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995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995A
KR20120099995A KR1020110018567A KR20110018567A KR20120099995A KR 20120099995 A KR20120099995 A KR 20120099995A KR 1020110018567 A KR1020110018567 A KR 1020110018567A KR 20110018567 A KR20110018567 A KR 20110018567A KR 20120099995 A KR20120099995 A KR 2012009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mage
network
program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876B1 (ko
Inventor
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876B1/ko
Priority to PCT/KR2012/001429 priority patent/WO2012118302A2/en
Priority to JP2013556542A priority patent/JP6084171B2/ja
Priority to AU2012223816A priority patent/AU2012223816B2/en
Priority to EP19177185.6A priority patent/EP3554059A1/en
Priority to EP12157107.9A priority patent/EP2495944B1/en
Priority to CN201210053194.2A priority patent/CN102655552B/zh
Priority to CN201510504255.6A priority patent/CN105162625B/zh
Priority to US13/411,449 priority patent/US8833641B2/en
Publication of KR2012009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95A/ko
Priority to US14/488,214 priority patent/US9123271B2/en
Priority to US14/826,988 priority patent/US99222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ing time-dependent keys, e.g. periodically chang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 무선 랜 기능과 같이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상기 무선 랜 기능은 무선접속장치인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휴대용 단말기(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들에게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 랜은 초기에는 전파 도달거리가 10m에 불과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50m~수백m까지 전파 도달거리가 대폭 확장되고 있으며 상기 무선 랜의 전송 속도 역시 향상되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무선 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해야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과정은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연결하는 과정, 네트워크 주소의 입력하는 과정, 보안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같은 많은 절차를 수행해야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 컴퓨터와 다르게 출력 화면의 크기가 한정되어 한 화면에 출력할 내용이 한정되어 더 많은 절차를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SSID, IP Address, DHCP, DNS, Subnet, Gateway, WEP, AdHoc, AP 등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네트워크 설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시 많은 문자와 숫자가 결합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하는데 다수의 키 입력시 오탈자가 입력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보안 정보를 구두 전달로 확인하여 타인에게 보안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네트워크 연결 전 또는 연결 후) 실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일정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지 않으며 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추출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명칭, 버전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는 과정과, 상기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명칭, 버전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코드 이미지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설정 정보 입력 오류 및 보안키 노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모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에서 연결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TV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휴대용 단말기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모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주변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코드 이미지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코드이미지 생성부(102),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 메모리부(110), 입력부(112), 표시부(114) 및 통신부(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는 정보 수집부(10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는 이미지 획득부(10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동작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코드 이미지로 생성한 후 주변 디바이스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들을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시키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의 형태를 일정시간 마다 변경하여 네트워크 연결이 지연되면 새로운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등과 같은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보 외에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생성 프로그램의 명칭, 버전 정보 등) 및 코드 이미지 인식 후(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 수행 전 또는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프로그램의 명칭, 프로그램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버전 정보 등)도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의 정보 수집부(104)는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및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정보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의 정보(프로그램의 명칭, 프로그램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이나 실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전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후 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또는 실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주변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더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생성 프로그램 정보 및 버젼 등) 및 코드 이미지 획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프로그램의 명칭, 프로그램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버전 정보 등)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의 이미지 획득부(108)는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의 제어를 받아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는 사용자에 의한 촬영 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된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부(110)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 및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수신메시지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의 정보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부(11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에 의해 분석된 네트워크 정보,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및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을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코드 이미지, 상기 코드 이미지를 통해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4)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6)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하여 상기 통신부(116)는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 무선랜, 적외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동작과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모두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네트워크 연결을 대기하는 동작만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서 코드 이미지 분석부(102)의 구성 요소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네트워크 연결 동작만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서 코드 이미지 생성부(106)의 구성 요소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부(102) 및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106)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모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모드는 주변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주변 기기와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연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2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킨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주변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와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및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 수행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등을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는 하기 도 8의 내용과 같이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 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한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주변 디바이스에서 생성되지 않은 코드 이미지의 정보로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로 주변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주변 디바이스의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한 코드 이미지를 분석한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코드 생성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한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획득한 후,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9단계에서 획득한 코드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한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13단계에서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13단계에서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11단계에서 획득한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적외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변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무선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경우,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자 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15단계에서 선택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219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환경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연결하는 단계, 네트워크 주소의 입력하는 단계, 보안 설정 단계 등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환경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디바이스로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후, 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에서 연결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먼저 301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코드 이미지로 제공하는 연결 대기 모드를 시작한다.
이후,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코드 생성 정보를 추출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추출한 코드 생성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 전 또는 연결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프로그램의 명칭, 프로그램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버전 정보 등)를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출력 화면에 코드 이미지를 출력한 후, 311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검색 과정, 네트퉈크 주소 입력 과정 및 보안 설정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네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주소 정보, 보안 정보를 직접 설정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환경 설정에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코드 이미지는 참조번호 (a)와 같이 2차원 바코드 형식(401)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1차원 바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등의 형식으로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는 주변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한 코드 이미지임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 버전 정보), 주변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는 네트워크 연결 전 또는 연결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생성한 코드 이미지를 출력 화면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코드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번호 (b)와 같이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촬영 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된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주변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들을 확인하여 참조번호 (c)와 같이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네트워크 연결 환경을 설정한 후, 참조번호 (d)와 같이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서 네트워크 연결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경우, 참조번호 (e)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후 주변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락처, 메시지, 주소록 등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코드 이미지에서 네트워크 연결 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경우,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 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실행 모드를 변경하거나 동기화 프로그램을 미리 실행하여 동기화 과정을 대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컴퓨터(505)는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네트워크 연결 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수행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상기 컴퓨터(505)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결 대기 모드(510)로 진입한 후,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512)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와 컴퓨터(505) 사이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후, 상기 컴퓨터(505)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514)한 후,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와 자동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코드 이미지(516)로 표현한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505)는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예; 프로그램 명, 버전 정보)를 코드 이미지에 추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505)는 네트워크 연결 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임에 따라 동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이라는 정보를 함께 코드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컴퓨터(505)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프로그램의 정보 및 연결 후 실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컴퓨터(505)는 코드 이미지를 출력 화면에 출력(518)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컴퓨터(505)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501)는 컴퓨터(505)의 네트워크 정보 확인을 위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520)한 후, 상기 컴퓨터(505)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동작(522)시킨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코드 이미지를 촬영(524)한 후 촬영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526)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컴퓨터(505)의 자동 연결 프로그램 명과 버전, 무선랜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인터페이스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 후 자동으로 실행할 프로그램(예; 동기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505)에서 무선랜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자신도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한다고 판단(528)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컴퓨터(505)의 무선랜 인터페이스가 접속한 AP(503)로 접속(530)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AP(503) 연결을 통해 상기 컴퓨터(505)와 연결(532)을 시도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컴퓨터가 네트워크 연결 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확인하여 자신의 동기화 프로그램을 실행(534)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상기 실행한 동기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505)와 프로그램 연동 과정(주소록 동기화, 메시지 동기화)(536)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TV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TV(603)는 무선랜과 이더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을 가정한다.
먼저, 상기 TV(603)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결 대기 모드로 진입(610)한 후,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612)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와 TV(603) 사이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후, 상기 TV(603)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TV(603)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무선랜과 이더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정보)를 획득(614)한 후,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와 자동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코드 이미지로 표현(616)한다.
이때, 상기 TV(603)는 상기 확인한 네트워크 정보 가운데 네트워크에 연결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로 접속된 AP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TV(603)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에는 하기 <표 1>과 같은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terface WiFi
spec 802.11n
SSID SamsungHome
Gateway 192.168.0.1
Netmask 255.255.255.0
DNS 8.8.4.4
IP Address 192.168.0.10
WEP suwon
즉, 상기 TV(603)는 무선래과 이더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운데 무선랜을 통해 "SamsungHome"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그룹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Gateway, Netmask, DNS, IP Address, WEP를 확인하여 코드 이미지에 포함시킨다.
이후, 상기 TV(603)는 상기 생성한 코드 이미지를 출력 화면 일부에 출력(618)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TV(603)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601)는 TV(603)의 네트워크 정보 확인을 위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620)한 후, 상기 TV(603)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동작(622)시킨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코드 이미지를 촬영(624)한 후 촬영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626)하여 상기 TV(603)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TV(602)의 자동 연결 프로그램 명과 버전을 확인하여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인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현재 TV(603)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동작(628)시킨 후,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630)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서 획득한 SSID와 WEP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되었는지 확인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IP Address를 이용하여 상기 TV(603)로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전송(634)한다.
이에 따라, 상기 TV(60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수신(636)하여 프로그램 연동 과정을 수행(640)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로부터 일정 시간(10초 임계값) 동안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638), 상기 TV(603)는 기생성한 코드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과정을 새로이 시작하도록 처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휴대용 단말기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무선랜과 블루투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주변 친구와 무선 연결을 통해 파일을 공유하고 싶으나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거나 보안성이 낮은 AP에 접속하는 것을 원하는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먼저,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결 대기 모드로 진입(710)한 후,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712)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와 다른 휴대용 단말(701)기 사이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후,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무선랜과 블루투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정보)를 획득(714)한 후,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716)한다. 이때,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하기 <표 2>와 같은 애드혹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nterface WiFi
spec 802.11n
SSID SamsungAdHoc
Gateway 192.168.0.1
Netmask 255.255.255.0
DNS 8.8.4.4
IP Address 192.168.0.10
WEP suwon
즉,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래과 블루투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운데 무선랜을 통해 "SamsungAdHoc"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그룹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Gateway, Netmask, DNS, IP Address, WEP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10)는 상기 형성한 애드혹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718)한 후 상기 생성한 코드 이미지를 출력 화면에 출력(720)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701)는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의 네트워크 정보 확인을 위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722)한 후,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동작(724)시킨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코드 이미지를 촬영(726)한 후 촬영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728)하여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의 애드혹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주변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연결 프로그램 명과 버전을 확인하여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인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가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amsungAdHoc"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그룹에 연결되어 있고 192.168.0.1에 해당하는 DNS, 게이트웨이와 IP Address를 사용하고 Netmask로 255.255.255.0을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의 WEP으로 Suwon을 사용함을 확인하여 보안 연결시 상기 확인한 WEP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현재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에서 애드혹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동작(730)시킨 후,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732)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서 획득한 SSID와 WEP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되었는지 확인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IP Address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로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전송(736)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수신(738)하여 프로그램 연동 과정을 수행(742)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로부터 일정 시간(10초 임계값) 동안 네트워크 접속 성공 알림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740), 상기 주변 휴대용 단말기(703)는 기생성한 코드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과정을 새로이 시작하도록 처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모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모드는 주변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주변 기기와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연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8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8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801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킨 후, 805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주변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와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및 코드 이미지 분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한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주변 디바이스에서 생성되지 않은 코드 이미지의 정보로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로 주변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예; Ethernet, WiFi, Bluetooth 등),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연결 전 또는 연결 후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실행 모드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및 주변 디바이스와 연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한 코드 이미지를 분석한 후, 809단계로 진행하여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한 후, 813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기능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획득한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예; 실행 파일의 위치, 파일 이름)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실행 모드 및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자동 실행 프로그램 실행 전에 코드 생성 정보를 확인하여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한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활성화한 후, 네트워크 연결 환경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연결하는 단계, 네트워크 주소의 입력하는 단계, 보안 설정 단계 등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환경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17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디바이스로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8에서는 코드 이미지를 통해 획득한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 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및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 전에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기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과 동시에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 이미지를 통해 동기화 프로그램을 미리 실행한 후 네트워크 연결과 동시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코드이미지 생성부 106: 코드이미지 분석부

Claims (2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후,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도록 처리하되,
    상기 자동 실행 프로그램은 실행 모드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네트워크 연결 후 실행되는 프로그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이미지일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아닐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중단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추출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코드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명칭, 버전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실행 모드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네트워크 연결 후 실행되는 프로그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이며, 실행 파일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가운데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네트워크 연결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 형식의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한 후, 일정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의 형식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는 과정과,
    상기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코드 이미지 인식 후 자동으로 실행시킬 자동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후,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 프로그램은 실행 모드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네트워크 연결 후 실행되는 프로그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한 후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코드 이미지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이미지일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이미지가 허가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아닐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확인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주변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한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자동 연결 프로그램의 명칭, 버전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 IP Address, Gateway, Netmask, DNS, 접속된 SSID, WEP key, 코드 이미지 생성 정보,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실행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실행 모드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네트워크 연결 후 실행되는 프로그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이며, 실행 파일의 위치, 파일 이름, 실행 순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네트워크 연결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코드), 문자열, 숫자열, 컬러 코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 형식의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한 후, 일정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의 형식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18567A 2011-03-02 2011-03-02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67A KR101836876B1 (ko) 2011-03-02 2011-03-02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556542A JP6084171B2 (ja) 2011-03-02 2012-02-24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連結を行う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AU2012223816A AU2012223816B2 (en) 2011-03-02 2012-02-24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PCT/KR2012/001429 WO2012118302A2 (en) 2011-03-02 2012-02-24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EP19177185.6A EP3554059A1 (en) 2011-03-02 2012-02-27 Generation and scanning of barcode-data for registering in a wireless network
EP12157107.9A EP2495944B1 (en) 2011-03-02 2012-02-27 Generation and scanning of barcode-data for registering in a wireless network
CN201210053194.2A CN102655552B (zh) 2011-03-02 2012-03-02 用于在便携式终端中建立网络连接的装置和方法
CN201510504255.6A CN105162625B (zh) 2011-03-02 2012-03-02 用于在便携式终端中建立网络连接的装置和方法
US13/411,449 US8833641B2 (en) 2011-03-02 2012-03-02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4/488,214 US9123271B2 (en) 2011-03-02 2014-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4/826,988 US9922273B2 (en) 2011-03-02 2015-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67A KR101836876B1 (ko) 2011-03-02 2011-03-02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95A true KR20120099995A (ko) 2012-09-12
KR101836876B1 KR101836876B1 (ko) 2018-03-09

Family

ID=4589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567A KR101836876B1 (ko) 2011-03-02 2011-03-02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833641B2 (ko)
EP (2) EP2495944B1 (ko)
JP (1) JP6084171B2 (ko)
KR (1) KR101836876B1 (ko)
CN (2) CN102655552B (ko)
AU (1) AU2012223816B2 (ko)
WO (1) WO2012118302A2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49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WO2014151925A1 (en) * 2013-03-15 2014-09-25 Proteus Digital Health, Inc. Re-wearable wireless device
US9603550B2 (en) 2008-07-08 2017-03-28 Proteus Digital Health, Inc. State characterization based on multi-variate data fusion techniques
US9756874B2 (en) 2011-07-11 2017-09-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10097388B2 (en) 2013-09-20 2018-10-09 Proteus Digital Health,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ceiving and decoding a signal in the presence of noise using slices and warping
US10187121B2 (en) 2016-07-22 2019-01-22 Proteus Digital Health, Inc. Electromagnetic sensing and detection of ingestible event markers
US10205776B2 (en) 2014-12-23 2019-02-1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US10223905B2 (en) 2011-07-21 2019-03-05 Proteus Digital Health, Inc. Mobile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ingestible device
US10305544B2 (en) 2009-11-04 2019-05-28 Proteus Digital Health, Inc.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US10398161B2 (en) 2014-01-21 2019-09-03 Proteus Digital Heal 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10517506B2 (en) 2007-05-24 2019-12-31 Proteus Digital Health, Inc. Low profile antenna for in body device
US11158149B2 (en) 2013-03-15 2021-10-26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1357730B2 (en) 2006-10-25 2022-06-1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ntrolled activation ingestible identifier
US11744481B2 (en) 2013-03-15 2023-09-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d assessing outcomes
US11928614B2 (en) 2006-05-02 2024-03-1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atient customized therapeutic regim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0953B2 (en) * 2009-06-1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ation
KR101836876B1 (ko) 2011-03-02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022280B2 (en) * 2011-06-24 2015-05-05 Verisign, Inc. Multi-mode barcode resolution system
US9280643B2 (en) * 2012-05-11 2016-03-08 Netgear, Inc.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CN104620662A (zh) * 2012-09-07 2015-05-13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方法、便携终端、信息处理装置和程序
CN102929595A (zh) * 2012-09-20 2013-02-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动作指令的方法及装置
CN103974257B (zh) * 2013-01-29 2018-08-14 华为终端有限公司 接入点的接入方法及相关设备
US20140211018A1 (en) * 2013-01-29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configuration with machine-readable identifiers
US9736541B1 (en) * 2013-03-06 2017-08-15 Cox Communications, Inc. Pairing a set-top box and personal computing device using a visual code
US9386474B2 (en) * 2013-03-07 2016-07-05 Arris Enterprises, Inc. Qualification of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US9100942B2 (en) 2013-03-14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WiFi Direct connection using machine-readable labels
JP6194628B2 (ja) * 2013-04-30 2017-09-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376523B (zh) * 2013-08-12 2019-06-18 天津市阿波罗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面向谷歌眼镜的图像代码防伪系统构成方法
GB201319591D0 (en) * 2013-11-06 2013-12-18 Microsoft Corp Network Access
CN109462848B (zh) * 2013-11-19 2021-11-05 华为终端(深圳)有限公司 接入Wi-Fi热点设备的方法、Wi-Fi热点设备和用户设备
CN103648050B (zh) * 2013-12-23 2017-01-1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在智能电视中连接远程存储设备的方法和装置
CN104883343A (zh) * 2014-02-28 2015-09-0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网络联机分享方法、系统及其事务机器
US10448080B1 (en) * 2014-04-02 2019-10-15 Cox Communications, Inc. Pairing and correlating mobile devices to provide a personalized user experience
CN105282864A (zh) * 2014-07-25 2016-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与智能终端通信连接的方法及装置
KR102354763B1 (ko) 2014-11-17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US10635802B2 (en) 2015-04-10 2020-04-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Fi network
CN105160854B (zh) * 2015-09-16 2019-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9948927B2 (en) 2016-03-10 2018-04-17 Intel Corporation Using an optical interface between a device under test and a test apparatus
JP6746427B2 (ja) * 2016-08-10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396319B (zh) * 2017-09-01 2019-09-20 深圳回收宝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认证的方法、设备、存储介质以及终端回收设备
CN108235249B (zh) * 2018-01-16 2020-1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编码方式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2185045B (zh) * 2018-05-07 2021-11-09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报警方法和系统
KR102137194B1 (ko) * 2018-10-3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678096B (zh) * 2018-11-09 2019-11-2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以圖碼交換資料之文件處理系統及方法
TWI676106B (zh) * 2018-11-09 2019-11-0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以圖碼開啟點對點傳輸的資料交換系統及方法
KR102357368B1 (ko) * 2020-08-10 2022-02-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미디어 출력 기기에서 Wi-Fi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EP4260591A1 (en) * 2020-12-09 2023-10-18 Google LLC Leveraging cloud anchors in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0626B2 (en) * 2001-08-07 2007-01-30 Konic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387656B2 (ja) * 2002-10-24 2009-1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情報端末、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情報端末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40253923A1 (en) * 2003-06-12 2004-12-16 Braley Richard 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pairing devices
JP3840243B2 (ja) 2004-08-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入力システム
JP4101225B2 (ja) * 2004-10-19 200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0594127B1 (ko) *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JP2006261938A (ja) * 2005-03-16 2006-09-2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61939A (ja) * 2005-03-16 2006-09-2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010621B2 (en) * 2005-10-11 2011-08-30 Nokia Corporation Offline webpage activated by reading a tag
JP2007199947A (ja) * 2006-01-25 2007-08-09 Hitachi Ltd インストール支援方法、インストール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882405B2 (ja) * 2006-02-15 2012-02-2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機能設定システム
JP2007274567A (ja) 2006-03-31 2007-10-18 Olympus Imaging Corp 情報機器システム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に用いる電子カメラ
JP5140874B2 (ja) 2006-05-12 2013-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それらに用いられる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312179A (ja) * 2006-05-19 2007-11-29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当該画像表示システムの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確立方法
JP5162850B2 (ja) * 2006-07-10 2013-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FR2906667B1 (fr) * 2006-10-02 2009-01-16 Eastman Kodak Co Production de codes visuels pour l'appariement d'equipements electroniques.
FR2906913B1 (fr) * 2006-10-05 2009-02-20 Eastman Kodak Co Procede et systeme pour mettre a jour automatiquement des donnees enregistrees dans un identifieur a radiofrequence
KR101130201B1 (ko) * 2006-11-27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 및 그 단말기
JP4883698B2 (ja) * 2007-02-15 2012-02-22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鍵配布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63459A (ko) * 2007-12-14 200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과 이를 이용한단말기 및 시스템
US8320676B2 (en) * 2008-01-31 2012-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ing camera-equipped electronic devices using an encoded mark
JP2009267578A (ja) * 2008-04-23 2009-11-12 Panasonic Corp ネットワーク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US8342407B2 (en) * 2008-07-21 2013-01-01 Gilbarco, In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bluetooth device with a point-of-sale terminal
US8215541B2 (en) 2008-12-30 2012-07-10 Dell Products, L.P. Automated proximity-related network authorization
US8879994B2 (en) * 2009-10-02 2014-11-0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Bluetooth pairing using a camera as a barcode scanner
KR101836876B1 (ko) * 2011-03-02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8614B2 (en) 2006-05-02 2024-03-1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atient customized therapeutic regimens
US11357730B2 (en) 2006-10-25 2022-06-1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ntrolled activation ingestible identifier
US10517506B2 (en) 2007-05-24 2019-12-31 Proteus Digital Health, Inc. Low profile antenna for in body device
US11217342B2 (en) 2008-07-08 2022-01-0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Ingestible event marker data framework
US9603550B2 (en) 2008-07-08 2017-03-28 Proteus Digital Health, Inc. State characterization based on multi-variate data fusion techniques
US10682071B2 (en) 2008-07-08 2020-06-16 Proteus Digital Health, Inc. State characterization based on multi-variate data fusion techniques
US10305544B2 (en) 2009-11-04 2019-05-28 Proteus Digital Health, Inc.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US9756874B2 (en) 2011-07-11 2017-09-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10223905B2 (en) 2011-07-21 2019-03-05 Proteus Digital Health, Inc. Mobile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ingestible device
KR2014011349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US11744481B2 (en) 2013-03-15 2023-09-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d assessing outcomes
US11158149B2 (en) 2013-03-15 2021-10-26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4151925A1 (en) * 2013-03-15 2014-09-25 Proteus Digital Health, Inc. Re-wearable wireless device
US10498572B2 (en) 2013-09-20 2019-12-03 Proteus Digital Health,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ceiving and decoding a signal in the presence of noise using slices and warping
US11102038B2 (en) 2013-09-20 2021-08-2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ceiving and decoding a signal in the presence of noise using slices and warping
US10097388B2 (en) 2013-09-20 2018-10-09 Proteus Digital Health,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ceiving and decoding a signal in the presence of noise using slices and warping
US10398161B2 (en) 2014-01-21 2019-09-03 Proteus Digital Heal 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11950615B2 (en) 2014-01-21 2024-04-09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10205776B2 (en) 2014-12-23 2019-02-1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US10797758B2 (en) 2016-07-22 2020-10-06 Proteus Digital Health, Inc. Electromagnetic sensing and detection of ingestible event markers
US10187121B2 (en) 2016-07-22 2019-01-22 Proteus Digital Health, Inc. Electromagnetic sensing and detection of ingestible event mar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302A2 (en) 2012-09-07
US20120223132A1 (en) 2012-09-06
US9123271B2 (en) 2015-09-01
EP2495944B1 (en) 2019-06-19
JP6084171B2 (ja) 2017-02-22
EP3554059A1 (en) 2019-10-16
CN105162625A (zh) 2015-12-16
US20150356378A1 (en) 2015-12-10
US9922273B2 (en) 2018-03-20
EP2495944A2 (en) 2012-09-05
JP2014511630A (ja) 2014-05-15
US20150002494A1 (en) 2015-01-01
CN105162625B (zh) 2018-11-13
CN102655552A (zh) 2012-09-05
KR101836876B1 (ko) 2018-03-09
AU2012223816B2 (en) 2015-07-30
EP2495944A3 (en) 2016-03-23
US8833641B2 (en) 2014-09-16
WO2012118302A3 (en) 2012-12-20
CN102655552B (zh) 2015-09-16
AU2012223816A1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999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89493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5027116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6139121B2 (ja) 無線lan設定端末、無線lan端末および無線lan設定方法
KR2012005636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88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088700A (zh) 可自动建立通讯连结的电子装置以及通讯连结建立方法
KR2011002290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918296B (zh) 网络连接协助系统及方法
EP3086582B1 (en) Method, device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im card information
CN102654850A (zh) 电脑与无线电子装置的配对方法
CN112073771A (zh) 一种无线投屏方法及装置
KR10186519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코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738789B (zh) Sim卡加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480886B2 (ja) 無線通信装置ならびに無線設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200149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 파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103803A (ja) 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
US91549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articip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27554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68353A (ja) 機器間通信方法および情報端末
KR101744982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13115475A (zh) 一种无线连接方法及其系统
CN114727267A (zh) 信道建立与信息传输方法、设备、存储介质以及程序产品
JP201402290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接続方法、電子機器、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