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451A -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 Google Patents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451A
KR20120100451A KR1020110019357A KR20110019357A KR20120100451A KR 20120100451 A KR20120100451 A KR 20120100451A KR 1020110019357 A KR1020110019357 A KR 1020110019357A KR 20110019357 A KR20110019357 A KR 20110019357A KR 20120100451 A KR20120100451 A KR 2012010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cushioning body
thermoplastic resin
cushio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매트
이범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매트, 이범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매트
Priority to KR102011001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451A/ko
Priority to CN2011101646741A priority patent/CN102653152A/zh
Publication of KR2012010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special fibres, such as acrylic thread, coconut, horse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향상된 쿠션체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가 서로 엉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코어재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단과,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를 단섬유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격사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재에 적층 설치되는 피복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는 상기 간격사보다 선경(線徑)이 더 크게 구성되어, 코어재와 피복재가 모두 통풍이 용이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이 향상되어 베거나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도 인체에 땀이 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복재에 의해 코어재가 둘러싸인 경우에도 가정에서 손쉽게 샤워기나 세탁기로 물세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방 마르기 때문에 쿠션체 내부에 진드기, 세균,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쿠션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HYGIENIC CUSHION WITH IMPROVED PERMEABILITY}
본 발명은 통기성이 향상된 쿠션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체 전체에 걸쳐 통기성이 우수하여 쿠션체를 한번에 물세탁을 행하고 짧은 시간 내에 완전 건조시킴에 따라 집먼지 진드기를 간단히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쿠션체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침구류에 사용되는 베개, 매트리스, 요, 방석, 등받이 등은 솜으로 내부 코어재를 제작하고, 천으로 커버를 만들어 코어재를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왔다. 이와 같은 침구류는 피부에 접하는 커버(11)의 세탁은 가능하지만, 그 내부의 코어재는 커버(12)를 벗겨내더라도 햇빛에 말리는 소독 이외의 세탁을 할 수 없으므로, 침구류의 청결 상태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최근에 제시된 침구용 쿠션체로는 폴리우레탄을 발포 성형하여 메모리 폼또는 라텍스로 알려진 쿠션체(1) 등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쿠션체는 체압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주지만, 장시간 사용한 후 발포 성형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코어재(11)를 세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집먼지 진드기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폴리우레탄을 발포 성형하여 제작한 코어재(11)를 세탁기에 넣어 물세탁을 하더라도,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그 내부에 서식하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세균 등을 제거하거나 살균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쿠션체(1)의 일방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W)가 코어재(11)를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세탁을 할 경우에는 코어재의 내부에 스며든 물기가 쉽게 건조 제거되지 않아 또 다른 곰팡이의 서식을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이 우수하여 물세척을 한 후 쉽게 건조시켜, 쿠션체 내부에 서식하는 곰팡이, 세균, 집먼지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나 알러지 비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는 침구용 쿠션체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쿠션체 전체에 걸쳐 통기성이 우수하게 구성되어 쿠션체 전체를 물세탁할 수 있고 동시에 짧은 시간 내에 완전 건조시킴에 따라 세균이나 곰팡이를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위생적인 쿠션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 이물감없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쿠션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성이 우수하지만 열과 냉기의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종래보다 경량화되어 사용자가 쉽게 운반하는 것이 간편한 침구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소재의 섬유사가 서로 엉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코어재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단과,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를 단섬유로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로 조밀하게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격사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재에 적층 설치되는 피복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는 상기 간격사보다 선경(線徑)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를 제공한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를 컬(curl)이나 루프(loop) 형태로 엉켜 구성됨에 따라 외력에 대하여 적절한 변형량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에 비하여 얇은 간격사에 의해 한 쌍의 원단을 직선 또는 교차 배열되어 연결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푹신한 탄력과 안락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이 코어재와 피복재가 모두 통풍이 용이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이 향상되어 베거나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도 인체에 땀이 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복재에 의해 코어재가 둘러싸인 경우에도 가정에서 손쉽게 샤워기나 세탁기로 물세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방 마르기 때문에 쿠션체 내부에 진드기, 세균,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는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코어재는 서로 엉킨 상태에서 결합력이 높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하여 원래 모양으로 회복하는 탄성이 우수하여 체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침구류 등의 쿠숀체의 필요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재는 그 표면이 그 내부에 비하여 높은 밀도로 형성됨에 따라 그 모양을 원래 상태로 유지하는 특성을 장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사는 0.1mm 이상의 선경(線徑)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피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용융시킨 상태로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다이를 중력 방향으로 압출시켜 통과시킨 후, 상기 다이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를 서로 대향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에 접촉시키면서 성형된다.
한편, 상기 피복재는 상기 코어재를 감싸는 형태로 쿠션체를 제작하여, 베개나 매트리스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코어재 내부의 빈 공간을 공기층을 함유하여 단열 특성이 우수한 피복재로 감싸도록 구성됨에 따라, 열과 냉기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켜주는 작용도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체의 일면은 상기 피복재로 노출되고, 상기 쿠션재의 타면은 천의 저면에 상기 코어재가 위치하도록 제작하여, 요통 환자에게는 높은 탄성 지지력을 갖는 코어재가 노출되는 타면으로 접촉하여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욕창 환자에게는 체압 분산이 우수한 피복재가 노출되는 일면으로 접촉하여 땀이 차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코어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될 수도 있지만, 얇은 천이 그 위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는 매트리스, 요, 방석, 등받이, 베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원료"로 한다는 것은 해당 성분이 45wt% 내지 99.99wt%의 함량을 갖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어재와 피복재가 모두 통풍이 용이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이 향상되어 베거나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도 인체에 땀이 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복재에 의해 코어재가 둘러싸인 경우에도 가정에서 손쉽게 샤워기나 세탁기로 물세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방 마르기 때문에 쿠션체 내부에 집먼지 진드기, 세균, 곰팡이를 물세탁만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들의 서식을 억제하는 청결하고 위생적인 쿠션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하여 쿠션체를 샤워기나 세탁기로 물세탁할 수 있고 짧은 시간 내에 완전히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약품없이 세탁 공정에 의하여 침구 쿠션체 내에 서식하는 세균이나 곰팡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를 컬(curl)이나 루프(loop) 형태로 엉켜 구성됨에 따라 외력에 대하여 적절한 변형량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에 비하여 얇은 간격사에 의해 한 쌍의 원단을 직선 배열되어 연결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이물감없이 푹신한 탄력과 안락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는 코어재를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하여, 서로 엉킨 상태에서 결합력이 높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하여 원래 모양으로 회복하는 탄성이 우수하여 체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코어재와 피복재가 구성됨에 따라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 공기층을 갖는 피복재에 의해 코어재가 둘러싸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코어재 내부의 열과 냉기의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도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어재와 피복재에 모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쿠션체보다 경량화되는 유리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쿠션체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절단선 A-A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체의 도1의 절단선 A-A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4는 도1의 코어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코어재를 성형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도4의 피복재를 성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4의 코어재를 물세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의 쿠션체를 욕창 환자에게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8의 쿠션체를 허리 환자에게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쿠션체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쿠션체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체의 도1의 절단선 A-A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4는 도1의 코어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코어재를 성형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도4의 피복재를 성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4의 코어재를 물세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의 쿠션체를 욕창 환자에게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8의 쿠션체를 허리 환자에게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쿠션체(100)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가 서로 엉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층(110c)을 형성하는 코어재(110)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단(121) 사이를 단섬유로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로 조밀하게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원단(121) 사이에 공기층(120c)을 형성하는 간격사(122)로 구성된 피복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재(1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111)가 서로 엉키어 컬(curl)이나 루프(loop)형태로 형성되어, 외력(F)에 대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려는 탄성 복원력(R)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코어재(1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구멍(54a)이 형성된 틀(54)이 설치된 다이스(51)에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의 원료(111M)를 용융시켜 중력 방향으로 압출하여 통과시키면,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다수의 섬유사 형태로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압출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섬유사(111)의 간격보다 더 좁게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회전하는 성형 롤러(52)에 의하여 섬유사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섬유사(111)가 상호 엉켜 붙으면서 코어재(110)를 성형하게 된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111)가 서로 엉켜 붙으면서 성형하는 공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성형 롤러(52, 53)는 상, 하로 배치된 2쌍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한 성형 롤러(52)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한 성형 롤러(53)의 간격이 서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압출된 고온의 섬유사(111)는 성형 롤러(52, 53)에 의하여 밀려 이동하면서 서로 엉켜 붙게되므로, 성형 롤러(52, 53)와 접촉하는 코어재(110)의 바깥 영역(110o)에는 보다 높은 밀도로 섬유사(111)가 밀집하고, 성형 롤러(52, 53)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코어재(110)의 중앙 영역(110i)에는 보다 낮은 밀도로 섬유사(111)가 배열되어, 코어재(110)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코어재(110)를 성형하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에틸린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 염화 비닐, 폴리 스티렌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공중합체, 이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탄성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45wt% 내지 99.99wt%이어서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코어재(110)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서로 엉킨 상태에서 결합력이 높게 유지되어 잘 끊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하여 원래 모양으로 회복하는 탄성이 우수하여 체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스(51)에 투입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원료는 플레이크 형태나 칩(chip)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열을 최소화하더라도 쉽게 용융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원료로서 PET병을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구조로 성형되는 코어재(110)는 0.02~1.1g/cm3의 겉보기 밀도(공극률: 36% 내지 98.6%)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20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성형된 코어재(110)는 인체가 거부감을 갖지 않고 딱딱하지 않은 정도의 탄성복원력(R)이 외력(F)에 대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하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피복재(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단(121)을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로 배열되는 간격사(122)로 연결시켜 제조된다. 간격사(122)는 한편, 상기 간격사는 0.1mm 이상의 선경(線徑)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피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사(122)는 한 쌍의 원단(121)을 왕복하면서 코일 형태를 형성하면서 연결한다. 도면에는 간격사(122)가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II")로 배열되는 구성만을 도시하였지만, 서로 교차하는 "X"형태로 배열되면서 연결할 수도 있고, 직선 형태와 교차 형태가 혼합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간격사(122)는 모노 필라멘트 형태의 단섬유로 한 쌍의 원단(121)을 연결하며, 1cm2에 대하여 30개~50개가 분포할 정도로 조밀하게 분포한다. 이에 따라, 조밀하게 분포된 얇은 간격사(122)에 의하여 한 쌍의 원단(121)이 상호 연결되면서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단(121)의 촉감이 부드러운 탄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 뿐만 아니라, 피복재(120)는 한 쌍의 원단(1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120c)에 의하여 통기성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코어재(110)를 구성하는 섬유사(111)는 피복재(120)의 간격사(122)에 비하여 선경(線徑)이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대략, 코어재(110)를 구성하는 섬유사(111)는 대략 0.3mm 내지 3mm의 선경을 가지며, 피복재(120)를 구성하는 간격사(122)는 대략 0.1mm 내지 1mm의 선경을 갖는다. 이를 통해, 코어재(110)는 체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피복재(120)는 체압을 분산하여 이물감없는 부드러운 촉감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코어재(110)와 피복재(120)에 공기층(110c, 120c)이 모두 형성됨에 따라, 일방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W)가 코어재를 통과하지 못하여 세탁물이 건조되지 않는 종래의 쿠션체와 달리, 일방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W)가 피복재(120)와 코어재(110)를 모두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통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물세탁(코어재(110)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피복재(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물세탁하는 사진이 도7에 나타나 있으며, 피복재(12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세탁도 가능함)을 하더라도 쿠션체(100)로부터 물을 머금지 않고 배출시키므로 가정에서도 물세탁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짧은 시간의 건조 공정에 의하여 완전히 코어재(110)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코어재(110)와 피복재(120)가 모두 통기성이 우수하므로 통풍이 원활하여 곰팡이나 진드기 등이 서식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지 않으며, 가볍고, 코어재(110) 내부의 온도가 피복재(120)에 의해 단열되므로 시원하거나 따뜻한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장점도 얻어진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객관적으로 보이기 위한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즉, 침대의 매트리스의 재료로 쓰이는 5가지의 종류의 물질에 대하여 3주간 집먼지진드기의 서식 형태를 살펴본 후 3가지 조건의 세척을 실시하였다. 60초 물 세척, 물+약품세척, 물세척+강제건조의 조건으로 진행되었다. 세척 후 각 각의 재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척 정도와 집먼지 진드기 잔여 여부를 관찰하였고, 세척 후 1 주일 후 집먼지 진드기 생존 여부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각 각의 경우에 집먼지진드기와 배양배지를 살포하여 3주간 25℃ 항온 배양기 내부에서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관찰하였다.
(1) 물 세척 시험
아래 표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 솜, 라텍스에 동일한 양의 이물질을 묻힌 다음, 이물질을 샤워기로 분출되는 물로만 60초간 세탁한 이후의 현미경 촬영사진이다. 그 결과, 아래 현미경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의 코어재(110)는 물세탁만으로도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 밖의 솜, 라텍스 등은 물세탁에 의해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물 세척
(본 발명의 쿠션체)
물 세척
(솜)
물 세척
(부직포)
물 세척
(라텍스)
물 세척
(메모리폼)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공극률이 90%이상이어서 물의 세척력만으로도 충분히 깨끗하게 세척이 되었으며 이물질도 제거되지만, 솜이나 부직포는 물의 세척만으로는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음을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미세 구멍이 많이 존재하는 메모리폼이나 라텍스의 경우는 그 세척 능력이 더욱 현저히 떨어짐이 확인되었다.
(2) 건조 시험
아래 표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 솜, 라텍스에 물로 샤워를 한 뒤, 드라이로 일정 시간 동안 강제 건조를 행한 이후의 현미경 촬영사진이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물 세척+건조
(본 발명의 쿠션체)
물 세척+건조
(솜)
물 세척+건조
(부직포)
물 세척+건조
(라텍스)
물 세척+건조
(메모리폼)
그 결과, 현미경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완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 밖의 솜, 부직포, 라텍스, 메모리폼은 모두 강제건조에도 불구하고 물기가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세척 직후의 집먼지 진드기 관찰 시험
아래 표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 솜, 라텍스에 동일한 양의 이물질을 묻힌 다음, 이물질을 샤워기와 진드기 제거 약품으로 처리한 이후에 집먼지와 진드기가 관찰되는지를 시험하였다.
메트리스 종류 세척 후 관찰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 물세척 X
물세척 + 약품처리 X
물세척 + 강제건조 X
라텍스 물세척 O
물세척 + 약품처리 O
물세척 + 강제건조 O
메모리 폼 물세척 O
물세척 + 약품처리 O
물세척 + 강제건조 O
물세척 O
물세척 + 약품처리 O
물세척 + 강제건조 X
부직포 물세척 O
물세척 + 약품처리 O
물세척 + 강제건조 X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물세척만 행하더라도 집먼지 진드기가 완전히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라텍스, 메모리폼, 솜, 부직포는 물세척에 진드기 제거약품을 사용하더라도 집먼지 진드기가 관찰되었다. 다만, 솜과 부직포는 강제 건조를 행한 이후에는 집먼지 진드기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60초 동안의 물세척 만으로도 집먼지 진드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지만, 그 밖에 다른 쿠션에 대해서는 진드기 제거 약품을 사용하여 쿠션을 세척한다고 하더라도, 집먼지 진드기가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위 실험결과로부터 라텍스와 메모리폼은 구멍이 많아 집먼지 진드기가 그 구멍에서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받는 것으로 보이며, 솜이나 부직포는 세척 후 강제 건조를 하는 경우에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집먼지 진드기를 제거하는 데에는 통기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4) 세척 이후 일주일 경과 시점에서의 현미경 관찰
세척을 한 후 일주일이 경과하여 (3)항목의 5가지 쿠션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촬영 사진을 얻었다.
종류 본발명 부직포 라텍스 메트리스 폼
물 세척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물세척
+
약품처리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물세척
+
강제건조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먹이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찰한 것으로, 1주일이 경과하였음에도 본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를 제외하고는 집먼지 진드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쿠션체의 항균성과 집먼지 진드기 서식억제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집먼지진드기는 균이 아니며 미세 동물이기 때문에 항균성능을 가진 솜이나 부직포 또는 라텍스의 물질의 항균 능력과 서식은 아무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60초의 세척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100)는 이물질과 더불어 집먼지진드기가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른 종류의 매트리스는 60초의 물세척으로는 집먼지진드기를 제거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우수한 통기성과 집먼지 진드기의 제거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재(120)가 코어재(110)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베개, 매트리스, 방석, 등받이 등의 다양한 침구류, 소품류, 치료용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쿠션체(200)의 일면에는 코어재(110')를 형성하는 3차원 섬유사(111)가 외부로 노출되는 천(112)의 저면에 위치하고, 쿠션체(200)의 타면에는 피복재(120)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재(110')와 피복재(120)는 하나의 층만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쿠션체(200)의 일면과 타면의 사이에는 코어재(110)와 피복재(120)가 적층된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쿠션체(200)의 일면에 코어재(110')가 직접 지지하는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보다 높은 탄성 강도를 갖는 코어재(110')는 외력(F)에 대하여 보다 탄력적으로 복원력(R)을 발휘하며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디스크 환자에게는 허리 뒷부분을 코어재(110)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는 등받이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매트리스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창 환자에게는 상기 쿠션체(200)를 뒤집어 부드럽고 체압 분산 효과가 우수한 피복재(120)가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피복재(120)로 욕창 환자의 등을 접촉 지지하여 땀이 차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체(200)는 반대편의 피복재(120)가 덮혀있지 않으므로 도3에 도시된 쿠션체(100)에 비하여 보다 높은 통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코어재 성형장치 51: 다이스
52, 53: 성형 롤러 100: 쿠션체
110: 코어재 111: 섬유사
120: 피복재 121: 원단
122: 간격사

Claims (9)

  1. 열가소성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소재의 섬유사가 서로 엉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코어재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단과,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를 단섬유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격사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재에 적층 설치되는 피복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는 상기 간격사보다 선경(線徑)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는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그 표면이 그 내부에 비하여 높은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사는 0.1mm 이상의 선경(線徑)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피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용융시킨 상태로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다이를 중력 방향으로 압출시켜 통과시킨 후, 상기 다이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섬유사를 서로 대향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에 접촉시키면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원단 사이를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 서로 교차하는 교차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간격사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상기 코어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의 일면은 상기 피복재로 노출되고, 상기 쿠션재의 타면은 천의 저면에 상기 코어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는 매트리스, 요, 방석, 등받이, 베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



KR1020110019357A 2011-03-04 2011-03-04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KR20120100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57A KR20120100451A (ko) 2011-03-04 2011-03-04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CN2011101646741A CN102653152A (zh) 2011-03-04 2011-06-14 具有改进渗透性的卫生衬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57A KR20120100451A (ko) 2011-03-04 2011-03-04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51A true KR20120100451A (ko) 2012-09-12

Family

ID=4672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57A KR20120100451A (ko) 2011-03-04 2011-03-04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00451A (ko)
CN (1) CN102653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69A (ko) 2019-02-15 2020-08-25 송림메디칼 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 테이블용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658A (ja) * 1999-01-29 2000-08-08 Deruta Tsuuringu:Kk クッション構造
JP2001055656A (ja) * 1999-08-10 2001-02-27 Nhk Spring Co Ltd 網状クッション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1169867A (ja) * 1999-12-20 2001-06-26 Kakui Kk マット
KR200337780Y1 (ko) * 2003-10-15 2004-01-07 (주)화진테크 충격흡수용 차음부재
JP5030393B2 (ja) * 2004-05-28 2012-09-19 株式会社シーエンジ ベッド用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69A (ko) 2019-02-15 2020-08-25 송림메디칼 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 테이블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3152A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0772B2 (en) Barrier fabric
US20180271300A1 (en) Air-conditioned mattress
JP2006130283A (ja) 体圧分散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29539A (ko)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WO2005104905A1 (ja) クッション材
WO2016189879A1 (ja) 三次元桟構造体
EP2688444A1 (en) Mattresses
KR101622618B1 (ko) 에어룸 거위털 페더베드 토퍼
KR20120100451A (ko) 향상된 통기성을 갖는 위생적인 침구용 쿠션체
KR101553373B1 (ko) 기능성 침구부재
KR101393640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KR101896010B1 (ko) 에어룸 인견 메쉬 토퍼
US20090077745A1 (en) Waterproof bedspread for hospital bed
JP2011011029A (ja) 3次元網目構造マットの製造方法
JPH08325915A (ja) 不織布、その積層体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CN201267326Y (zh) 一种抗菌防螨床垫
KR101559826B1 (ko) 기능성 침대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기능성 침대매트리스
CN208807960U (zh) 一种高抗菌防辐射乳胶床笠
CN207323127U (zh) 一种可加热护颈的凝胶坐垫
JP3207999U (ja) リバーシブルマットレス。
JP6808218B2 (ja) クッション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248535Y (zh) 一种新颖抗菌防螨床垫
CN214414544U (zh) 一种透气防渗液床垫
JPH10183457A (ja) 防ダニシート
JP2001137076A (ja) 寝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