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071B1 -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071B1
KR101278071B1 KR1020100001661A KR20100001661A KR101278071B1 KR 101278071 B1 KR101278071 B1 KR 101278071B1 KR 1020100001661 A KR1020100001661 A KR 1020100001661A KR 20100001661 A KR20100001661 A KR 20100001661A KR 101278071 B1 KR101278071 B1 KR 10127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ree
geojesu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473A (ko
Inventor
박준성
김동현
유선혜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0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0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제수 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종자 및 수액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항노화, 미백, 주름 개선 또는 보습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etula costata extract}
본 발명은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제수 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종자 및 수액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항노화, 미백, 주름 개선 또는 보습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한편, 피부의 노화는 그 요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하나인 자연적인 노화(Intrinsic aging)는 피부의 구조와 생리적인 기능이 나이를 먹으면서 계속적인 감퇴를 일으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인 외적 노화(Extrinsic aging)는 태양광선 등 누적된 외부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태양광의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은 잘 알려진 노화 원인의 하나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의 주요 구성요소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변성되어 피부의 탄력성을 잃어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조절되는데,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타아제(elastase) 같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atrix metallo protease)의 발현으로 인하여 생성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분해되어 결과적으로 피부 내의 콜라겐 함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탄력감소의 원인이 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레티놀과 레티노익산 등의 레티노이드 등이 탄력개선 효과를 나타내고(Dermatology therapy, 1998, 16, 357~364),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분획도 탄력증대 효과를 나타내는데 응용되고 있다(미국특허 제5,322,839호). 그러나 이들 레티노이드들은 소량만을 피부에 적용하여도 자극이 나타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이중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들, 또는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의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나타나는 제형 및 안정성의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미백제 및 보습 원료를 찾고자 여러 천연물을 검색한 결과, 거제수 나무의 추출물이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식물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DPPH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억제 효과를 통한 항노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및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 개선을 통한 미백 효과,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을 통한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제수 나무(Betula cost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거제수 나무(Betula costata)는 물자작나무라고도 하며, 산허리 이상의 숲속에서 자란다. 척박하고 건조한 지역에서도 비교적 잘 자란다. 나무껍질은 흰색 또는 갈백색이 돌고 종잇장처럼 벗겨지며 높이는 30m, 지름은 1m 정도이고, 가지는 갈색이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줄모양이다. 잎은 타원형의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길이 5~8cm로 끝이 좁으며 뾰족하다. 잎 밑은 둥글고 가는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에는 털이 있거나 없는 것이 있다. 잎 뒷면은 선점(腺點)이 있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10~16쌍이고 잎자루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곧게 선다. 열매는 견과(堅果)로 달걀 모양이고, 열매가 모여서 이루어진 열매이삭도 달걀 모양으로 위로 향해 붙어 있으며 9월에 익는다. 목재는 가구재 또는 건축재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봄 또는 여름에 나무껍질 속으로 흐르는 물이 위장병, 폐결핵에 좋다고 하여 곡우날 받아서 복용한다. 한국, 중국 동북부,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의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건조된 거제수 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또는 종자에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면 거제수 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얻거나, 또는 거제수 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분무 건조하여 거제수 나무의 수액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0001중량%미만에서는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취 등 화장품 변성의 우려가 있고 화장품 제형의 점도 조절이 쉽지 않으며 에멀젼 제형 제조시 전상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화장료 제형으로서 개발하기 어렵고 생산 경제성도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DPPH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억제 효과를 통한 항노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및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 개선을 통한 미백 효과,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을 통한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 혹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및 정제수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거제수 나무 잎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거제수 나무의 잎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거제수 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거제수 나무의 열매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거제수 나무 줄기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거제수 나무의 줄기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거제수 나무 수피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거제수 나무의 수피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거제수 나무 수액 추출물 제조
거제수 나무로부터 수득한 수액 10ℓ를 80℃의 열풍으로 분무 건조시켜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자작나무 잎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자작나무의 잎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자작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자작나무의 열매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자작나무 줄기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자작나무의 줄기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자작나무 수피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자작나무의 수피 500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자작나무 수액 추출물 제조
자작나무로부터 수득한 수액 10ℓ를 80℃의 열풍으로 분무 건조시켜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DPPH test)
유기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DPPH의 산화가 억제되면서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IC50: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실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5 또는 대조 시료를 각각 10㎕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 시료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DPPH 분석 결과
시료 IC50(ppm)
실시예 1 75
실시예 2 64
실시예 3 45
실시예 4 65
실시예 5 35
비교예 1 250
비교예 2 350
비교예 3 367
비교예 4 450
비교예 5 500
트롤록스 6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제수 나무의 잎, 열매, 줄기,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실시예 1~5)은 자작나무에서 유래한 추출물(비교예 1~5)과 비교하여 유기 라디칼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트롤록스와 유사하거나 더 낮은 농도에서 유기 라디칼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제수 나무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의 거제수 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24공(well)에 1 공 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5와 대조시료인 토코페롤 또는 EGCG(양성 대조군)를 각각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 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보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여기서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시료 합성능(%)
실시예 1 148
실시예 2 155
실시예 3 160
실시예 4 145
실시예 5 140
비교예 1 101
비교예 2 96
비교예 3 90
비교예 4 102
비교예 5 105
토코페롤 118
EGCG 125
비처리군 100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제수 나무의 잎, 열매, 줄기,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실시예 1~5)은 자작나무에서 유래한 추출물(비교예 1~5)과 비교하여 40% 이상 높은 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과를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인 토코페롤 또는 EGCG보다 더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우수한 항노화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콜라게나아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의 거제수 나무 유래 추출물과 비교예의 대조시료에 대한 콜라게나아제 발현 억제 효능(생성 저해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시험물질로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5와 대조시료인 토코페롤 또는 EGCG(양성 대조군)를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이 후,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의 흡광도로 하였다.
Figure 112010001220909-pat00001
한편, 상기 인간의 섬유아세포에서 상기 시험물질들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이는 비처리군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시료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
실시예 1 30
실시예 2 36
실시예 3 46
실시예 4 44
실시예 5 26
비교예 1 89
비교예 2 100
비교예 3 112
비교예 4 98
비교예 5 101
토코페롤 75
EGCG 60
비처리군 100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제수 나무의 잎, 열매, 줄기,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실시예 1~5)은 자작나무에서 유래한 추출물(비교예 1~5)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수준을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인 토코페롤 또는 EGCG보다 더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노화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엘라스타아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의 거제수 나무 유래 추출물과 대조시료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억제 효능(생성 저해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배지로 24시간 배양하고, 시험물질로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5와 대조시료인 토코페롤 또는 EGCG(양성 대조군)를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이 후,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엘라스타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엘라스타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엘라스타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엘라스틴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엘라스타아제의 발현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의 흡광도로 하였다.
Figure 112010001220909-pat00002
한편, 상기 인간의 섬유아세포에서 상기 시험물질들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이는 비처리군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시료 엘라스타아제 발현 정도(%)
실시예 1 43
실시예 2 46
실시예 3 37
실시예 4 51
실시예 5 42
비교예 1 90
비교예 2 99
비교예 3 102
비교예 4 100
비교예 5 101
토코페롤 88
EGCG 68
비처리군 100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제수 나무의 잎, 열매, 줄기,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실시예 1~5)은 자작나무에서 유래한 추출물(비교예 1~5)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엘라스타아제의 발현 수준을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인 토코페롤 또는 EGCG보다 더 엘라스타아제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제수 나무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노화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의 거제수 나무 유래 추출물과 대조시료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tetradecanoyphorbol)-13-아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10ppm의 각 시험물질로 하이드로퀴논,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5를 가하여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10001220909-pat00003
시료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68
실시예 2 59
실시예 3 58
실시예 4 67
실시예 5 74
비교예 1 5
비교예 2 6
비교예 3 7
비교예 4 6
비교예 5 6
하이드로퀴논 53
비처리군 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한 상기 거제수나무 유래 추출물이 자작나무 유래 추출물 보다 좋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거제수 나무 유래 추출물들이 하이드로퀴논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의 거제수 나무 유래 추출물과 대조시료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6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1ppm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0
실시예 1 146
실시예 2 175
실시예 3 142
실시예 4 131
실시예 5 126
비교예 1 95
비교예 2 94
비교예 3 107
비교예 4 100
비교예 5 10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한 상기 거제수나무 추출물(실시예 1~5)이 자작나무 추출물(비교예 1~5) 보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거제수 나무 추출물이 피부 보습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거제수 나무(Betula cost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거제수 나무(Betula cost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제수 나무 추출물이 거제수 나무의 잎, 열매, 줄기,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제수 나무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01661A 2010-01-08 2010-01-08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661A KR101278071B1 (ko) 2010-01-08 2010-01-08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661A KR101278071B1 (ko) 2010-01-08 2010-01-08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473A KR20110081473A (ko) 2011-07-14
KR101278071B1 true KR101278071B1 (ko) 2013-06-24

Family

ID=4491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661A KR101278071B1 (ko) 2010-01-08 2010-01-08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59B1 (ko) 2020-02-07 2021-05-03 대한민국 거제수나무의 다형적 초위성체 dna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개체식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627A (ja) * 1993-03-12 1994-09-20 Sunstar Inc 皮膚老化防止化粧料組成物
JPH09136822A (ja) * 1995-11-15 1997-05-27 Shiseido Co Ltd 抗老化皮膚外用剤、コラーゲン架橋阻害皮膚外用剤及び抗紫外線皮膚外用剤
JPH09291021A (ja) * 1996-04-25 1997-11-11 Sunstar Inc 美白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627A (ja) * 1993-03-12 1994-09-20 Sunstar Inc 皮膚老化防止化粧料組成物
JPH09136822A (ja) * 1995-11-15 1997-05-27 Shiseido Co Ltd 抗老化皮膚外用剤、コラーゲン架橋阻害皮膚外用剤及び抗紫外線皮膚外用剤
JPH09291021A (ja) * 1996-04-25 1997-11-11 Sunstar Inc 美白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
논문: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59B1 (ko) 2020-02-07 2021-05-03 대한민국 거제수나무의 다형적 초위성체 dna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개체식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473A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714B1 (ko) 비자나무의 미성숙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07904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111648B1 (ko) 왕벚나무 잎 생물전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113526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9578B1 (ko) 주름개선효과가있는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KR101278071B1 (ko)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884434B1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90201B1 (ko) 소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825B1 (ko) 굴거리나무 잎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10103189A (ko)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045A (ko) 파초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123266A (ko) 해국 또는 왕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29

Effective date: 2013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