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254A -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254A
KR20170050254A KR1020150151580A KR20150151580A KR20170050254A KR 20170050254 A KR20170050254 A KR 20170050254A KR 1020150151580 A KR1020150151580 A KR 1020150151580A KR 20150151580 A KR20150151580 A KR 20150151580A KR 20170050254 A KR20170050254 A KR 2017005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persion solution
ultra
powde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356B1 (ko
Inventor
김태완
김진철
김태훈
손건호
조성일
김진영
윤의상
이소현
강연자
지원대
전동하
천정윤
박상미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주)튜링겐코리아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튜링겐코리아,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튜링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5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3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권백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제조된 분산용액을 초고압으로 균질화시켜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기존의 추출 방법보다 추출 공정이 간단하여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소재의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extract of Selaginella tamariscina with enhanced extraction yield using ultra high-pressure homogenization}
본 발명은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백 분말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제조된 분산용액을 초고압으로 균질화시켜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 및 상기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와 멜라노솜(melanosome)이라는 피부 세포의 소기관에서 만들어져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은 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티로신을 산화시키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반응에는 TRP 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및 TRP 2(tyrosinase related protein 2)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멜라닌이 합성되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바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티로신에 하이드록시기가 붙는 단계이다. 따라서 티로시나아제, TRP 1 및 TRP 2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속도를 줄여 피부를 밝게 할 수 있다.
미백 화장료의 제조에 있어서, 피부 흑화(melanism)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또는 멜라닌 생성 과정 중에서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의 화학 물질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이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서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코지산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작용이 우수한 반면, 화장료에 배합할 때 변색되고 경시 변화에 따라서 역가가 저하되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지닐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커서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히드로퀴논 또한 피부 자극 및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리고, 종합적으로 상기에서 기술된 각 식물 추출물들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만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나타나며, 식물 추출물의 안정성이 낮아서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 제품의 적용 범위가 매우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에서 미백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물질을 찾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권백은 부처손과(Selaginell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늘푸른 초본식물이다. 이 식물은 5~20cm 내외로 자라며 밑에서 파생된 근경은 매우 단단하고 짧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나고 다소 직립하며 거칠게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줄기 끝에 넓적하고 가늘고 작은 바늘 모양의 잎이 밀생하며 그 겉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백녹색이다. 대체로 옆으로 퍼져 있으나 건조하게 되면 주먹모양으로 오그라지기 때문에 생약명을 권백(Selaginellae Herba)이라 한다. 대체로 습한 바위 위에서 자라며 습기가 있을 때에는 역우산 모양으로 퍼져 있으나 건조하면 오그라지게 된다. 건조한 생약은 황갈색이고 아주 많은 수의 수염뿌리를 착생한 채 시판 거래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및 중국에도 분포한다. 대개 채약의 시기는 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하나, 봄에 수집한 것이 질적으로 더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그대로 썰어서 사용하거나 권백탄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 생약에 대한 성분학적 연구는 1971년경부터 비롯되었다. 즉,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서 아멘토플라본(amentoflavone), 히노키플라본(hinokiflavone), 이소크립토메린(isocryptomerine), 소테추플라본(sotetsuflavone) 등이 분리 보고되어 있다.
초고압 균질화 기술은 최근 도입된 신기술로서 분산용액을 초고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미세 오리피스 모듈을 통과시킴으로써 압력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공동현상(cavitation) 및 고전단력(high shear) 발생에 의한 급격한 물리적 에너지 증가로 분산용액 내의 분산물들의 뭉침을 풀거나 연결을 끊음으로써 분산용액을 균일한 상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로서 추출 수율 및 유효성분 물질을 증대시켜 경제적인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669362호에는 포제를 이용한 권백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561036호에는 설련 추출물 및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아직 언급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권백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제조된 분산용액을 초고압으로 균질화시켜 기존의 교반추출법을 이용한 에탄올 추출물보다 추출 수율이 약 60% 증진된 권백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이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권백 시료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권백 분말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분산용액을 10,000~40,000 피에스아이(psi)의 초고압 조건에서 균질화한 후 0.5~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초고압으로 균질화된 분산용액을 원심분리 또는 감압여과하여 각각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35~45℃에서 감압농축하여 권백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권백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제조된 분산용액을 초고압으로 균질화시켜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기존의 추출 방법보다 추출 공정이 간단하여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소재의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권백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초고압 균질 추출물의 제조공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추출방법에 따른 교반 추출물 및 초고압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감소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며, Arbutin은 양성 대조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권백 초고압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감소효과(A)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B)를 나타낸 것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며, Arbutin은 양성 대조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β-actin은 로딩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을 함유한 액정크림 제품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을 함유한 액정크림 제품의 사용감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권백 시료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권백 분말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분산용액을 10,000~40,000 피에스아이(psi)의 초고압 조건에서 균질화한 후 0.5~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초고압으로 균질화된 분산용액을 원심분리 또는 감압여과하여 각각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35~45℃에서 감압농축하여 권백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분산용액은 권백 분말 중량 대비 5~15배 부피부의 60~80%(v/v)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균질화는 분산용액 내 분산물들의 미립화(deagglomeration) 또는 저분자화(depolymerization)를 통해 분산용액을 균일한 상으로 전환시켜 불용성 성분과 결합되어 있는 활성성분의 추출 및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권백 추출물은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활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권백 추출물의 제조
권백(이하 '시료'라 함)은 건조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으며, 권백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3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분말상태의 시료에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9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70%(v/v) 에탄올 추출물은 분말상태의 시료에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추출물은 시료에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분산용액을 만든 후 10,000~40,000 피에스아이(psi)의 초고압으로 균질화 처리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도 1).
실시예 2. 권백 추출물의 추출 수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초고압 균질 추출물의 추출 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물에는 녹지 않는 비극성 물질이 조금 더 녹아나와 수율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체의 평균 수율이 10~20%인 점을 감안하면 권백의 추출 수율은 6~7% 정도로 다른 식물자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추출물의 수율은 11.3%로 기존의 에탄올 추출물보다 약 60% 정도의 추출 수율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총 폴리페놀 함량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페놀화합물은 구조식에 수산기(hydroxyl)가 존재하므로 공명 안정화된 구조를 갖게 되며, 따라서 전자를 수용하는 기작으로 항산화 반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권백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26.40±1.66mg/g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29.68±0.67mg/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고압 균질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28.25±0.35mg/g으로 에탄올 추출물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표 1).
권백의 추출 수율 및 총 페놀성 물질 함량
권백 추출물 종류 추출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mg/g)
열수추출물 6.09±0.19 26.40±1.66
70% 에탄올 추출물 7.05±0.38 29.68±0.67
초고압 균질 추출물 11.32±0.41 28.25±0.35
실시예 4. 항산화 효과 검증
(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인체의 질병과 노화를 방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DPPH는 짙은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서 항산화제,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탈색되는데 이것은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권백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DPPH 소거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초고압 균질 추출물에서는 각각 1.88 및 1.93mg/㎖에서 RC50값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DPPH 소거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혈장에서 ABTS(2,2'-아지노-비스(3-에틸벤즈티졸린-6-술폰산)디암모늄염)와 1.0mM AAPH(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의 양이온 라디칼의 흡광도가 항산화제에 의해 억제되는 것에 기초하여 개발된 라디칼 소거 활성법이다. ABTS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암소에 방치하여 ABTS+이 생성되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의해 ABTS+이 소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데 이를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어 ABTS+의 소거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ABTS+는 600~750nm의 범위에서 강한 흡수를 보여주며 이로 인해 분광 분석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탄올 추출물과 초고압 균질 추출물에서는 각각 2.04 및 2.12mg/㎖에서 RC50값을 나타내었고 물 추출물에서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권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권백시료 ABTS 라디칼 소거능
RC50(mg/㎖)
DPPH 라디칼 소거능
RC50(mg/㎖)
열수추출물 ND ND
70% 에탄올 추출물 2.04 1.88
초고압 균질 추출물 2.12 1.93
ND : 활성 없음
실시예 5. 미백효능 검증
(1) 세포 독성 측정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권백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100, 200 및 400㎍/㎖의 농도로 권백 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한 후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모든 실험군의 생육 저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이 약 100% 이상으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100, 200 및 400㎍/㎖를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미백효능을 평가하였다.
(2) 멜라닌 함량( melanin content ) 측정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을 전구물질로 하여, 도파(DOPA), 도파 퀴논(DOPA quinone) 및 인돌-5,6-디하이드로퀴논(indole-5,6-dihydroquinone)을 거쳐 인돌-5,6-디하이드로퀴논의 중합체인 멜라닌으로 생합성된다.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에서 생성되며, 멜라노솜(melanosome)이라는 과립 형태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로 이동하여 침착한다. 하지만 멜라닌은 검은 피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기미 및 주근깨의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미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과잉 생산된 멜라닌은 피부노화 및 피부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권백 추출물의 미백효능 평가를 위한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미백효능을 나타내지 못했고,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200ppm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과 유사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권백 추출물의 미백효능 물질은 비극성의 물질로 판단되며, 교반 추출 및 초고압 처리공정에 따른 권백 추출물의 미백 효능 비교평가는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활용하여 본 실시예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활용한 추출물의 경우, 교반 추출물 대비 약 60% 정도의 추출 수율이 개선되었지만, 미백효능의 지표로 활용되는 멜라닌 생성 억제효능은 교반 추출물과 거의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어 초고압 균질화 처리를 통하여 추출 수율의 개선뿐만 아니라 미백 활성물질의 수율도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6.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처리한 권백 추출물의 미백효능 작용기전 규명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처리한 권백 추출물의 미백효능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권백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감소 및 미백 관련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100, 200 및 400㎍/㎖의 권백 초고압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멜라닌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도 같은 처리농도 구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권백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 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 related protein 2) 및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멜라노마 세포에 400㎍/㎖의 권백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75% 이상의 티로시나아제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RP 1, TRP 2 및 MITF의 발현량도 약간이지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권백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TRP 1, TRP 2 및 MITF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효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7.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처리한 권백 추출물을 활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 및 사용감 평가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처리한 권백 추출물을 활용한 미백 기능성의 화장품은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 에멀젼, 연고의 제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권백 추출물을 함유한 액정 크림의 현미경 사진과 제품의 사용감에 대한 평가를 도 5 및 6에 개시하였다.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권백 추출물의 첨가량(ppm)이 증가함에 따라 제품의 보습성, 퍼짐성 및 피부 광택에 대해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권백 시료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권백 분말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분산용액을 10,000~40,000 피에스아이(psi)의 초고압 조건에서 균질화한 후 0.5~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초고압으로 균질화된 분산용액을 원심분리 또는 감압여과하여 각각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수득한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35~45℃에서 감압농축하여 권백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분산용액은 권백 분말 중량 대비 5~15배 부피부의 60~80%(v/v)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균질화는 분산용액 내 분산물들의 미립화(deagglomeration) 또는 저분자화(depolymerization)를 통해 분산용액을 균일한 상으로 전환시켜 불용성 성분과 결합되어 있는 활성성분의 추출 및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백 추출물은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권백 추출물.
제5항의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51580A 2015-10-30 2015-10-30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3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80A KR101835356B1 (ko) 2015-10-30 2015-10-30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80A KR101835356B1 (ko) 2015-10-30 2015-10-30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54A true KR20170050254A (ko) 2017-05-11
KR101835356B1 KR101835356B1 (ko) 2018-03-08

Family

ID=5874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580A KR101835356B1 (ko) 2015-10-30 2015-10-30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845A (ko) * 2017-11-29 2019-06-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5897B1 (ko) * 2018-11-20 2020-05-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15192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웰파인 삼백초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이 포함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362B1 (ko) * 2005-07-25 2007-01-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포제를 이용한 권백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6524B1 (ko) * 2008-08-07 2011-07-04 (주)나노젠 바위솔,부처손,인동덩굴 및 청미래덩굴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845A (ko) * 2017-11-29 2019-06-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5897B1 (ko) * 2018-11-20 2020-05-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15192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웰파인 삼백초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이 포함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356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4194A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Chia Seed Extract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5393B1 (ko) 소계 추출물의 생물전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44719A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8175954A (ja) 皮膚化粧料
KR101860001B1 (ko) 대나무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53B1 (ko)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53959B1 (ko)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5904B1 (ko) 개병풍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