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735A -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735A
KR20220022735A KR1020200104047A KR20200104047A KR20220022735A KR 20220022735 A KR20220022735 A KR 20220022735A KR 1020200104047 A KR1020200104047 A KR 1020200104047A KR 20200104047 A KR20200104047 A KR 20200104047A KR 20220022735 A KR20220022735 A KR 2022002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hours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095B1 (ko
Inventor
김재문
유화선
구동환
이정노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0010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때죽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Styraxlignolide F를 함유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때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이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Styrax Japonicus}
본 발명은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티락스리그놀라이드 에프 (Styraxlignolide F)를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한다.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요인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됨으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제가 활성화되고, 이것은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를 생성시키고,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는 산화과정을 통해 피부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이라는 중합체가 합성된다. 이 멜라닌은 피부의 각질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전달되며, 각질화 과정에 의해 피부 표면에 도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멜라닌은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자외선 방어제이며, 단백질, 지질, 핵산 등과 같은 생체성분을 변형시키는 다양한 라디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프리 라디칼 소거제의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피부병변 및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피부 흑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히드로퀴논, 상백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이 있다.
하지만 알부틴의 경우,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작용을 갖는 반면, 화장품에 배합 시 변색 및 경시변화에 따른 역가 저하 등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피부자극이 커 사용상 한계가 있다. 아스코르빈산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가 낮고,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히드로퀴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현재 화장품 배합 시에 그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식물 추출물들은 고농도에서만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저농도에서는 저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기존 멜라닌 생성 억제제들은, 실제 사람 피부에 대한 임상적인 실험 시 미백효과가 미약하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 안정성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기초로 한 미백용 조성물이 주목받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39520호 (공개일자 2016.04.11)에는, 때죽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항산화, 항염,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5574220000호 (공개일자 2015.09.25)에는, 때죽나무의 가지, 열매,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피부 세정용,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때죽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때죽나무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Styraxlignolide F가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피부 자극이 없음을 확인하고 이를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때죽나무(Styrax Japonicus)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때죽나무(Styrax Japonicus)추출물을 분획하여 수득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일 예로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일 예로 분말 상태의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에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스티락스리그놀라이드 에프 (Styraxlignolide F)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때죽나무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Styraxlignolide F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의 분획물을 얻기 위한 분획도이다.
도 2는 때죽나무 추출물의 HPLC를 통한 Styraxlignolide F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때죽나무추출물으로부터 분리한 Styraxlignolide F의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때죽나무(Styrax Japonicus)는 때죽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목재는 판재나 세공물 등에 쓰이며, 열매와 과피는 과거 물고기를 잡는데 이용하고, 기름을 뽑아 사용하기도 하였다. 종자에는 여러 종류의 글리세라이드와 지방유, 에고놀이 들어 있어 머릿기름으로 쓰기도 하고, 꽃은 향수 원료나 인후통 또는 치통 치료 약으로 쓰는데 많이 먹으면 목과 위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염증 억제, 골절, 타박상, 치통 및 풍 제거에 약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외 항산화, 항염 등의 생리활성 효능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때죽나무(Styrax Japonicus)의 줄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때죽나무 줄기의 에탄올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때죽나무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바람직하게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때죽나무 분량의 1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15 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온도는 20 내지 7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5 내지 65℃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6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20 시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내지 15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분말상태의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수득한 헥산 분획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일 수 있다 (도 1). 상기 분획물은 분획 후 감압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때죽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본 발명의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30.0중량%를 함유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미백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때죽나무 에탄올추출물로부터 얻어진 헥산 분획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미백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스티락스리그놀라이드 에프 (Styraxlignolide F)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Styraxlignolide F는 때죽나무 에탄올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Styraxlignolide F 화합물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 함유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 예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된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때죽나무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때죽나무 줄기 500 g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70% 에탄올 5 L을 첨가한 후,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80℃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4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과지로 다시 한 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50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6: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 50 g을 헥산과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순차적 용매분획을 실시한 후 감압농축하여 실시예 2의 헥산 분획물 8.57 g, 실시예 3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14.28 g, 실시예 4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12 g, 실시예 5의 부탄올 분획물 6.42 g, 실시예 6의 물 분획물 16.42 g 을 순차적으로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유효성분 분리 및 분석]
상기 실시예 2 ~ 6 에서 얻은 때죽나무 추출물 분획물 각각 약 0.1 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을 넣어 녹여 10 ml로 한 액을 가지고 검액으로 한 후 따로 Styraxlignolide F (C27H34O11: 534.6) 표준품을 10 mg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에 녹여 100 ml로 하고, 다시 이 액을 1/2, 1/4 로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 ㎕씩을 가지고 HPLC 분석하여 Styraxlignolide F 함량을 측정하였고 표 1에 나타내었다.
HPLC를 통한 분석은 2998 PDA detector가 장착된 HPLC 시스템(Waters 1525 Binary HPLC Pump, 2707 Autosampler)을 이용하였다. 고정상으로는 안지름 약 4.6 ㎜, 길이 약 25 ㎝인 스테인레스관에 5 ㎛의 액체크로마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0.5% 포름산(formic acid; A)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B)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였으며, 0.5% 포름산 75%, 아세토니트릴 25%의 비율로 진행하였다. 유속은 분당 1.0 ml이었고, 자외선 검출기의 검출파장은 260 nm로 설정하였다. HPLC 분석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농도 Styraxlignolide F 함량 (ppm)
실시예2 1% -
실시예3 1% 705.26
실시예4 1% 88.45
실시예5 1% 224.40
실시예6 1% 121.34
실시예 3의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10 g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2.5 × 28 cm, Hexane : EtOAc = 50 : 1 → 100% EtOAc)를 시행하여 20개의 분획(SMS1 ~ SMS-20)으로 구분하였고, 분획 CE7 ~ 10에 대하여 silica gel C.C. (2.5 × 28 cm, CH2Cl2 : MeOH = 50 : 1 → 100% MeOH), 그리고 sephadex LH-20 C.C (CH2Cl2 : MeOH = 1 : 1)를 시행하여 Styraxlignolide F 0.2 g을 분리하였다.
NMR 기기로 1H-NMR은 바리안사(Varian, GEMINI, 500 MHz), 13C-NMR은 바리안사(Varian, [0093] GEMINI, 200 MHz)의 NMR 기기로 그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용매는 MeOD로 알드리치(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로 트리메칠실란을 사용하여 δ값(ppm)으로 나타내었으며, NMR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 6의 때죽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과 Styraxlignolide F 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티로시나제는 생체 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도록 하는 효소이다. 티로시나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Sigma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인 L-티로신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용해하여 0.1 ㎎/㎖ 용액으로 만들고, 상기의 실시예 1 ~ 6의 때죽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0.1%로 적당한 농도로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L-티로신 용액 0.5 ㎖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상기 때죽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시료액 0.5 ㎖를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200 unit/㎖ 티로시나제 0.5 ㎖를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 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파장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때죽나무 추출물 대신 완충용액 0.5 ㎖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피부 미백제로 잘 알려진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이때, 티로시나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100-[(비교군흡광도/대조군흡광도)]*100
농도(%) 티로시나아제활성저해율(%)
실시예 1 0.10 42.3
0.05 27.1
실시예 2 0.10 14.3
0.05 9.4
실시예 3 0.10 65.2
0.05 38.8
실시예 4 0.10 43.1
0.05 25.2
실시예 5 0.10 22.8
0.05 12.4
실시예 6 0.10 26.1
0.05 13.6
Styraxlignolide F 0.10 67.4
0.05 35.2
알부틴 0.10 46.2
0.05 22.8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때죽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의 때죽나무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과 Styraxlignolide F는 알부틴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미백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 6의 때죽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과 Styraxlignolide F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마우스 유래 멜라닌 형성(B16F0) 세포를 96 well plate에 2.5×103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상기의 실시예 1 ~ 6의 때죽나무 추출물,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비교군으로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자극제로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를 150 nM 농도로 처리한 후 7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멜라닌생성저해율(%)=[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농도(%) 멜라닌 생성 저해율(% of control)
무처리군 - 0.0
실시예 1 0.010 42.6
0.005 22.1
실시예 2 0.010 2.7
0.005 0.5
실시예 3 0.010 68.3
0.005 41.2
실시예 4 0.010 42.1
0.005 25.3
실시예 5 0.010 7.8
0.005 3.2
실시예 6 0.010 10.5
0.005 4.4
Styraxlignolide F 0.010 65.2
0.005 32.7
알부틴 0.025 47.8
상기 표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때죽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에서 멜라닌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의 때죽나무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과 Styraxlignolide F은 알부틴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미백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5 g, 글리세린 10 g, 베타인 5 g, PEG 1500 2g, 알란토인 0.1 g, DL-판테놀 0.3 g, EDTA-2Na 0.02 g, 벤조페논-9 0.04 g,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g,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 g,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g, 트리에탄올아민 0.18 g, 옥틸도데카논 0.3 g, 옥틸도데세스-16 0.4 g, 에탄올 6 g, 향 0.2 g, Germall 115 0.3 g, 정제수 61.86 g 를 혼합하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조]
알부틴 2 g, 글리세린 10 g, 베타인 5 g, PEG 1500 2g, 알란토인 0.1 g, DL-판테놀 0.3 g, EDTA-2Na 0.02 g, 벤조페논-9 0.04 g,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g,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 g,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g, 트리에탄올아민 0.18 g, 옥틸도데카논 0.3 g, 옥틸도데세스-16 0.4 g, 에탄올 6 g, 향 0.2 g, Germall 115 0.3 g, 정제수 64.86 g 를 혼합하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알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 실험을 위하여, 색소침착증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성인 여성 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2개 그룹(A, B)으로 나눈 후, A 그룹을 대상으로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B 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도포하였다. 이후, 피부색의 변화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Minolta CM6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 관찰을 실시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 효능 정도를 다음의 미백 효능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매우 악화, -2: 악화 ,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검자 피부색의밝기변화(Δ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ΔL)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ΔL)
A 그룹 B 그룹 A 그룹 B 그룹 A 그룹 B 그룹
1 3.2 2.5 2 2 1 1
2 2.5 2.6 1 1 1 0
3 2.7 2.4 1 0 1 1
4 2.0 2.7 2 2 1 1
5 3.7 2.3 2 0 2 1
6 2.8 2.2 1 1 1 0
7 3.4 2.6 2 1 2 1
8 3.4 2.7 0 2 1 2
9 2.7 2.3 2 2 1 1
10 3.1 1.7 1 2 0 0
11 3.0 2.1 1 1 1 1
12 3.3 2.9 2 1 2 1
13 3.5 2.5 1 1 1 1
14 2.8 2.2 2 1 2 2
15 3.2 2.5 1 2 1 1
16 2.4 2.3 2 1 2 1
17 3.9 2.0 0 1 1 0
18 3.8 2.4 2 1 2 1
19 3.0 2.0 1 0 1 0
20 3.6 3.1 2 1 1 1
평균 3.10 2.40 1.40 1.15 1.25 0.85
실험 결과, 실시예 3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A 그룹의 평균 ΔL 값은 3.10(p<0.05)이었고, 알부틴을 함유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B 그룹의 평균 ΔL 값은 2.40(p<0.05)이었다.
한편, 숙련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 숙련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 A그룹은 1.40, B 그룹은 1.15 이었으며, 피검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는 A그룹은 1.25, B 그룹은 0.85 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교군인 알부틴보다 본 발명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제형의 안정성 실험]
본 실험예는 제조예 1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용기에 담아 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제품 변색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온도 실험물질의 변색 정도
제조예 1
45 ℃ 0.4
4 ℃ 0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는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자극 실험]
본 실험예는 제조예 1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 정도를 알아보고자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5×20 cm 크기로 각 시료의 일정량(20 ㎕)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24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피부상태의 변화 정도는 다음의 피부상태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상태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피검자
(성별, 피부타입)
경과시간 피부상태 변화
제조예 1
1(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2(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3(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4(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5(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6(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7(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8(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9(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0(남,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1(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2(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3(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4(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5(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6(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7(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8(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19(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20(여, 중성) 1 시간 0
24 시간 0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때죽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추출물을 분획하여 수득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분말 상태의 때죽나무 에탄올 추출물에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스티락스리그놀라이드 에프 (Styraxlignolide F)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KR1020200104047A 2020-08-19 2020-08-19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47A KR102479095B1 (ko) 2020-08-19 2020-08-19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47A KR102479095B1 (ko) 2020-08-19 2020-08-19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35A true KR20220022735A (ko) 2022-02-28
KR102479095B1 KR102479095B1 (ko) 2022-12-19

Family

ID=8049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047A KR102479095B1 (ko) 2020-08-19 2020-08-19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0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557422B1 (ko) 2014-10-31 2015-10-1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9520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때죽나무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20160039520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때죽나무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2014-10-31 2015-10-1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 1544] Fish anesthetic - Stinger tree (2013.06.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095B1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112B2 (ja)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2436291B1 (ko)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8904A (ko) 코스투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9095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3081B1 (ko) 녹두추출물을함유하는미백화장료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86853B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76A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1264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8130B1 (ko)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4935B1 (ko) 병아리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25B1 (ko) 마나산틴 b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0806B1 (ko) 아마란스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83144A (ja) 抗炎症剤、美白剤、及び抗老化剤、並びに皮膚化粧料
KR101784759B1 (ko)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