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97B1 -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5897B1 KR102105897B1 KR1020180143557A KR20180143557A KR102105897B1 KR 102105897 B1 KR102105897 B1 KR 102105897B1 KR 1020180143557 A KR1020180143557 A KR 1020180143557A KR 20180143557 A KR20180143557 A KR 20180143557A KR 102105897 B1 KR102105897 B1 KR 102105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maple
- high pressure
- maple odor
- pressure homogen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은 초고압 균질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보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고,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면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이 합성, 방출되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재빨리 방출해서 그 사람이 지니고 있는 본래 피부의 투명함을 되찾는 일을 피부 미백이라고 한다.
멜라닌은 세포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반응을 거쳐 합성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과정 중 일부반응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멜라닌이 형성된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미백 성분으로 등록된 물질은 닥나무 추출물, 알부틴, 에틸아스코빌에텔, 유용성 감초 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볼올,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등 모두 8가지이다. 이 물질을 이용해 로션이나 액제, 크림, 마스크팩 등을 만드는 것을 미백화장품이라 한다.
닥나무 추출물과 알부틴, 알파-비사볼올, 유용성 감초 추출물은 멜라닌을 만드는데 관련된 효소인 티로시나아제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와 에틸아스코빌에텔,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자극받은 티로신이 산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이 멜라노사이트에서 각질형성세포로 넘어가는 단계를 억제하여 멜라닌이 실제 피부 세포에 들어가는 마지막 단계를 막는다.
미용이 아닌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대표는 의약품으로 처방되는 하이드로퀴논이다. 하이드로퀴논은 주로 피부 연고로 사용된다. 한국에서 이 물질이 4% 이상 함유된 연고를 구입하려면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하며, 2% 연고는 처방전 없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하이드로퀴논 연고는 미백화장품과는 다르게 멜라닌이 있는 피부 세포를 직접 파괴해 새로운 피부 세포가 자라도록 돕는다.
하지만, 상기 물질들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만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나타나거나, 안정성이 낮아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등 제품의 적용 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이드로퀴논은 피부자극 및 안정성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은 반그늘에서 자란다. 주로 어린순을 식용하며 한국, 중국 및 일본에 분포되어 자생한다. 민간요법이나 식용으로 단풍취 어린순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단풍취의 생리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현재까지 보고된 소재의 효능 및 추출 수율 개선을 위한 연구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세분쇄에 따른 표면적 증가에 의한 수율 개선과 세포파쇄를 위한 초음파 및 균질기의 활용, 용매의 극성에 따른 용해도 증가 등의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를 위한 발효 및 효소처리공정에 대한 내용이 보고되었지만, 소재의 효능 및 추출 수율의 개선능력은 상대적으로 한계를 나타내었다.
초고압 균질기술은 분산용액을 초고압(100MPa 이상)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미세 오리피스 모듈을 통과시킴으로써 압력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공동 현상(cavitation)과 고전단력(high shear) 발생에 의한 급격한 물리적 에너지 증가로 분산용액 내의 분산물들의 뭉침을 풀거나(deagglomeration) 연결을 끊음으로써(depolymerization, 저분자화) 분산용액을 균일한 상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다. 특히 섬유질을 균일한 분산상으로 만들고, 단백질 및 비전분성 탄수화물 고분자의 저분자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835356호에는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2018-0107438호에는 단풍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가 초고압 균질 공정을 거치지 않은 단풍취 추출물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본 발명은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은 초고압 균질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보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고, 멜라노마 세포(B16-F10 mouse melanoma cell)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은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추출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추출물 무처리군이고, EtOH는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이며, HPH는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거친 단풍취 추출물 처리군이다.
도 2는 추출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추출물 처리 농도별로 확인한 결과이다. α-MSH는 멜라닌 생성 유도물질이고, 알부틴은 양성대조군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EtOH는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이며, HPH는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거친 단풍취 추출물 처리군이다.
도 2는 추출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추출물 처리 농도별로 확인한 결과이다. α-MSH는 멜라닌 생성 유도물질이고, 알부틴은 양성대조군이다. CON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EtOH는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이며, HPH는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거친 단풍취 추출물 처리군이다.
본 발명은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 미백효과란, 자외선 노출,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 유전적 프로그램 등의 각종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거뭇한 피부나 기미, 주근깨, 다크서클을 개선 또는 방지하는 효과, 피부를 투명감 있는 아름다운 것으로 하는, 혹은 투명감 있는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 효과, 피부의 칙칙함을 경감하여 윤기ㆍ팽팽함을 증가시키는 효과 등을 의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뭇한 피부나 기미, 주근깨, 다크서클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이나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 등에 의해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자극되고, 이로 인해 생합성된 멜라닌 색소가 피부에 침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거뭇한 피부나 기미, 주근깨, 다크서클을 예방ㆍ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계 (2)에서 첨가된 추출 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4)의 초고압 균질화는 100~150MPa 압력하에서 오리피스관을 통과하는 과정을 1 내지 3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120MPa 압력하에서 오리피스관을 2회 통과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의 제조한 단풍취 분말 1 중량부에 대하여, 70%(v/v) 에탄올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15시간동안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120MPa의 압력하에 오리피스관을 2회 통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온은 15~25℃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hyperpigmentation)"은 피부 또는 손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검게 또는 어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 색소 침착, 찰상, 화상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또는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여과액을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주사제,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단풍취
추출물의 제조
(1) 초고압 균질화 처리 단풍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하여 분쇄한 단풍취 25g에 70%(v/v) 에탄올을 1000㎖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0rpm으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액은 12,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하고, 필터하여 여과액을 제조한 후, 120MPa의 압력하에 2회 오리피스관을 통과시켜 초고압 균질화 처리 단풍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하여 분쇄한 단풍취 25g에 70%(v/v) 에탄올을 1000㎖ 넣고, 상온에서 180rpm으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12,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필터하여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추출 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 수율 비교
제조예 1에서 각 조건별로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의 추출 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초고압 균질화 처리를 한 경우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다. 추출 수율은 하기 식 1로 계산하였다.
[식 1]
추출 수율(%)=(추출 분말의 무게(g)/초기 시료의 무게(g))×100
시료 | 추출 수율(%) |
에탄올 추출물 | 16.82 |
초고압 균질화 처리물 | 23.89 |
실시예
2. 추출 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효과
제조예 1에서 각 조건별로 추출한 단풍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Gutfiger(198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제조예 1의 단풍취 추출물의 희석액 100㎕에 폴린-시오칼투(Folin-Ciocalteau) 용액 100㎕를 가하고 3분간 정치한 다음 1㎖의 0.7M Na2CO3 용액을 가하고,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계산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mM ABTS와 2.45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혼합하여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상기 용액을 734nm에서 흡광도가 0.7~0.9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그 후, 제조예 1의 각각의 단풍취 추출물 50㎕에 희석된 ABTS 용액을 100㎕ 가한 후 5분간 반응시킨 다음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BTS의 항산화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초고압 균질화 처리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
총 폴리페놀 함량 | ABTS 라디칼 소거능(%) (RC50, ㎍/㎖) |
|
mg/추출물 1g | mg/분말 1g | ||
에탄올 추출물 | 89.36±7.75 | 15.03±1.06 | 509.79 |
초고압 균질화 처리물 | 155.06±3.31 | 37.04±0.65 | 94.86 |
실시예
3. 세포생존율(
cell
viability
) 측정
제조예 1의 단풍취 추출물이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험에 사용될 농도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Mosmann(1983)의 방법을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실시하였다.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를 100㎕의 DMEM 배지가 담긴 96-웰 플레이트에 1일 동안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50, 100 및 200㎍/㎖)의 단풍취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에, 각 웰에 5㎎/㎖의 MTT 용액을 10㎕씩 분주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환원반응을 유도하였으며, 100㎕의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을 첨가하여 보라색의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무처리 군의 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시료 처리군의 상대적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모든 추출물들은 200㎍/㎖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제조방법에 따른
단풍취
추출물의 멜라닌(
melanin
) 생합성 억제효과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이 되도록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에 α-MSH(melanocyte-stimulating hormone)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유도한 뒤 알부틴(arbutin, 100㎍/㎖) 및 농도별(50, 100 및 200㎍/㎖) 제조예 1의 단풍취 추출물을 각각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액(phosphatate buffer saline, PBS)으로 2회 세척한 후 부착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침전된 멜라노마 세포에 1N NaOH에 DMSO가 10%(v/v)가 되도록 만든 용액 200㎕를 가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으며,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농도에서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초고압 균질화 처리된 단풍취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가 현저하였다. 특히 200㎍/㎖ 농도로 초고압 균질화 처리된 단풍취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가장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Claims (6)
-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여과액을 100~150MPa 압력하에서 1~3회 반복하여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 삭제
- 삭제
- 삭제
-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여과액을 100~150MPa 압력하에서 1~3회 반복하여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풍취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 단풍취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단풍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단풍취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여과액을 100~150MPa 압력하에서 1~3회 반복하여 초고압 균질화하는 단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557A KR102105897B1 (ko) | 2018-11-20 | 2018-11-20 |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557A KR102105897B1 (ko) | 2018-11-20 | 2018-11-20 |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5897B1 true KR102105897B1 (ko) | 2020-05-04 |
Family
ID=7073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3557A KR102105897B1 (ko) | 2018-11-20 | 2018-11-20 |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8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6869A (ko) * | 2021-11-08 | 2023-05-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0254A (ko) * | 2015-10-30 | 2017-05-11 | (주)튜링겐코리아 |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
KR101769935B1 (ko) * | 2010-07-14 | 2017-08-21 | (주)아모레퍼시픽 | 닥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닥나무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80013797A (ko) * | 2016-07-28 | 2018-02-07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풍취를 이용한 항비만, 항염증 및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식초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100759A (ko) * | 2017-03-02 | 2018-09-1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강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180107438A (ko) * | 2017-03-21 | 2018-10-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풍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
2018
- 2018-11-20 KR KR1020180143557A patent/KR102105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9935B1 (ko) * | 2010-07-14 | 2017-08-21 | (주)아모레퍼시픽 | 닥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닥나무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50254A (ko) * | 2015-10-30 | 2017-05-11 | (주)튜링겐코리아 |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
KR20180013797A (ko) * | 2016-07-28 | 2018-02-07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풍취를 이용한 항비만, 항염증 및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식초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100759A (ko) * | 2017-03-02 | 2018-09-1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강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180107438A (ko) * | 2017-03-21 | 2018-10-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풍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6869A (ko) * | 2021-11-08 | 2023-05-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102706571B1 (ko) | 2021-11-08 | 2024-09-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1837B1 (ko) |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80153A (ko) |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210108911A (ko) |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 |
KR101943976B1 (ko) | 고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453258B1 (ko) |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102105897B1 (ko) |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011639B1 (ko) | 해방풍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
KR102128977B1 (ko) |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210047588A (ko) |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016994B1 (ko) | 피부 미백효과가 증진된 고춧잎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30033388A (ko) | 푸른여로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230129826A (ko) | 수용화 커큐민과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577528B1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218472B1 (ko) |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238695B1 (ko) | 감마선 조사된 감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035188B1 (ko) | 병풍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348149B1 (ko) |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 |
KR102018643B1 (ko) | 효소처리 및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034178B1 (ko) | 피부 미백효과가 증진된 플라즈마 처리된 고춧잎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244585B1 (ko) |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61142B1 (ko) | 애기수영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468186B1 (ko) | 벌노랑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577787B1 (ko) |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709766B1 (ko) | 한라꽃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198871B1 (ko) | 효소처리를 통해 얻은 병풍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