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733A -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733A
KR20120098733A KR1020127013187A KR20127013187A KR20120098733A KR 20120098733 A KR20120098733 A KR 20120098733A KR 1020127013187 A KR1020127013187 A KR 1020127013187A KR 20127013187 A KR20127013187 A KR 20127013187A KR 20120098733 A KR20120098733 A KR 20120098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ntium carbonate
strontium
fine
aqueous suspens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952B1 (ko
Inventor
후미오 오카다
다케시 히모토
Original Assignee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C01F11/186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01F11/187Stront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평균 애스펙트비가 2.0 이하인 구상 입자로 이루어지고, BET 비표면적이 20 ? 150 ㎡/g 의 범위에 있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이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액체 매체에 대한 분산성이 높고, 티탄산스트론튬 등의 유전체 세라믹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STRONTIUM CARBONATE MICROPOWD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용도 중 하나로서, 티탄산스트론튬 분말 등의 유전체 세라믹 분말의 제조 원료의 용도가 있다. 예를 들어, 티탄산스트론튬 분말은, 탄산스트론튬 분말과 이산화티탄 분말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물로 한 후, 소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유전체 세라믹 분말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세라믹층의 구성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세라믹층의 박층화가 필요해진다. 이 유전체 세라믹층의 박층화를 위해서는, 미세하고 또한 조성이 균일한 유전체 세라믹 분말이 불가결하다.
미세하고 또한 조성이 균일한 유전체 세라믹 분말을 제조하려면, 원료의 분말을 미세하게 하고, 또한 분말 혼합물의 조성을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조성이 균일한 분말 혼합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원료의 분말을 액체 매체에 분산시켜 혼합하는 습식 혼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 세라믹 분말 제조용으로서 사용하는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미세하고 또한 액체 매체에 대한 분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 에는, 미세한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제조 방법으로서, 농도가 1 ? 20 질량% 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1 분자 중에 2 이상의 카르복실기 또는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3 ? 12 의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그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수산화스트론튬 1 g 에 대하여 0.5 ? 200 ㎖/분의 범위의 유량으로 도입하고,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건조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유기산으로는, 시트르산, 말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글루카르산, 글루쿠론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아스코르브산이 예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상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비표면적이 52 ? 300 ㎡/g 인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이 얻어지고, 그리고 이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에 대하여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1 차 입자의 투영 면적 상당 직경이 5 ? 50 ㎚ 이고, 애스펙트비로 2 이하인 입자를 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액체 매체 중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표면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로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 에는,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표면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수성 매체 중에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하여 그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분쇄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69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22496호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제조시에,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되어 있는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미세한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제조하기에는 유용하지만, 분쇄 처리 후의 탄산스트론튬 입자는 모난 부정형의 다면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중에 모난 부정형의 다면체상의 입자가 많이 존재하면, 액체 매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조성의 분말 혼합물을 얻기 어려워진다. 또,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면, 세라믹제 비즈의 성분이 마모에 의해 최종 제품인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에 혼입되어, 생성 미분말의 순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매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한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액체 매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한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을,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
본 발명자는,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각각 적어도 1 개 또한 합계로 적어도 3 개 갖는 유기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말산 및 글루콘산) 의 존재하에서,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소정의 조건으로 도입하고,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킴으로써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현탁액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주속 (周速) 으로 5 ? 32 m/초가 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교반 날개로 교반 혼합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세라믹제 비즈를 사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평균 애스펙트비가 2.0 이하로 작은 구상 입자로 이루어지고, BET 비표면적이 20 ? 150 ㎡/g 의 범위로 입자 사이즈가 미세한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그리고, 그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액체 매체에 미세한 미립자로서 비교적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균 애스펙트비가 2.0 이하인 구상 입자로 이루어지고, BET 비표면적이 20 ? 150 ㎡/g 의 범위에 있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이다.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바람직한 양태는 다음과 같다.
(1) 평균 애스펙트비가 1.2 ? 2.0 의 범위에 있다.
(2) 구상 입자의 표면에,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 농도가 1 ? 20 질량% 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각각 적어도 1 개 또한 합계로서 적어도 3 개 갖는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그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수산화스트론튬 1 g 에 대하여 0.5 ? 200 ㎖/분의 범위의 유량으로 도입하고,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킴으로써,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얻는 공정,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5 ? 32 m/초의 주속으로 회전하는 교반 날개로 교반 혼합하는 공정, 그리고 교반 혼합 후의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산이 타르타르산, 말산 및 글루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2) 교반 혼합 공정에 있어서의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가, 그 폴리머를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에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미세한 구상 입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체 매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이산화티탄 등의 다른 재료 분말과 습식 혼합법을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미세하고 또한 균일한 조성의 분말 혼합물을 얻을 수 있고, 이로써, 미세하고 또한 균일한 조성의 티탄산스트론튬 등의 유전체 세라믹 분말을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세라믹제 비즈에 의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상기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 는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 은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평균 애스펙트비 (장경/단경비) 가 2.0 이하인 구상 입자의 집합체이다. 평균 애스펙트비는 바람직하게는 1.2 ? 2.0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9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상이란, 진구상 (眞球狀) 일 필요는 없고, 장구상 (長球狀), 모서리가 둥글게 된 정육면체상이나 직육면체상이어도 된다. 또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에 함유되는 모든 입자가 구상일 필요는 없지만, 입자의 개수 기준으로 60 % 이상, 특히 80 % 이상의 입자가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상 입자는 통상적으로 1 차 입자이다.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BET 비표면적이 20 ? 150 ㎡/g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0 ? 150 ㎡/g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50 ㎡/g 의 범위에 있다. 즉,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미세하고, 입자 사이즈가 하기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BET 환산 입자 직경으로서, 11 ? 81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1 ? 41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27 ㎚ 의 범위에 있다.
BET 환산 입자 직경 (㎚) = 1000 × 6/[BET 비표면적 (㎡/g) × 탄산스트론튬의 진밀도 (3.70 g/㎤)]
본 발명의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은, 예를 들어,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소정의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그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도입하고,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키는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의 제조 공정과,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교반 날개로 교반 혼합하는 교반 혼합 공정과, 그리고 교반 혼합 후의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은, 수산화스트론튬의 농도가 일반적으로 1 ? 20 질량%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 ? 15 질량%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8 질량% 의 범위이다.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유기산은,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각각 1 개 이상이고 또한 합계가 3 개 이상이 되도록 함유하는 유기산이다. 유기산은, 카르복실기의 수가 1 개 또는 2 개이고 또한 그것들의 합계가 3 ? 6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산의 예로는, 타르타르산, 말산 및 글루콘산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타르타르산은 DL-타르타르산이 바람직하다. 말산은 DL-말산이 바람직하다. 글루콘산은 D-글루콘산이 바람직하다. 유기산의 사용량은, 수산화스트론튬 100 질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1 ? 20 질량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부의 범위이다. 유기산은, 수산화스트론튬의 탄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탄산스트론튬의 결정 성장을 억제하는 결정 성장 억제제로서 작용함과 함께, 탄산화에 의해 생성된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는 응집 억제제로서도 작용한다.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도입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유량은, 수산화스트론튬 1 g 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5 ? 200 ㎖/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0 ㎖/분의 범위이다. 수산화스트론튬의 탄산화의 종료점은, 일반적으로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의 pH 가 7 이하가 된 시점이다.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킬 때,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의 액온은 0 ? 4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 ? 3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5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교반 혼합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는,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무수 말레산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예로는, 닛폰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말리알림 KM-0521, 말리알림 AKM-0531, 말리알림 AKM-1511-60, 말리알림 HKM-50A, 말리알림 AKM-150A 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사용량은, 수성 현탁액 중의 탄산스트론튬 100 질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5 ? 20 질량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폴리머는, 탄산화시키기 전의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첨가해도 되지만,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의 교반 혼합에서 사용하는 교반 날개의 주속은, 일반적으로 5 ? 32 m/초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 16 m/초의 범위이다. 이 교반 혼합에는 호모 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교반 혼합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1 ? 200 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 100 분의 범위이다.
교반 혼합 공정 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의 건조에는, 스프레이 드라이어 혹은 드럼 드라이어 등의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온 10 ℃ 의 순수 3 ℓ 에 수산화스트론튬 팔수화물 366 g 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농도 5.6 질량% 의 수산화스트론튬 수성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이 수산화스트론튬 수성 현탁액에 타르타르산 (DL-타르타르산,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의 시약 특급) 7.1 g (수산화스트론튬 100 질량부에 대하여 4.3 질량부) 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어서 수산화스트론튬 수성 현탁액의 액온을 10 ℃ 로 유지하면서, 교반을 계속하면서, 그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3.75 ℓ/분의 유량 (수산화스트론튬 1 g 에 대하여 22 ㎖/분의 유량) 으로 그 수성 현탁액의 pH 가 7 이 될 때까지 분사하여,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킨 후, 다시 30 분간 교반을 계속하여,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얻었다.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에 말리알림 KM-0521 (닛폰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을 15 g (탄산스트론튬 100 질량부에 대하여 9.6 질량부) 첨가한 후, 호모 믹서 (프라이믹스 주식회사 제조, T.K. 호모믹서 Mark Ⅱ) 를 사용하여, 교반 날개를 7.85 m/초의 주속으로 회전시키며 1 시간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 혼합 종료 후,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켜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의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구상 입자의 집합체임을 알 수 있다.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BET 비표면적이 107.2 ㎡/g 이고, BET 환산 입자 직경이 15.1 ㎚ 인 미분말이었다. 또,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300 개의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애스펙트비를 측정하여, 그 평균 애스펙트비를 구한 결과, 1.6 이었다.
또한,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0.2 g 칭량하여, 이것을 농도 0.2 질량% 의 헥사메타인산 수용액 20 ㎖ 에 투입하고, 초음파 호모게나이저 (BRAMSON 사 제조, SONIFIER150) 를 사용하여 5 분간 초음파 분산 처리를 실시하여 탄산스트론튬 입자 분산액을 조제하고, 그 분산액 중의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61 ㎚ 로, BET 환산 입자 직경의 약 4 배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수치로부터, 탄산스트론튬 입자는 분산액 중에 거의 1 차 입자에 가까운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타르타르산 대신에 말산 (DL-말산,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의 시약 특급) 7.1 g 을 수산화스트론튬 수성 현탁액에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의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구상 입자의 집합체임을 알 수 있다. 또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BET 비표면적이 83.4 ㎡/g 이고, BET 환산 입자 직경이 19.4 ㎚ 이고, 평균 애스펙트비가 1.8 인 미분말이었다.
또한,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탄산스트론튬 입자 분산액을 조제하고, 그 분산액 중의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16 ㎚ 로, BET 환산 입자 직경의 약 6 배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수치로부터, 탄산스트론튬 입자는 분산액 중에 거의 1 차 입자에 가까운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타르타르산 대신에 글루콘산 (D-글루콘산,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의 시약 특급) 25.5 g (수산화스트론튬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2 질량부) 을 수산화스트론튬 수성 현탁액에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의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구상 입자의 집합체임을 알 수 있다. 또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은, BET 비표면적이 100 ㎡/g 이고, BET 환산 입자 직경이 16.2 ㎚ 이고, 평균 애스펙트비가 1.3 인 미분말이었다.
또한,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분말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탄산스트론튬 입자 분산액을 조제하고, 그 분산액 중의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산스트론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20 ㎚ 로, BET 환산 입자 직경의 약 7.4 배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수치로부터, 탄산스트론튬 입자는 분산액 중에 거의 1 차 입자에 가까운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6)

  1. 평균 애스펙트비가 2.0 이하인 구상 입자로 이루어지고, BET 비표면적이 20 ? 150 ㎡/g 의 범위에 있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2. 제 1 항에 있어서,
    평균 애스펙트비가 1.2 ? 2.0 의 범위에 있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3. 제 1 항에 있어서,
    구상 입자의 표면에,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를 갖는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4. 농도가 1 ? 20 질량% 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스트론튬의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각각 적어도 1 개 또한 합계로 적어도 3 개 갖는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그 수용액 혹은 수성 현탁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수산화스트론튬 1 g 에 대하여 0.5 ? 200 ㎖/분의 범위의 유량으로 도입하고, 수산화스트론튬을 탄산화시켜 탄산스트론튬 입자를 생성시킴으로써,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얻는 공정, 얻어진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5 ? 32 m/초의 주속으로 회전하는 교반 날개로 교반 혼합하는 공정, 그리고 교반 혼합 후의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탄산스트론튬 미분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타르타르산, 말산 및 글루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산인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교반 혼합 공정에 있어서의 측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인 폴리머의 존재가, 그 폴리머를 탄산스트론튬 입자 수성 현탁액에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KR1020127013187A 2009-10-28 2010-10-28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1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7877 2009-10-28
JP2009247877 2009-10-28
PCT/JP2010/069167 WO2011052680A1 (ja) 2009-10-28 2010-10-28 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733A true KR20120098733A (ko) 2012-09-05
KR101761952B1 KR101761952B1 (ko) 2017-07-26

Family

ID=4392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187A KR101761952B1 (ko) 2009-10-28 2010-10-28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8749B2 (ko)
JP (1) JP5718238B2 (ko)
KR (1) KR101761952B1 (ko)
CN (1) CN102666389B (ko)
TW (1) TWI552868B (ko)
WO (1) WO2011052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7799B2 (en) * 2012-09-28 2015-06-30 Ube Material Industries, Ltd. Acicular strontium carbonate fine powder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 polyoxyalkylene group
JP6347134B2 (ja) * 2014-03-31 2018-06-27 宇部興産株式会社 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4164B2 (ja) * 2013-10-25 2017-12-06 宇部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針状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
EP3061728A4 (en) * 2013-10-25 2017-06-21 Ube Material Industries, Ltd. Needle-like strontium carbonate fin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60138991A (ko) 2014-03-20 2016-12-06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침상 탄산스트론튬 미립자 및 그 분산액
JP6729598B2 (ja) * 2015-10-30 2020-07-22 宇部興産株式会社 アルカリ土類金属化合物粒子含有水性樹脂分散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614A (ja) * 2005-09-12 2007-04-19 Ube Material Industries Ltd 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
US8304074B2 (en) * 2007-03-13 2012-11-06 Ube Material Industries, Ltd. Highly dispersible fine powder of alkaline earth metal carbonate
JP5474310B2 (ja) 2007-03-28 2014-04-16 宇部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粒状炭酸バリウム組成物粉末
JP5396714B2 (ja) 2008-01-24 2014-01-22 東ソー株式会社 炭酸ストロンチウ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314479B (zh) * 2008-06-25 2010-04-07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准一维纳米碳酸锶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952B1 (ko) 2017-07-26
TWI552868B (zh) 2016-10-11
WO2011052680A1 (ja) 2011-05-05
US20120214927A1 (en) 2012-08-23
CN102666389A (zh) 2012-09-12
JPWO2011052680A1 (ja) 2013-03-21
US8388749B2 (en) 2013-03-05
JP5718238B2 (ja) 2015-05-13
CN102666389B (zh) 2015-06-17
TW201130651A (en)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119B1 (ko) 고분산성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미분말
KR20120098733A (ko)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JP2014524948A (ja) 抗菌性塗料の製造方法、抗菌性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6789A (ja) 炭酸バリウム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FI105545B (fi) Saostettu kalsiumkarbonaatti
JP5201855B2 (ja) 高分散性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
Liou et al. Manipulation of nanoneedle and nanosphere apatite/poly (acrylic acid) nanocomposites
KR101474041B1 (ko) 고분산성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JP7085325B2 (ja) アラゴナイト型軽質炭酸カルシ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51155B1 (ko) 침상 탄산스트론튬 미분말 및 그 제조 방법
JP5046044B2 (ja) 酸化マグネシウム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酸化マグネシウムナノゾルの製造方法
JP5474310B2 (ja) 粒状炭酸バリウム組成物粉末
JP4969076B2 (ja) 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の製造方法
JP2011084762A (ja) ニッケル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9614A (ja) 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粉末
JP2005154158A (ja) 多孔質粒状塩基性炭酸マグネシ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848454B (zh) 一种纳米级碳酸钡的制备方法
JP2004142954A (ja) 表面多孔質化炭酸カルシウム粉粒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スラリー
JP2007169122A (ja)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チタン酸バリウム焼結体
KR101340796B1 (ko) 탄산칼슘 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ang et al. Nanoscale dispersion of palygorskite bundles by a facile mechanical/chemical approach
JPH0948673A (ja) 窒化珪素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