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343B1 -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 Google Patents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343B1
KR102031343B1 KR1020170162648A KR20170162648A KR102031343B1 KR 102031343 B1 KR102031343 B1 KR 102031343B1 KR 1020170162648 A KR1020170162648 A KR 1020170162648A KR 20170162648 A KR20170162648 A KR 20170162648A KR 102031343 B1 KR102031343 B1 KR 102031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bric
polymer
part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687A (ko
Inventor
이채은
최윤성
Original Assignee
(주)마이하우스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하우스,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주)마이하우스
Priority to KR102017016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3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Bedding Item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사에 항균 기능을 갖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한 위사 및 경사를사용하여 교직 후, 제직 단계를 통하여 항균성, 방충성, 대전방지성, 유해전자파 차단성 및/또는 소취성이 우수하여 침대커버, 이불커버 등의 용도로 건강에 유익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Functional textile having antibacterial and deodorant properties}
본 발명은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사에 항균 기능을 갖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한 위사 및 경사를 사용하여 교직 후, 제직 단계를 통하여 항균성, 방충성, 대전방지성, 유해전자파 차단성 및/또는 소취성이 우수하여 침대커버, 이불커버 등의 용도로 건강에 유익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이불, 침대패드, 소파, 카펫 등의 침구류에는 각종 포도상 구균, 폐렴균, 대장균 등의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가 번식하여 사람에게 각종 질병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를 유발하여 건강한 생활을 방해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세균 및 진드기에 의한 문제는 어린이, 노약자, 수술환자, 알레르기 질환자 및 면역성이 저하된 사람에게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부스럼, 중이염, 신우염, 방광염, 뇌막염, 폐렴, 뾰루지 등을 일으킬 수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은 인체에 가장 광범위한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균이 되므로 이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것은 중요하다.
세균 이외에 집먼지 진드기는 각종 알레르기 질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가장 중요하고 위험한 인자는 진드기 배설물이다. 진드기는 이불 또는 카펫 1장당 200만 마리까지 서식가능하며, 기관지 천식, 비염,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종전에는 집먼지 진드기로 인한 질환예방은 실질적으로 침구, 카펫, 소파 등을삶고, 말리고, 털어주는 방법 뿐이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TV, 컴퓨터, 오디오기기, 핸드폰, 전자레인지 등 전자기기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전자파에 노출되는 빈도 및 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는 뇌파이상, 순환계 이상, 남성 생식기능 저하, 월경불순, 면역체계 약화, 호르몬 분비장애 등의 해로움을 사람들에게 미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소수성의 합성섬유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특히 습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마찰에 의하여 발생한 정전기가 축적되어 이를 접촉하게 된 사람에게 쇼크를 일으키는 현상이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정전기에 의한 쇼크는 단순히 불쾌감만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먼지부착, 가연성 가스의 폭발유발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개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직 또는 제편 등으로 통하여 직물, 편물 등으로 한 후, 대전방지가공, 방오가공, 방충가공 등을 행하였으나, 원사특성의 개선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물 또는 편물 등의 상태에서 대전방 지제, 방충제 등을 패딩 및 고착하는 후가공공정의 내재적인 특성상 세탁견뢰도가 불량하여 통상적으로 20회 이상의 세탁을 행하면 가공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253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항균 및 소취기능, 대전방지기능, 유해전자파 차폐기능, 축열기능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특성의 세탁견뢰도가 우수한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합체(A)와 중합체(B)의 총량이 100중량부이고,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중합체(A)
50∼99중량부 및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B) 1~50중량부를 혼합한 중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크릴사를 형성하되,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경사와,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위사를 사용하여 직물로 제직한 후, 잔사를 제거를 위한 모소가공 및 염색, 바이오워싱의 공정을 통하여 침구소재를 형성시킬 수 있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위사(1,3,5 및 7)위에 뜬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이고, 위사(1,3,5 및 7)밑에 가라앉은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인 능직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경사와 위사는 제직기를 통하여 평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능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주자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중직물조직, 파일직물조직, 익직물조직, 및 3축직물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하여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경사 및 위사는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50∼99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A)를 형성하는 단계;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1~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되는 단계;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경사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위사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사와 위사를 사용하여 제직기를 통하여 평직 구조의 직물로 형성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 제품은 침대 커버, 이불 커버, 이불, 매트리스, 방석커버, 베개커버, 매트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에 대한 항균 특성, 진드기에 대한 방충특성, 유해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특성, 음이온 방사특성,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보온성이 우수하여 침대 커버, 이불 커버, 이불, 매트리스, 매트의 용도로 사용될 때 인체의 질병예방 및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과 수면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은 세균, 진드기의 번식을 방지하여 각종 질병과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우수한 보온성과 정전기 방지기능을 갖춘 가정용 침구로서 어린이나 노약자, 수술환자, 알레르기 질환자, 아토피 피부질환자 및 면역성이 떨어진 사람에게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공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원사의 특성조정에 의한 것이므로 세탁견뢰도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침구용 직물의 조직 패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제품의 소취성 시험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의 항균력 검사결과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은 중합체(A)와 중합체(B)의 총량이 100중량부이다.
여기서, 중합체(A)는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50∼99중량부이다.
그리고, 중합체(B)는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1~50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된다.
한편,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경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위사로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 및 위사는 필요에 따라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위사와 경사에 의한 위 작용 외에도 꼬임으로 인한 원사간의 결합력이 더욱더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을 가진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위사 밀도 또는 경사 밀도가 10-50%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사 또는 경사의 밀도가 10-50% 수축하게 되면, 촉감이 우수해지고 고급스런 소재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 고수축의 결과 10-50%의 밀도 수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축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재현성 있는 10-50%의 밀도 수축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직(交織)"이라 함은 면사 또는 모달(modal)과 아크릴사의 2가지 종류의 원사를 함께 사용하여 일정 비율파일이 되도록 제직 한다는 의미이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사와 위사를 사용하여 침구용 직물로 제직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 제품은 침대 커버, 이불 커버, 이불, 매트리스, 방석커버, 베개커버, 매트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직물은 위사(1,3,5 및 7)위에 뜬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이고, 위사(1,3,5 및 7)밑에 가라앉은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인 평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직물구조의 일 예로서 2/2 ↗ 평직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직물은 평직구조에 한하지 않고 능직, 주자직, 및 상기 평직, 능직, 주자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또는 중직물조직, 파일직물조직, 익직물조직, 3축직물조직 등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직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경사는 통상적인 면사, 양모사, 면/폴리에스테르혼방사, 면/레이온 혼방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침대커버, 이불커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인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것을 감안할 때 친수성의 면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특징은 바람직하게 위사는 통상적인 모달(modal 섬유사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다른 장점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 아크릴사 제조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50∼99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A)를 형성하는 단계;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1~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2 : 경사 제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경사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 밀도는 10-50% 수축된다.
실시예 3 : 위사 제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위사로 형성된다. 상기 위사 밀도는 10-50% 수축된다.
실시예 4 : 침구용 직물의 제조
통상의 제직기(미도시됨)를 통하여 능직 또는 평직 구조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경사는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원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위사는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원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제직된 직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염색, 및 가공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 항균성 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직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편을 공시균으로 접종 및 배양시킨 후 일정량의 액체속에 진탕시켜 배양된 세균을 추출시킨다. 이 액체속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가 측정되면, 시험편에서의 세균감소율이 계산된다. 시험편의 크기는 지름이 4.8cm인 원형으로 하였다. 아래의 표 1은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 폐렴균( Klebsiella pneumoniae ), 대장균( Escherichia coli ), 고초균( Bacillus subtilis )에 대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한 항균성 시험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블랭킹(blank) 실시예 4의 시험편
황색포도상구균 초기균주주
18시간후 균수
정균감소율(%)
1.3 × 105
6.0 × 106
---
1.3 × 105
4.3 × 105
99.9
례렴균 초기균주주
18시간후 균수
정균감소율(%)
1.5 ×105
6.6 ×105
---
1.5 ×105
4.7 ×105
99.9
대장균 초기균주주
18시간후 균수
정균감소율(%)
1.3 × 105
6.3 × 106
---
1.3 ×105
6.9 ×105
99.9
고초균 초기균주주
18시간후 균수
정균감소율(%)
1.4 × 105
6.7 × 106
---
1.4 ×105
9.1 ×105
99.9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대장균, 고초균에 대하여 99.9의 높은 정균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방충성 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직물에 대하여 방충성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침입저지법, 확산저지법 및 시험관법으로 실시되었다. 진드기가 배지에서 시험시료에 포함된 유인물질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침입저지법에 의한 시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경 3.5cm ×높이 1cm의 플라스틱제 접시에 시험시료(직물)를 놓고 그 위에 유인물질인 진드기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 0.05g을 놓는다. 상기 접시를 직경 9cm ×높이 2cm의 플라스틱제 접시의 한가운데 에 놓는다. 이어서, 직경 3.5cm의 접시와 직경 9cm의 접시의 사이에 진드기 배지를 균일하게 펴
놓는다. 이들 접시를 포화식염수를 사용해서 75 ±2% RH로 유지된 가로 27cm ×세로 13cm ×높이 9cm의 플라스틱제 식품보존용기에 넣고, 다시 이 식품보존용기는 25±2℃의 항온항습기에 넣어 두고 24시간 후 시료에 침입된 생존 진드기수를 계측한다.
표 2는 큰 다리 먼지 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 세로무늬 먼지 진드기(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에 대하여 침입저지법을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시험편에 대한 항균성 시험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초기
진드기수
생존
진드기수
기피율(%)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
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
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
먼지진드기
대조시료 3.2 ×104 3.7 ×104 4.3 ×103 5.3 ×103 --- ---
실시예 4의
시험시료
3.2 ×104 3.7 ×104 6.4 ×102 6.0 ×102 85.1 90.5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직물은 사용공시충인 큰다리먼지 진드기 및 세로무늬 진드기에 대해서 80% 이상의 기피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 소취성 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직물에 대하여 소취성(掃臭性)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가스검지관법을 사용하였다. 시료크기 10 ×10cm, 주입된 암모니아 수용액의 양 1㎕, 및 용기의 부피 500㎖의 조건으로 시험하였으며, 소취율은 다음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소취율(%) = [블랭크 가스의 농도(㎍/g) - 시료편 가스의 농도(㎍/g)]/블랭크 가스의 농도(㎍/g) ×100.
시험시간 실시예7의 소취율(%)
30분 후 70
60분 후 72
90분 후 74
120분 후 76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의 직물은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2시간 후에는 적어도 76% 감소시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에 대한 항균 특성, 진드기에 대한 방충특성, 유해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특성, 음이온 방사특성,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보온성이 우수하여 침대 커버, 이불 커버, 이불, 매트리스, 매트의 용도로 사용될 때 인체의 질병예방 및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과 수면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침구용 직물은 세균, 진드기의 번식을 방지하여 각종 질병과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우수한 보온성과 정전기 방지기능을 갖춘 가정용 침구로서 어린이나 노약자, 수술환자, 알레르기 질환자, 아토피 피부질환자 및 면역성이 떨어진 사람에게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공공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원사의 특성조정에 의한 것이므로 세탁견뢰도도 우수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 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3,5,7. 위사
2,4,6,8. 경사

Claims (8)

  1. 중합체(A)와 중합체(B)의 총량이 100중량부이고,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중합체(A) 50~99중량부 및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B) 1~50중량부를 혼합한 중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크릴사를 형성하되,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경사와,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는 위사를 사용하여 직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1,3,5 및 7)위에 뜬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이고, 위사(1,3,5 및 7)밑에 가라앉은 경사(2,4,6 및 8)의 수가 2개인 능직 또는 평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위사는 제직기를 사용하여 평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능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주자직에서 변화된 유도조직, 중직물조직, 파일직물조직, 익직물조직, 및 3축직물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제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6. 아크릴로니트릴 40~80중량%와 할로겐 함유 모노머 20~60중량% 및 술폰산 함유 모노머 0~5중량%를 함유하는 50~99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A)를 형성하는 단계;
    수산화인산석회(Hydroxyapatite; 하이록시애파타이트) 90중량%와, 은(Ag) 2~5중량%와, 아연(Zn) 0~5중량%의 항균물질을 함유하는 1~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A) 50~99중량부와 중합체(B) 1~50중량부는 하나의 중합 조성물로 함유되고 0.12Ne(수)의 섬도를 가지는 아크릴사로 방사되는 단계;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면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경사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아크릴사 20~50 중량%와 모달40수 50~80 중량%의 혼용율로 합사되어 위사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사와 위사를 사용하여 제직기를 통하여 능직구조의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7. 제6항의 제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직물.
  8. 제7항의 직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침대 커버, 이불 커버, 이불, 매트리스, 방석커버, 베개커버, 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170162648A 2017-11-30 2017-11-30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KR10203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648A KR102031343B1 (ko) 2017-11-30 2017-11-30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648A KR102031343B1 (ko) 2017-11-30 2017-11-30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687A KR20190063687A (ko) 2019-06-10
KR102031343B1 true KR102031343B1 (ko) 2019-10-11

Family

ID=6684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648A KR102031343B1 (ko) 2017-11-30 2017-11-30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3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132Y1 (ko) 2002-05-16 2002-10-14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항균성, 방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KR100371093B1 (en) 2002-05-16 2003-02-07 Unitrade Co Ltd Fabric pad having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antiinsect activity and static electricity prevention
JP2017193807A (ja) 2016-04-22 2017-10-26 東洋紡株式会社 寝具用織物または編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47B1 (ko) 2014-02-26 2014-08-01 (주)지피엔이 항균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132Y1 (ko) 2002-05-16 2002-10-14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항균성, 방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KR100371093B1 (en) 2002-05-16 2003-02-07 Unitrade Co Ltd Fabric pad having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antiinsect activity and static electricity prevention
JP2017193807A (ja) 2016-04-22 2017-10-26 東洋紡株式会社 寝具用織物または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687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900B1 (ko) 항균 직물
US8980772B2 (en) Barrier fabric
DE4027798A1 (de) Ueberzuege fuer matratzen, federbetten und kopfkissen zum schutz gegen hausstaub-milben-allergien
KR101584733B1 (ko) 전도성 동도전사로 제직되는 직물
KR101393640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KR102031343B1 (ko)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침구용 직물
KR100745685B1 (ko) 나노은 코팅층이 형성된 음이온 방사 침구
KR200292132Y1 (ko) 항균성, 방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KR101681162B1 (ko) 항균성 더블 라셀 원단
AU755332B2 (en) Methods of controlling house dust mites and bedmites
KR200350676Y1 (ko) 항균성, 방충성 또는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KR101389305B1 (ko) 항균캡슐을 포함하는 알러지 차단 침구류 및 그 제조방법
CN211942372U (zh) 一种防螨除臭复合面料
CN204434856U (zh) 三明治结构布料、衣服、裤子以及床单
CN201248535Y (zh) 一种新颖抗菌防螨床垫
TWI823317B (zh) 蟎類捕獲製品,及蟎類捕獲方法
CN216330519U (zh) 一种抗菌阻燃环保纤维地毯
CN201139288Y (zh) 一种黄麻保健垫
CN213861065U (zh) 一种防螨调温布料
KR101479729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침구류의 제조방법
CN106667344A (zh) 一种抗菌浴巾
JP3086355U (ja) 畳構造
CN213309386U (zh) 一种抗菌防螨的乳胶毛巾
CN218683155U (zh) 抗病毒沙发
CN215551641U (zh) 一种防螨防静电床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