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903A -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903A
KR20120097903A KR1020110017441A KR20110017441A KR20120097903A KR 20120097903 A KR20120097903 A KR 20120097903A KR 1020110017441 A KR1020110017441 A KR 1020110017441A KR 20110017441 A KR20110017441 A KR 20110017441A KR 20120097903 A KR20120097903 A KR 2012009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acmundong
se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숙
백현거
조인식
류근석
진영근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01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903A/ko
Publication of KR2012009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인한 항산화 효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으로 인한 피부미백 효과, 및 MMP-1 활성 억제능으로 인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없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ing activity}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인한 항산화 효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으로 인한 피부미백 효과, 및 MMP-1 활성 억제능으로 인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없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대한 사람들의 주요 고민은 크게 피부 미백과 주름이다.
피부 미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피부의 멜라닌 형성세포(melanocyte)에서의 멜라닌(melanin) 형성이다.
멜라닌은 멜라닌 형성세포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작용에 의해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어 도파크롬(dopachrome) 등을 거쳐 생성된다. 이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잉생산된 멜라닌은 오히려 기미, 주근깨 등을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멜라닌의 과잉생산을 예방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물질로는 비타민 C, 상백피 추출물,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감초 추출물,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이 있다. 코직산은 발암성 물질로 밝혀져 실험 외에는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하이드로퀴논은 멜라닌 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고, 생체내실험(in vivo test) 결과 영구 탈색의 위험성이 있으며 발암물질로도 알려져 국내에서 화장품 성분으로 수입이 금지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화학물질은 미백 효과는 있더라도 피부에 대한 독성 내지 부작용의 문제가 수반되어 그 이용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피부 미백 성분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나이를 먹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형성이다.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는 활성화 자리에 아연을 가지는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로 세포 외 기질에서 구조단백질을 형성하는 막 콜라겐(membrane collagen), 아그리칸(aggreca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같은 단백질을 분해하고 재구성하는 효소이다.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물질로는 아데노신,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등이 있으나, 아데노신은 임상에서의 효능이 미미하고, 레티노인산은 가임여성에게 사용할 수 있고, 홍반 등 자극의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우수한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재료를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화장료 조성물이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우, 항산화력이 우수하고,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MMP-1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적이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구기엽 및 맥문동씨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첫째, DPPH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MMP-1 활성 억제능으로 인한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둘째, 피부에 자극이 적고 천연 유래의 식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셋째,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구기엽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구기엽, 맥문동씨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기엽(Lycii folium)은 구기자나무(Lycium chinesis Miller)의 잎 부위로서, 구기자 나무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송 소목이다. 그 뿌리를 지골피, 잎은 구기엽, 어린순은 천정초, 열매를 구기자(Lycii fructus)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청양군과 전라남도 진도군이 주생산지이다. 구기엽에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루틴(rutin), 베타인(betaine), 비타민 C(vitamin C) 등의 성분 물질들이 있다. 그 중 베타인은 숙취 해소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루틴은 혈압억제,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로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이다. 덩이뿌리를 소염, 강장, 진해 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맥문동 종자 부위이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화장료 등으로 제조 시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구기엽, 맥문동씨를 각각 분쇄하여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교반 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구기엽 및 맥문동씨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시킨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물 재료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식물 재료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50 배 정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기엽, 맥문동씨의 건조 중량 1g 당 5~20 ㎖로 한다. 실온에서 1~7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50 ~ 95 ℃의 가온 조건에서 1~5 시간 정도 추출하는 방법 등 종래의 일반적인 용매추출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구기엽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건조구기엽은 청양구기자시험장에서 제공받은 것으로, 이를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얻은 엑스를 액-액 분배하여 헥산 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을 얻었다.
상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기엽에서 조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및 부탄올 분획의 분리 과정을 살펴보면, 구기엽 조추출물은 통상적인 용매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건 건조하여 세절한 구기엽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냉침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조추출물을 충분한 양의 80% 메탄올 수용액에 녹여 분액여두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격렬하게 흔들어 방치하면 수분 내에 위에는 헥산층, 아래는 80% 메탄올층으로 분리되는데,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 방치하여 둔다. 분리된 헥산층은 따로 받아두고, 80% 메탄올층에 다시 헥산을 넣어 분배를 반복한다. 2회째도 역시 분리된 헥산층을 받아두고 80% 메탄올층에 다시 헥산을 넣어 분배한다. 이와 같이 3회에 걸쳐 분리한 헥산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헥산 분획으로 한다.
80% 메탄올층은 농축하여 30% 정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만들고 이번에는 클로로포름으로 분배를 한다. 클로로포름은 비중이 무거워 아래층을 형성하며 30% 메탄올층은 윗부분이 된다. 클로로포름층은 분리하여 두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더 반복하여 분리된 클로로포름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한다.
30% 메탄올층은 농축하여 메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동량의 부탄올과 물로 3회 분배한다. 분리된 부탄올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분획으로 한다.
< 제조예 2> 맥문동씨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맥문동씨는 청양구기자시험장에서 제공받은 것으로, 이를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얻은 엑스를 액-액 분배하여 헥산 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을 얻었다.
상기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맥문동씨에서 조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및 부탄올 분획의 분리 과정을 살펴보면, 맥문동씨 조추출물은 통상적인 용매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건 건조하여 세절한 맥문동씨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냉침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조추출물을 충분한 양의 80% 메탄올 수용액에 녹여 분액여두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격렬하게 흔들어 방치하면 수분 내에 위에는 헥산층, 아래는 80% 메탄올층으로 분리되는데,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 방치하여 둔다. 분리된 헥산층은 따로 받아두고, 80% 메탄올층에 다시 헥산을 넣어 분배를 반복한다. 2회째도 역시 분리된 헥산층을 받아두고 80% 메탄올층에 다시 헥산을 넣어 분배한다. 이와 같이 3회에 걸쳐 분리한 헥산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헥산 분획으로 한다.
80% 메탄올층은 농축하여 30% 정도의 메탄올 용액으로 만들고 이번에는 클로로포름으로 분배를 한다. 클로로포름은 비중이 무거워 아래층을 형성하며 30% 메탄올층은 윗부분이 된다. 클로로포름층은 분리하여 두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더 반복하여 분리된 클로로포름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한다.
30% 메탄올층은 농축하여 메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동량의 부탄올과 물로 3회 분배한다. 분리된 부탄올층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분획으로 한다.
< 실험예 1> DPPH 항산화 효과 실험
DPPH(1,1-diphenyl-2-picrydrazyl) 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연속희석법(serial dilution)으로 시료 50 ㎕를 넣은 후, 0.2 mM DPPH 100 ㎕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을 시켰다. 시료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17 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했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 %)은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 = (A - B) / A × 100
A :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B : 시료를 처리한 시험군의 흡광도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50 % 감소하는 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SC50으로 나타냈다.
SC50 (%)
구기엽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0.02
구기엽 추출물 (부탄올 분획) 0.008
맥문동씨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0.03
라스베라트롤 0.006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구기엽 추출물은 비교물질인 라스베라트롤과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맥문동씨 추출물도 높은 수준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 실험예 2> MMP -1 활성 억제효과 실험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활성 억제 평가는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에세이 키트(assay kit, Enzo 社, BML-AK404)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MMP-1) 20 ㎕, 추출물 시료 20 ㎕, 완충용액 50 ㎕를 넣은 후에 37 ℃에서 30~60분 동안 반응시켰다. 마지막 단계로 기질(substrate)로서 1 mM 티오펩타이드(thiopeptide)를 넣은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37℃ 조건, 475 nm에서 15분 동안 1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했다.
MMP-1 활성 억제율은 다음의 수학식 2로 산출했으며, 시료의 MMP-1 활성 억제율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 저해제(NNGH, N-Isobutyl-N-(4-methoxyphenylsulfonyl)-glycyl hydroxamic acid)와 비교했다.
MMP-1 의 활성 억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MMP-1 활성 억제율 (%) = (1 - A / B) × 100
A : 시료의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기울기
B :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기울기
MMP-1 활성 억제율 (%)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 3 %) 84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 1.5 %) 24
구기엽 (클로로포름 분획물, 1.5 %) 64
맥문동씨 (헥산 분획물, 1.5 %) 44
NNGH (1.3 μM) 88
상기의 결과로부터 구기엽 및 맥문동씨 추출물의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 효소-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탄력 저하 및 주름 형성을 예방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 실험예 3>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실험
자외선 또는 주변환경 및 내적인 호르몬의 영향으로 티로시나제(tyrosinase)가 활성을 갖게 되면, 티로신(tyrosine) 또는 DOPA(dioxyphenylalanin)가 도파크롬(dopachrome)의 생성경로를 거쳐 자동산화 반응에 의해 멜라닌 고분자로 변화된다.
본 실험을 통해 티로시나제에 의한 중간생성 단계 물질인 도파크롬의 생성여부를 측정하여 멜라닌 색소 침착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Sigma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연속희석법(serial dilution)으로 시료 50 ㎕를 넣은 후, 2400 units/ml 티로시나제 용액 50 ㎕와 0.3 mg/ml L-티로신 용액 100 ㎕를 순서대로 첨가했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에 시료를 용해한 용매를 동량 넣었다. 37 ℃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에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각 시료액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고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 {(A - B) - (C - D)} / (A - B) × 100
A : 대조군의 흡광도
B : 대조군의 blank 흡광도
C : 시료의 흡광도
D : 시료의 blank 흡광도
티로시나제 활성이 50 % 감소하는 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IC50으로 나타냈다.
IC50 (%)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 0.35
구기엽 (부탄올 분획물) 0.10
맥문동씨 (클로로포름 분획물) 0.0025
코직산 (kojic acid) 0.005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맥문동씨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는 비교물질인 코직산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고, 구기엽 추출물 역시 우수한 수준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첩포시험(Human patch test)을 시행하였다. 피부첩포시험은 20세 이상의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료를 1%, 10%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상박 안쪽 부위에 부착한 뒤 제거한 후에 첫 판독을 하고,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여 피부 반응 결과를 판정하였다. 평가기준과 자극지수의 계산을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반응 가중치 평가기준
- 0.0 무반응
± 0.5 의심되는 양성 반응
+ 1.0 약양성반응
++ 2.0 강양성반응
+++ 3.0 극양성반응
(수학식 4)
피부자극지수 = Σ(가중치 × 반응인 수)/(최고 가중치 × 총 피험자 수) × 100
피부자극지수 자극정도
구기엽 추출물 (1%) 0.0 무자극
구기엽 추출물 (10%) 0.8 무자극
맥문동씨 추출물 (1%) 0.0 무자극
맥문동씨 추출물 (10%) 0.4 무자극
구기엽, 맥문동씨 추출물 (1%) 0.4 무자극
구기엽, 맥문동씨 추출물 (10%) 0.8 무자극
실험 결과, 구기엽, 맥문동씨 추출물은 10% 이하에서는 피부에 대하여 무자극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 시 피부에 자극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5> 피부미백 임상 시험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명 함량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2 3
구기엽 추출물 - 1.0 - 0.5
맥문동씨 추출물 - - 1.0 0.5
글리세린 5.0 5.0 5.0 5.0
스테아린산 8.0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2.5 2.5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1.5 1.5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0.2 0.2 0.2
바셀린 2.0 2.0 2.0 2.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크림의 피부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을 5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1일 2회씩 아침 세안 후와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의 밝기정도는 색차계(chromameter, Minolta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값은 4주 경과후의 ΔL*(whiteness) 값을 구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5)
ΔL* = 4주 후의 L*값 - 사용 전 L*값
ΔL*
비교예 1 +1.7
실시예 1 +7.0
실시예 2 +7.4
실시예 3 +8.5
실험 결과, 구기엽 및 맥문동씨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을 4주 동안 사용했을 때,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피부 주름개선 임상 시험
실험예 5의 피부미백 임상시험을 실시하면서 피부 주름개선 효과도 동시에 확인하였다.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크림을 5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1일 2회씩 아침 세안 후와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 주름개선 정도는 전안촬영시스템(facial stage DM-3(Moritex, 일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주 경과후의 주름 면적 변화량을 구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6)
주름 면적 변화량 = 사용 전 주름 면적 - 4주 사용 후 주름 면적
주름 면적 변화량 (mm2)
비교예 1 2
실시예 1 9
실시예 2 7
실시예 3 9
실험 결과, 구기엽 및 맥문동씨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을 4주 동안 사용했을 때,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주름 면적의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구기엽, 맥문동씨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 skin toner )
성분명 함량 (중량%)
구기엽 추출물 0.5
맥문동씨 추출물 0.5
글리세린 5.0
1,3 - 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astrigent )
성분명 함량 (중량%)
구기엽 추출물 0.5
맥문동씨 추출물 0.5
글리세린 3.0
구연산 0.1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소르비톨 2.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3> 로션( 에멀젼 )
성분명 함량 (중량%)
구기엽 추출물 0.5
맥문동씨 추출물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4> 크림 ( cream )
성분명 함량 (중량%)
구기엽 추출물 0.5
맥문동씨 추출물 0.5
글리세린 5.0
스테아린산 8.0
스쿠알란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바셀린 2.0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엽, 맥문동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시킨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17441A 2011-02-25 2011-02-25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7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41A KR20120097903A (ko) 2011-02-25 2011-02-25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41A KR20120097903A (ko) 2011-02-25 2011-02-25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03A true KR20120097903A (ko) 2012-09-05

Family

ID=4710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441A KR20120097903A (ko) 2011-02-25 2011-02-25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598A (zh) * 2017-10-11 2017-12-22 付金龙 皮肤抑菌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598A (zh) * 2017-10-11 2017-12-22 付金龙 皮肤抑菌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907904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101155714B1 (ko) 비자나무의 미성숙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526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7903A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212232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2650192B1 (ko)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2196B1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78071B1 (ko)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20020044194A (ko)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170013588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20022735A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