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759B1 -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759B1
KR101784759B1 KR1020150077287A KR20150077287A KR101784759B1 KR 101784759 B1 KR101784759 B1 KR 101784759B1 KR 1020150077287 A KR1020150077287 A KR 1020150077287A KR 20150077287 A KR20150077287 A KR 20150077287A KR 101784759 B1 KR101784759 B1 KR 10178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whitening
irigeni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511A (ko
Inventor
이정노
이경순
김효민
김우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5007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7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리게닌(iri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발휘하는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irigeni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리게닌(iri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 세포 속에 들어있는 멜라닌을 함유하는 멜라노좀(melanosome)의 숫자, 크기, 종류 및 분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멜라닌은 햇빛 중 자외선의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더 깊숙이 있는 세포들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자외선 등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면 피부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멜라닌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이 효소는 조직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에 작용하여 도파(dopa)를 생성시키고,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이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자동 산화과정을 거쳐 흑색 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피부 흑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히드로퀴논 및 상백피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이 있다.
알부틴의 경우,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작용을 갖는 반면, 화장품에 배합시 변색 및 경시변화에 따른 역가 저하 등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피부자극이 커 사용상 한계가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가 낮고,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히드로퀴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현재 화장품 배합시에 그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식물 추출물들은 고농도에서만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저농도에서는 저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기존 멜라닌 생성 억제제들은, 실제 사람 피부에 대한 임상적인 실험시 미백 효과가 미약하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피부에 자극이 없고, 우수한 미백 효능을 발휘하는 소재의 발굴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0606호 (등록일자: 2004.04.27)에는, 락트산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403호 (등록일자: 2011.06.08)에는, 녹차, 상백피 및 감초의 혼합 발효물과 발효 인삼을 배합하여 추출된 복합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미백 효능이 우수하며, 피부자극이 없는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리게닌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발휘하며,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이리게닌(irigenin)은 이소플라본(isoflavone)으로 붓꽃과(Iridaceae) 식물의 뿌리줄기에 배당체 이리딘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360, 융점은 185℃이다. 이리게닌의 당뇨병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효과,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는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이리게닌의 우수한 피부 미백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바람직하게 농도가 10~200 ㎍/㎖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30.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에 대하여 0.01~10.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리게닌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미백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바람직하게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의 뿌리로부터 유래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리게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화합물 형태인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 예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어내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일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없고,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발휘하는 이리게닌(iri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제조예 1: 이리게닌 추출]
세절하여 음건한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의 뿌리 10 kg을 분쇄하여 제조된 분쇄물에 70% 에탄올 100 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7일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4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다시 한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1.3 kg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용액을 용매로 하여 HP-20 컬럼에 흘려주어 이리게닌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한 후, 세파덱스(sep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12.5 g의 이리게닌을 분리하였다. 그 후, 1H-NMR, 13C-NMR, UV로 분석하였다.
1H-NMR 분석 결과, (DMSO-d6,80 MHz) δ:8.38(H2), 6.52(H8), 6.71(H2'), 6.68(H6'), 12.9(5-OH), 9.17(3'-OH,4'-OH), 3.71(OCH3), 3.77, 3.80이였다.
또한, 13C-NMR 분석 결과, (DMSO-d6,20 MHz) δ: 145.3(C2), 121.9(C3), 180.8(C4), 152.8(C5), 131.4(C6), 153.1(C7), 93.8(C8), 157.7(C9), 105.8(C10), 126.1(C1'), 110.7(C2'), 150.5(C3'), 136.0(C4'), 152.5(C5'), 104.8(C6'), 60.4(6-OCH3), 60.1(4'-OCH3), 55.8(5'-OCH3)였다.
또한, UV 분석 결과, (λmax, nm) (MeOH):269, 330, (+NaOH); 274, 338.5, (+NaOAc); 272.5, 336, (+NaOAc/H3BO3); 270, 332.5, (+AlCl3); 277, 313.5, 381, (+AlCl3/HCl); 278.5, 321, 379였다.
상기 1H-NMR, 13C-NMR, UV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제조예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제조예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이리게닌의 화학식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52607325-pat00001

[ 실험예 1: 이리게닌의 세포 생존율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세포 독성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인감섬유아세포(HDF)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 (10, 50, 100, 200 ㎍/㎖)로 DMSO에 현탁한 후 처리한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두 번씩 세척하였다. 그 후, MTT를 5 mg/㎖로 PBS에 녹인 것을 50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DMSO를 한 웰당(well) 당 100 ㎕씩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부터 이리게닌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전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이리게닌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때, 미백제로 잘 알려진 상지 추출물과 알부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는 생체 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도록 하는 효소이다. 티로시나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시그마(Sigma)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인 L-티로신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용해하여 0.1 ㎎/㎖ 용액으로 만들고, 이리게닌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200 ㎍/㎖로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L-티로신 용액 0.5 ㎖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이리게닌 시료액 0.5 ㎖를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200 unit/㎖ 티로시나제 0.5 ㎖를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 위에 놓고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이리게닌 대신 완충 용액 0.5 ㎖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티로시나제 활성이 50% 저해될 때의 IC50의 값을 각 미백 물질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52607325-pat00002
미백 물질 IC50(㎍/㎖)
(티로시나제 활성 50% 저해시 필요한 농도)
이리게닌 (제조예 1) 10.4
상지 추출물 240.7
알부틴 200.5
실험결과,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50% 저해하는 이리게닌 농도는 10.4 ㎍/㎖으로 나타났다. 상지 추출물이 240.7 ㎍/㎖, 알부틴이 200.5 ㎍/㎖인 것과 비교할 때, 이리게닌은 상지 추출물, 알부틴보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가 월등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이리게닌의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분석]
본 실험예는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통해 이리게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때, 미백제로 잘 알려진 알부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로,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 (10, 50, 100, 200 ㎍/㎖)로 DMSO에 현탁한 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세포 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 (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세포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 (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6.8, 1% Triton X-100, 2 mM PMSF) 1 ㎖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 (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52607325-pat00003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처리 농도(㎍/㎖) 멜라닌 함량 (pg/cell)
이리게닌 처리 알부틴 처리
무처리군 4.41 4.41
10 2.52 2.37
50 2.10 2.16
100 1.59 2.04
200 1.02 1.97
실험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리게닌의 농도가 50 ㎍/㎖ 이상일 때부터 알부틴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이하의 농도에서도 무처리군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 이리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이리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이리게닌을 2.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및 알부틴을 2.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센스 제형의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비교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단위:중량부)
성분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이리게닌 2.0 -
알부틴 - 2.0
글리세린 10.0 10.0
베타인 5.0 5.0
PEG 1500 2.0 2.0
알란토인 0.1 0.1
DL-판테놀 0.3 0.3
EDTA-2Na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0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0.18
옥틸도데카논 0.3 0.3
옥틸도데세스-16 0.4 0.4
에탄올 6.0 6.0
0.2 0.2
Germall 115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 실험예 4: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실시예 1의 알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 실험을 위하여, 색소침착증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성인 여성 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2개 그룹 (A 및 B)으로 나눈 후, A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B 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도포하였다. 이후, 피부색의 밝기변화(ΔL)를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Minolta CM600-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통한 미백효능 정도는 하기 미백효능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매우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검자 피부색의 밝기변화
(Δ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ΔL)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ΔL)
A 그룹 B 그룹 A 그룹 B 그룹 A 그룹 B 그룹 A 그룹 B 그룹
1 21 3.4 1.7 1 0 2 0
2 22 2.0 1.9 0 1 1 1
3 23 2.9 1.5 1 0 1 0
4 24 3.2 1.7 2 0 1 0
5 25 3.7 2.1 2 1 1 1
6 26 3.1 2.0 1 1 1 1
7 27 4.0 2.2 0 1 2 1
8 28 3.4 1.7 1 0 1 0
9 29 2.8 1.1 0 0 0 0
10 30 3.1 1.5 1 0 1 0
11 31 4.2 2.4 2 1 2 1
12 32 2.7 2.1 1 1 0 1
13 33 3.5 2.3 2 1 1 1
14 34 3.2 1.9 2 0 1 0
15 35 3.1 1.8 1 0 1 0
16 36 3.8 2.7 2 1 2 0
17 37 2.1 1.9 0 0 0 0
18 38 3.6 2.3 2 1 1 0
19 39 3.3 2.4 1 1 0 1
20 40 3.5 2.8 2 1 1 2
평균
3.23 2.0 1.2 0.55 1.0 0.5
실험 결과,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미백 평가에서, A 그룹 (이리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그룹)의 평균 ΔL 값은 3.23(p<0.05)이었고, B그룹 (알부틴을 함유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그룹)의 평균 ΔL 값은 2.0(p<0.05)이었다.
또한, 숙련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 A그룹은 1.2, B그룹은 0.55이었으며, 피검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는 A그룹은 1.0, B그룹은 0.5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보다 피부미백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 뿌리 분쇄물에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HP-20 컬럼에 흘려주어 이리게닌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한 후,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이리게닌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43455711-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농도가 1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30.0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게닌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50077287A 2015-06-01 2015-06-01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87A KR101784759B1 (ko) 2015-06-01 2015-06-01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87A KR101784759B1 (ko) 2015-06-01 2015-06-01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11A KR20160141511A (ko) 2016-12-09
KR101784759B1 true KR101784759B1 (ko) 2017-10-12

Family

ID=5757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287A KR101784759B1 (ko) 2015-06-01 2015-06-01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064A1 (en) 2001-02-26 2002-10-31 Fred Zulli Cosmetics containing isoflavone aglycones
JP2004501086A (ja) * 2000-04-18 2004-01-15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化粧品、医薬品および食品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新規フラボングリコシド誘導体
JP2009143897A (ja) * 2007-11-19 2009-07-02 Neochemir Inc ニキビ治療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06B1 (ko) 2001-11-21 2004-05-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41403B1 (ko) 2009-07-06 2011-06-14 한림성심대학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1086A (ja) * 2000-04-18 2004-01-15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化粧品、医薬品および食品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新規フラボングリコシド誘導体
US20020160064A1 (en) 2001-02-26 2002-10-31 Fred Zulli Cosmetics containing isoflavone aglycones
JP2009143897A (ja) * 2007-11-19 2009-07-02 Neochemir Inc ニキビ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11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47022A1 (en) Anti-wrinkl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containing biflavonoid derivatives
KR102020828B1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0965B1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62692B1 (ko)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1784759B1 (ko) 이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1264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11428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3318246B1 (e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ragana sinica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9095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0806B1 (ko) 아마란스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0124B1 (ko) 마칠린-에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