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543A -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543A
KR20120098543A KR1020120020590A KR20120020590A KR20120098543A KR 20120098543 A KR20120098543 A KR 20120098543A KR 1020120020590 A KR1020120020590 A KR 1020120020590A KR 20120020590 A KR20120020590 A KR 20120020590A KR 20120098543 A KR20120098543 A KR 2012009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igh frequency
switching
reference potentia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530B1 (ko
Inventor
티모 고스만
조세 모레이라
Original Assignee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93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제 1 스위칭 상태 및 제 2 스위칭 상태를 갖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송신 수단과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송신 수단은 주측과, 제 1 부측 단자 및 제 2 부측 단자를 갖는 부측를 갖고,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주측 및 부측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된다. 스위치 어셈블리는 송신 수단의 주측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부측 단자에서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가 탭핑(tapped)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기준 전위를 제 1 부측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스위치 어셈블리는 송신 수단의 주측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부측 단자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가 탭핑(tapped)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기준 전위를 제 2 부측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HIGH-FREQUENCY SWITCHING ASSEMBLY, TRANSMITTER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고주파 신호 소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를 제공한다.
현존하는 모바일 무선 표준을 위해, 다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들은 조정 당국에 의해 세계적으로 정의되거나 할당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무선 폰의 가능한 전세계적 및 무제한적인 편리함을 위해 제조자들은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 밴드들을 커버하기 위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현대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일찍 필요로 했던 점점 더 많은 별개의 소자들을 인쇄 회로 기판에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점점 더 집적된 복잡한 고주파수 회로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주파수 칩들은 전수신기(entire receivers), 송신기, 주파수 발생, 신호 처리 및 가능한 전원 전압 조절을 포함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예를 들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 때문에 고주파 신호 경로에서 요구되는 고주파수 범위에서의 매우 선택적인 고품질의 필터는 집적되기 어렵다. 따라서, 지원될 모든 주파수 밴드는 분리되어 취급될 것이고, 고주파 신호 멀티플렉스를 이용하여 경로가 안테나의 앞쪽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지원될 모든 신호 경로가 인쇄 회로 기판에서 상이하게 취급되기 때문에, 칩 제조자는 고주파수 칩에서 신호 소스 (송신기 출력) 및 신호 싱크(수신기 입력)의 각각의 수를 제공할 것인지, 또는 추가의 외부 스위치를 사용하여 개별의 송신 및 수신 경로에 연결될 때보다 적은 수의 모든 목적 소스 및 싱크를 대안적으로 제공할 것인지의 과업에 직면한다. 여기서, 칩 공간 및 회로 노력이 더 적게 소모되고, 제조자에게는 일반적으로 저렴한 대안이기 때문에, 칩 제조자는 두번째 방법을 더 선호할 것이다.
그러나, 전화 제조자는 첫번째 대안,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상의 많지 않은 스위치의 가능한 간단한 배열을 선호하는 것을 이용하려 더 노력할 것이다. 스위치가 없음으로써 체인 내의 신호 손실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소자 비용 및 발전 노력을 줄이고 신호 체인의 나은 품질을 일반적으로 허용한다.
신호 경로 내의 스위치는 유한 컨덕턴스 및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손실을 자연적으로 야기한다. 따라서, 외부의 스위치는 특정 기술의 사용으로 인해 반도체기술로서 칩 내에 만들어지는 것보다 더 나은 성능으로 정상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스위칭 상태 및 제 2 스위칭 상태를 갖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주측과, 제1의 부측 단자 및 제 2의 부측 단자를 갖는 부측을 갖는 송신 수단 포함한다. 송신 수단은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송신 수단의 주측과 부측으로 인가된 고주파 신호(HF 입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송신 수단의 주측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부측 단자에서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가 탭핑(tapped)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기준 전위를 제 1의 부측 단자에 인가하기 위해 구현되고, 송신 수단의 주측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1의 부측 단자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가 탭핑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기준 전위를 제2의 부측 단자에 인가하기 위해 구현된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단상(single phase) HF 입력 신호에 대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등가 다이아그램,
도 1b는 차분 HF 입력 신호에 대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등가 다이아그램,
도 2a는 표준 CMOS 반도체 공정에 대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등가 다이아그램,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회로의 가능한 구현에 대한 등가 다이아그램,
도 3은 스위칭가능 임피던스에 의한 도 2b에 도시된 회로의 가능한 확장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에 있어서 등가의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공되고 이들 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됨을 밝힌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공된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서로 교환가능하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등가 다아이그램을 나타낸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제1 스위칭 상태 및 제2 스위칭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주측(primary side)(103) 및 부측(secondary side)(105)을 구비한 송신기 수단(101)을 포함한다. 부측(105)은 제1의 부측 단자(S1) 및 제2의 부측 단자(S2)를 포함한다. 송신기 수단(101)은 그의 주측(102)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를 유도 결합을 통해 그의 부측(105)으로 송신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스위치 어셈블리(109)를 포함하고, 이 스위치 어셈블리(109)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송신기 수단(101)의 부측(105)의 제1의 부측 단자(S1)에 제1 기준 전위(Vref1)를 인가 또는 적용하도록 구현되어,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1 송신기 출력 신호(111a)가 송신기 수단(101)의 주측(103)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하여 제2의 부측 단자(S2)에서 탭핑(tapped)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어셈블리(109)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송신기 수단(101)의 부측(105)의 제2의 부측 단자(S2)에 제2 기준 전위(Vref2)를 인가 또는 적용하도록 구현되어,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송신기 출력 신호(111b)가 송신기 수단(101)의 주측(103)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하여 제1의 부측 단자(S1)에서 탭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또한 송신기 수단(101)의 송신기 비율에 따라), 기준 전위(예를 들어, Vref1 또는 Vref2)가 제각기의 다른 부측 단자에 인가되는 동안 HF 입력 신호(107)가 제1의 부측 단자(S1) 또는 제2의 부측 단자(S2)에서 탭핑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그의 종단들 중 하나(부측 단자들(S1,S2) 중 하나)가 제각각 기준 전위(또한, 특히 고주파수 접지)에 연결되는 신호 케이스인 경우 소위 션트 스위치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고주파수 입력 신호(107)는 스위치(또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양 단자(S1, S2)에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스위치 또는 도 1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보다 낮은 오믹(ohmic)으로 또한 보다 선형적으로 구성될 수 있어, HF 입력 신호(107)는 아마도 알려져 있는 고주파수 전환 스위치에서의 경우보다 덜 영향을 받는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어셈블리는 HF 입력 신호(107)가 인가될 수 있고 손실 및 왜곡으로 인한 보다 낮은 성능을 야기할 수 있는 양 단자를 갖는 직렬 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상태 및 제2 스위칭 상태는 시간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어서, 사전결정된 시점에서, 제1 송신기 출력 신호(111a)는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하거나, 또는 제2 송신기 출력 신호(111b)는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한다. 다시 말해,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의 부측 단자(S2)에서의 전위 또는 HF 신호는 송신기 수단(101)의 주측(103) 상의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하고, 제1의 부측 단자(S1)에서의 전위는 제1 기준 전위(Vref1)에 대응한다.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이것은 역전되는데, 즉, 제1의 부측 단자(S1)에서의 전위 또는 HF 신호는 송신기 수단(101)의 주측(103) 상의 HF 입력 신호(107)에 기초하고, 제2의 부측 단자(S2)에서의 전위는 제2 기준 전위(Vref2)에 대응한다. 따라서, 사전결정된 시점에서, HF 입력 신호(107)는 2개의 부측 단자(S1,S2) 중 하나 상에서 항상 송신되는데, 그 이유는 기준 전위(Vref1,Vref2) 중 하나는 스위치 어셈블리(109)에 의해 각자의 다른 부측 단자에서 제공되기 때문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라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제 1 출력 단자(113a)뿐만 아니라 제 2 출력 단자(1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단자(113a, 113b)는 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가 상부에 집적되는 칩의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출력 단자(113a)는 제 2 부측 단자(S2)에 커플링될 수 있어서,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HF 출력 신호(115a)는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동일한 것에 기초하며, 제 1 출력 단자(113a)에서 탭핑될 수 있다. 제 2 출력 단자(113b)는 제 1 부측 단자(S1)에 커플링될 수 있어서,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HF 출력 신호(115b)는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b)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동일한 것에 기초하며, 제 2 출력 단자(113b)에서 탭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플링은 중간이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와의 직접 낮은 오믹 커플링 및 간접 커플링을 의미하여서, 제 2 회로 노드에서의 신호는 제 2 스위칭 노드에 커플링된 제 1 회로 노드에서의 신호에 의존한다. 즉, 서로 커플링된 두 단자 사이에서, 추가 장치가, (전압 신호를 변경시키는) 레지스터 또는 캐패시터와 같은, 특히 패시브 장치에서 또는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활성 장치의 스위치 가능 통로(스위칭 통로)에서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된 단자에 있어서, 장치는 이들 단자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래야하는 것은 아니며, 두 커플링된 단자는 또한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낮은 오믹 전도 상태 연결에 의해)
또한, 본 출원에 따라, 제 2 단자에 인가된 신호가 제 1 단자에 인가된 신호와 동일할 때 제 1 단자는 제 2 단자에 직접 연결되고, 도체 저항에 기인한 기생(parasitic) 효과 또는 작은 손실은 무시될 것이다. 따라서, 두 직접 연결된 단자는 통상적으로 중간이 연결된 추가적인 장치 없이 전도 상태 트레이스(traces) 또는 와이어(wires)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송신기 수단(101)의 주측(103)은 제 1 주측 종단자(121a) 및 제 2 주측 종단자(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주측 종단자(121a)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1 입력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HF 입력 신호(107)는 제1 주측 종단자(121a)(및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1 입력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제 2 주측 종단자(121b)에서, 예를 들어, HF 입력 신호(107)에 대한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가 인가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기준 전위(Vref1, Vref2) 중 하나 또는 추가 기준 전위 또는 전원 전압 또는 접지). 도 1a에서 도시된 예시에서는, 전원 전압이 단지 제 2 주측 종단자(121b)에 예시적으로 인가된다. 또한, 제 2 주측 종단자(121b)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2 입력 단자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 HF 입력 신호(107)에 대한 기준 전위가 인가된다.
제 1 출력 단자(113a)는 스위치 어셈블리(109)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스위칭 상태(제 2 기준 전위(Vref2)이 제 2 부측 단자(S2)에 인가될 때)의 제 1 출력 단자(113a)(예를 들어, 제 1 HF 출력 신호(115a))에서의 전위은 HF 입력 신호(107)에 독립적이다. 또한, 제 2 출력 단자(113b)는 스위치 어셈블리(109)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기준 전위(Vref1)가 제 1 부측 단자(S1)에 인가되는)제 1 스위칭 상태의 제 2 출력 단자(113b)(예를 들어, 제 1 HF 출력 신호(115a))에서의 전위는 HF 입력 신호(107)에 독립적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라, 출력 단자(113a, 113b)는 부측 단자(S1, S2)에 용량성커플링될 수 있다. 즉, 제 1(선택적) 커플링 캐패시터(C4)는 제 1 출력 단자(113a)와 제 2 부측 단자(S2)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부측 단자(S2)에 인가된 신호는 무직류(DC free) 제 1 출력 단자(113a)로 송신된다. 또한, 제 2 출력 단자(113b)는 또한 제 2(선택적) 커플링 캐패시터(C3)에 의해 제 1 부측 단자(S1)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제 1 부측 단자(S1)에 인가된 신호는 무직류 제 2 출력 단자(113b)로 송신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외부적으로 연결될 신호 체인과 관련한 전위 자유(potential freedom)는 출력 단자(113a, 113b)에서 제공될 수 있지만,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는 제 1 기준 전위(Vref1) 주변에서 발진하고,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는 제 2 기준 전위(Vref2) 주변에서 발진한다. 즉, 신호 레벨 각각은 전위(Vref1 또는 Vref2) 주변에서 발진하기 때문에, 외부적으로 연결될 신호 체인과 관련한 전위 자유는 온 칩(on-chip) 또는 오프 칩(off-chip) 캐패시턴스(C3 또는 C4)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 캐패시터(C3, C4)는 치수제어(dimensioned)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임피던스 매칭의 부분으로서, 송신 최적화, HF 입력 신호(107)의 주파수 범위, 또는 송신기 출력 신호(111a, 111b)를 위해 내부 임피던스에 대해 가능한 최적으로 외부 와이어링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커플링 캐패시터는 선택될 수 있으며 외부 와이어링의 임피던스는 내부 와이어링의 임피던스에서 ±5%,±10%,±25%의 최대까지 벗어난다(예를 들어 부측 단자(S1, S2)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 출력 신호(111a, 111b)에 고주파 접지를 제공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기준 전위 단자(예컨대, 접지 단자(117))와 스위치 어셈블리(109) 사이에 접속되는 하나 또는 몇몇의 저지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예컨대,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와 접지 단자(117) 사이에 접속되는 제 1 저지 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예컨대,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와 접지 단자(117) 사이에 접속되는 제 2 저지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저지 캐패시터(C1)는 송신기 출력 신호(111) 또는 제 1 HF 출력 신호(115a)에 대한 고주파 접지 노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저지 캐패시터(C2)는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 또는 제 2 HF 출력 신호(115b)에 대한 고주파 접지 노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저지 캐패시터(C1, C2)는 HF 입력 신호(107) 또는 송신기 출력 신호(111a, 111b)의 주파수 범위에 대한 최적의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들 자신이 송신기 출력 신호(111a, 111b) 또는 HF 출력 신호(115a, 115b)에 대한 고주파 접지 노드를 제공하는 저지 캐패시터(C1, C2)는 또한 예컨대, 로우 임피던스 전압원과 같은 (외부) 공급원이 기준 전위 단자(119a, 119b)에 인가될 때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어셈블리(109)는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스위치(SW1)는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와 제 1 부측 단자(S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SW2)는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와 제 2 부측 단자(S2)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SW1)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부측 단자(S1)에 제 1 기준 전위(Vref1)를 공급 또는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SW2)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부측 단자(S2)에 제 2 기준 전위(Vref2)를 공급 또는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스위치(SW1)는 예컨대,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를 제 1 부측 단자(S1)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제 2 스위치(SW2)는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를 제 2 부측 단자(S2)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스위치의 닫힌 상태는 스위치의 단자들 사이에 낮은 오믹 접속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스위치의 열린 상태는 스위치의 단자들 사이에 하이 저항 접속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2 개의 스위치(SW1, SW2)는 상보적으로 제어되어, 제 2 스위치(SW2)가 열릴 때 제 1 스위치(SW1)는 닫히고, 제 2 스위치(SW2)가 닫힐 때 제 1 스위치(SW1)는 열린다.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스위치(SW1)는 닫히고 제 2 스위치(SW2)는 열리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스위치(SW1)는 열리고 제 2 스위치(SW2)는 닫힌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는 서로에 대해 상보적으로 제어되어,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스위치(SW1)는 전도 상태이고 제 2 스위치(SW2)는 비전도 상태이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스위치(SW2)는 전도 상태이고 제 1 스위치(SW1)는 비전도 상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 수단(101)은 변압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주측(103)은 변압기의 1차 와인딩을 형성하고, 부측(105)은 변압기의 2차 와인딩을 형성한다.
이하, 도 1a에 도시된 회로의 기능은 간략하게 요약된다.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기본 구성은 송신기 출력 신호(HF 입력 신호(107))가 공급되는 주측 내에 변압기(101)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주측(103)은 단상(소위, 단일 종단, 예컨대, 기준 전위 관련) 송신기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간단한 코일이다.
부측(105) 상에서 획득된 송신기 출력 신호(111a, 111b)도 고주파 접지 노드(117)에 접속된 접지에 관한 단상("싱글 엔드형(single-ended)") 신호로서 존재한다. 이에 의해,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가 대략 제 1 기준 전위(Vref1)에서 발진하고,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가 대략 제 2 기준 전위(Vref2)에서 발진한다.
또한,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는 (도 1(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탭핑을 갖는 코일이거나 혹은 그것을 포함하는, 차분 송신기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외부(엔드) 단자로의 1차 배선을 가질 수 있다.
부측(105) 또는 2차 배선(105)의 양쪽 엔드(S1, S2)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칩의 출력에 각각 접속되고, 어셈블리의 2개의 스위칭된 고주파 출력(113a, 113b)(Out1 및 Out2로도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어셈블리는 교대로 개폐될 수 있는 2개의 내부 스위치(SW1, SW2)(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를 갖는 칩 상에 집적됨)를 포함한다. 스위치(SW1)가 닫히면, 닫힌 상태에서의 2차 배선(105)의 한쪽의 엔드(S1)는 제 1 기준 전위(Vref1)로 클램프되는 반면에, 송신기 신호(107)(변압기(101)의 송신비에 의존함)는 출력(Out1)에서 이용가능하다.
스위치(SW2)가 닫혀지고(또한 스위치(SW1)가 열리고) 비율이 반대로 되면, 코일 엔드(S2)는 기준 전압(Vref2)으로 클램프되고 송신기 신호는 출력(Out2)(변압기(101)의 송신비에 의존함)에서 탭핑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SW1, SW2)는 단일 트랜지스터 스위치, 송신 게이트 또는 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SW1, SW2)의 제어 단자는 특별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상호 보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HF 입력 신호(107)에 대응하도록 출력 단자(113a, 113b)에 인가되는 HF 출력 신호(115a, 115b)에 있어서,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의 송신비는 1:1로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이한 송신비의 선택도 가능하다.
Vref1 또는 Vref2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2개의 캐패시턴스(C1,C2)의 도움으로, 2개의 출력에 접속된 신호 싱크도 일반적으로 기준 전위로서 접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 전류는 2개의 출력에 접속된 신호 싱크로부터의 낮은 오믹의 복귀 경로(a low-ohmic return path)이다.
접지 노드 또는 접지 단자(117)는 (출력 단자(113a, 113b)의 칩 단자에 부가하여) 제 3 칩 단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기준 전위(Vref1, Vref2)는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기준 전위(Vref1)는 접지 전위와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고, 제 2 기준 전위(Vref2)는 예를 들어 주측(103)의 제 2의 주측 종단자(121b)에서 제공되는 전원 전압과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는 생략될 수 있고, 제 1 스위치(SW1)는 접지 단자(117)와 제 1의 부측 단자(S1) 사이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도면이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HF 스위칭 어셈블리(101')의 송신기 수단(101')이 차분 송신기 출력 신호 또는 차분 HF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된다는 점에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송신기 수단(101')은 제 1의 주측 단자(121a), 제 2의 주측 종단자(121b) 및 중심 탭핑 단자(121c)를 갖는 주측(103')을 포함한다. 차분 HF 입력 신호의 제 1 신호 부분(107a)은 제 1의 주측 종단자(121a)에 인가될 수 있다. 차분 HF 입력 신호의 제 2 신호 부분(107b)은 제 2의 주측 종단자(121b)에 인가될 수 있다. 기준 전위가, 예를 들어 제 1 기준 전위(Vref1) 또는 제 2 기준 전위(Vref2) 또는 다른 기준 전위 또는 전원 전압 또는 접지가 중심 탭핑(121c)에 제공된다.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는, 단지 예시적으로 전원 전압이 중심 탭핑(121c)에 인가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도 1(b)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기능은 도 1(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와 다르지 않다. 즉,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에서도, 스위칭 상태에 따라, 부차 단자 S1, S2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a)가 단상("싱글 엔디드(single ended)") 신호로서 수신되거나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가 단상("싱글 엔디드") 신호로서 수신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기능은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2(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등가도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표준 CMOS 프로세스에서 도 1(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SW1)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에 의해 구현된다. 제 2 스위치 SW2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에 의해 구현된다. 제 1 기준 전위(Vref1)는 그 자체로 접지를 형성하고, 따라서, 차단 캐패시턴스 또는 차단 캐패시터 C1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은 NMOS 트랜지스터이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은 PMOS 트랜지스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이한 타입, 예컨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타입으로 될 수 있다.
다음에,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 또는 에미터 단자일 수 있고, 싱크 단자는,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콜렉터 단자일 수 있으며, 제어 단자는,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또는 베이스 단자일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환 가능 경로는, 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소스 경로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콜렉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주된 트랜지스터 전류는 일반적으로 소스 단자로부터 싱크 단자 또는 그 반대로 흐른다.
본 발명에서, 트랜지스터의 스위치 온 상태(switched-on state)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싱크 단자 사이에 낮은 오믹 접속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트랜지스터의 스위치 오프 상태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싱크 단자 사이에 고 저항 접속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명료성의 이유로, 도 1(b)에 도시된 모든 참조부호가 도 2(a)로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준 전위(Vref1) 자체는 접지를 형성한다, 즉,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는 이전의 접지 단자(117)와 동등하다.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의 전환 가능 경로(230)는 송신기 수단(101')의 부측(105)의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와 제 1 부차 단자 S1 사이에 접속되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의 전환 가능 경로(232)는 송신기 수단(101')의 부측(105)의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와 제 2 부차 단자 S2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의 제어 단자(234)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의 제어 단자(236)에 연결된다(예컨대, 직접 연결됨).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로서의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 MP1의 상보적 선택으로 인해, (인버터 실현과 같이)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비전도 상태인 동안 다른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전도 상태인 것을 달성할 수 있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를 구비하고, 이것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어 단자(234, 236)에서 제 3 기준 전위 Vref3 또는 제 1 기준 전위(Vref1)(예컨대, 접지)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는 제어 단자(235, 236)에서 제 3 기준 전위 Vref3을 제공한다. 제 3 기준 전위 Vref3의 크기는, 예컨대, 제 2 기준 전위(Vref2)의 크기와 같거나 그보다 높게 선택될 수 있다. 제 3 기준 전위 Vref3의 표시는 제 2 기준 전위(Vref2)의 표시와 동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 3 기준 전위 Vref3은 전원 전압일 수 있다.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30, 232)의 제어 단자(234, 236)에서 제 1 기준 전위(Vref1)(즉, 예컨대, 접지)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접지 및 전원 전압 대신에, 다른 전위가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에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논리 레벨(접지 및 전원 전압 등)이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의 2개의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는 것만이 중요하다.
제 3 기준 전위 Vref3이 제 1 기준 전위(Vref1)보다 더 높다고(보다 포지티브 극성이라고) 가정하면,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은 제 1의 부측 단자 S1에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제공하도록 도전 상태가 되고, 제 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이 제 2의 부측 단자 S2에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제공하도록 전도 상태가 된다.
고주파 신호(제 1 출력 단자(113a)(Out1)에서 제 1 HF 출력 신호(115a)를 출력하기 위해서, 이 어셈블리에서는, 최대 동작 전압이 게이트 소스 전압 VgsN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이 특별히 낮은 저항값으로 스위치될 수 있다(제 2 기준 전위(Vref2)가 제 3 기준 전위 Vref3과 동일하도록 선택되고 소스 단자 혹은 소스가 접지될 때, 게이트 혹은 제어 단자(234)는 충분히 높은 포지티브 전압, 예컨대 제 2 기준 전위(Vref2)에 연결됨).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의 스위칭 가능 경로(230)를 따른) 낮은 순방향 저항으로 인해, 스위치(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은 신호 혹은 귀전류에 극히 미약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셈블리는 고주파 신호를 극히 소량 왜곡하거나 혹은 전혀 왜곡하지 않는다.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이 전도 상태(즉, 제 1 스위칭 상태)인 동안, 제 2 스위치 SW2는 가능한 높은 저항이 될 것이다. 이것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PMOS 트랜지스터) MP1로 제 2 스위치 SW2를 구현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포지티브 극성의 높은 제 2 기준 전위(Vref2)에 연결된다.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이 비전도 상태인 동안 그 제어 단자(236)(혹은 게이트)에는 이 상태에서 가능한 높은 전압(제 3 기준 전위 Vref3)이 제공된다. 제 2 기준 전위(Vref2)가 충분히 높을 때, 제 1 출력 단자(113a) 혹은 제 2의 부측 단자(S2)의 신호는 그 정점에서조차도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를 역도전 상태로 만들지 못한다(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의 싱크 단자와 소스 단자를 교환함으로써). 결국, 신호는 클리핑되지 않고 제 1 출력 단자(113a)(Out1)에서 완전히 입수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3 기준 전위 Vref3은 제 2 기준 전위(Vref2)와 동일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전위(Vref2)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 신호(111a)의 진폭이 제 2 기준 전위(Vref2)와 제 1 기준 전위(Vref1) 사이의 전위차보다 더 크되 그 최대치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의 트랜지스터 임계 전압 Uth의 크기까지 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혹은 일반적으로, 제 3 기준 전위 Vref3이 제 2 기준 전위(Vref2)와 동일하도록 선택되는 경우에, 제 1 기준 전위(Vref1)과 제 2 기준 전위(Vref2)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 신호(111a) 혹은 제 2 트랜지스터 출력 신호(111b)의 최대 진폭이 제 1 기준 전위(Vref1)과 제 2 기준 전위(Vref2) 사이의 전위차보다 더 높되 그 최대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 MP1중 하나의 임계 전압 Uth의 값까지 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요약하면, 기준 전위들 Vref1, Vref2, Vref3은, HF 스위칭 어셈블리(200)(그리고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이 전도 상태이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이 비전도 상태이고, HF 스위칭 어셈블리(200)(그리고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이 비전도 상태이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이 전도 상태이도록 선택된다.
제 2 출력 단자(113b)(Out2)에서 고주파 신호(제 2 HF 출력 신호(115b))를 출력하기 위해,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 MN1의 제어 단자(234, 236)는 (제 1 기준 전위(Vref1)에 대해) 접지된다. 그러므로,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는 게이트 소스 전압 VgsN=0을 수신하여 비전도 상태이고, 반면에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는 그 소스 단자가 여전히 제 2 기준 전위(Vref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매우 큰 크기의 게이트 소스 전압 VgsP를 수신한다. 제 2 기준 전이 Vref2에 대한 신호 경로(스위칭 가능 경로(323))는 그에 상응하여 매우 낮은 저항을 갖는다. Vref2가 충분히 높을 때, 가장 낮은 신호 정점조차도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을 역도전 상태로 만들지 못한다(여기서 싱크 단자와 소스 단자는 교환된다).
이때, 신호 왜곡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제 1 출력 단자(113a)(Out1)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이용될 때, 캐패시턴스 C2 혹은 블록킹 캐패시터 C2는 전류 신호를 접지시켜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요약하면, 도 2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제 1 스위치 FW1의 역할을 하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MN1과, 제 2 스위치 SW2의 역할을 하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을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어셈블리는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두 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MP1, MN1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가 사용되었지만, 즉,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차분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되었지만,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단상 (예컨대, 전원 전압 관련 또는 접지 관련 "싱글 엔드형")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되도록 송신기 수단(100')은 송신기 수단(101)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등가 도면에서, 도 2b는 CMOS(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프로세스에서 도 2a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가능한 구현으로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에서, 제 2 기준 전위(Vref2) 또는 제 2 기준 전압 Vref2, 및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의 주측(103)의 중심 탭핑(121c)은 VDD(동작 전압)에 접속된다. 도 2a에 도시된 기준 전위 변환 스위치(238)는 인버터(INV)에 의해 구현되고, 이 인버터는 제어 전압(Vcontrol)에 의해 제어된다. 단순히 예시적으로, 두 개의 출력(113a, 113b)은 DC 결합되고, 커플링 캐패시터(C3, C4)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출력 단자(113a)는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의 부측(105)의 제 2 부측 단자(S2)에 직접 접속된다. 제 2 출력 단자(113b)는 송신기 수단(101') 또는 변압기(101')의 부측(105)의 제 1 부측 단자에 직접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 단자(113a, 113b)는 커플링 캐패시터(C3, C4)를 통해 부측 단자(S1, S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 단자(113a, 113b)는 부측 단자(S1, S2)에 스위칭 가능하게 직접 접속되거나, 커플링 캐패시터(C3, C4)에 의해 부측 단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된 것처럼, 출력 단자(113a, 113b)는 예컨대 (다른 통신 대역을 위한 송신 경로와 같은) 외부 신호 성분이 접속될 수 있는 칩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접지 단자)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추가 칩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요약하면, 도 2b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출력이 제어 단자(234, 236)에 결합(예컨대, 직접 접속됨)되는 인버터(INV)에 의한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234,236)의 제어를 도시한다. 인버터(INV)는 입력중 하나에 인가된 제어 신호에 의존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입력(234, 236)에 선정된 시점에 제 1 기준 전위(접지) 또는 제 2 기준 전위(VDD)를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인버터(INV)의 입력에서 논리 "1"(VDD 전위)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제 2 스위칭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234, 236)에 제 1 기준 전위(Vref1)(접지)가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 인버터(INV)의 입력에서 논리 "0"(예컨대, 접지 전위)은,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234, 236)에 제 2 기준 전위(Vref2)(VDD)가 제공되고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제 1 스위칭 상태로 스위칭되는 효과를 갖는다.
두 개의 상보적 트랜지스터(MN1, MP1)와 접속하여 인버터(INV)를 사용함으로써, 두개의 트랜지스터(MN1, MP1)중 하나는 항상 비도통되고 다른 한 트랜지스터는 도통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서로 다른 이들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두 개의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값비싼 동기화가 필요 없다.
도 3은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1, Z2)에 의한 도 2b에 도시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가능한 확장을 도시한다. 제 1 (예컨대, 복소) 임피던스(Z1)는 스위치(SW3)에 의해 제 1 부측 단자(S1)와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복소) 임피던스(Z2)는 스위치(SW4)에 의해 제 2 부측 단자(S2)와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임피던스(Z1)는,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가 제 1 부측 단자(S1)에 제공될 때, 즉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도통되고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비도통될 때, 예컨대 외부 단자(제 2 HF 출력 단자(113b)에 접속됨)에 대한 제 1 부측 단자(S1)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스위치(SW3)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도통 상태가 될 때 함께 도통 상태가 되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비도통 상태가 될 때 함께 비도통 상태가 된다.
제2 임피던스(Z2)는, 제1 송신기 출력 신호(111a)가 제2 부측면 단자(S2)에서 제공되는 경우에(즉, 상기 제1 스위치 트랜지스터(MN1)가 전도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비전도 상태인 경우에), 제2 부측면 단자(S2)의 임피던스를 예를 들면 외부 스테이지(이차 HF 출력 단자(113b)에 연결됨)에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스위치(SW4)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전도 상태에 놓이는 경우에 전도 상태에 놓이고,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비전도 상태에 놓이는 경우에는 비전도 상태에 놓인다.
임피던스(Z1, Z2)는 HF 출력 단자(113a, 113b)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스테이지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스위치들(SW3, SW4)은 예를 들면 하나 또는 수 개의 트랜지스터들로 실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스위치들(SW3, SW4)은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와 함께 인버터(23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1, Z2)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들(100, 100', 2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기 수단과 스위치 어셈블리 양자는 공통 반도체 기판 상에 집적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4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송신기(400)는 제1 외부 HF 경로(402a) 및 제2 외부 HF 경로(402b)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외부(External)는 두 개의 HF 경로(402a, 402b)가 반도체 기판 상에 송신기(400)와 함께 집적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HF 경로(402a, 402b)는 또한 공통 HF 칩 상에 송신기(400)와 함께 집적될 수 있다. 송신기(400)는 복수의 통신 대역에 대해 송신 신호(예를 들면, HF 입력 신호(107)를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이로써, 제1 HF 경로(402a)가 제1 통신 대역에 할당되고, 제2 HF 경로(402b)가 제2 통신 대역에 할당된다. 송신기(400)는 송신 신호 제공기(404, 이는 또한 집적형 송신 경로(404)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송신 신호 제공기는 HF 입력 신호(107)로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에 송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송신 신호가 송신될 통신 대역에 따라 HF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스위칭 상태를 선택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는 송신기(400)의 컴포넌트로서 도시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HF 스위칭 어셈블리가 송신기(400)(예를 들면 HF 스위칭 어셈블리들(100', 200, 200') 중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신호 제공기(404)는 단일-위상 신호(소위 싱글 엔딩 신호(single ending signal))로서 그리고 또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내의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로서 HF 입력 신호(107)를 제공할 수 있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1 출력 단자(113a)가 송신기(400) 또는 송신기(400)가 집적되는 칩의 제1 패드(406a)에 연결(예를 들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출력 단자(213b)는 송신기(400) 또는 송신기(400)가 집적되는 HF 칩의 제2 패드(406b)에 연결(예를 들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송신 신호가 제1 패드(406a)를 통해 송신기(400)를 떠나 외부 HF 경로(402a)에서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의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송신 신호는 제2 패드(406b)를 통해 송신기(400)를 떠나 상기 제2 외부 HF 경로(402b)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 대신에 사용되면, 송신 신호 제공기(404)는 HF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상태 그리고 이에 따라 송신 신호(107)의 신호 경로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 V컨트롤(Vcontrol)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집적형 신호 스위치가 송신기 측에서 사용되는 개념(concept)을 도시하며, 여기서 칩 제조자(chip manufacturer)는 더 적은 수의 유니버설 송신기 회로(예를 들면, 더 적은 수의 송신기 신호 제공기(404))를 집적하고, 이의 신호 출력은 각각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는 없으나 직접형 고주파수 체인지 오버 스위치(change-over switch, 100)를 통해 둘 이상의 칩 핀들 또는 수 개의 칩 패드들(406a, 406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두 개의 고주파수 출력들(출력 단자들(113a, 113b)) 중 하나에서 송신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고주파수 칩 내에 집적된 스위치를 구현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500)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500)은 유도 결합으로써 HF 입력 신호를 그 제2측으로 송신하도록 구현된 송신 수단의 제1측에 HF 입력 신호를 가하는 단계(501)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500)은 제1 기준 전위를 송신 수단의 제2측의 제1 단자에 가하여, 제1 송신 출력 신호가 송신 수단의 제1측에 가해진 HF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 수단의 제2측의 제2단자에 탭핑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502)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500)은 제2 기준 전위를 송신 수단의 제2측의 제2단자에 가하여, 제2 송신 출력 신호가 송신 수단의 제1측에 가해진 HF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 수단의 제2측의 제1단자에 탭핑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503)를 포함한다.
방법(500)은 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 100', 200, 200')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501, 502 및 503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의 양태가 요약된다.
HF 출력 신호(115a, 115b) 및 송신 출력 신호(111a, 111b) 뿐만 아니라 HF 입력 신호(107)도 ,예를 들어, 5 MHz 내지 20 GHz, 100MHz 내지 10 GHz, 또는 700 MHz 내지 2.7 GHz의 주파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두 기준 전위(Vref1, Vref2)는, 예를 들어, 24V, 13V, 5V, 3V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일 수 있다.
기준 전위(Vref1, Vref2)는 HF 입력 신호와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상수(constant)일 수 있다.
실시예는 소위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하나의 입력에 따른 두 개의 출력) 절환기(change-over switch)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 송신기를 사용하여 두 개의 고주파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정상적인 반도체 프로세스에서 집적 스위치를 구현하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그러한 스위치는 신호 경로 상에서 션트 스위치(shunt switch)로 배열될 수 있어 그 종단의 하나가 기준 전위(고주파 접지)에 연결되어 고주파 신호가 스위치의 양 단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스위치는 보다 낮은 오믹으로 또한 보다 선형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고주파 신호는 영향을 덜 받는다.
실시예는 고주파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따라서 손실 및 왜곡에 의한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직렬 스위치의 양 단자를 생략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는 송신기 출력에 전압기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표준 어셈블리와 비교하여 적은 변경을 필요로 한다.
몇몇의 실시예는 보통의 송신기 어셈블리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공간 소비를 초래하는 추가 출력 패드(예를 들어, 접지단(117))를 추가하는 등의 매우 적은 추가적인 노력을 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 송신기, HF 수신기, HF 트랜시버 칩과 같은 HF 트랜시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집적 송신 회로를 위한 신호 출력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또한,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 안테나,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연결된 변조 장치(modulator device), 및 안테나 및 변조 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 무선 장치를 제공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변조 장치는 예를 들어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에 기초하여 HF 입력 신호-예를 들어, 벡터 모듈레이션(vector modulation) 또는 HF 캐리어 신호를 가지는 기저대역 신호의 폴라 모듈레이션(polar modulation)에 기초한-을 획득하도록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HF 입력 신호를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에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1 송신기 출력 신호 및/또는 제2 송신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 모바일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 음성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휴대용 모바일 무선 장치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휴대용 모바일 무선 장치 및/또는 모바일 무선 기지국으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모바일 무선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스마트 폰, 태블릿 PC, 광대역 모뎀, 노트북 또는 랩탑 컴퓨터 뿐만 아니라 라우터 또는 PC와 같은 모바일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몇몇의 양태가 장치(apparatus)의 맥락에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양태가 또한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시함이 명백하여, 장치의 블럭 또는 장치(device)가 대응하는 방법의 단계 또는 방법의 단게의 특징을 또한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하게, 양태는 방법의 단계의 맥락에서 기술되고, 또한 대응하는 장치(apparatus)의 대응하는 블럭, 세부사항 또는 특징의 기술로써 제시될 수 있다.

Claims (26)

  1. 제 1 스위칭 상태 및 제 2 스위칭 상태를 갖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00, 100' 200, 200')로서,
    제 1 부측 단자(S1) 및 제 2 부측 단자(S2)를 구비하는 부측(105)과 주측(103, 103')을 구비하는 송신 수단(101, 101') - 상기 송신 수단(101, 101')은 상기 주측에 인가된 HP 입력 신호(107, 107a, 107b)를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에 의해 상기 부측으로 송신하도록 구현됨-과,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상기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는 상기 송신 수단(101, 101')의 상기 주측(103, 103')에 인가된 상기 HP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함-가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에서 탭핑(tapping)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상기 제 1 부측 단자(S1)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상기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는 상기 송신 수단(101, 101')의 상기 주측(103, 103')에 인가된 상기 HP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함-가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에서 탭핑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상기 제 2 부측 단자(S2)로 인가하도록 구현된 스위치 어셈블리(109)를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상기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가 상기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가 상기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도록,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 및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가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113a) 및 제 2 출력 단자(115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HF 출력 신호(115a)- 상기 제 1 HF 출력 신호는 상기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와 같거나 상기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에 기초함-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서 탭핑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출력 단자(113a)는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HF 출력 신호(115b)- 상기 제 2 HF 출력 신호는 상기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와 같거나 상기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111b)에 기초함-가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서 탭핑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출력 단자(113b)는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에 결합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113a)에서의 전위가 상기 HP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무관하도록 상기 제 1 출력 단자(113a)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09)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2 출력 단자(113b)에서의 전위가 상기 HP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무관하도록 상기 제 2 출력 단자(113b)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09)에 결합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에 인가된 신호가 상기 제 1 출력 단자(113a) DC 프리로 송신되도록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결합 캐패시터(C4)에 의해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에 인가된 신호는 상기 제 2 출력 단자(113b) DC 프리에 송신되도록 상기 제 2 출력 단자(113b)는 제 2 결합 캐패시터(C3)에 의해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에 결합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캐패시터(C2, C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캐패시터는 상기 기준 전위들(Vref1, Vref2) 중 하나가 제공되는 기준 전위 단자(119a, 119b)와 고주파수 접지 노드를 제공하는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접지 단자(117) 사이에 연결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09)는 제 1 스위치(SW1, MN1) 및 제 2 스위치(SW2, MP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는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에 인가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준 전위(Vref2)을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에 인가하도록 구현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 및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는 전도 상태이고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비전도 상태이고,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전도 상태이고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는 비전도 상태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9.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는 상기 제 1 부측 단자(S1)와 상기 제 1 기준 전위(Vref1)가 제공되는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측 단자(S1)를 상기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상기 제 2 부측 단자(S2)와 상기 제 2 기준 전위(Vref2)가 제공되는 상기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측 단자(S2)를 상기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에 결합시키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로 구현되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234, 236)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비전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전도 상태에 있도록 하고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전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비전도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는 제1 트랜지스터 타입이고, 상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타입과 상보적인(complementary) 제2 트랜지스터 타입인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SW1, MN1)의 스위칭 가능한 경로(a switchable path)는 상기 제1 기준 전위(Vref1)가 공급되는 제1 기준 전위 단자(119a)와 상기 제1 부측 단자(S1)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 MP1)의 스위칭 가능한 경로(230)는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가 공급되는 제2 기준 전위 단자(119b)와 상기 제2 부측 단자(S2) 사이에 접속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SW1, MN1, SW2, MP1)의 제어 단자(234, 236)는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a reference potential change-over switch 238 INV)와 접속되고, 상기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 INV)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제3 기준 전위(Vref3)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를 상기 스위치(SW1, MN1, SW2, MP1)의 상기 제어 단자(234, 236)에 공급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위(Vref1)를 상기 스위치(SW1, MN1, SW2, MP1)의 상기 제어 단자(234, 236)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SW1, MN1)가 전도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기준 전위(Vref1)가 상기 제1 부측 단자(S1)에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SW2, MP1)가 전도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가 상기 제2 부측 단자(S2)에 인가되도록 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준 전위(Vref3)의 크기는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238)는 인버터(INV)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시점에, 상기 기준 전위 전환 스위치의 입력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V control)에 따라, 상기 제1 기준 전위(Vref1)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를 상기 스위치(SW1, MN1, SW2, MP1)의 상기 제어 단자(234, 236)에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101, 101')은 변압기(101, 101')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변압기(101, 101')는 주측(103, 103')에 1차 권선(a primary winding) 및 부측(105)에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측 단자(S1)는 상기 2차 권선의 제1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측 단자(S2)는 상기 2차 권선의 제2 단자를 형성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의 제1 주측 단자(a first primary side end terminal, 121a)는 상기 고 주파수 입력 신호(107)가 인가될 수 있는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거나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입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1차 권선의 제2 주측 단자(a second primary side end terminal, 121b)는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전위(Vref1, Vref2)가 인가되는 기준 전위 단자(119a, 119b)에 접속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100' 200, 200')는 상기 고 주파수 입력 신호(107)로서 차분 입력 신호(107a, 107b)를 수신하고,
    상기 1차 권선의 제1 주측 단자(121a)는 상기 차분 입력 신호(107a, 107b)의 제1 신호 성분(107a)이 인가될 수 있는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거나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1 입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1차 권선의 제2 단자(121b)는 상기 차분 입력 신호(107a, 107b)의 제2 신호 성분(107b)이 인가될 수 있는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거나 상기 고 주파수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2 입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제1 기준 전위(Vref1)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위(Vref2)가 인가되는 기준 전위 단자(119a, 119b)에 접속되는 중앙 탭핑(a cenral tapping, 121c)을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수단(101, 101')과 스위치 어셈블리(109, SW1, SW2, MN1, MP1, INV, 238)는 공통 반도체 기판에 집적 방식으로 배열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 100', 200, 200').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1) 및 제 2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2)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제 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1)가 제 1 부측 단자(S1)에 결합되고,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2 스위칭 가능한 임피던스(Z2)가 제 2 부측 단자(S2)에 결합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21. 제 1 스위칭 상태 및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 100', 200, 200')로서,
    HF 입력 신호(107)을 수신하는 제 1 입력 단자(121a)와,
    제 1 HF 출력 신호(115a)을 송신하는 제 1 출력 단자(113a)와,
    제 2 HF 출력 신호(115b)을 송신하는 제 2 출력 단자(113b)와,
    제 1 권선(103, 103) 및 제 2 권선(105)을 가지는 트랜스포머(101, 101')와,
    제 1 스위치(SW1, MN1) 및 제 2 스위치(SW2, MP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단자(121a)는 트랜스포머(101, 101')의 제 1 권선(103, 103')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HF 출력 단자(113b)는 제 2 권선(105)의 제 1 부측 단자(S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HF 출력 단자(113a)는 제 2 권선(105)의 제 2 부측 단자(S2)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위치(SW1, MN1)는,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권선(105)의 제 1 부측 단자(S1)에 제 1 기준 전위(Vref1)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SW2, MP1)는,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권선(105)의 제 2 부측 단자(S2)에 제 2 기준 전위(Vref2)를 공급하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1 HF 출력 신호(115a)이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고, 제 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2 HF 출력 신호(115b)이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22. 제 1 스위칭 상태 및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로서,
    제 1 권선(103, 103')과 제 1 부측 단자(S1) 및 제 2 부측 단자(S2)을 가지는 제 2 권선(105)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101, 101') - 상기 트랜스포머(101, 101')는 제 1 권선(103, 103')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을 제 2 권선(105)에 유도 결합의 방법으로 송신함 -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 및 인버터(INV)를 가지는 스위칭 어셈블리(109)를 포함하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는 제 1 트랜지스터 타입이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는 제 1 트랜지스터 타입과 상보적인 제 2 트랜지스터 타입이며,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들(234, 236)은 서로 결합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비전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는 전도 상태에 있게 되고,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의 스위칭 가능한 경로(230)는,제 1 기준 전위(Vref1)가 공급되는 제 1 기준 전위 단자(119a)와 제 1 부측 단자(S1)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전도 상태에 있을 때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제 1 부측 단자(S1)에 공급하고,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의 스위칭 가능한 경로(232)는, 제 2 기준 전위(Vref2)가 공급되는 제 2 기준 전위 단자(119b)와 제 1 부측 단자(S1)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전도 상태에 있을 때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제 2 부측 단자(S2)에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들(234, 236)은 인버터(INV)의 출력과 결합되며, 상기 인버터(INV)는,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스위칭 트랜지스터(MN1, MP1)의 제어 단자(234, 236)에 공급하고,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스위칭 트랜지스터(SW1, MN1, SW2, MP1)의 제어 단자(234, 236)에 공급하여,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N1)가 전도 상태에 있고 제 1 기준 전위(Vref1)를 제 1 부측 단자(S1)에 공급하고,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b)이 제 2 부측 단자(S2)에 탭핑 될 수 있고, 이는 제 1 권선(103, 103)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MP1)가 전도 상태에 있고 제 2 기준 전위(Vref2)를 제 2 부측 단자(S2)에 공급하고,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111a)이 제 1 부측 단자(S1)에 탭핑 될 수 있고, 이는 제 1 권선(103, 103')에 인가된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에 기초하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기준 전위(Vref1, Vref2) 중의 하나가 공급되는 기준 전위 단자(119a, 119b) 중의 하나와, 고주파의 접지 노드를 제공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 100', 200, 200')의 접지 단자(117)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캐패시터(C2, C3)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23. 복수개의 통신 밴드에 대한 송신 신호를 제공하는 송신기(400)로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100',200,200')와,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100',200,200')에 결합되어 상기 송신 신호를 HF 입력 신호(107, 107a, 107b)로서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100',200,200')로 제공하며, 상기 송신 신호가 송신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밴드 중 임의의 통신 밴드와 독립적으로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100,100',200,200')의 스위칭 상태를 선택하는, 송신 신호 제공기(404)를 포함하는
    송신기.
  24. HF 신호를 송신 수단의 주측으로 인가하는 단계(501) -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인가된 HF 신호를 유도 결합에 의해 상기 송신 수단의 부측으로 송신하도록 구현됨 - 와,
    제 1 기준 전위를 상기 송신 수단의 부측의 제 1 부측 단자(a first secondary side terminal)로 인가하는 단계(502) -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는 상기 송신 수단의 주측으로 인가된 상기 HF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수단의 부측의 제 2 부측 단자에서 탭핑될 수 있음 - 와,
    제 2 기준 전위를 상기 제 2 부측 단자로 인가하는 단계(503) - 제2 송신기 출력 신호는 상기 송신 수단의 주측로 인가된 상기 HF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측 단자에서 탭핑 될 수 있음 -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기재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장치.
  26. 휴대용 이동 무선 장치로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결합된 변조기 회로와,
    안테나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는 상기 변조기 회로 및 상기 안테나와 결합됨 -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변조기 회로는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베이스 밴드 신호에 기초하여 HF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HF 입력 신호를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로 제공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 1 송신기 출력 신호 및/또는 제 2 송신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이동 무선 장치.
KR1020120020590A 2011-02-28 2012-02-28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 KR101345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4869.3 2011-02-28
DE102011004869 2011-02-28
DE102011006269A DE102011006269A1 (de) 2011-02-28 2011-03-28 Hochfrequenzumschaltanordnung, Sender und Verfahren
DE102011006269.6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543A true KR20120098543A (ko) 2012-09-05
KR101345530B1 KR101345530B1 (ko) 2013-12-26

Family

ID=4663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590A KR101345530B1 (ko) 2011-02-28 2012-02-28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7392B2 (ko)
KR (1) KR101345530B1 (ko)
CN (1) CN102707635B (ko)
DE (1) DE102011006269A1 (ko)
TW (1) TWI4812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04A (ko) * 2017-04-28 2022-07-22 부르메스터 아우디오시스테메 게엠베하 신호 증폭기 회로, 전압 변환기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3348B2 (en) * 2014-07-29 2016-08-0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Electronic circuit including a switch having an associated breakdown voltag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649871B2 (en) * 2016-04-15 2020-05-12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with low-ohmic circuit path
EP3327984A1 (en) * 2016-11-24 2018-05-30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Full-duplex switching module and method
CN108566188B (zh) * 2018-04-28 2021-07-06 成都通量科技有限公司 高频低插损开关
CN112825489A (zh) * 2019-11-19 2021-05-21 澜至电子科技(成都)有限公司 射频信号收发器
WO2021147040A1 (zh) * 2020-01-22 2021-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388A (en) * 1969-07-07 1971-04-06 Bell Telephone Labor Inc Marker controlled electronic crosspoint
DE3423205A1 (de) * 1984-06-22 1986-01-02 Gerhard Prof. Dr.-Ing. 8012 Ottobrunn Flachenecker Antenne in der heck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4675796A (en) * 1985-05-17 1987-06-23 Veeco Instruments, Inc. High switching frequency converter auxiliary magnetic winding and snubber circuit
US5089752A (en) * 1990-09-28 1992-02-18 Everbrite, Inc. High frequency luminous tube power supply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US5545971A (en) * 1995-06-01 1996-08-13 Gomez; Zaitter AC voltage regulator
US5793624A (en) * 1996-06-05 1998-08-11 Hydro-Quebec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DC battery
US7146149B1 (en) 2003-07-10 2006-12-0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High isolation switch buffer for frequency hopping radios
JPWO2006013753A1 (ja) * 2004-08-06 2008-05-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複合部品
US7869771B2 (en) * 2006-06-23 2011-01-11 Broadcom Corporation Multi-band transformer for wireless transmitter
US8280325B2 (en) * 2006-06-23 2012-10-02 Broadcom Corporation Configurable transmitter
JP4939857B2 (ja) * 2006-07-04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回路
CN101145811B (zh) 2006-09-11 2012-09-05 索尼株式会社 通信系统、通信装置以及高频耦合器
US7616934B2 (en) * 2006-12-11 2009-11-10 Sige Semiconductor (Europe) Limited Switched impedance transformer for semiconductor circuits
CN100461601C (zh) * 2007-03-16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隔离高频开关dc-dc变换的系统及方法
US7821472B2 (en) 2007-03-19 2010-10-2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M transmit and FM receive using a transformer as a duplexer
US8095082B2 (en) 2007-10-10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Dual ban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DE102008050242B4 (de) * 2008-10-07 2016-07-07 OLYMPUS Winter & lbe GmbH Hochfrequenz-Chirurgiegerät
US8149050B2 (en) * 2009-11-13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Cascaded amplifiers with transformer-based bypass mode
US8237501B2 (en) * 2010-09-09 2012-08-07 Mks Instruments, Inc. Power amplifier with transistor input misma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04A (ko) * 2017-04-28 2022-07-22 부르메스터 아우디오시스테메 게엠베하 신호 증폭기 회로, 전압 변환기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1207B (zh) 2015-04-11
CN102707635A (zh) 2012-10-03
TW201236389A (en) 2012-09-01
US20120220245A1 (en) 2012-08-30
CN102707635B (zh) 2015-01-28
KR101345530B1 (ko) 2013-12-26
US9077392B2 (en) 2015-07-07
DE102011006269A1 (de)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530B1 (ko) 고주파 스위칭 어셈블리, 송신기 및 방법
US7937064B2 (en)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677930B2 (ja) 半導体スイッチ及び無線機器
US9838068B2 (en)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transmitter apparatus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US11349469B2 (en) High power radio frequency switches with low leakage current and low insertion loss
US8493136B2 (en) Driver circuit and a mixer circu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river circuit
GB2504488A (en) Transceiver with a series switch positioned between a common impedance matching network and an LNA to provide transmit/receive switching
US8060048B2 (en) Mixer arrangement
US20190319664A1 (en) Multi-mode configurable transceiver with low voltage switches
US10629972B2 (en) Radio-frequency switching circuit
US10305281B2 (en) Semiconductor device
JP6835005B2 (ja) フロントエンド回路
US9136838B2 (en) RF switch implementation in CMOS process
KR20150096938A (ko) 고주파 스위치 회로
KR20140086487A (ko) 고주파 스위치 회로
KR101034125B1 (ko) 수동 혼합기
JP5192900B2 (ja) スイッチ半導体集積回路
CN110943751B (zh) 一种射频前端电路
KR100631660B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124621A (ko) 혼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