 별도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 역시 완벽하게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바코드가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에 부착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판독기의 유효 판독 범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기술이 가진 판독기를 이동시켜 막대형태 부품의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기술은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를 설치하고 상기 전송경로 상에 검측구역을 설치하며,
밀대기를 사용해 복수 개의 서있는 막대형태 부품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 경로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으로 들어가게 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는 부품 바코드를 부착 설치하고,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검측구역으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을 일정한 특정 회전 각도로 자전하게 하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막대형태 부품의 내용을 판독 및 기록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된 본 고안 장치는 막대형태 부품 상의 부품 바코드를 상기 부품 판독기의 스캔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국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탑재판과 지지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또 다른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부품 판독기와 막대형태 부품 사이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에서 도 4까지의 본 고안의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에 관한 도면들과 함께 참조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 장치를 판독하는 장치는 작업대(1), 밀대기(3), 캡쳐기(5), 전동기(6), 탑재판 판독기(4), 부품 판독기(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대(1) 상에는 직선 형태로 전송경로(10)가 형성되고, 상기 전송경로(10) 상에는 검측구역(13)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대(1)의 양 끝에는 각각 상기 작업대(1) 양 끝단에는 각각 전송경로(10)의 제1단(11) 및 제2단(12)이 설치되고, 상기 검측구역(13)은 상기 제1단(11) 및 제2단(1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작업대(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작업대(1) 꼭대기부의 지지판(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밀대기(3)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터의 구동력에 영향을 받는 벨트, 약간의 롤러 혹은 나사 등과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작업대(1) 상에는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두 개의 슬라이드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30) 양 측 바닥부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레일(14) 상에 슬라이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4)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지지판(30)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판(30) 측단에는 신축이 가능한 걸림발(31)이 설치되고(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발(31)은 실제로 상기 지지판(30) 측단에 설치된 실린더(32)의 구동력을 받아 신축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30) 상에는 상기 탑재판(8)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탑재판(8) 측단에는 탑재판 바코드(21)가 설치되고(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탑재판 바코드(21)를 판독하여 상기 탑재판(8)의 번호, 종류, 제조업체 및 제조 일자 등과 같은 내용을 판독 및 기록하게 된다.
상기 탑재판(8) 상에는 상기 전송경로(1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용치구멍(81)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복수 개의 서 있는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용치구멍에 용치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각각 상기 탑재판(8)의 용치구멍(81) 내에 용치됨으로써, 상기 전송경로(1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은 본 실시예에서 건전지를 예로 들어 사용하였으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외벽에는 원호면(91)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원호면(91) 상에는 부품 바코드(2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부품 바코드(22)에 기록된 정보로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코드, 종류, 제조업체 혹은 제조일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탑재판(8)의 끝 측면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걸림홈(82)이 설치되며(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발(31)이 상기 걸림홈(82) 내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밀대기(3)는 상기 지지판(30)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8)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탑재판(8)을 상기 검측구역(13)을 따라 이동하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이동하게 한다(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1) 상에 상기 전송경로(10)의 상측에는 지지대(50)가 걸쳐 설치되고,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지지대(5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부까지 걸쳐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집게발(51)을 포함하며, 상기 캡쳐기(5)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터의 구동력에 영향을 받는 벨트, 약간의 롤러 혹은 나사 등과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집게발(51)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대(50) 상에서 상하 이동시키게 되며(도 9에서와 같이), 또한 상기 집게발(51)을 이용해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온 막대형태 부품(9)을 캡쳐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집게발(51)을 위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특정고도위치(131)까지 이동시킨다(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집게발(5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6)와 상기 캡쳐기(5)는 서로 연결 설치되며, 또한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전동기(6)가 상기 집게발(5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동기(6)는 실제로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터의 구동력에 영향을 받는 벨트 등과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캡쳐기(5)의 집게발(51)을 구동시켜 특정고도위치(131)에 삽입 설치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을 특정회전각도로 자전시키게 된다. (도 12에서와 같이) 이때 상기 특정회전 각도는 실제로 720도 각도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게 된다.
상기 탑재판 판독기(4)는 상기 전송경로(10)의 제2단(12)의 작업대(1)에 설치되어 상기 전송경로(10) 상의 탑재판(8)의 탑재판 바코드(21)를 판독하게 되며(도 8에서와 같이), 또한 상기 전송경로(10) 상의 탑재판(8)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게 된다. 상기 작업대(1) 상에는 상기 전송경로(10) 상측에 걸쳐 설치되는 형태로 지지대(70)가 설치되며,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지지대(7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검측구역(13) 꼭대기부에 걸쳐 설치되며(도 10 에서와 같이), 이를 통해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상기 자전 중인 막대형태 부품(9) 상의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은 특정회전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막대형부품(9)의 아크형면(91) 및 부품 바코드(22)가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 범위를 통과할 때,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부품 바코드(22)의 정보를 완벽하게 판독하게 되고, 더 나아가 자동으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부품 바코드(22)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부품 판독기(7)가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자전 각도가 720도 보다 작을 때, 부품 바코드(22)에 대한 판독 작업을 완성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특정회전각도는 720도 각도보다 작게 설치된다. 상기 캡쳐기(5)의 집게발(51)의 부품 판독기(7)에서 상기 부품 바코드(22)를 판독한 후, 다시 상기 특정고도위치(131)의 막대형태 부품(9)을 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자리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 외에도 상기 탑재판(8)과 상기 지지판(30) 사이에는 보호 시스템이 설치되며, 상기 보호 시스템은 조합 방지 혹은 조작 실수 방지 등과 같은 강제성 안전 설비 장치이며, 상기 보호 시스템은 상기 탑재판(8)의 끝 측에 형성된 경사면(83; 도 7에서와 같이)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지지판(30) 측 끝에 상기 경사면(83)과 서로 부합되는 기울어진 지지면(3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을 향하는 방향이 정확할 때, 상기 기울어진 지지면(33)이 상기 경사면(83)을 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탑재판(8)이 상기 지지판(30)의 꼭대기부의 정확한 위치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도 본 고안 중의 집게발(51) 및 부품 판독기(7)는 동시에 복수 개의 세트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캡쳐기(5)는 상기 집게발(51)을 실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전동기(6)는 상기 집게발(51)을 동시에 자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탑재판(8) 상의 상기 용치구멍(81)은 또한 동시에 복수 개의 세트를 한번에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용치구멍(81)이 매트릭스 형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역시 매트릭스 형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일한 열에 놓여진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한 번에 상기 전송경로(10)를 따라 점차 상기 검측구역(13) 내로 들어가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을 받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거하여 상기 부품 바코드(22)는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이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 범위 내에서 특정회전각도로 회전하는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시간 동안 상기 부품 판독기(7)의 스캔을 받으며, 그 결과 상기 부품 판독기(7)는 상기 부품 바코드(22) 내의 완전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상술된 종래의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판독기를 이동시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아크형 혹은 원형 막대형태 표면 상에 바코드를 판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더 나아가 자동으로 상기 막대형태 부품(9)의 부품 바코드(22)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이 건전지일 경우, 상기 탑재판(8)을 이용하여 상기 막대형태 부품(9) 상의 상기 바코드를 자동으로 판독한 후, 계속해서 바인딩(binding) 작업을 통해 건전지 세트를 제작 완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작업대
10 전송경로
11 제1단
12 제2단
13 검측구역
131 특정고도위치
14 슬라이드레일
21 탑재판 바코드
22 부품 바코드
3 밀대기
30 지지판
31 걸림발
32 실린더
33 기울어진 지지면
4 탑재판 판독기
5 캡쳐기
50 지지대
51 집게발
6 전동기
7 부품 판독기
70 지지막대
8 탑재판
81 용치구멍
82 걸림홈
83 경사면
9 막대형태 부품
91 원호면

Claims (8)

  1.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작업대, 밀대기, 전동기, 부품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 상에 전송경로 및 검측구역을 설치하고,
    상기 밀대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을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상기 검측구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외벽에 부품 바코드를 부착하고, 상기 막대형태 부품은 건전지이며,
    상기 검측구역의 꼭대기부에는 캡쳐기가 설치되어, 상기 검측구역 내로 들어간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고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동기를 사용해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 각도로 자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부품 판독기를 사용해 상기 자전 중인 상기 막대형태 부품 상의 상기 부품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검측구역으로 들어온 상기 막대형태 부품의 정보를 판독하고 기록하며,
    상기 막대형태 부품이 설치되는 탑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탑재판을 구동시켜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밀대기는 상기 전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판은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기가 상기 지지판을 구동시켜 상기 탑재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탑재판을 이동하는 시간 동안 상기 지지판 상에 신축이 가능한 걸림발이 상기 탑재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탑재판 측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발이 상기 걸림홈 내로 들어가 상기 탑재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판독기가 상기 부품 바코드를 판독한 후, 상기 캡쳐기가 특정고도위치의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상기 캡쳐기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가 상기 캡쳐기를 구동시켜 삽입된 상기 막대형태 부품을 특정회전각도로 자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에는 탑재판 바코드를 부착하고 상기 전송경로 상에 설치된 탑재판 판독기를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기 탑재판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전송경로 상의 상기 탑재판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10004684U 2011-03-04 2011-05-30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KR2004640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03746U TWM408748U (en) 2011-03-04 2011-03-04 Device for reading bar codes on multiple cylindrical components
TW100203746 2011-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51U KR20120006351U (ko) 2012-09-12
KR200464046Y1 true KR200464046Y1 (ko) 2012-12-11

Family

ID=4508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684U KR200464046Y1 (ko) 2011-03-04 2011-05-30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69529U (ko)
KR (1) KR200464046Y1 (ko)
TW (1) TWM4087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3453B (en) * 2015-11-04 2016-12-2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Barcode, decoding method and decoding apparatus of barcode
CN115806875B (zh) * 2022-12-23 2023-09-08 东海县裕隆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一种核酸自动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08748U (en) 2011-08-01
KR20120006351U (ko) 2012-09-12
JP3169529U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675B1 (ko)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RU200811069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 извлечения предметов из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464046Y1 (ko) 복수 개의 막대형태 부품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EP2781313A2 (en) Robot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ork piece
CN1950828A (zh) 二维代码区域提取方法,二维代码区域提取装置、电子装置,二维代码区域提取程序,以及包含该程序的记录媒介
CN110598496A (zh) 一种扫描设备、方法、装置及其存储介质
CN101076812A (zh) 测量催化转换器支持垫的间隙容积密度的装置和方法
CN211994771U (zh) 盖章机构及具有鉴伪和打印功能的用印机
KR20140002489A (ko) 팁 홀더 수납체의 적재대
CN102252608B (zh) 光学测量方法和装置
CN213350585U (zh) 一种线材打扁裁切设备
JP2023530979A (ja) 移動印刷物の撮像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027875B (zh) 一种弹簧整料装置
US9308609B2 (en) De-swage machine for removal of a head from a head stack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6951803B (zh) 扫描枪按压装置、灵敏度测试装置及灵敏度测试方法
CN214670614U (zh) 物品信息获取装置
CN212181476U (zh) 自动扫码设备
CN210005856U (zh) 一种循环式扫描曝光机
CN202033764U (zh) 读取多个柱状元件上条码的装置
JP2008196962A (ja) タイヤ測定装置
JP4573237B2 (ja) 工作機械
CN209502309U (zh) 读码分拣设备
CN221100060U (zh) 一种电圆锯护罩耐久测试设备
CN217770162U (zh) 扫描装置
CN220006694U (zh) 一种马达齿轮压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