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640B1 -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 Google Patents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640B1
KR101393640B1 KR1020130084331A KR20130084331A KR101393640B1 KR 101393640 B1 KR101393640 B1 KR 101393640B1 KR 1020130084331 A KR1020130084331 A KR 1020130084331A KR 20130084331 A KR20130084331 A KR 20130084331A KR 101393640 B1 KR101393640 B1 KR 10139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ntimicrobial
antibacterial
pores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식
Original Assignee
(주) 클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클푸 filed Critical (주) 클푸
Priority to KR102013008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1Anti-allergen; Anti-m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으로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고, 외피는 적어도 일측의 봉제부 및 그 표면의 누빔부를 포함하며, 봉제부 및 누빔부는 초음파로 융착(融着)되어 형성된 것인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를 개시한다. 이는 항균 캡슐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고 숙면유도 및 피로회복 등의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바늘봉제 공극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불내로 진드기가 침입 할 수 없는 누빔 침구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Anti-bacterial bedding blocking the invasion of mites}
본 발명은 집 먼지 진드기가 침구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2차적인 알레르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초음파로 봉제 처리한 항균 침구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균캡슐이 침투된 고밀도 원단을 초음파로만 완전 봉제 및 누빔처리하여 바늘에 의한 박음질 공극이 전혀 존재하지 않도록 한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에 관한 것이다.
현대병이라 불리는 피부질환은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집먼지 진드기나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새집증후군이 확산되면서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질병이다. 집 먼지 진드기란 거미과에 속하는 것으로 아토피, 기관지 천식과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주로 침대 매트리스, 천소파, 카펫, 의류, 천으로 된 가구 등에 살고 있으며 크기는 0.1~0.3mm 정도로 사람의 눈으로는 구별하기가 어렵다. 섭씨 25-28℃의 온도와 50-80%의 습도에서 왕성한 번식을 하게 되며 사람의 피부각질이나 비듬을 영양분으로 살아간다. 집 먼지 진드기가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전염병을 옮기거나 상처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진드기의 배설물이나 사체 잔해가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피부에 닿게 되어 알레르기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배설물이나 사체 잔해, 알 등에 포함된 구아닌(Guanine)이란 단백질 효소가 몸에 들어가게 되면 우리 몸속 세포가 과민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불은 이러한 집진드기가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특히 예민한 피부이거나 피부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이불 선택에 있어 매우 신중을 기여한다. 이불 원단이 갖는 기능성도 중요하지만, 진드기의 경우 이불의 바느질 공극을 통해 내부로 침투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불이라 할지라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또한 원단에 아무리 좋은 항균 가공을 한다 할지라도 원단 자체가 친인체적이지 않는다면 항균가공 또한 합성물질의 사용을 배제 할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한 항균 가공은 화학물질에 의해 오히려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한편, 각종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 아토피 피부염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삼림욕은 좋은 치료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숲에는 깨끗한 공기와 음이온 그리고 피톤치드 등 인간의 건강에 주는 이로운 요소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피톤치드는’ 가장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져다주는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 피톤치드(Phytoncide)는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Plant(식물)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Killer(살인자)를 합성한 말로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 물질”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피톤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이기에 인간의 신체에 무리 없이 흡수되며 숲 속 향긋한 냄새를 만들어 내는 방향성 물질인 테르펜을 주성분으로 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며, 심폐 기능을 강화시키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특히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다.
항균섬유 및 침구류에 관련한 종래 특허 가운데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73006호의 ‘피톤치드 정유가 내재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된 원단’이 존재한다. 상기 특허는 피부자극이 없고, 소취성, 항균성, 및 내 내세탁성이 우수하며 피톤치드를 지속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의류용 기능성 소재로 적합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한편, 종래 특허 가운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70006호에는 로우 멜팅(low melting)에 의해 제조되고 폴리에스테르와 텐셀과 면으로 구성된 침구류로써 텐셀 함유에 의해 수분 조절이 가능하고 촉감이 부드럽고 박테리아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특허는 친환경섬유인 리오셀계섬유로 원단을 구성하여 섬유자체로써 항균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항균 가공이나 항균섬유가 아니라 이불을 무봉제 처리함으로써 이불 내에 진드기가 침입 하지 못하도록 바느질 봉제공극을 없앤 기술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03609호는 호청 끝단 사이에 핫 멜트 접착제를 설치하여 열과 압력으로 부착한 침구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허에 따르면, 오랜 시간의 경과에도 진드기와 같은 해충이 침구류 내부로 들어가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50786호 ‘극세공극원단으로 이루어진 침구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침구커버’에서는 극세공극원단의 접합이 열융착매트를 매개로 열융착 되도록 하여 외부의 세균 즉, 알레르기 인자가 침구커버내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열거한 종래기술과 같은 항균침구류에 관련한 기술이 존재하나, 항균성과 진드기 차단 효과를 동시에 갖는 기술은 없다. 또한 무봉제 기술에 있어서는 접착제나 열융착 매개를 통한 히팅처리에 그치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한 냄새가 잔존할 여지가 있고, 열에 의한 원단의 경화로 이불의 유연성과 촉감을 저해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집먼지 진드기의 크기는 약 100-300㎛이나, 집먼지 진드기의 배설물 및 사체는 약 40㎛이하의 크기로써 육안으로 구분하기에 그 크기가 매우 작다. 그만큼 이불 내에 침투하여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세탁으로도 제거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된다. 진드기를 차단하기 위한 종전의 기술로써 핫멜트 접착에 의해 바늘봉제를 생략한 침구류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접착제의 사용 등 제조방법에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접착부분의 경화(硬化)가 발생하므로 이불 원단의 유연성이나 촉감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톤치드 항균 캡슐을 처리한 극세공극원단을 이불 원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항균력을 높이고 아토피를 포함한 피부질환 예방 효과를 부여하며, 여기에 초음파로만 융착시켜 봉제처리 및 누빔처리함으로써 이불의 유연성은 저해하지 않고 진드기와 같은 알레르겐의 이불내 침투는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균캡슐이 침투된 극세공극원단을 초음파로 융착시켜 봉제 및 누빔처리한 진드기 차단 항균침구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균 침구류에 있어, 원단의 항균성을 높이고 침구류 내에 진드기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술한 장점을 가진 초음파 봉제 항균침구류를 완성하였으며, 뛰어난 항균, 소취 및 흡습성을 가진 제습시트와 피톤치드 항균캡슐로 처리된 원단을 초음파로 봉제하여 항균 이불을 제조함으로써, 침구류 내 진드기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침구류 내 제습기능이 부여 되어 진드기의 서식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으로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고, 외피는 적어도 일측의 봉제부 및 그 표면의 누빔부를 포함하며, 봉제부 및 누빔부는 초음파로 융착(融着)되어 형성된 것인,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원단은 (a)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00㎛인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 분말을 분산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저면에서 석션하여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항균캡슐을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로부터 미삽입된 항균캡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누빔 침구류에 있어서, 상기 항균원단은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로 항균캡슐 분말을 삽입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삽입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측면에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b)는 단계 (a)에서 항균캡슐 분말의 평균크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2회 내지 3회 순환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누빔 침구류에 있어서, 상기 항균원단에 있어서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리오셀계 섬유는 발열성 아크릴 섬유를 10~30% 혼방하여 연사(Twisting)시킨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누빔 침구류에 있어서, 상기 항균원단에 있어서 알레르기 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상기 극세공극직물은 위사밀도가 인치(Inch)당 80-150 필라멘트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누빔 침구류에 있어서,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측면에서, 상기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캡슐은 그래이프 후르츠, 네롤리, 라벤더, 라임, 레몬그라스, 레몬밤, 로즈, 로즈마리, 마조람, 만다린, 바질, 버베나, 베르가못, 오렌지, 유칼립투스, 쟈스민, 사이프러스, 제라늄, 카모 마일, 쥬니퍼 베리, 타임, 티트리, 스트로 넬라, 시더 우드, 시나몬, 샌달 우드, 일랑일랑, 및 베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누빔 침구류에 있어서, 항균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고 극세공극직물 내부에 삽입된 항균캡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항균원단은 상기 단계 (b) 이후로, (c)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인 항균캡슐 분말이 분산된 아크릴에멀젼을 분사하는 단계; 및 (d)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항균침구류는 내부에 충진된 항균솜층을 포함하고, 항균솜층은 다수의 초음파 봉제선으로 외피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항균 솜을 충전하는 것은 구성하는 이불의 두께, 또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의 누빔 침구류는 천연 펄프를 원료로 한 리오셀계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실크같이 부드러운 촉감을 구현할 수 있고, 뛰어난 흡습성, 강한 내구성이 있다;
(b) 항균 캡슐 내 피톤치드작용으로 항균 및 소취의 기능이 발휘되고,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c) 아로마의 작용으로 숙면유도, 피부질환개선, 피로회복 등의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 특수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착제의 냄새를 걱정할 필요 없고 이불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e) 일반적인 바늘 봉제와 똑같은 방식으로 이불을 봉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이불 봉제 방법에 그대로 적용가능하며 외형 또한 바늘 봉제와 유사하게 구현 가능하다; 및
(f) 바늘봉제 공극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불내로 진드기가 침입할 가능성이 없다.
본 명세서의 용어 리오셀(Lyocell)계 섬유는 그리스어로 Loy(용재)와 Cell(셀룰로오즈)의 합성어로써, 목재 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즈로 만든 신소재 섬유를 의미한다. 리오셀 섬유는 실크에 버금가는 부드러운 촉감과 면(cotton)보다 뛰어난 흡습성, 폴리에스테르와 대등한 강한 내구성을 가졌으며, 생산공정에서 일체의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폐기시에도 땅에 묻으면 생분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친화적인 섬유로 구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리오셀계 섬유를 적용하는 것은 리오셀계 섬유가 갖는 나노피브릴구조가 완벽에 가까운 수분 조절 기능을 부여하여 항균 침구류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리오셀계 섬유는 Tencel (Courtaulds社), Newcell(아코디스社), Lenzing Lyocell (Lenzing社), 및 cocel(KIST:한국과학기술원)을 포함한 군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나, Tencel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극세사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이며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보다 얇게 수축, 가공한 섬유를 의미 한다. 아직 극세사 또는 초 극세사의 국제적인 공인 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은바, 본 명세서에서는 0.001-0.5 Denier의 섬도를 갖는 원사를 상기 편물을 구성하는 극세사 또는 초 극세사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누빔 침구류에서 외피를 구성하는 항균원단은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으로, 이는 구체적으로 (a)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00㎛인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 분말을 분산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저면에서 석션하여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항균캡슐을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로부터 미삽입된 항균캡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리오셀계 섬유는 발열성 아크릴 섬유를 10~30% 혼방하여 연사(Twisting)시킨 것을 특징할 수 있다. 즉, 리오셀계섬유와 발열성 아크를 섬유를 각각 90-70:10-30 의 비율로 혼방 연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리오셀계 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발열성 아크릴 섬유와 혼방 연사하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리오셀계 섬유와 상기 극세사를 직조 할 때 에어제트(air-jet)직기를 사용하여 직조 할 수 있는데 이때, 리오셀계 섬유에 꼬임이 부여 되지 않으면 직조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오셀계 섬유에 발열성 아크릴 섬유를 혼방하면 발열성 아크릴사의 흡습 발열 기능과 리오셀계 섬유의 항균, 초취 및 수분 조절기능이 시너지(synergy) 효과를 일으켜 보다 우수한 항균기능성을 발휘 하며 직물의 쾌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 리오셀계 섬유와 발열성 아크릴 섬유를 혼방 연사하는 것은 중요할 수 있으며 이때, 리오셀계 섬유와 발열성 아크릴 섬유의 혼방비율을 90-70:10-30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혼방비율로도 발열성 아크릴 섬유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친환경적이며 인체친화적인 리오셀계 섬유의 혼방비를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항균 기능의 직물 제조 목적과 부합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연사시 꼬임계수는 200-300TM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직물의 적절한 강도와 마찰력은 상기 꼬임계수의 범위에서 구현 될 수 있어 덧붙여 설명하지만, 꼬임계수가 높을수록 강도와 마찰력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발열성 아크릴 섬유는 세라믹 또는 기타 발열성 분말을 바인더로 아크릴 섬유 표면에 부착한후 흡습발열 가공제를 처리하는 방법, 발열 분발을 아크릴 섬유방사 단계에서 혼입하는 방법, 및 아크릴계 섬유를 개질하여 아크릴계 섬유내 니트릴기를 흡습성인 카르복시기로 가수분해하여 흡습발열성을 부여한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섬유를 가리키며 수분흡수, 마찰 등과 같은 외부자극으로 인하여 섬유스스로 열을 내는 특성을 갖는 아크릴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극세공극직물의 위사밀도는 인치(Inch)당 80-150 필라멘트이고, 공극의 평균 직경은 0.05-5.0㎛인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바람직하게 위사밀도는 인치당 100-150 필라멘트이고 공극의 평균 직경은 0.5-4.0㎛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위사밀도는 인치당 130-150 필라멘트이고 공극의 평균 직경은 1.0-3.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극세공극의 위사밀도 및 공극의 평균 직경은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위사밀도가 높을수록 보다 치밀한 극세공극의 구현이 가능하며 극세공극의 구현은 알레르기 차단의 유무를 결정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10㎛의 평균 공극으로는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며 6-5㎛의 평균 공극에서 비로소 알레르겐 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평균직경이 한없이 낮아질 경우 통기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위사밀도 및 직물의 공극 직경은 효과적인 항균 침구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극세공극은 교직물이 매우 치밀하게 조직되면서 교직구조 사이에 생기는 극히 작은 구멍을 의미할 수 있다. 극세의 범위가 사전적으로 정의되지 않은바 본 명세서에서는 그 범위를 직경 0.05-5.0㎛의 범위로 한정하며 이 범위에 들어오는 공극을 극세공극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캡슐은 바람직하게는 그래이프 후르츠, 네롤리, 라벤더, 라임, 레몬그라스, 레몬밤, 로즈, 로즈마리, 마조람, 만다린, 바질, 버베나, 베르가못, 오렌지, 유칼립투스, 쟈스민, 사이프러스, 제라늄, 카모 마일, 쥬니퍼 베리, 타임, 티트리, 스트로 넬라, 시더 우드, 시나몬, 샌달 우드, 일랑일랑, 및 베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레이프 후르츠, 라벤더, 유칼립투스, 레자늄, 카모마일, 티트리, 시트로넬라, 및 시더우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및 시더우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는 사람에게 이로운 식물의 향기 또는 이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정유(精油)상태로 가공한 방향(芳香)물질을 의미하는데, 상기 기재한 아로마 오일 가운데 라벤더는 피로회복, 우울증, 불면증, 피부재생효과가 있고, 카모마일은 마음진정, 불면증, 피부안정 등에 효과가 있으며, 티트리는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시더 우드는 살균효과와 피부병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캡슐에 포함할 경우 항균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항균 이외의 아로마의 효과가 부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항균 침구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아로마 테라피(therapy)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아로마의 함량비율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피톤치드캡슐을 제조하는 기술이 종래에 공개되었으며 당업자들에게 용이하므로, 피톤치드의 양과 아로마의 함량은 항균 캡슐의 제조시 적절하게 조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항균캡슐은 캡슐의 평균크기가 바람직하게는 0.055 내지 6.000㎛인 마이크로캡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캡슐의 크기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 항균 캡슐은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 피톤치드오일과 아로마오일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석션을 통해 극세공극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캡슐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 피톤치드오일 및 아로마오일의 효능효과를 얻기 어렵고, 그 크기가 6.000㎛보다 크면 바인더에 의한 고착 내지 석션을 통해 캡슐을 직물공극으로 삽입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캡슐의 세탁내구성 및 지속적이 효과발생 등을 고려하여 상기 크기로 한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슐을 직물의 공극 내로 삽입시키기 위해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항균캡슐 분말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저면에서 석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석션은 직물의 공극크기와 항균캡슐의 크기를 고려하여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캡슐의 파쇄 가능성, 캡슐의 효과적인 삽입을 고려하여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원단의 규격을 고려하여 석션시 하나의 흡입구를 갖는 대면적의 석션장치를 통해 원단 저면에서의 석션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다수의 흡입구를 구비한 석션장치를 활용하여 석션의 진공도를 원단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할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극세공극직물의 평균직경 및 항균캡슐 분말의 평균크기를 범위로써 표현하였는데, 이는 극세공극직물이 다수의 공극을 가지며 이들 공극은 그 크기에 있어서 미차가 존재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고, 또한 항균캡슐 분말 또한 획일적인 크기를 갖는 분말인 경우도 있으나 일정 크기 범위를 갖는 다수 군들의 집합체일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적 의의는 석션을 통해 직물의 공극내로 항균캡슐을 삽입시킨다는 것에 있는바, 적어도 상기한 범위 내에서 직물의 공극크기 대비 항균캡슐의 크기가 적정하게 클 경우 이러한 기술적 의의가 달성될 수 있으며, 직물의 공극크기 대비 항균캡슐의 크기가 작거나 동일한 경우 석션을 통해 항균캡슐이 흡입될 것이고 그 크기가 너무 큰 경우라면 석션을 통해서도 항균캡슐이 원단의 공극내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것임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의도하에서 본 발명에서의 극세공극직물의 평균직경은 0.05 내지 5.0㎛이고,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 분말은 그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인 것으로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석션을 통해 항균 캡슐을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로 삽입시키는 것은 원천적으로 알레르겐을 침구류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더욱이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완전하게 끼워진 형태로 항균캡슐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세탁내구성에 있어서도 유리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00㎛인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분말을 분산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저면에서 석션하여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항균캡슐을 삽입시킨 다음,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로부터 미삽입된 항균캡슐분말을 제거한다.
이 과정은 항균캡슐분말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2회 내지 3회 반복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석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항균캡슐분말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항균캡슐 분말이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로 효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석션을 통해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항균캡슐을 삽입시키는 것에 더하여,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 분말이 분산된 아크릴에멀젼을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직물의 표면에 항균캡슐이 분산된 아크릴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항균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세탁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항균캡슐이 분산된 아크릴 에멀젼을 분산시킨 다음 건조로에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로 열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70-90 ℃에서 10-30분간 처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85℃에서 15-25분간 처리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에서 20분간 처리할 수 있다. 열처리는 상기 극세공극직물을 최종적으로 수축하여 공극의 크기를 보다 치밀하게 수축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고 뜨거운 열로 직물표면을 마치 다림질 한 효과처럼 윤기나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일련의 방법을 통해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을 얻을 수 있다.
이후로 이러한 항균원단을 이용하여 초음파 융착 및 누빔처리를 통해 진드기 차단 누빔 침구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진드기 차단 누빔 침구류는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으로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고, 외피는 적어도 일측의 봉제부 및 그 표면의 누빔부를 포함하며, 봉제부 및 누빔부는 초음파로 융착(融着)되어 형성된 것이다.
초음파 융착은 단순한 열에 의한 접착인 핫 멜트 접착과는 달리 높은 진동수에 의해 열을 유도함으로써 접착제가 따로 필요 없고, 원하는 방향과 원하는 무늬로 융착시키며 봉제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초음파 파장의 범위는 초음파로 인해 원단이 재단될 수도 있고, 융착에 그치는 봉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초음파 파장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초음파 봉제는 재봉기의 형태, 원헤드 또는 투헤드 형식, 퀼팅 형식 등의 방식으로 일반적인 봉제의 모든 공정을 초음파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봉제과정과 똑같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초음파 봉제는 재봉틀 형식, 원 헤드 형식, 투 헤드 형식, 및 퀼팅 형식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봉제를 적용구현 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봉제공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봉제기에 바늘 대신 초음파 혼(horn)이 구비 되어 있는 것으로, 원단이 초음파 혼 아래를 지나가게 되면, 혼의 진동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열에 의해 원단이 융착되며 봉제가 이루어지는 원리이다. 특히 다수의 혼으로 구성되는 초음파 퀼팅기의 경우, 혼의 아래에 위치하는 롤러의 형상에 따라 단순한 퀼팅패턴부터 원헤드 또는 투헤드 형식으로 구현하기에는 생산속도가 오래걸리는 복잡한 패턴까지 구현이 매우 용이 하므로 생산 속도가 월등히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초음파 봉제를 다양한 봉제공정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누빔 침구류의 일예로, 패드 또는 누빔 이불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통상 퀼팅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누빔 침구류의 경우 추가적으로 그 내부에 항균솜층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항균솜층의 고정 또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전체적으로 봉제부 및 누빔부가 초음파 융착을 통해 이루어진 진드기 차단 누빔 침구류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피톤치드 캡슐의 제조
스타이렌말레익 무수물의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5중량% 가하고 95℃를 유지하며 2~3시간 동안 용해시켜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총 중량대비 67중량%, 피톤치드오일 25중량% 및 아로마 오일 8중량%를 혼합한 후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약 11,000rpm으로 유화분산하였다. 15분이 경과된 후 상기 유화분산시킨 0/W형 안정유제 100중량부에 열경화성 수지인 메틸화 메틸올멜라민 수지를 20중량부를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상기 반응계를 60℃로 가열하여 반응물을 2시간동안 축합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냉각시켜 캡슐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기위해 28% 암모니아수용액을 가하여 상기 나노캡슐슬러리의 pH를 8.5로 상승시킴으로써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최종 평균입자크기가 3.6㎛인 피톤치드 캡슐을 얻었다.
제조예 2. 고밀도 극세공극 직물의 제조(특허출원 10-2011-0054435 기재된 방법 참조)
65 데니어, 204 필라멘트인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경사로 하고, 약 300TM 정도로 꼬임을 부여한 발열성 텐셀 50수를 위사로 하여 에어제트(Air Jet)을 이용하여 위사를 쏘아 제직하였다. 위사밀도는 인치당 110으로 하고, 71인치의 폭으로 제직하였다.
상기에서 발열성 텐셀 섬유는 발열성 아크릴사와 텐셀사를 꼬임계수가 280TM이 되도록 연사하되 그 혼섬 비율이 20:80이 되도록 꼬임을 부여하여 제조하였다.
얻어진 극세공극직물은 평균 공극의 크기가 2.9 내지 5.0㎛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공극을 갖도록 제직되었다.
제직이 끝난 후에는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호발공정(가호;Sizing 공정 등에서 발생한 호제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 및 표백공정(가성소다를 첨가하여 표백)으로 극세공극 직물 원단 준비공정을 마무리하였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공극의 평균크기는 ASTM F 316-03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극세공극 직물에 항균 캡슐 처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고밀도 극세공극 직물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마이크로 피톤치드 캡슐 분말을 분사함과 동시에, 저면에서 석션기로 석션하여 극세공극 직물의 공극의 채널 내로 마이크로캡슐을 삽입시켰다.
그 다음 공극 내에 마이크로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로부터 미삽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마이크로 피톤치드캡슐 20중량%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성에멀젼이 혼합된 수계 조성물을 분사시켜 직물의 표면에 마이크로 피톤치드캡슐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건조와 큐어링(curing)을 거쳐 항균처리를 완료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피톤치드 캡슐이 처리된 고밀도 극세공극 직물을 시레가공(80℃ 열처리)을 하여 직물의 공극을 더욱 촘촘하게 함으로써 극세공극 항균직물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이불 패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항균원단으로 패드의 윗면 및 아랫면을 구성하여 준비하였다. 폭 사이즈가 210cm가 되도록 각각 재단하고 항균원단이 바깥을 향하게 패드의 윗면과 아랫면을 초음파 퀼팅기에 동시에 투입하되, 그 사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균 캡슐이 침투된 0.5-2cm의 두께의 패드용 압축 솜이 위치하도록 퀼팅기에 투입시켰다. 퀼팅처리가 끝나 길이방향 230cm로 재단하고, 패드의 네 모서리를 초음파 재봉기로 바이어스 처리하여 패드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3. 누빔 이불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패드와 동일한 초음파 퀼팅법으로 진행하였지만, 누빔 이불의 경우, 이불의 윗면과 아랫면을 각각 퀼팅처리하여 준비하였다. 다만, 이불 시트 윗면은 초음파 퀼팅 처리 시 원단 사이에 0.5-1cm의 항균 솜(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항균 캡슐이 침투되어 있는 솜)을 위치하여 퀼팅하였다는 점이다. 이불 시트의 윗면과 아랫면을 각각 초음파 퀼팅 처리한 후, 가로 200cm × 세로 210cm 가 되도록 재단하였다. 이렇게 재단된 원단의 네 모서리를 끝단이 서로 마주보게 접어 넣은 후 초음파 봉제기를 사용하여 초음파로 봉제하여 누빔 이불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시트의 일 측 모서리에는 초음파 봉제로 지퍼를 달아 내부에 솜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험예 1. 소취성 테스트( 가스검지관법 )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공극 항균원단 1g을 샘플로 철사에 끼워 삼각 프라스크에 넣고 28%의 암모니아수 5㎕를 함께 넣은 후, 고무마개로 막고 파라필름(para film)으로 한번 더 밀봉하였다. 일정 시간 (30분, 60분, 90분, 120분)이 경과한 후 검지관을 이용하여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에 대조군으로써 상기 샘플만 제외하고 동일 조건에서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가스의 농도는 각 샘플당 2회씩 실험하여 평균치를 구한다음 하기 소취율 계산식에 대입하여 소취율을 계산하였다.
소취율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시험시간 초기 30분 경과 60분 경과 90분 경과 120분 경과
소취율(%) - 87 89 91 93
실험예 2. 항균성 테스트
대조군으로써 항균처리를 하지 않은 100% 폴리에스터 극세사로 제조한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울 통해 제조한 극세공극 항균원단을 실험군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2개씩 준비되었고, 대조군과 실험군에 공시균 1(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및 공시균 2(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를 각각 1.0×105개/㎖의 농도로 접종 및 배양시켰다. 배양이 완료되면 일정량의 액체 속에 진탕시켜 배양된 세균을 추출하고 그 수를 측정하여 세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세균감소율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시험 시료 세균감소율 (%)
공시균 1 공시균 2
대조군 21.3 17.9
실험군 99.9 이상 99.9 이상
실험예 3. 쾌적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극세공극 항균원단의 대기 중 습도 변화에 따른 표면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흡습발열성을 테스트 하였다. 45°C, 60%의 항온항습조건하에서 시간에 따른(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원단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시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온도 24℃ 27℃ 25℃ 23℃ 21℃ 20.5℃
상기 결과는 원단이 습한 조건에서 얼마나 수분조절을 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결과로써 10분까지는 환경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였으나 자츰 감소함으로써 원단 고유의 온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성질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극세공극 항균원단을 침구류로 제작할 경우, 항균성만이 아니라 쾌적성 또한 우수하여 수면을 유도하기에 우수한 기능을 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세탁 내구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극세공극 항균원단을 5회 수세 및 완전 건조 한 다음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실험을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피톤치드 항균캡슐의 세탁 내구성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으로써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각각의 소취율과 세균 감소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시료 세탁전 세탁후
평균 소취율 평균 세균감소율 평균 소취율 평균 세균감소율
본 발명 90 % 99.9 이상 89.4 % 98.0 %
그 결과 5회의 세탁 후에도 우수한 성적의 소취율과 세균 감소율을 보이며 피톤치드 항균캡슐의 우수한 세탁 내구성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초음파봉제 유무에 따른 진드기차단 테스트
초음파 봉제로 제조한 이불이 진드기 차단에 얼마나 효과가 높은지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처리를 하지 않은 100% 폴리에스터 극세사 원단(대조군 A) 및 상기 실시예1의 방법을 통해 제조한 항균원단(대조군 B)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봉제(실로 박음처리)한 이불 패드를 대조군으로써 각각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2의 이불 패드를 실험군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이불을 어린이들이 많이 생활하는 어린이 집에 30일간 제공하여 사용하게 한 뒤, 세탁을 하지 않는 조건에서 10일 단위로 이불 안쪽의 진드기 수를 확인하였다.
대조군 A 대조군 B 실험군
10일 경과 평균 20 마리/㎡ 평균 3 마리/㎡ 평균 0 마리/㎡
20일 경과 평균 50 마리/㎡ 평균 5 마리/㎡ 평균 0 마리/㎡
30일 경과 평균 120 마리/㎡ 평균 10 마리/㎡ 평균 0 마리/㎡
테스트 결과 이불 내로 진드기가 침입하는 가능성이 대조군 A에서 가장 높았고, 대조군 B 또한 진드기의 침입을 완전히 막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대조군 B의 경우 피톤치드 항균력에 의해 진드기가 많이 번식하지는 못하였으나, 원천 차단에는 한계가 있어 보였다. 그에 반해 실험군인 항균이불은 30일이 경과 된 후에도 이불 안쪽에는 진드기가 전혀 침입하지 못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어, 초음파 봉제가 진드기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선호도 조사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통해 제조한 패드 및 누빔이불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남녀비율 1:1의 아토피 증상이 심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각 연령대별(10세 미만, 10대, 20대)로 일주일간 사용 후 그 선호도를 5점 척도(1점=평소보다 피부가려움 증상이 더욱 심하였음, 2점=일반 이불과 차이 없이 피부가려움이 발생하였음 3점=일반 이불보다는 가려움이 덜 하였으나 기대만큼은 아니었음. 4점=가려움증상이 완화되고 비교적 숙면하였음, 5점=평소와 다르게 아주 쾌적한 상태로 숙면하였으며 기상 후에도 가려움의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였음.)법으로 측정하였다. 10세 미만 가운데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영유아의 경우 실험대상 부모의 관찰 결과가 점수에 반영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았다.
1점 2점 3점 4점 5점 평균
10세 미만 - - - 6 4 4.4
10대 - - 1 3 6 4.5
20대 - - - 2 8 4.8
총 평균 - - 1 11 18 4.56
선호도 조사 결과 20대의 평균 점수가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 평균 점수는 4.5 이상을 보이며 상기 극세공극 항균원단에 대한 선호도 결과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60%에 해당하는 18명의 응답에서 5점이 나올 정도로 그 선호도는 매우 높았고 이 수치는 예민한 아토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인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항균원단의 우수한 기능성을 보여주는 실험결과로 해석될 수 있었다.

Claims (7)

  1.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이 삽입된 형태로 존재하는 항균원단으로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고,
    외피는 적어도 일측의 봉제부 및 그 표면의 누빔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제부 및 상기 누빔부는 초음파로 융착(融着)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항균원단은 (a) 리오셀계 섬유 및 극세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평균직경이 0.05 내지 5.0㎛인 다수의 공극을 갖는 극세공극직물의 표면에, 평균크기가 0.055 내지 6.000㎛인 피톤치드를 포함한 항균캡슐 분말을 분산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저면에서 석션하여 극세공극직물의 공극 내에 항균캡슐을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항균캡슐이 삽입된 극세공극직물로부터 미삽입된 항균캡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원단은 그 표면에 항균캡슐 분말이 분산된 아크릴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계 섬유는 발열성 아크릴 섬유를 10~30% 혼방하여 연사(Twisting)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공극직물은 위사밀도가 인치(Inch)당 80-150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캡슐은 그래이프 후르츠, 네롤리, 라벤더, 라임, 레몬그라스, 레몬밤, 로즈, 로즈마리, 마조람, 만다린, 바질, 버베나, 베르가못, 오렌지, 유칼립투스, 쟈스민, 사이프러스, 제라늄, 카모 마일, 쥬니퍼 베리, 타임, 티트리, 스트로 넬라, 시더 우드, 시나몬, 샌달 우드, 일랑일랑, 및 베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7.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충진된 항균솜층을 포함하고, 항균솜층은 다수의 초음파 봉제선으로 외피에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KR1020130084331A 2013-07-17 2013-07-17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KR10139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31A KR101393640B1 (ko) 2013-07-17 2013-07-17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31A KR101393640B1 (ko) 2013-07-17 2013-07-17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640B1 true KR101393640B1 (ko) 2014-05-13

Family

ID=5089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31A KR101393640B1 (ko) 2013-07-17 2013-07-17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398A (zh) * 2017-09-15 2018-03-06 南通香佳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微胶囊纺织品抗螨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74752A (ko) * 2017-12-20 2019-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CN111549422A (zh) * 2020-04-09 2020-08-18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大麻与莱赛尔交织面料的生产方法
CN112064170A (zh) * 2020-09-04 2020-12-11 黎扬斌 一种抗菌保暖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330A (ko) * 2007-01-12 2008-07-16 (주)박홍근홈패션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KR20120135621A (ko) * 2011-06-07 2012-12-17 (주)클푸코리아 텐셀 섬유 함유 발열성 극세공극 직물
KR20130079938A (ko) * 2012-01-03 2013-07-11 강현숙 알레르겐 방지 건강침구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330A (ko) * 2007-01-12 2008-07-16 (주)박홍근홈패션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KR20120135621A (ko) * 2011-06-07 2012-12-17 (주)클푸코리아 텐셀 섬유 함유 발열성 극세공극 직물
KR20130079938A (ko) * 2012-01-03 2013-07-11 강현숙 알레르겐 방지 건강침구재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398A (zh) * 2017-09-15 2018-03-06 南通香佳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微胶囊纺织品抗螨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74752A (ko) * 2017-12-20 2019-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2586492B1 (ko) * 2017-12-20 2023-10-1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CN111549422A (zh) * 2020-04-09 2020-08-18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大麻与莱赛尔交织面料的生产方法
CN112064170A (zh) * 2020-09-04 2020-12-11 黎扬斌 一种抗菌保暖面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525A (en) Layered fabric mattress
KR101393640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TWM612680U (zh) 彈簧床墊
KR101978547B1 (ko) 3차원 메시 원단이 적용된 매트리스
CN202037942U (zh) 多种纤维面料复合垫
KR101393641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차렵 침구류
KR101389305B1 (ko) 항균캡슐을 포함하는 알러지 차단 침구류 및 그 제조방법
KR101479729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침구류의 제조방법
JP4269068B2 (ja) 患者用敷布
JP2004244756A (ja) 中わた用繊維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寝装品
KR101393639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홑겹 침구류
CN212972465U (zh) 一种带防螨功能的负离子床垫
KR100655906B1 (ko)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매트리스
CN208324393U (zh) 一种热风亲水亲肤式无纺布
CN106637661A (zh) 一种保健棉纤被芯
CN213861065U (zh) 一种防螨调温布料
CN201424539Y (zh) 竹炭竹纤维
CN201185797Y (zh) 多功能复合被
KR20190042793A (ko)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CN109259534A (zh) 一种可提供香氛的家纺用品
CN210540414U (zh) 一种编织席
CN220344118U (zh) 一种防蚊婴儿睡袋
CN210276700U (zh) 一种编织席
JP3161614U (ja) 使い捨て用寝具
KR102031343B1 (ko)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