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020A -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020A
KR20120097020A KR1020110016330A KR20110016330A KR20120097020A KR 20120097020 A KR20120097020 A KR 20120097020A KR 1020110016330 A KR1020110016330 A KR 1020110016330A KR 20110016330 A KR20110016330 A KR 20110016330A KR 20120097020 A KR20120097020 A KR 2012009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clip
headlining
assist
assis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086B1 (ko
Inventor
최인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0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어시스트그립을 루프패널에 설치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어시스트그립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손으로 어시스트그립을 잡아준 상태에서 체결작업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져 그만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을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클립공(110)이 양쪽에 형성된 헤드라이닝(100)과; 양단에 구비된 클립끼움공(210)이 클립공(110)과 일치되도록 헤드라이닝(100) 표면에 밀착 설치되며, 클립끼움공(210)의 내주면 테두리 양쪽에 걸림돌부(320)가 대향으로 구비된 그립마운팅브라켓(200)과; 헤드라이닝(100) 저면에서 클립공(110)을 통해 클립끼움공(210)의 걸림돌부(320)에 끼워져 가조립되도록 양 측면에 고정클립(311)과 탄력적인 유동클립(312)이 구비되고 중앙에 루프체결용 나사공(313)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그립힌지부(320)가 함께 구비된 그립클립부(300)와; 그립힌지부(320)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어시스트그립(40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그립마운팅브라켓(200)에 의해 어시스트그립(400)을 헤드라이닝(100)에 가조립한 상태로 조립라인에 공급하여 작업자가 헤드라이닝(100)을 루프패널에 설치한후 어시스트그립(400)을 루프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 체결작업시 어시스트그립(400)을 일일이 잡아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어시스트그립(400)의 유동됨이 방지되어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나사를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개선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mounting stmcture for headlining and assist grip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헤드라이닝에 어시스트그립을 가조립한 상태로 공급하여 헤드라이닝을 조립시 작업자가 어시스트그립을 유동되지 않게 일일이 잡아주지 않아도 나사를 손쉽고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자동차가 단순히 이동 및 운송수단을 벗어나 실생활과 같은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되어 주행 안정성이나 승차감 같은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탑승자의 편의장치이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편의장치가 설치되는데 그중 예를들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차량의 흔들림이 클때 탑승자가 잡고서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어시스트그립이 머리위치 가까운 루프판넬 측부 즉,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나 도어나 조수석앞 대쉬보드, 시트의 뒷면 등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종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헤드라이닝 조립라인에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을 각각 별도로 공급하므로서 작업자가 헤드라이닝을 설치한 이후에 어시스트그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어시스트그립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어시스트그립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손으로 어시스트그립을 잡아주고 다른 한손을 이용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어시스트그립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져 그만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닝에 어시스트그립을 가조립시킨 상태로 공급하여 작업자가 헤드라이닝을 설치한 이후에 어시스트그립 설치 작업시 어시스트그립을 잡아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나사 체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을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클립공이 양쪽에 형성된 헤드라이닝과; 양단에 구비된 클립끼움공이 클립공과 일치되도록 헤드라이닝 표면에 밀착 설치되며, 클립끼움공의 내주면 테두리 양쪽에 걸림돌부가 대향으로 구비된 그립마운팅브라켓과; 헤드라이닝 저면에서 클립공을 통해 클립끼움공의 걸림돌부에 끼워져 가조립되도록 양 측면에 고정클립과 탄력적인 유동클립이 구비되고 중앙에 루프체결용 나사공이 형성된 돌출부와 그립힌지부가 함께 구비된 그립클립부와; 그립힌지부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어시스트그립; 으로 이루어져 어시스트그립을 헤드라이닝에 가조립한 상태로 루프패널에 함께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립이 헤드라이닝에 가조립된 상태로 조립라인에 공급되는 것이므로 작업자는 헤드라이닝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어시스트그립을 잡지 않고서도 나사 체결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어스시트그립이 헤드라이닝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그립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이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에 어스시트트그립이 클립마운팅브라켓에 의해 가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클립마운팅브라켓을 이용하여 어시스트그립을 헤드라이닝에 가조립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어스시트그립이 헤드라이닝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그립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이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에 어스시트트그립이 클립마운팅브라켓에 의해 가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클립마운팅브라켓을 이용하여 어시스트그립을 헤드라이닝에 가조립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을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클립공(110)이 양쪽에 형성된 헤드라이닝(100)과; 양단에 구비된 클립끼움공(210)이 클립공(110)과 일치되도록 헤드라이닝(100) 표면에 밀착 설치되며, 클립끼움공(210)의 내주면 테두리 양쪽에 걸림돌부(220)가 대향으로 구비된 그립마운팅브라켓(200)과; 헤드라이닝(100) 저면에서 클립공(110)을 통해 클립끼움공(210)의 걸림돌부(220)에 끼워져 가조립되도록 양 측면에 고정클립(311)과 탄력적인 유동클립(312)이 구비되고 중앙에 루프체결용 나사공(313)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그립힌지부(320)가 함께 구비된 그립클립부(300)와; 그립힌지부(320)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어시스트그립(400); 으로 이루어져 어시스트그립(400)을 헤드라이닝(100)에 가조립한 상태로 루프패널에 함께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코너링시나 차량의 흔들림이 클때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루프패널(도면중 미도시)에 설치된 헤드라이닝(100)에 어시스트그립(400)을 설치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조립라인에 헤드라이닝(100)과 어시스트그립(400)을 각각 공급하지 않고 어시스트그립(400)을 헤드라이닝(100)에 가조립된 상태로 공급하여 작업자가 헤드라이닝(100)만 설치하면 어스시트그립(400)을 루프패널에 고정시 어시스트그립(40))을 일일이 잡아준 주지 않고서도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100)의 클립공(110)과 일치된 위치에 클립끼움공(210)이 형성되고, 그 클립끼움공(210)의 내주면 테두리 양쪽에 걸림돌부(220)가 형성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구비한후 이를 이용하여 어시스트그립(400)을 헤드라이닝(100)에 가조립된 상태로 루프패널에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헤드라이닝(100)의 클립공(110)에 그립클립부(300)의 돌출부(310)가 끼워져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그립클립부(300)에 밀착시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클립끼움공(210)속으로 그립클립부(300)의 돌출부(310)가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클립끼움공(210)에는 걸림돌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그립클립부(300)에는 고정클립(311)과 유동클립(31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그립클립부(3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그립클립부(300)의 돌출부(310)와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클립끼움공(210)과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그립마운팅브리켓(200)의 일측을 약간 기울여 일측의 걸림돌부(320)가 고정클립(311)에 걸리게 한후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타측을 누르면 타측의 걸림돌부(320)가 텐션력을 갖는 유동클립(312)를 밀어내면서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이고, 이후 유동클립(312)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돌부(320)를 안정되게 지지한다.
이처럼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그립클립부(300)에 고정시키면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그립클립부(300)에서 이탈시키기 전에는 그립클립부(300)는 헤드라이닝(100)의 클립공(110)을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헤드라이닝(100)과 어시스트그립(400)은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클립끼움공(210)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부(320)는 테두리 4면에 모두 형성하고, 그립클립부(300)의 돌출부(310)에 형성되는 고정클립(311)과 유동클립(312)도 대향으로 형성하므로서 그립클립부(300)와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체결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헤드라이닝(100)과 어시스트그립(400)을 가조립한 상태로 조립라인에 공급하면 작업자는 헤드라이닝(100)을 설치한후 어시스트클립(400)을 루프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루프체결용 나사공(313)을 통해 나사 체결작업시 어시스트그립(400)을 일일이 잡아주지 않고서도 유동됨이 방지되어 손쉽게 어시스트그립(400)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에는 다수의 홀(230)을 형성하므로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재료가 절감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게도 줄어들어 보다 많은 양의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헤드라이닝 110 : 클립공
200 : 그립마운팅브라켓 210 : 클립끼움공
220 : 걸림돌부 230 : 홀
300 : 그립클립부 310 : 돌출부
311 : 고정클립 312 : 유동클립
313 : 나사공 320 : 그립힌지부
400 : 어시스트그립

Claims (3)

  1.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을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클립공(110)이 양쪽에 형성된 헤드라이닝(100)과;
    양단에 구비된 클립끼움공(210)이 클립공(110)과 일치되도록 헤드라이닝(100) 표면에 밀착 설치되며, 클립끼움공(210)의 내주면 테두리 양쪽에 걸림돌부(320)가 대향으로 구비된 그립마운팅브라켓(200)과;
    헤드라이닝(100) 저면에서 클립공(110)을 통해 클립끼움공(210)의 걸림돌부(320)에 끼워져 가조립되도록 양 측면에 고정클립(311)과 탄력적인 유동클립(312)이 구비되고 중앙에 루프체결용 나사공(313)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그립힌지부(320)가 함께 구비된 그립클립부(300)와;
    그립힌지부(320)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어시스트그립(400);
    으로 이루어져 어시스트그립(400)을 헤드라이닝(100)에 가조립한 상태로 루프패널에 함께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은 클립끼움공(210)돌출부(310)테두리 4면 모두에 걸림돌부(320)를 대향으로 형성하고,
    그립클립부(300)의 돌출부(310)에는 4면 모두에 고정클립(311)과 유동클립(312)을 대향으로 형성하여
    그립클립부(300)와 그립마운팅브라켓(200)의 체결력을 높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립마운팅브라켓(200)에는,
    재료 및 무게 절감을 위해 다수의 홀(2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 구조.
KR1020110016330A 2011-02-24 2011-02-24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KR10123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330A KR101230086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330A KR101230086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020A true KR20120097020A (ko) 2012-09-03
KR101230086B1 KR101230086B1 (ko) 2013-02-05

Family

ID=4710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330A KR101230086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0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35B1 (ko) * 2013-03-28 2014-04-1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실 몰딩
KR20180061750A (ko) *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립 핸들 어셈블리의 브라켓 마운팅 구조
KR102116849B1 (ko) * 2019-02-27 2020-06-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의 장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7927A (ja) 2000-03-30 2001-10-10 Toyoda Gosei Co Ltd アシストグリップ
JP5474393B2 (ja) 2009-03-31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備品の取り付け構造、及び内装品の取り付け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35B1 (ko) * 2013-03-28 2014-04-1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실 몰딩
KR20180061750A (ko) *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립 핸들 어셈블리의 브라켓 마운팅 구조
KR102116849B1 (ko) * 2019-02-27 2020-06-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의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086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098B2 (en) Accessory retaining device
JP4769160B2 (ja) リヤスポイラ構造
JP2015519248A (ja) 車両用の採光用開口システム
US20110067206A1 (en) Trim Panel Attachment Assembly With Anti-Rotation Flange
KR101230086B1 (ko)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어시스트그립의 장착구조
BR102015024243A2 (pt) Conjunto de apoios para pés para veículos
KR100845126B1 (ko) 차량용 훅
KR101292424B1 (ko) 차량용 시트
US20110163564A1 (en) Vehicle pillar garnish
JP2009096336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ニング構造
KR20160054190A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JP2005193826A (ja) 車両用被覆部材の取付構造
KR10063329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40046011A (ko) 픽업차량의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구
KR101434804B1 (ko) 자동차의 러기지용 네트 후크
JP2009046001A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2011189879A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補用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2002046547A (ja) 自動車のルーフトリム構造
JP4730074B2 (ja) 車両の吊り天井及び車両の吊り天井の形成方法
KR20050038285A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JP6392682B2 (ja) 車両用カーテンレール
CN202029758U (zh) 一种汽车外后视镜装饰盖的安装结构
KR20070101831A (ko) 룸미러의 기둥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엑스트라 거치장치
JPH06156157A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