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190A -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190A
KR20120097190A KR1020110016599A KR20110016599A KR20120097190A KR 20120097190 A KR20120097190 A KR 20120097190A KR 1020110016599 A KR1020110016599 A KR 1020110016599A KR 20110016599 A KR20110016599 A KR 20110016599A KR 20120097190 A KR20120097190 A KR 2012009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dium
mycelium
parts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813B1 (ko
Inventor
최종운
김하선
박현
심상준
홍성태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11001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얻은 좀나무싸리버섯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Production method of the Clavicoron pyxidata}
본 발명은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에 관한 것이다.
좀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은 나무싸리버섯과 나무싸리버섯속에 속하는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침엽수의 썩은 나무나 등걸에 발생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는 높이 5?12.5cm, 너비 2?6cm로 산호형이며 분지가 많고, 분지 끝은 컵 모양 또는 왕관모양이다. 표면은 처음에는 백황색이나 후에 황토색이 되고, 조직은 백색이며 매운 맛이 난다. 포자는 4?5×2?3㎛로 타원형이고, 표면은 평활하고 아밀로이드이고, 포자문은 백색이다. 좀나무싸리버섯은 북반구 온대 등 거의 전 세계에 분포한다.
현재 좀나무싸리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느타리버섯 계통의 대체 버섯식품으로의 대량재배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좀나무싸리버섯에 관한 연구는 균사배양 특성에 관한 연구 1건이 전부이며, 침엽수재를 이용한 버섯의 연구에 대해서는 현재 "낙엽송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주별 재배 특성"(유성열 외 5명, 2009), "꽃송이버섯에 의한 침엽수 심재부후 발생환경 및 낙엽송 피해목의 재질 특성"(박현 외 6명, 2009), "꽃송이버섯 자생지의 입지특성 및 식생구조"(오득실 외 5명, 2009) 등의 여러 논문이 발표되면서 침엽수를 활용하는 방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침엽수재 톱밥을 이용하여 인공재배가 가능한 좀나무싸리버섯의 인공재배기술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좀나무싸리버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침엽수재인 잣나무 톱밥 및/또는 낙엽송 톱밥 재료와 비트펄프 및 쌀겨를 포함하는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대량으로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특히 침엽수재 중 잣나무 톱밥 ,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 재료, 비트펄프 및 쌀겨를 포함하는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대량으로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좀나무싸리버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좀나무싸리버섯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사 좀나무싸리버섯 재배 농가, 좀나무싸리버섯 재배 지역 및 좀나무싸리버섯 가공 업체의 경제적 이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침엽수의 썩은 나무나 등걸에 발생한 좀나무싸리버섯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pH 6.5?8.0인 배지에 따른 좀나무싸리버섯 균주 생장을 나타낸 사진이다(도 2a 내지 도 2c에서 수치는 배지의 pH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액체 배지에서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진탕 배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좀나무싸리버섯 생산 방법시 사용한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액체배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 1에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발아 초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c 및 도 6d는 실시예 2에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발아 초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는 실시예 1에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 발생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b는 실시예 2에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 발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a는 실시예 1에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전경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b는 실시예 2에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전경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는 침엽수재인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는 침엽수재인 낙엽송 톱밥 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는 침엽수재인 잣나무 톱밥 및 낙엽송 톱밥이 1:9 내지 9: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는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멸균은 120?130℃에서 10?2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멸균은 121℃에서 15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지는 구형, 반구형, 육면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지의 형태는 멸균 전에 배지를 상기의 형태로 성형하거나 또는 멸균 후에 배지를 상기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지의 형태는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러한 배지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배지의 일에로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9:0.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4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1.0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배지는 멸균 전후에 구형, 반구형, 육면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멸균된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배지 중량 대비 0.01?3%를 접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멸균된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배지 중량 대비 0.05?2.5%를 접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멸균된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배지 중량 대비 0.1?2%를 접종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온도 22?24℃, 상대습도 80?90%, 광도 50?100lux의 조건으로 생육시켜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온도 22?24℃, 상대습도 80?90%, 광도 50?100lux의 조건으로 10?25일 동안 생육시켜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로서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질산칼륨 및 질산칼슘 이외에 추가 성분 0.5?2.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배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ammonium tartr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만티톨, 람니톨, 이노시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쿠에르시톨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추가 성분은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만티톨, 람니톨, 이노시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쿠에르시톨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MEM(Malt Extract Medium), PDA(Potato Dextrose Agar), GPB(Glucose Peptone Broth), PDB(Potato Dextrose Broth), MCM(Mushroom complex medi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를 배지 중량 대비 0.01?5%를 접종하고 통기량 1.0?2.5vvm(vol.of air/vol.of medium/min), 온도 23?26.5℃, 상대습도 30%?45%, 광 7500?8500lux, 25?30일간 배양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된 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험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좀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 균주의 균사 신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PDA(Difco™ Potato Dextrose Agar) 19.5g을 500㎖ 증류수에 녹인 1ℓ 삼각 플라스크 2병을 121℃의 고압멸균기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의 PDA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를 PDA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6.5℃, 상대습도 30%, 8,000lux의 조건하에서 배양기에서 30일간 배양한 후 접종한 날로부터 10일, 20일, 30일 간격으로 페트리디쉬의 가로(a), 세로(b)의 선을 따라 자란 균사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0.5mm의 단위로 중앙으로부터 자란 균사의 가장 정단면의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측정한 가로(a), 세로(b) 두 값의 평균을 생장량으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2회 반복을 평균으로 계산하여 10일, 20일, 30일의 간격으로 측정한 값의 변화를 보았으며 평균값 51.6(mm), 52.0(mm), 56.0(mm)의 생장량을 보였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는 2010년 11월 08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KFCC11498P로 기탁된 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를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실험예 2>
PDA 배지 대신에 증류수 1ℓ에 대하여 각각의 배지에 따른 배지 구성 성분을 나타낸 하기 표 1의 배지 구성 성분을 첨가하여 얻은 총 8가지의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 균주를 접종하여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신장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접종, 배양 및 균사 신장력의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에 기재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각각의 배지에 대한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신장력의 결과 YM, MCM 등 총 8종류의 배지에서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량은 YM, YPSS, HA, NYPA, YMPG 배지상에서 균사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경과에 따른 배지에서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량은 YM 배지에서 86.5mm로 가장 우수한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량을 보여주었으며,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균사 평균 생장량은 HA배지에서 62.6mm로 가장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적합 pH 규명을 위하여 고체평판배지와 액체배지를 사용하였다.
고체평판배지는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증류수 1ℓ에 녹인 뒤 구연산을 첨가하여 상기 배지의 pH를 4.5?8.5까지 조절 후 아가(Agar) 20g을 첨가하고 배지를 굳혀 고체평판배지를 얻었다.
상기의 고체평판배지를 고압멸균기에 넣고 121℃에서 15분간 멸균 후 페트리디쉬(petri dish)에 분주하고, 상기의 멸균한 고체평판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6.5℃, 상대습도 30%의 배양기로 30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10일 간격으로 생장량을 확인하였다.
액체평판배지는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증류수 1ℓ에 녹인 뒤 100㎖ 삼각플라스크에 나누어 분주하고 구연산을 첨가하여 상기 배지의 pH를 4.5?8.5까지 조절 후 삼각플라스크의 입구를 막고 고압멸균기에 넣어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다음 상기의 멸균한 액체평판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3.0℃, 125rpm의 진탕배양기에서 30일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고체평판배지 및 액체평판배지상에서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균사 생장은 pH 6.5인 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pH 8.0까지 거의 고른 생장량을 보여주었다.
한편, 액체배지에서의 pH 변화에 따른 기간별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pH 6.5?7.5까지 84mm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pH 8.5까지 거의 유사한 생장량을 보였다.
한편, pH 6.5?8.0인 배지에 따른 좀나무싸리버섯 균주 생장을 나타낸 사진을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내었으며, 액체 배지에서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의 진탕 배양을 나타낸 사진을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액체배지에서의 생장량 조사를 위하여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1ℓ증류수에 녹인 배지 2ℓ와 대두분 2.5g, 글루코오스(glucose) 25g을 1ℓ증류수에 녹인 배지 2ℓ의 두 가지를 각각 500㎖의 삼각플라스크 6병에 같은 양으로 나누어 분주하고 고압멸균기에 넣어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멸균 후 각각의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각각의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3.0℃, 125rpm의 진탕배양기에서 30일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배지에서 액체 배양시 통기량에 따른 균사체의 증가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기량을 0.5vvm, 1vvm, 1.5vvm, 2vvm, 2.5vvm으로 조절하여 7일간 배양한 후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 균사체의 건조 중량을 측정하였다.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액체배지상에서의 생장량을 조사해본 결과 광 조건을 주지 않은 경우에는 대두분이 첨가된 배지에서 2.0103mm로 우수하였으며, 광 조건을 주었을 때는 PDB 배지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기량이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균사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박 0.3%, 설탕 2%, MASO4?7H2O 0.1%, KH2PO4 1.0%를 접종량 100㎖로 0.5vvm?3.0vvm으로 조절하여 12일간 배양후 균체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일반적으로 통기량이 증가할수록 건조 균체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기량의 증가는 배지내 수분의 증발을 유도하므로 적정한 통기량은 1.5vvm(vol.of air/vol.of medium/min)인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2 참조).
통기량의 변화에 따른 건중량 (증류수 1ℓ기준)
건중량
(Dryweight of mycelium, g)
12.4 13.4 13.6 13.2 12.9 12.7
통기량
(Aeration rate, vvm)
0.5 1.0 1.5 2.0 2.5 3.0
<실시예 1>
잣나무 톱밥:비트펄프:쌀겨를 9:0.5: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5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1.0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2.0중량부를 혼합하고, 구형의 형태로 성형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시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톱밥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3℃, 상대습도 85%의 조건으로 생육하여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를 유도하여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하였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1ℓ증류수에 녹인 배지 2ℓ에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PDB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통기량 1.5vvm(vol.of air/vol.of medium/min), 온도 23℃, 상대습도 35%, 광 8000lux, 125rpm의 조건으로 진탕배양기에서 30일간 액체배양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의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PDB 배지에서의 액체배양을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발아 초기의 사진을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 발생을 나타낸 사진을 도 7a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전경을 나타낸 사진을 도 8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낙엽송 톱밥:비트펄프:쌀겨를 9:0.5: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0.5중량부, 질산칼륨 1.0중량부 및 질산칼슘 2.0중량부를 혼합하고, 구형의 형태로 성형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시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톱밥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3℃, 상대습도 85%의 조건으로 생육하여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를 유도하여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하였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1ℓ증류수에 녹인 배지 2ℓ에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PDB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통기량 1.5vvm(vol.of air/vol.of medium/min), 온도 23℃, 상대습도 35%, 광 8000lux, 125rpm의 조건으로 진탕배양기에서 30일간 액체배양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의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의 PDB 배지에서의 액체배양을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발아 초기의 사진을 도 6c 및 도 6d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 발생을 나타낸 사진을 도 7b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낙엽송 톱밥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의 전경을 나타낸 사진을 도 8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잣나무 톱밥 및 낙엽송 톱밥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톱밥:비트펄프:쌀겨를 9:0.5: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0.5중량부, 질산칼륨 1.0중량부 및 질산칼슘 2.0중량부를 혼합하고, 구형의 형태로 성형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시켜 톱밥 배지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를 유도하여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4>
잣나무 톱밥:비트펄프:쌀겨를 9:0.5: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0.5중량부, 질산칼륨 1.0중량부 및 질산칼슘 2.0중량부,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 1.5중량부를 혼합하고, 반구형의 형태로 성형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시켜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잣나무 톱밥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톱밥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온도 23℃, 상대습도 85%의 조건으로 생육하여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를 유도하여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하였다.
상기에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PDB(Difco™ Potato Dextrose Broth) 24g을 1ℓ증류수에 녹인 배지 2ℓ에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좀나무싸리버섯 균주[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PDB 배지 중량 대비 0.5%를 접종하고 통기량 1.5vvm(vol.of air/vol.of medium/min), 온도 23℃, 상대습도 35%, 광 8000lux, 125rpm의 조건으로 진탕배양기에서 30일간 액체배양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4>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ammonium tartrate) 대신 하기 표 2에 기재된 배지 추가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좀나무싸리버섯 자실체를 유도하여 좀나무싸리버섯을 생산하였다.
배지 추가 성분에 따른 실시예
실시예 배지 추가 성분 실시예 배지 추가 성분
실시예 5 솔비톨 실시예 6 자일리톨
실시예 7 만니톨 실시예 8 만티톨
실시예 9 람니톨 실시예 10 이노시톨
실시예 11 에리스리톨 실시예 12 파라티노스
실시예 13 쿠에르시톨 실시예 14 솔비톨+자일리톨*
*솔비톨 및 자일리톨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좀나무싸리버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좀나무싸리버섯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사 좀나무싸리버섯 재배 농가, 좀나무싸리버섯 재배 지역 및 좀나무싸리버섯 가공 업체의 경제적 이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7?9: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1?0.8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0.5?1.5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1.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잣나무 톱밥, 낙엽송 톱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톱밥:비트펄프(beet pulp):쌀겨가 9:0.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ous) 0.4중량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1.0중량부 및 질산칼슘(calcium nitrate)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시켜 얻은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배지 중량 대비 0.01?3%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의 배지에 접종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를 온도 22?24℃, 상대습도 80?90%, 광도 50?100lux의 조건으로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좀나무싸리버섯 균사체는 MEM(Malt Extract Medium), PDA(Potato Dextrose Agar), GPB(Glucose Peptone Broth), PDB(Potato Dextrose Broth), MCM(Mushroom complex medi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배지에 좀나무싸리버섯 균주로서 Clavicorona pyxidata GFRI2009CP01(KFCC11498P)를 배지 중량 대비 0.01?5%를 접종하고 통기량 1.0?2.5vvm(vol.of air/vol.of medium/min), 온도 23?26.5℃, 상대습도 30%?45%, 광 7500?8500lux, 25?30일간 배양시켜 얻은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암모니움 타르트레이트(ammonium tartrat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0.5?2.5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좀나무싸리버섯.
KR1020110016599A 2011-02-24 2011-02-24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KR10125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599A KR101256813B1 (ko) 2011-02-24 2011-02-24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599A KR101256813B1 (ko) 2011-02-24 2011-02-24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190A true KR20120097190A (ko) 2012-09-03
KR101256813B1 KR101256813B1 (ko) 2013-04-22

Family

ID=471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599A KR101256813B1 (ko) 2011-02-24 2011-02-24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29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풀하임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4286B (zh) * 2013-10-15 2015-12-23 甘肃省商业科技研究所 一种杯珊瑚菌菌丝多糖的提取方法
CN105036908A (zh) * 2015-07-06 2015-11-11 鲁东大学 一种白灵菇母种培养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194B1 (ko) * 1994-04-20 1997-04-14 농촌진흥청 표고버섯 재배용 인공목의 제조방법
KR20060113034A (ko) * 2005-04-29 2006-11-02 여상철 싸리버섯의 인공 재배방법
KR100823681B1 (ko) * 2006-02-23 2008-04-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흰목이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재배 방법
KR101056952B1 (ko) * 2009-03-05 2011-08-17 박정헌 단목재배를 이용한 검은비늘버섯의 대량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29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풀하임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813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gday Jr et al. Optimization of mycelial growth and cultivation of fruiting body of Philippine wild strain of Ganoderma lucidum
KR101330487B1 (ko) 가시오가피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버섯재배방법
Zhou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KR101056952B1 (ko) 단목재배를 이용한 검은비늘버섯의 대량생산방법
Landingin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basidiocarp production of Cyclocybe cylindracea (Maire)
CN101747106A (zh) 一种灰树花培养料
KR101385540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및 이에 따른 꽃송이버섯
KR101256813B1 (ko) 좀나무싸리버섯의 생산방법
JP5124670B2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KR20130088364A (ko)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KR101944611B1 (ko) 복령 균주 자실체의 대량생산방법
JP2000236745A (ja) メシマコブの栽培方法
CN102523927A (zh) 自然环境中培养蛹虫草的方法
KR20100066321A (ko)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 및 이에 의해 배양된 균사체
JP3746440B2 (ja) キノコ栽培用菌床およびキノコの栽培方法
KR100759021B1 (ko) 식용버섯 재배방법
KR100204984B1 (ko) 상황버섯 조성물의 배양방법
KR102333307B1 (ko)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KR100644243B1 (ko) 동충하초의 재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재배 방법
Niazi et al. Domestication of a wild edible and nutritious mushroom Lentinus tigrinus from Pakistan
KR101821349B1 (ko) 그루터기 접종법을 이용한 복령의 대량 생산방법
KR100225050B1 (ko) 상황버섯 조성품
Niazi et al. Domestication of a magic therapeutical wine glass fungus (Podoscypha petalodes) from Pakistan
KR100218897B1 (ko) 상황균사체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황균사체의 배양방법
KR101190094B1 (ko)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